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874B1 -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874B1
KR101153874B1 KR1020050069821A KR20050069821A KR101153874B1 KR 101153874 B1 KR101153874 B1 KR 101153874B1 KR 1020050069821 A KR1020050069821 A KR 1020050069821A KR 20050069821 A KR20050069821 A KR 20050069821A KR 101153874 B1 KR101153874 B1 KR 10115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member
locking
upper fram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847A (ko
Inventor
허성창
정의학
정윤석
엄팔용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87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지폐 이송로가 마련되는 하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의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상단프레임과;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부재와 하단 프레임과 제 1 지지부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 1 지지부재와 제 2 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호 겹쳐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개방된 프레임이 별도의 조작 없이는 닫히지 아니하고, 프레임을 닫을 때 사용자의 손이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부상을 유발하지 아니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금융자동화기기, 다단계, 개방각, 고정, 지지, 잠금

Description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Financial automated-teller machine having support device of opening frame}
도 1은 각 프레임이 폐쇄된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가스스프링과 지지수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해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단프레임이 개방된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단프레임과 중단프레임이 개방된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단프레임 110 : 상단힌지
200 : 중단프레임 300 : 하단프레임
400 : 가스스프링 410 : 압력튜브
420 : 피스톤로드 500 : 연결수단
510 : 제 1 슬라이드부재 520 : 제 2 슬라이드부재
610 : 중단 이송로 620 : 하단 이송로
700 : 잠금수단 710 : 잠금돌기
720 : 잠금레버 800 : 지지수단
810 : 제 1 지지부재 820 : 제 2 지지부재
830 : 해제부재 850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지폐 입출금장치나 거래명세서 출력기와 같은 각종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하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이송로가 단계적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프레임을 단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대표적으로 현금이나 수표와 같은 지폐를 입금 및 출금시키기 위한 지폐자동입출금기가 있는데, 이와 같은 지폐자동입출금기에는 지폐를 이송 및 반송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송로가 상하로 배열되고 각 이송로는 프레임에 의해 덮여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은 사용자가 한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개방된 프레임을 닫을 때 사용하지 아니하는 손이 프레임 사이에 끼임으로서 부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는 개방된 프레임이 닫히지 아니하도록 프레임을 지지하는 가스스프링이 마련되는데, 가스스프링이 노후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프레임이 닫힘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이 유발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방된 프레임이 별도의 조작 없이는 닫히지 아니하도록 구성되고, 프레임을 닫을 때 사용자의 손이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부상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상면에 지폐 이송로가 마련되는 하단프레임; 하단프레임의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상단프레임;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부재와, 하단 프레임과 제 1 지지부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 1 지지부재와 제 2 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호 겹쳐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지지부재는 일측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제 2 지지부재는 걸림돌기에 간섭됨으로써 제 1 지지부재와 겹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지지수단은 걸림돌기와 걸림턱의 간섭 여부를 조절하는 해제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때 걸림돌기와 걸림턱이 간섭되는 방향으로 제 1 지지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상단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단프레임을 고정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때 잠금수단은 상단프레임 일측에 마련되는 잠금돌기와, 하단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잠금돌기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잠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 사이에 하단프레임의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단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제 1 지지부재는 둘 이상의 잠금돌기가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다단계 개방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각 프레임이 폐쇄된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다단계 개방구조는, 지폐의 이송을 위한 하단 이송로(미도시)가 상면에 마련되며, 최하측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하단프레임(300)과; 하단프레임(30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 끝단이 하단힌지(미도시)에 의해 하단프레임(300)에 결합되며, 상면에 지폐의 이송 을 위한 중단 이송로(610)가 마련되는 중단프레임(200)과; 중단프레임(20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 끝단이 상단힌지(미도시)에 의해 하단프레임(300)에 결합되는 상단프레임(100)과; 상단프레임(100)을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400)과; 상단프레임(100)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단프레임(100)을 고정하는 잠금수단(700)과; 상단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부재(810)와, 하단프레임(300)과 제 1 지지부재(810)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재(8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 1 지지부재(810)와 제 2 지지부재(8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호 겹쳐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지지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중단프레임(200)과 상단프레임(100)은, 일정거리 연장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양단이 상단프레임(100)과 중단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연결수단(50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단프레임(100)을 들어올리면, 연결수단(500)으로 상단프레임(100)에 연결된 중단프레임(200) 역시 들어 올려진다.
