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427B1 -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427B1
KR101153427B1 KR1020100069731A KR20100069731A KR101153427B1 KR 101153427 B1 KR101153427 B1 KR 101153427B1 KR 1020100069731 A KR1020100069731 A KR 1020100069731A KR 20100069731 A KR20100069731 A KR 20100069731A KR 101153427 B1 KR101153427 B1 KR 101153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nlocking
mode
lock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724A (ko
Inventor
김종률
이종혁
공연준
이영근
한종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4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모드에서 풀림모드로 전환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잠금모드에서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잠금모드에서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면, 김치저장고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하는 중에 잠금풀림키가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잠금풀림키가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풀림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KIMCHI REFRIGERATOR UNLOCKING METHOD}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모드에서 풀림모드로 전환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저장고는 김치의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저장 장치이다.
김치저장고의 전면에는 김치저장고의 다양한 기능을 표시하고, 이들 기능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디스플레이부 패널을 통해 저장물의 종류(배추, 물김치, 총각, 구입김치, 야채/과일, 육류/생선)와 숙성정도(땅속익힘, 빠른익힘, 플러스익힘), 저장실의 내부 온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김치저장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잠금 모드와 풀림 모드를 구비한다. 잠금 모드와 풀림 모드는 어린이나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김치저장고과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잠금 모드시에는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고, 풀림 모드시에만 키신호에 따라 동작을 제어한다.
종래의 김치저장고는 잠금 모드에서 풀림 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잠금풀림키를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입력하여야 하는데, 단순히 김치저장고에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도 풀림 모드로 완전히 전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게다가, 현재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도 풀림 모드로 완전히 전환하여야 하므로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잠금 모드 상태에서 잠금풀림키 입력시 김치저장고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하고, 이 후 잠금풀림키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풀림 모드로 전환되면서 사용자가 풀림 동작 중임을 표시하여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풀림 모드로 전환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은 잠금모드에서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잠금모드에서 상기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면, 김치저장고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잠금풀림키가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풀림키가 상기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풀림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잠금모드에서는 상기 잠금풀림키를 점등시켜 상기 잠금모드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잠금풀림키는 외곽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모드에서는 상기 테두리만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잠금풀림키는 외곽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모드에서는 상기 테두리를 순환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잠금모드에서는 상기 잠금풀림키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잠금풀림키는 입력 여부에 따라 휘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잠금풀림키는 상기 잠금모드인 지 여부에 따라 휘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잠금풀림키가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는 동안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잠금풀림키가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잠금풀림키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잠금 모드시 잠금풀림키 1회 입력을 통해 김치저장고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함으로써, 풀림 모드로 전환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풀림 동작을 수행중임을 표시하여 현재의 풀림모드로 전환 중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풀림키의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모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풀림키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 표시부(10), 잠금풀림키(20), 패턴 라이팅부(30) 및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저장실 표시부(10)는 김치저장고 내부에 구비된 다수 개의 저장실(미도시)의 배치 구조에 대응되게 다수 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김치저장고에 3개의 저장실(미도시)이 구비되고, 각 저장실이 수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도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저장실들의 배치 구조와 동일하게 3개의 저장실 표시부(1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장실 표시부(10)를 통해서도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배치 구조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저장실 표시부(10)에는 저장실 위치 표시부(11), 기능 표시부(12) 및 기능 선택키(13)가 구비되어 저장실의 위치 및 각 저장실별 기능을 선택 및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전원키(14)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각 저장실별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각 저장실 표시부(10)에는 김치저장고 내부에 구비된 저장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실 위치 표시부(11)가 마련된다.
저장실 위치 표시부(11)는 3개의 칸으로 표시되어 3개의 저장실이 적층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어 있어 현재 사용 중인 저장실의 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실 표시부(10) 각각에는 저장실의 각 기능을 선택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표시부(12)와 기능 선택키(13)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김치저장고는 다수 개의 저장실에 대한 독립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각 저장실별로 각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각 저장실은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에 따라 동작한다.
기능 표시부(12)는 해당 저장실에 대한 기능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저장물에 대한 선택과 온도, 익힘, 보관 및 특수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표시한다.
기능 선택키(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능 표시부(1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기능 선택키(13)가 입력될 때마다, 기능 표시부(12)의 기능 중 어느 하나가 토글 방식으로 선택된다.
한편, 기능 선택키(13)를 통해 선택된 기능은 제어부(40)가 해당 기능의 프로그램에 따라 김치저장고의 냉동 싸이클을 제어하게 된다.
사용자가 각 저장실 별로 기능을 선택할 경우, 냉동싸이클 등을 통해 해당 저장실을 제어하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기능 표시부(12)와 기능 선택키(13)의 예로, 무김치, 배추김치, 물김치에 대한 온도와 익힘, 저장실의 온도 등을 표시하고 선택한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저장실 별로 다양한 기능을 선택 및 표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할 것이다.
전원키(14)는 각 저장실별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키(14)를 저장실 표시부(10)별로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각 저장실별로 독립적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전원키(14)를 저장실 표시부(10)에 전원키(14)를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저장실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저장실에 대한 개별적인 전원 제어가 불가능하다.
잠금풀림키(2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잠금 모드에서 풀림 모드로 전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김치저장고에 현재 설정되어 최종 선택 기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잠금풀림키(20)는 사용자가 잠금풀림키(20)를 손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에 테두리(21)를 형성하고, 테두리(21)의 내부에 자물쇠 등을 표시한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잠금풀림키(20)의 형상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40)는 잠금풀림키(20)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풀림 모드로 진입하여 기능 선택키(13)의 입력에 따라 기능 표시부(12)를 표시한다. 아울러, 저장실 위치 표시부(11)를 통해 저장실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러한 과정은 각 저장실 표시부(10)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잠금풀림키(20)의 입력에 따른 최종 선택 기능 표시 방법 및 풀림 모드 전환 과정을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모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40)는 최초 잠금 모드에서, 잠금풀림키(20)를 현재 잠금 모드 상태임을 표시한다(S10). 일 예로, 잠금풀림키(20)의 휘도를 최대 휘도의 50% 등으로 제어하여 잠금 모드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한 잠금풀림키(20)의 테두리(21)만을 점등시키거나, 테두리(21)를 순환 점등시킴으로써 현재 잠금 모드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잠금 모드에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풀림키(20) 만을 소정의 휘도로 점등시키고, 기능 표시부(12)를 소등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잠금 모드 상태이므로, 풀림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잠금풀림키(20)를 입력하여야 함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 모드 상태에서는 제어부(40)는 잠금풀림키(20)가 입력되는 지를 확인하고(S20), 확인 결과, 잠금풀림키(20)가 입력되면, 휘도를 최대 휘도로 증가시키거나 잠금풀림키(20)의 테두리(21)를 점멸시켜 잠금풀림키(20)가 입력됨을 표시한다(S30).
아울러, 패턴 라이팅부(30)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점등시킨다. 여기서, 잠금풀림키(20)의 테두리(21) 뿐만 아니라, 잠금풀림키(20) 전체를 점멸시키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한편, 잠금풀림키(20)가 입력되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저장고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각 저장실 표시부(10)별로 표시한다(S40). 따라서, 잠금풀림키(20)의 원터치식 입력에 따라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하므로, 최종 선택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풀림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풀림 모드로 전환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저장실 표시부(10)의 기능 표시부(12)를 통해 각 저장실별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하는데, 최종 선택 기능은 각 저장실 마다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저장실 표시부(10)의 기능 표시부(12)도 최종 선택 기능에 따라 서로 상이한 기능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한 후, 잠금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잠금풀림키(20)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S50,S60).
판단 결과, 잠금시간이 경과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모드로 전환한다(S52).
반면에, 잠금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잠금풀림키(20)가 풀림시간 일 예로 3초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이 과정에서 잠금풀림키(20)의 테두리(21)를 순환식으로 점등시키거나 회전식으로 점등시킴으로써, 잠금풀림키(20)가 입력중임을 표시한다(S80). 게다가, 잠금풀림키(20)의 휘도를 최대로 증가시킨다.
이후, 잠금풀림키(20)가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림 모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한 기능 표시 및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S110).
한편, 풀림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풀림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즉 풀림시간 동안, 음성 일 예로 부저음을 출력하거나, 잠금풀림키(20)를 점멸시킴으로써 현재 풀림 동작을 수행함과 더불어 풀림 동작이 수행중임을 표시한다(S90).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풀림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풀림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제어부(40)는 잠금풀림키(20)의 입력여부에 따라 잠금풀림키(20)의 휘도를 조절하는바, 일 예로, 잠금풀림키(20)가 입력되는 상태에서는 휘도를 100%로 출력하고, 잠금풀림키(20)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대 휘도의 50%로 출력한다. 여기서, 휘도는 다양하게 설정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저장실 표시부 11: 저장실 위치 표시부
12: 기능 표시부 13: 기능 선택키
14: 전원키 20: 잠금풀림키
21: 테두리 30: 패턴 라이팅부
40: 제어부

