KR101154595B1 -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 Google Patents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595B1
KR101154595B1 KR1020110108766A KR20110108766A KR101154595B1 KR 101154595 B1 KR101154595 B1 KR 101154595B1 KR 1020110108766 A KR1020110108766 A KR 1020110108766A KR 20110108766 A KR20110108766 A KR 20110108766A KR 101154595 B1 KR101154595 B1 KR 10115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window
exchange member
heat exchanger
energy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배
Original Assignee
한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배 filed Critical 한준배
Priority to KR102011010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air flow between p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열교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기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공급 및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배출시켜 실내를 별도의 전력낭비없이 보다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VENTILATION SYSTEMS AND HEAT EXCHANGERS WITH WINDOWS FOR ENERGY SAVINGS}
본 발명은 열교환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열교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기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공급 및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배출시켜 실내를 별도의 전력낭비없이 보다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실내활동 시간의 증가 및 건물의 밀집화 경향에 따라 실내환경과 공기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이 고층건물이 밀집한 주거형태에서는 외부의 오염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염려때문에 창호의 개방이 극히 곤란하다.
이에 따라 별도의 환기수단이 마련되지 않는 한, 실내의 공기도 그 질적 저하를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열교환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열교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기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공급 및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배출시켜 실내를 별도의 전력낭비없이 보다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열교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기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공급 및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배출시켜 실내를 별도의 전력낭비없이 보다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유리부재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창틀프레임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열교환부재와, 상기 창틀프레임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열교환부재로 구성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상부열교환부재의 내부와 상기 유리부재 사이 및 상기 하부열교환부재의 내부로 실내공기를 순차적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측안내부재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의 내부와 상기 유리부재 사이 및 상기 상부열교환부재의 내부로 실외공기를 순차적으로 안내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하측안내부재로 구성되는 환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열교환부재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상부방열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열교환부재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하부방열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상부열교환부재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되는 상부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열교환부재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되는 하부관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관부재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상기 상부관부재의 외주면에 방열핀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부관부재는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상기 하부관부재의 외주면에 방열핀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측안내부재는 상기 상부열교환부재와 연통되고, 실내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상측터빈과; 상기 하부열교환부재와 연통되고,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측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안내부재는 상기 하부열교환부재와 연통되고, 실외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측터빈과; 상기 상부열교환부재와 연통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하측부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측안내부재는 상기 상측터빈과 연통되어 상기 상측터빈내로 실내공기를 유입시키는 상측블로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측안내부재는 상기 하측터빈과 연통되어 상기 하측터빈내로 실외공기를 유입시키는 하측블로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상측안내부재는 상기 상측블로워와 상기 상측터빈 사이에 구비되는 상측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측안내부재는 상기 하측터빈과 상기 하부열교환부재 사이 또는 상기 하측블로워와 상기 하측터빈 사이에 구비되는 하측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열교환부재와 상기 하측부스터 사이에 습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열교환부재와 상기 습도조절부 사이에 자외선살균부 및 광촉매 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상부열교환부재와 상기 습도조절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중간열교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간열교환부재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중간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중간관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중간관부재는 상기 중간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되고, 상기 중간관부재의 외주면에 방열핀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측부스터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 사이에 가전기기와 연결되는 진공노즐소켓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진공노즐소켓은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일측관통구와 타측관통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가전기기와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구비되는 양측이 개방된 안내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에 상기 안내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열교환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열교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기부를 통해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공급 및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배출시켜 실내를 별도의 전력낭비없이 보다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고,
