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233B1 - 야전 디지털 주유기 - Google Patents

야전 디지털 주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233B1
KR101153233B1 KR1020090106931A KR20090106931A KR101153233B1 KR 101153233 B1 KR101153233 B1 KR 101153233B1 KR 1020090106931 A KR1020090106931 A KR 1020090106931A KR 20090106931 A KR20090106931 A KR 20090106931A KR 101153233 B1 KR101153233 B1 KR 101153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il supply
lubricator
oi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090A (ko
Inventor
이도관
정경희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2009010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2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8Arrangements of hoses, e.g. operative connection with pump motor
    • B67D7/40Suspending, reeling or st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26Filling nozzles including mea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e.g.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탱크 내의 오일을 다른 탱크 또는 차량 등에 주유할 때 주유량의 정확한 계측과 신속한 주유를 가능하게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야전 디지털 주유기는 급유호스(36)를 권취하는 권취릴(30)과, 상기 권취릴(30)에 결합되어 오일탱크(10)내에 장입되는 급유파이프(20) 및 권취릴 지지용 랙(32)과, 상기 급유파이프를 오일탱크 내부에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랙을 오일탱크 상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8)와, 상기 권취릴의 고정휠(31)에 부착 설치되며 파워인렛(34), 주유정보표시부(35), 배터리(33-2) 및 충전제어부(33-1)가 마련되는 패널(33)과, 상기 급유호스를 자동 권취하기 위해 권취릴의 회전휠(38) 내부에 장착되는 태엽부(37)와, 상기 급유호스의 선단에 결합되는 주유건(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전, 디지털, 주유기, 오일탱크, 권취릴

Description

야전 디지털 주유기{Field type digital oil gun}
본 발명은 군사장비나 산업장비에 유류를 주입하거나 유류저장탱크에서 다른 용기로 유류를 이동시킬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주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군부대의 야전 훈련이나 전투시 각종 장비에서 필요로 하는 유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에 관한 것이다.
야전에서의 군부대 훈련이나 전투시 차량과 기타 동력장비에 유류공급이 필요하며, 이때의 유류공급은 오일탱크에 저장된 유류를 차량의 유류탱크나 동력장비의 유류탱크, 또는 기타 유류운반용기로 이동시키는 주유기를 이용한다.
전통적인 주유기는 차량의 배터리(DC)전압이나 상용 AC전압으로 구동하는 전동오일펌프를 내장시켜 이 전동오일펌프의 작동을 통해 오일탱크에 저장된 유류를 다른 유류운반용기나 차량 및 동력장비의 연료탱크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단순 전동오일펌프 내장형 주유기를 통해 차량이나 장비등에 유류를 주입할 경우, 별도의 주입량 계량수단이 없어 주유자의 목측이나 감각만으로 주유량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오일탱크나 동력장비의 오일탱크에 주입된 주유량이 적정한지 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일공급탱크에 남아있는 잔량을 파악할 수 없어 군수물자로서의 유류관리상 어려움을 가져왔다.
군부대의 전투훈련이나 전시에 있어 단위장비나 단위부대별 유류의 소비현황과 비축현황에 대한 정확한 통계정보는 전투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군수 유류의 정확한 통계에 기초가 되는 단위 오일공급탱크별 주유정보를 정확히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주유기의 개발이 현재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주유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탱크 내의 오일을 다른 탱크 또는 차량 등에 주유할 때 주유량의 정확한 계측과 신속한 주유를 가능하게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전 디지털 주유기는 급유호스를 권취하는 권취릴과, 상기 권취릴에 결합되어 오일탱크내에 장입되는 급유파이프 및 권취릴 지지용 랙과, 상기 급유파이프를 오일탱크 내부에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랙을 오일탱크 상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와, 상기 권취릴의 고정휠에 부착 설치되며 파워인렛, 주유정보표시부, 배터리 및 충전제어부가 마련되는 패널과, 상기 급유호스를 자동 권취하기 위해 권취릴의 회전휠 내부에 장착되는 태엽부와, 상기 급유호스의 선단에 결합되는 주유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야전 디지털 주유기는 내장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오일펌프를 구동시키면서 동시에 급유량 계측이 가능하므로 군사훈련장이나 전투장의 각종 차량이나 오일을 연료로 하는 군사(동력)장비에 오일탱크내의 