Claims (9)

  1. 잠금모드에서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잠금모드에서 상기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면, 김치저장고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최종 선택 기능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잠금풀림키가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풀림키가 상기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풀림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모드에서는 상기 잠금풀림키를 점등시켜 상기 잠금모드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림키는 외곽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모드에서는 상기 테두리만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림키는 외곽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모드에서는 상기 테두리를 순환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모드에서는 상기 잠금풀림키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림키는 입력 여부에 따라 휘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림키는 상기 잠금모드인 지 여부에 따라 휘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림키가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는 동안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림키가 풀림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잠금풀림키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잠금풀림키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KR1020100069731A 2010-07-19 2010-07-19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KR101153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731A KR101153427B1 (ko) 2010-07-19 2010-07-19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731A KR101153427B1 (ko) 2010-07-19 2010-07-19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24A KR20120008724A (ko) 2012-02-01
KR101153427B1 true KR101153427B1 (ko) 2012-06-05

Family

ID=4583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731A KR101153427B1 (ko) 2010-07-19 2010-07-19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4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24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23524A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200800489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peration mode of kimchi refrigerator
KR101153427B1 (ko) 김치저장고의 풀림 기능 구현 방법
KR101327915B1 (ko) 냉장고의 음성안내 제어방법
KR101153428B1 (ko) 김치 저장고의 히든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115347A (ko) 냉장고용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120085122A (ko)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JP2010091247A (ja) 冷蔵庫
KR101174037B1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1224654B1 (ko) 김치 저장고의 히든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224655B1 (ko) 김치 저장고의 히든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111650848B (zh) 一种家电的控制方法
KR101153891B1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120008732A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120008722A (ko) 김치저장고의 동작 모드 전환 표시 장치
KR101224653B1 (ko) 김치저장고의 기능 표시 방법
KR20130141975A (ko) 인체감지 방식의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101224652B1 (ko) 김치저장고의 디스플레이 패널 배치 구조
CN103620328A (zh) 包括提供隔间温度调整的旋钮的冷却装置
CN111719282A (zh) 一种家电的控制方法
KR2010003072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8728A (ko) 김치 저장고의 히든 디스플레이 설정 방법
JP2002350038A (ja) 冷蔵庫の電源−オフ状態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992725B1 (ko) 멀티-룸 냉장고 및 멀티-룸 냉장고의 식별자 표시 방법
KR20170105707A (ko) 감지거리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