도 2는 상부열교환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하부열교환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상부열교환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하부열교환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H - H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흐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5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흐름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6은 중간열교환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17은 진공노즐소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본 발명인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열교환부(10)와 환기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열교환부(10)는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프레임(5)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창틀프레임(5)의 상측수평프레임(510)과; 상기 상측수평프레임(5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하측수평프레임(520)과; 상기 상측수평프레임(510)의 일측과 상기 하측수평프레임(520)의 일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되는 일측수직프레임(530)과; 상기 상측수평프레임(510)의 타측과 상기 하측수평프레임(520)의 타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되는 타측수직프레임(5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틀프레임(5)의 내측에는 유리부재(51)가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리부재(51)가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된 상기 창틀프레임(5)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부(10)는 상부열교환부재(110)와 하부열교환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상측수평프레임(5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하측수평프레임(5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환기부(20)는 상측안내부재(210)와 하측안내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안내부재(210)는 건축물의 실내공기를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내부와 사기 유리부재(51) 사이 및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안내하여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하측안내부재(220)는 건축물 외부의 실외공기를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내부와 상기 유리부재(51) 사이 및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안내하여 건축물의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도 2는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일예로 상기 열교환부재(11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몸체(111)와 상부방열플레이트(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11)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상측수평프레임(510)의 내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2, 3, 4상부고정바(111a1, 111a2, 111a3, 111a4)로 구성되는 상부고정바(111a)가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바(111a)는 상기 상측수평프레임(5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3상부고정바(111a2, 111a3)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관통구(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상부고정바(111a1, 111a2) 사이, 상기 제 2, 3상부고정바(111a2, 111a3) 사이 및 상기 제 3, 4상부고정바(111a3, 111a4) 사이에는 상기 유리부재(51)의 상단부가 각각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방열플레이트(112)는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하부열교환부재(12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일예로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몸체(121)와 하부방열플레이트(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21)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하측수평프레임(520)의 내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21)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몸체(121)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2, 3, 4하부고정바(121a1, 121a2, 121a3, 121a4)로 구성되는 하부고정바(121a)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바(121a)는 상기 하측수평프레임(5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3하부고정바(121a2, 121a3)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관통구(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하부고정바(121a1, 121a2) 사이, 상기 제 2, 3하부고정바(121a2, 121a3) 사이 및 상기 제 3, 4하부고정바(121a3, 121a4) 사이에는 상기 유리부재(51)의 하단부가 각각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방열플레이트(121)는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겨울철 난방에 의해 실내공기는 따뜻하고 실외공기가 차가운 상태에서 따뜻한 실내공기와 차가운 실외공기의 온도차에 따른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 내부로 유입된 따뜻한 실내공기는 상기 상부고정바(111a)의 관통구(111b)를 통해 상기 유리부재(51) 사이로 유입된 후 상기 하부고정바(121a)의 관통구(111b)를 통해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의 내부를 지나 실외로 무동력배출될 수 있고,(도 14의 실선화살표 참조.)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유입된 차가운 실외공기는 상기 하부고정바(121a)의 관통구(121b)를 통해 상기 유리부재(51) 사이로 유입된 후 상기 상부고정바(111a)의 관통구(111b)를 통해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의 내부를 지나 실내로 무동력공급될 수 있다.(도 14의 점선화살표 참조.)