연결수단(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프레임(100)의 개방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롯(512)이 내부에 형성되고 하단이 중단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제 1 슬라이드부재(510)와, 슬롯(51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도록 슬롯(51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딩핀(522)이 하단에 마련되고 상단이 상단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금융자동화기기의 운전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프레임(200)이 하단프레임(300)의 상면을 덮고 상단프레임(100)이 중단프레임(200)의 상면을 덮도 록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프트수단(400)은 압력튜브(410)와 피스톤로드(4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압력튜브(410)의 하측 끝단이 하단프레임(300)에 결합되고 피스톤로드(420)의 상측 끝단이 상단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가스스프링(400)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상단프레임(100)을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수단(400)은 도 1에 도시된 가스스프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공압이나 유압을 이용한 각종 피스톤이나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한 구동장치 등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가스스프링이 없는 경우에 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데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가스스프링은 사람이 프레임을 들어 올릴 때 작은 힘으로도 쉽게 프레임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보조적인 장치로 적용된다.
잠금수단(700)은 상단프레임(100) 일측에 마련되는 잠금돌기(710)와, 하단프레임(300)에 힌지결합되어 잠금돌기(710)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잠금레버(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돌기(710)에 잠금레버(720)가 결합되면 상단프레임(100)은 개방되지 아니하므로, 상단프레임(100)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잠금레버(720)의 결합을 해제시킨 후 상단프레임(100)을 들어올린다.
지지수단(800)은, 사용자가 상단프레임을 들어올린 후 이송로를 점검하는 동안 프레임이 닫히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개방된 상단프레임가스스프링(400)의 압력은 개방된 프레임이 닫히지 아니하도록 프레임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수단(80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가스스프링과 지지수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해제부재의 사시도이다.
제 1 지지부재(810)는 일측에 제 1 걸림돌기(812)와 제 2 걸림돌기(814)가 형성되고, 제 2 지지부재(820)는 걸림돌기(812, 814)에 간섭되는 걸림턱(82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822)에 제 2 걸림돌기(814)가 걸쳐지면, 제 1 지지부재(810)와 제 2 지지부재(820)는 상호 겹쳐지도록 슬라이딩되지 아니하므로 상단프레임(100)은 닫히지 아니하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수단(800)은, 걸림돌기(812, 814)와 걸림턱(822)의 간섭 여부를 조절하는 해제부재(8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 1 지지부재(810)는 걸림돌기(812, 814)가 걸림턱(822)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이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며, 해제부재(830)는 걸림돌기(812, 814)가 걸림턱(822)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제 1 지지부재(810)를 걸림돌기(812, 814)가 돌출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해제부재(8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에 마련된 해제레버힌지(83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며, 일단에 슬라이드핀(833)이 형성되는 손잡이(831)와; 중단에 마련된 회전판힌지(83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슬라이드핀(833)과 대응되는 부위에 슬라이드핀(833)과 슬라이딩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슬롯(836)이 마련되며, 회전 시 제 1 지지부재(810)에 접촉되어 걸림돌기(812, 814)가 돌출된 반대 방향으로 제 1 지지부재(810)를 밀어내는 가압돌기(837)가 형성되는 회전판(8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드핀(833)은 슬라이드슬롯(836)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회전판(835)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판(835)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기(837)는 제 1 지지부재(810)를 우측으로 밀어낸다. 제 1 지지부재(810)가 우측으로 밀려나면 걸림돌기(812, 814)는 걸림턱(822)에 걸쳐지지 아니하게 되므로 제 1 지지부재(810)와 제 2 지지부재(820)는 서로 겹쳐지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단프레임(100)은 닫힐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부재(810)는 걸림돌기(812, 814)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85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손잡이(831)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이 해제되면 걸림돌기(812, 814)가 걸림턱(822)에 걸쳐질 수 있도록 복귀된다.
도 4는 상단프레임이 개방된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상단프레임과 중단프레임이 개방된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잠금수단(700)을 해제시킨 후 피스톤로드(420)가 압력튜브(410)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사용자가 상단프레임(100)을 들어올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420)의 상단과 결합된 상단프레임(100)은 상단힌지(11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단프레임(100)에 결합된 제 2 슬라이드부재(520)는 상측으로 들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제 2 슬라이드부재(520)의 하단에 마련된 슬라이딩핀(522)은 슬롯(512)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을 하여 슬롯(512)의 상측 끝단에 위치된다.