유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주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야전 디지털 주유기는 차량이나 장비에 급유할 유량을 사전에 설 정하면 자동주유가 이루어지는 예약주유 기능이 마련되어 있어 주유중 주유량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어 주유작업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야전 디지털 주유기는 오일탱크 내부의 불순물이 오일과 함께 섞여 주유되는 것을 검출하여 이를 경고 표시하도록 하는 불순물 검출센서 및 불순물을 거르기 위한 착탈식 필터블록을 마련하고 있어 차량이나 군사장비의 연료탱크에 불순물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야전 디지탈 주유기는 필요시 솔라셀을 이용한 내장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군용차량의 배터리 전원이나 상용 AC전원공급 없이도 오일탱크의 오일을 차량이나 각종 군사장비에 오일을 주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야전 디지탈 주유기는 오토 리와인드 기능의 권취릴 일체형으로 설계되고 있어 주유호스의 관리를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야전 디지탈 주유기는 급유시 오일탱크 내에 삽입될 급유파이프에 스프링을 이용한 급유파이프 길이 자동 조절기능을 부여하여 높낮이가 다른 어떠한 오일탱크에서도 안정적으로 오일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야전 디지탈 주유기는 실시간 주유량 표시기능과 기간별 총주유량 정보 및 누산 총주유량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표시하게 되므로 주유정보의 관리를 편리하게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야전 디지털 주유기의 개략적인 정면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야전 디지털 주유기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야전 디지털 주유기는 크게 급유호스(36)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30)과, 상기 권취릴(30)에 결합되어 오일탱크(10)내에 장입되는 급유파이프(20) 및 권취릴 지지용 랙(32)과, 상기 급유호스의 선단에 결합되는 주유건(40)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급유파이프(20)의 중간부에는 걸림턱(27)이 마련되며 이 걸림턱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볼트(28)를 배치한다. 이 고정볼트(28)는 오일탱크(10)의 오일캡(도시생략) 결합용 나사홈에 결합될 볼트로서, 급유파이프(27)를 오일탱크(10)의 내부에 결합 고정시키면서 상기 랙(32)을 오일탱크(10)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권취릴(30)은 고정휠(31)과 회전휠(38)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휠(31)에는 패널(33)을 고정하며 이 패널(33)의 내부에는 파워인렛(34), 주유정보표시부(35), 배터리(33-2) 및 충전제어부(33-1)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상기 패널(33) 내부의 충전제어부(33-1)는 외부전력 생성수단으로 솔라셀(33-3)에 의한 태양광 전류가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고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휠(31)과 회전휠(38) 사이에는 급유호스(36)를 자동 권취하기 위한 태엽부(37)를 장착시키고 있다.
상기 급유파이프(20)는 다양한 오일탱크(10)의 높낮이 차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부파이프(21)와 하부파이프(22)를 슬라이드 결합방식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파이프(21)와 하부파이프(22)사이에는 완충용 스프링(23)을 장착하고 있다.
특히, 상기 급유파이프(20)의 하단부에는 착탈식 필터블록(24)을 장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오일이 차량이나 군사설비에 주유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필터블록(24)에는 불순물 거름을 위한 교체가능한 필터(25)와 오일탱크 바닥의 물 흡입 방지용 스페이서(26)가 마련되고 있다.
상기 주유건(40)은 오일탱크내의 오일을 펌핑 주유하는 오일펌프(43)와, 주유량 계측신호를 발생하는 유량계(42)와, 상기 주유량 계측신호를 연산처리하여 현재의 주유량, 기간별 총주유량, 누적 총주유량을 주유정보표시부(45)에 표시하며 예약입력부(48)의 설정에 의한 예약주유모드 또는 다이렉트주유모드 기능 수행을 위해 상기 오일펌프(43)를 제어하는 마이컴(41)으로 구성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주유건(40)내의 오일공급라인 상에 주유센서(49)를 장착하고 이 주유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주유 개시시점과 마이컴이 가지고 있는 단위시간당 오일공급량 정보를 연산 처리하는 것으로 마이컴(41)에서 실시간 주유량을 산출하여 상기 주유정보표시부(45)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유건의 급유라인 또는 급유호스 상에 불순물검출센서(50)를 설치하여 유류에 불순물이 포함된 경우 이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컴(41)에 전송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41)은 주변의 온도편차에 따른 오일총량의 부피변화분을 실제 주유량 검출 정보에 보상 적용하여 표준 주유량을 산출하고 이를 주유정보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주유건의 내부 급유라인 또는 급유호스 상에 온도센서(44)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검출정보가 마이컴에 전송되게 구성한다.