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의 내부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각각 유입되는 따뜻한 실내공기는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의 내부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각각 유입되는 차가운 실외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로 고온의 실외공기를 무동력공급 및 실외로 저온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상부열교환부재(11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부관부재(11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몸체(111)의 일측 내부에는 일측상부수직판(111c)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11)의 타측 내부에는 타측상부수직판(111d)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몸체(111)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2, 3상부고정바((111a1, 111a2, 111a3)가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바(111a)는 상기 상측수평프레임(5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부고정바(111a2)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관통구(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상부고정바(111a1, 111a2) 사이와 상기 제 2, 3상부고정바(111a2, 111a3) 사이에는 상기 유리부재(51)의 상단부가 각각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관부재(113)는 상기 일측상부수직판(111c)와 상기 타측상부수직판(111d)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관부재(113)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도 11은 하부열교환부재(12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H - H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는 상기 하부몸체(121)와 하부관부재(1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21)의 일측 내부에는 일측하부수직판(121c)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21)의 타측 내부에는 타측하부수직판(121d)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21)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몸체(121)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2, 3하부고정바(121a1, 121a2, 121a3)로 구성되는 하부고정바(121a)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바(121a)는 상기 하측수평프레임(5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하부고정바(121a2, 121a3)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관통구(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하부고정바(121a1, 121a2) 사이와 상기 제 2, 3하부고정바(121a2, 121a3) 사이에는 상기 유리부재(51)의 하단부가 각각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관부재(123)는 상기 일측하부수직판(121c)와 상기 타측하부수직판(121d)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관부재(123)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철 난방에 의해 실내공기는 따뜻하고 실외공기가 차가운 상태에서 따뜻한 실내공기와 차가운 실외공기의 온도차에 따른 대류현상에 의해 따뜻한 실내공기는 상기 상부몸체(111)의 타측 내부 → 상기 상부관부재(113)의 내부 → 상기 하부몸체(121)의 일측 내부 → 상기 하부관부재(123)의 내부 → 상기 하부몸체(121)의 타측 내부를 각각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실외로 무동력배출될 수 있고,(도 15의 실선화살표 참조.)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유입된 차가운 실외공기는 상기 하부고정바(121a)의 관통구(121b)를 통해 상기 유리부재(51) 사이로 유입된 후 상기 상부고정바(111a)의 관통구(111b)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를 지나 실내로 무동력공급될 수 있다.(도 15의 점선화살표 참조.)
상기 상부관부재(113)의 내부와 상기 하부관부재(123)의 내부로 유입된 각각 유입딘 따뜻한 실내공기는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와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각각 유입되는 차가운 실외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로 고온의 실외공기를 무동력공급 및 실외로 저온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관부재(113)가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도록 상기 상부관부재(113)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도 8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상부수직판(111c)와 상기 타측상부수직판(111d)에 각각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관부재(113)의 외주면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열핀(113a)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113a)으로 인해 상기 상부관부재(113)의 내부를 통과하는 따뜻한 실내공기와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된 차가운 실외공기의 열교환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차가운 실외공기를 통해 상기 방열핀(113a)과 함께 상기 상부관부재(113)는 정역회전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상부관부재(113)의 내부를 통과하는 따뜻한 실내공기와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된 차가운 실외공기의 열교환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관부재(123)가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도록 상기 하부관부재(123)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도 11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하부수직판(121c)와 상기 타측하부수직판(121d)에 각각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관부재(123)의 외주면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열핀(123a)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될수 있다.
상기 방열핀(123a)을 인해 상기 하부관부재(123)의 내부를 통과하는 따뜻한 실내공기와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유입된 차가운 실외공기의 열교환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차가운 실외공기를 통해 상기 방열핀(123a)과 함께 상기 하부관부재(123)는 정역회전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하부관부재(123) 내부를 통과하는 따뜻한 실내공기와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유입된 차가운 실외공기의 열교환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흐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5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흐름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안내부재(210)는 상측터빈(211)과 상측부스터(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터빈(211)과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가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터빈(211)의 하부와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상측터빈(211)과 상기 상부몸체(111)를 연결시키는 호스, 파이프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라인(70)이 구비될 수 있다.
실내공기는 상기 상측터빈(21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연결라인(70)의 내부를 지나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부스터(212)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부스터(212)의 하부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상측부스터(212)와 상기 하부몸체(121)를 연결시키는 호스, 파이프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라인(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연결라인(80)의 내부를 지나 상기 상측부스터(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안내부재(220)는 하측터빈(221)과 하측부스터(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터빈(221)과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가 연통되도록 상기 하측터빈(221)의 상부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의 타측 하부 사이에는 상기 하측터빈(221)과 상기 하부몸체(121)를 연결시키는 호스, 파이프 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라인(90)이 구비될 수 있다.