이때 제 1 걸림돌기(812)가 걸림턱(822)에 걸쳐지므로 제 1 지지부재(810)와 제 2 지지부재(820)는 상호 겹쳐지도록 슬라이딩되지 아니하고 상단프레임(100)을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단프레임(100)이 닫혀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상의 우려 없이 보다 안전하게 중단 이송로(610)를 점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420)가 압력튜브(410) 외측으로 더 인출되도록 상단프레임(100)이 들어 올려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프레임(100)의 개방각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때 상단프레임(100)에 결합된 제 2 슬라이드부재(520)는 슬라이딩핀(522)이 슬롯(512)의 상측 끝단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슬롯(512)을 따라 슬라이딩되지 못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단프레임(100)의 개방각이 더 커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슬라이드부재(510)는 제 2 슬라이드부재(520)를 따라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고, 제 2 슬라이드부재(520)와 결합된 중단프레임(200) 역시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며, 하단프레임(300)의 상면에 마련된 하단 이송로(62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걸림턱(822)에는 제 2 걸림돌기(814)가 걸쳐지므로 지지수단(800)은 상단프레임(100)과 중단프레임(20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단프레임(100)을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단프레임(100)이나 중단프레임(200) 닫혀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상의 우려 없이 보다 안전하게 하단 이송로(620)를 점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프레임(100)과 중단프레임(200)이 각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 1 지지부재(810)에는 2개의 걸림돌기(812, 814)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 1 지지부재(8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개방되는 프레임의 수가 증감되거나 프레임의 개방각을 세분화하고자 하는 경우 걸림돌기(812, 814)의 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812, 814)의 형성 위치 역시 프레임이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는 한손만을 사용하여 상단프레임(100)을 닫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아니하는 손이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금융 자동화기기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단프레임(100)을 닫고자 하는 경우 한손으로는 손잡이(831)를 조작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상단프레임(100)을 눌러야 하므로,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이는 부상을 유발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는, 개방된 프레임이 별도의 조작 없이는 닫히지 아니하고, 프레임을 닫을 때 사용자의 손이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부상을 유발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상면에 지폐 이송로가 마련되는 하단프레임;
    상기 하단프레임의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상단프레임;
    상기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하단 프레임과 제 1 지지부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제 2 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호 겹쳐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지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는 일측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겹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걸림돌기와 걸림턱의 간섭을 해제하는 해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턱이 간섭되는 방향으로 제 1 지지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단프레임을 고정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상단프레임 일측에 마련되는 잠금돌기와,
    상기 하단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잠금돌기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잠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 사이에 상기 하단프레임의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단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재에는 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050069821A 2005-07-29 2005-07-29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115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21A KR101153874B1 (ko) 2005-07-29 2005-07-29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21A KR101153874B1 (ko) 2005-07-29 2005-07-29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847A KR20070014847A (ko) 2007-02-01
KR101153874B1 true KR101153874B1 (ko) 2012-06-18

Family

ID=3808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821A KR101153874B1 (ko) 2005-07-29 2005-07-29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50B1 (ko) * 2011-11-25 2013-04-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KR101678983B1 (ko) * 2015-02-17 2016-11-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485184B1 (ko) * 2021-02-25 2023-01-0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 처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019A (ko) * 2001-04-12 2002-10-19 주식회사 에프엘테크놀로지 현금자동지급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019A (ko) * 2001-04-12 2002-10-19 주식회사 에프엘테크놀로지 현금자동지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847A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551B2 (en) Two-stage lock structur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US8534441B2 (en) Paper money transmission and storage device
US9346639B2 (en)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KR200390909Y1 (ko) 금고잠금장치
KR100746921B1 (ko) 무인자동화기기용 밀폐박스의 입구개폐장치
KR101153874B1 (ko) 개방 프레임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20040005245A (ko) 인쇄기의 감광유닛 및 전사유닛 교환 시스템
KR101171460B1 (ko) 지폐저장박스의 푸쉬플레이트 승강 구조
GB2094397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sheets
KR20060112280A (ko) 금고잠금장치
KR100607592B1 (ko) 자동서비스기기의 지폐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지폐적재장치
KR101114634B1 (ko)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
KR200393746Y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60008843A (ko) 자동서비스기의 지폐보관장치
KR10104125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장치
KR101393160B1 (ko) 반출부 개방이 가능한 지폐계수기
KR2011003101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개폐장치
KR1011991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면가이드판 록킹장치
KR20060130401A (ko) 금융자동화기기
JPH0546130Y2 (ko)
KR100450322B1 (ko)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KR102316471B1 (ko) 카세트 트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 트레이 조립체
EP3827421B1 (en) A cash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and a method for accessing a cash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JP5337638B2 (ja) 紙葉類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