상기 불순물검출센서(50)는 급유라인을 통과하는 오일의 광투과량 또는 전도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전도도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유건(40)의 상부에는 현재의 주유상태가 주유상태표시부(46)상의 주유 온/오프, 예약주유, 불순물, 필터교환, 배터리 정보 표시용 LED램프(L1~L6)를 통해 표시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일탱크(10)내의 오일을 운반용기, 차량, 기타 동력장비에 주유하고자 하는 경우 오일탱크(10)의 오일캡을 열고 그곳에 급유파이프(20)를 삽입한 다음 고정볼트(28)를 오일캡 결합용 나사홈(11)에 나사 결합시켜 고정한다.
상기 나사홈(11)에의 고정볼트(28)의 나사결합은 급유파이프(20)를 오일탱크의 내부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키면서 급유파이프의 중간에 돌출시킨 걸림턱(27)에 의해 권취릴(30)의 고정휠(31)에 결합된 랙(32)이 오일탱크(10)의 상부면에 압박 지지되는 상태가 되어 권취릴(30) 몸체는 오일탱크의 상면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부파이프(21)와 하부파이프(22)로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 스프링(23)을 장착하고 있는 급유파이프(20)는 오일탱크(10)별로 높낮이(깊이)에 변화가 있다고 해도 상기 상부파이프(21)와 하부파이프(22)의 슬라이딩 결합 및 이들 사이의 스프링(23)의 작용으로 권취릴에 결합된 급유파이프의 선단부 또는 이 선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필터블록(24)이 항상 오일탱크의 바닥면에 근접 배치되게 된다.
이후 급유호스(36)에 결합된 주유건(40)을 적정한 힘으로 당기면 회전휠(38)에 감겨져 있던 급유호스가 풀리게 되며, 이때 태엽부(37)는 내부 코일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원래 상태로의 복원을 위한 힘을 저장하게 된다.
주유의 편리성을 위해 상기 태엽부에는 래치기어를 장착하여 급유호스의 풀림상태의 유지 및 원활한 복귀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릴(30)의 고정휠(31)에 부착 설치되는 패널(33)은 내부에 자동충전회로와 충전식 배터리와 주유정보 디스플레이용 주유정보표시부(35)가 장착되고 있어 파워인렛(34)에 AC전압 또는 차량 배터리 전압을 인가하면 충전회로의 동작으로 내부 배터리가 자동충전된다. 이렇게 충전된 배터리의 전압은 주유정보표시기를 포함한 패널(33)용 Vcc전압으로 제공되고 더불어 주유건 내부의 마이컴 제어회로 동작용 Vcc전압과 모터 및 펌프구동용 B+전압으로 제공된다.
상기 내장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상용AC전압 대신 차량의 배터리 전압을 디지털 주유기의 동작전압으로 상용할 수 있다.
또한 고립지역에서 상용AC전압과 차량용 배터리 전압을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솔라셀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으로 내장 배터리를 충전시켜 디지털 주유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주유건(40)의 손잡이부(51)에 마련된 방아쇠(52)를 당기면 주유건 내부의 마이컴(41)제어에 따른 오일펌프(43)는 구동으로 오일탱크(10)에 저장된 오일이 급유호스(36)와 주유건 내부의 급유라인을 통해 주유건 토출구로 오일이 토출되므로 차량이나 장비의 유류탱크 또는 오일운반용 용기에 주유된다.
이때 유량계(42)가 작동하여 유량계측정보를 마이컴(41)에 전송하게 되고 마이컴(41)은 전송입력된 유량계측정보를 연산하여 주유량정보를 주유정보표시부(45,35)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표시하고 또한 연산된 주유정보는 메모리(47)에 누산 저장한다.
오일탱크(10)로부터의 주유도중 오일탱크의 바닥에 깔려있을 수 있는 물성분을 포함한 불순물은 급유파이프(20)의 하단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필터블록(24)의 스페이서(26)와 필터(25)에 의해 1차적으로 급유가 금지되거나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오일에 포함된 특정 불순물이 상기 스페이서(26)와 필터(25)에 의한 1차 필터링 수단을 통과하더라도 주유건(40)의 급유라인 상에 불순물검출센서(50)를 설치하고 있다면 여기에서 불순물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검출센서(50)는 오일의 광투과량 또는 전도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전도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유건(40)의 급유라인 상에 주유센서(49)를 장착할 경우 유량계에 의한 주유량 계측값을 보정하거나 유량계를 대체할 수 있다. 주유센서(49)에 의한 주유량의 산출은 주유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주유 개시시점과 마이컴이 가지고 있는 단위시간당 오일공급량 정보를 연산 처리하는 것으로 마이컴(41)에서 실시간 주유량을 산출한다. 이러한 주유량산출정보는 상기 주유정보표시부(35,45)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특히 휘발유와 같이 발화성이 높고 온도팽창계수의 변화폭이 큰 경우 오일의온도나 주변의 온도를 감안하여 실 주유량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온도차에 따른 실 주유량 값 보정을 위해, 마이컴(41)은 주유되는 오일의 온도를 온도센서(44)로 검출하여 온도편차에 따른 오일총량의 부피변화분을 실제 주유량 검출 정보에 보상 적용하여 표준 주유량을 산출하여 실주유량을 보정하고 이를 주유정보 표시부에 표시한다.