실외공기는 상기 하측터빈(22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연결라인(90)의 내부를 지나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측부스터(222)와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가 연통되도록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부스터(222)의 상부와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하측부스터(222)와 상기 상부몸체(111)를 연결시키는 호스, 파이프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라인(1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부스터(222)의 상부와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의 일측 하부 사이에 상기 연결라인(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연결라인(100)의 내부를 지나 상기 하측부스터(2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내로 실외공기를 강제공급하고, 실외로 실내공기를 강제배출하기 위해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안내부재(210)는 상측블로워(2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측안내부재(220)는 하측블로워(2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터빈(211)과 상기 상측블로워(213)가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터빈(211)의 일측과 상기 상측블로워(213)의 타측사이에는 상기 상측터빈(211)과 상기 상측블로워(213)를 연결시키는 호스, 파이프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라인(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블로워(213)는 상기 연결라인(200)을 통해 상기 상측터빈(211)내로 실내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하측터빈(221)과 상기 하측블로워(223)가 연통되도록 상기 하측터빈(221)의 타측과 상기 하측블로워(223)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하측터빈(221)과 상기 하측블로워(223)를 연결시키는 호스, 파이프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라인(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블로워(223)는 상기 연결라인(300)을 통해 상기 하측터빈(221)내로 실외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측안내부재(210)는 상측필터(2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측안내부재(220)는 하측필터(2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필터(214)는 상기 상측블로워(213)와 상기 상측터빈(211)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라인(200)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라인(200)내부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하측필터(224)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터빈(221)과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라인(90)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측필터(224)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블로워(223)와 상기 하측터빈(221)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라인(3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필터(224)는 상기 연결라인(90, 300) 내부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와 상기 하측부스터(222)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라인(100)에는 상기 연결라인(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공지된 습도조절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100)에 구비된 상기 습도조절부(30)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일측수직프레임(5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와 상기 습도조절부(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라인(100)에는 공지된 자외선살균부(40)와 공지된 광촉매 필터(5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100)에 구비되는 상기 자외선살균부(40)와 광촉매 필터(50)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일측수직프레임(5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살균부(40)는 상기 연결라인(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실외공기를 살균하게 된다.
상기 광촉매 필터(50)는 상기 자외선살균부(40)를 통해 살균된 실외공기를 2차적으로 살균 및 탈취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10)는 중간열교환부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열교환부재(130)는 상기 광촉매필터(5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와 상기 습도조절부(30)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연결라인(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은 중간열교환부재(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상기 중간열교환부재(130)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몸체(131)와 중간관부재(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몸체(131)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일측수직프레임(530)의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관부재(133)는 상기 중간몸체(131)의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상부몸체(111)의 일측과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상부몸체(111)와 상기 하부몸체(121)를 연통시키기 위한 호스, 파이프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라인(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몸체(131)는 상기 연결라인(4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라인(4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관부재(133)는 상기 연결라인(1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라인(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4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중간몸체(131)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연결라인(100)을 통해 상기 중간관부재(133)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중간관부재(133)가 상기 중간몸체(131)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되도록 상기 중간관부재(133)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몸체(13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관부재(133)의 외주면에는 방열핀(133a)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133a)으로 인해 상기 중간몸체(131)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와 상기 중간관부재(133)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의 열교환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중간몸체(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통해 상기 방열핀(133a)과 함께 상기 중간관부재(133)는 정역회전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중간몸체(131)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와 상기 중간관부재(133)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의 열교환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측부스터(212)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하부몸체(121)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라인(80)에는 진공노즐소켓(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노즐소켓(60)은 진공청소기, 냉장고, 정수기 등을 포함한 가전기기(7)와 연결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진공노즐소켓(60)은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조립체(710)와; 상기 흡입구조립체(710)가 하단부에 구비되는 연장관(7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연장관(720)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조립체(710)를 통해 상기 연장관(720)내로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기 진공노즐소켓(60)의 내부와 상기 연결라인(80)의 내부를 지나 상기 상측부스터(212)를 통해 실내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진공노즐소켓(60)이 냉장고, 정수기 등과 연결된 경우 냉장고, 정수기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진공노즐소켓(60)의 내부와 상기 연결라인(80)의 내부를 지나 상기 상측부스터(212)를 통해 실내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7은 진공노즐소켓(6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노즐소켓(60)은 몸체(610)와 안내관(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610)는 상기 연결라인(8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6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상기 연결라인(80)과 각각 연통되는 일측관통구(613)와 타측관통구(6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610)의 하부에는 상기 가전기기(7)와 연결되는 연결관(6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620)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620)은 상기 일측관통구(613)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610)의 내부 일측 내주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80)을 따라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일측관통구(613)를 통해 상기 안내관(6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타측관통구(612)를 통해 다시 상기 연결라인(8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상기 안내관(6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타측관통구(612)를 통해 다시 상기 연결라인(80)으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속도와 압력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연장관(720)로 유입된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 또는 냉장고, 정수기 등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몸체(6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실내공기와 함께 상기 몸체(610)의 타측관통구(612)를 통해 상기 연결라인(80)으로 배출되어 상기 상측부스터(212)를 통해 실내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620)의 외주면에는 진공청소기의 연장관(720)로 유입된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 또는 냉장고, 정수기 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몸체(610)의 타측관통구(612)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6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21)은 상기 안내관(6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610)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안내관(620)의 상부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621)은 상기 안내관(6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610)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안내관(620)의 하부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621)은 상기 안내관(6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610)의 내측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도 14의 500)와 축전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500)는 건축물의 외벽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축전지(미도시)는 상기 태양전지(50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건축물의 외벽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태양전지(500)가 발생시킨 전기가 축전될 수 있다.
상기 축전지(미도시)에 축전된 전기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측블로워(213)와 하측블로워(223)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열교환부(10)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열교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환기부(20)를 통해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공급 및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무동력으로 배출시켜 실내를 별도의 전력낭비없이 보다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열교환부, 20; 환기부.

Claims (15)

  1. 내측에 유리부재(51)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창틀프레임(5)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열교환부재(110)와, 상기 창틀프레임(5)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열교환부재(120)로 구성되는 열교환부(10)와;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내부와 상기 유리부재(51)사이 및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내부로 실내공기를 순차적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측안내부재(210)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의 내부와 상기 유리부재(51)사이 및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의 내부로 실외공기를 순차적으로 안내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하측안내부재(220)로 구성되는 환기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몸체(111)와;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상부방열플레이트(11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몸체(121)와;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하부방열플레이트(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몸체(111)와;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되는 상부관부재(113);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몸체(121)와;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되는 하부관부재(1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부재(113)는 상기 상부몸체(1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상기 상부관부재(113)의 외주면에 방열핀(113a)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부관부재(123)는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고, 상기 하부관부재(123)의 외주면에 방열핀(123a)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안내부재(210)는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와 연통되고, 실내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상측터빈(211)과;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와 연통되고,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측부스터(212);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안내부재(220)는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와 연통되고, 실외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측터빈(221)과;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와 연통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하측부스터(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안내부재(210)는 상기 상측터빈(211)과 연통되어 상기 상측터빈(211)내로 실내공기를 유입시키는 상측블로워(2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측안내부재(220)는 상기 하측터빈(221)과 연통되어 상기 하측터빈(221)내로 실외공기를 유입시키는 하측블로워(2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안내부재(210)는 상기 상측블로워(213)와 상기 상측터빈(211) 사이에 구비되는 상측필터(2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측안내부재(220)는 상기 하측터빈(221)과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 사이 또는 상기 하측블로워(223)와 상기 하측터빈(221) 사이에 구비되는 하측필터(2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와 상기 하측부스터(222) 사이에 습도조절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창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와 상기 습도조절부(30) 사이에 자외선살균부(40) 및 광촉매 필터(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0)는 상기 상부열교환부재(110)와 상기 습도조절부(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틀프레임(5)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중간열교환부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열교환부재(130)는 상기 창틀프레임(5)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중간몸체(131)와; 상기 중간몸체(131)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중간관부재(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관부재(133)는 상기 중간몸체(1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되고, 상기 중간관부재(133)의 외주면에 방열핀(133a)이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스터(212)와 상기 하부열교환부재(120) 사이에 가전기기(7)와 연결되는 진공노즐소켓(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노즐소켓(60)은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일측관통구(613)와 타측관통구(612)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가전기기(7)와 연결되는 연결관(611)이 구비되는 몸체(610)와;
    상기 몸체(610)의 일측관통구(613)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610)의 내부에 수평구비되는 양측이 개방된 안내관(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620)의 외주면에 상기 안내관(6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610)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KR1020110108766A 2011-10-24 2011-10-24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KR10115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66A KR101154595B1 (ko) 2011-10-24 2011-10-24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66A KR101154595B1 (ko) 2011-10-24 2011-10-24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595B1 true KR101154595B1 (ko) 2012-06-11

Family

ID=4660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766A KR101154595B1 (ko) 2011-10-24 2011-10-24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5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2620A1 (en) * 2006-07-19 2008-02-07 Purdue Research Foundation Ventilated window for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in buildings
KR20080015230A (ko) * 2006-08-14 2008-02-19 노홍구 에너지절약형 무동력 상변화방식 이중 창호.
JP2008513632A (ja) * 2004-09-15 2008-05-01 ファイバーライン・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窓と窓枠
KR20110112721A (ko) * 2010-04-07 2011-10-13 주식회사 필룩스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3632A (ja) * 2004-09-15 2008-05-01 ファイバーライン・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窓と窓枠
US20080032620A1 (en) * 2006-07-19 2008-02-07 Purdue Research Foundation Ventilated window for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in buildings
KR20080015230A (ko) * 2006-08-14 2008-02-19 노홍구 에너지절약형 무동력 상변화방식 이중 창호.
KR20110112721A (ko) * 2010-04-07 2011-10-13 주식회사 필룩스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930B1 (ko) 창호 냉난방 자동제어 에어커튼 환기 시스템
KR20210106836A (ko) 건물 환기 시스템
KR100891716B1 (ko) 공기가열식 태양열 집열장치
CN106152329A (zh) 太阳能保温窗及节能通风空调系统
CN201028730Y (zh) 一种自动换热式建筑防噪音通风装置
JP4524348B1 (ja) 省エネルギー換気システム
CN201547893U (zh) 一种集成化的溶液式除湿空调装置
CN105864933B (zh) 具有水平交叉流间接蒸发制冷装置的空调机组
KR101154595B1 (ko) 환기장치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을 위한 창호
KR100696070B1 (ko) 건축물용 벽면 일체형 실내 환기 시스템
CN104132406A (zh) 一种太阳能等离子体新风系统
CN103148540B (zh) 一种低能耗高效灵活毛细管空调末端装置
WO2020037836A1 (zh) 一种用于高大空间的新型空调末端系统
CN102600702A (zh) 畜禽舍内置空气净化装置
CN109340959A (zh) 一种采用无动力风机排风的光伏-冷雾通风降温系统
CN203586479U (zh) 家用室内外空气循环系统
CN211119799U (zh) 一种多级滚筒联动式的蒸发冷却系统和通风降温系统
CN208920339U (zh) 床置式空调器
CN208998232U (zh) 基于无动力风机排风的光伏-冷雾通风降温系统
CN105509196A (zh) 一种利用太阳能的溶液式空调系统
CN205208815U (zh) 一种利用太阳能的溶液式空调系统
CN205747262U (zh) 具有水平交叉流间接蒸发制冷装置的空调机组
CN210980235U (zh) 一种用于建筑节能的通风散热装置
CN217136364U (zh) 一种猪舍保温系统
CN211716736U (zh) 一种室内空气生态优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