상기 주유건(40)의 예약기능을 사용하고자하는 경우 사용자는 예약입력부(48)를 조작하여 예약주유량을 정하고 손잡이부의 방아쇠(52)를 당겨 에약버튼(53)을 작동시키면 마이컴(41)은 설정입력된 주유량이 전부 주유될 때 까지 상기 방아쇠를 래치시키고 있다가 예약설정 주유량의 주유가 완료되면 오일펌프(43)의 동작을 차단하여 주유를 중단시킨다.
주유건(40)의 일측에 마련된 주유상태 표시부(46)의 LED램프(L1,L2)는 각각 주유중 유무를 표시하는 램프이고,LED램프(L3)는 예약주유 동작표시용 램프이며, LED램프(L4)는 급유라인 상에 설치된 불순물검출센서(50)에 의한 불순물검출시 표시되는 램프이고, LED램프(L5)는 급유파이프(20)의 선단에 설치된 필터블록(24)의 필터(25)교환시기 표시용 램프이며, LED램프(L6)은 배터리의 방전(또는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램프이다.
여기서 필터교환시기는 마이컴의 타이밍 카운터에 기초한 시간값과 설정시간값을 비교하는 것으로 교환시점을 결정하게 되고, 그외 다른 주유상태 표시기능은 모두 실제 상황이나 센서의 동작에 기초하여 작동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야전 디지털 주유기의 개략적인 정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야전 디지털 주유기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야전 디지털 주유기 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야전 디지털 주유기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탱크 20 : 급유파이프
21 : 상부파이프 22 : 하부파이프
23 : 스프링 24 : 필터블록
25 : 필터 26 : 스페이서
27 : 걸림턱 28 : 고정볼트
30 : 권취릴 31 : 고정휠
32 : 랙 33 : 패널
33-1 : 충전제어부 33-2 : 배터리
33-3 : 솔라셀 34 : 파워인렛
35 : 주유정보표시부 36 : 급유호스
37 : 태엽부 38 : 회전휠
40 : 주유건 41 : 마이컴
42 : 유량계 43 : 오일펌프
44 : 온도센서 45 : 주유정보표시부
46 : 주유상태표시부 47 : 메모리
48 : 예약입력부 49 : 주유센서
50 : 불순물검출센서

Claims (10)

  1. 상부파이프(21)와 하부파이프(22)를 슬라이드 결합방식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파이프(21)와 하부파이프(22)사이에는 완충용 스프링(23)을 장착하여 상기 스프링의 작동으로 오일탱크(10)내부 장입시 다양한 오일탱크(10)의 높낮이 차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급유파이프(20)와, 상기 급유파이프(20)에 연결된 급유호스(36)를 권취하는 권취릴(30)과, 상기 권취릴(30)을 오일탱크(10)상에 배치하기 위한 권취릴 지지용 랙(32)과, 상기 오일탱크 내부로 장입되는 급유파이프를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랙을 오일탱크 상부에 밀착 고정시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볼트(28)와, 상기 권취릴의 고정휠(31)에 부착 설치되며 파워인렛(34), 주유정보표시부(35), 배터리(33-2) 및 충전제어부(33-1)가 마련되는 패널(33)과, 상기 급유호스를 자동 권취하기 위해 권취릴의 회전휠(38) 내부에 장착되는 태엽부(37)와, 상기 급유호스의 선단에 결합되는 주유건(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파이프(20)의 하단부에는 교체용 필터(25)의 장착부와 오일탱크 바닥의 물 흡입 방지용 스페이서(26)가 마련된 착탈식 필터블록(24)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33)내부의 충전제어부(33-1)는 외부전력 입력수단으로 솔라셀(33-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40)은 오일탱크내의 오일을 펌핑 주유하는 오일펌프(43)와, 주유량 계측신호를 발생하는 유량계(42)와, 상기 주유량 계측신호를 연산처리하여 현재의 주유량, 기간별 총주유량, 누적 총주유량을 주유정보표시부(45)에 표시하며 예약입력부(48)의 설정에 의한 예약주유모드 또는 다이렉트주유모드 기능 수행을 위해 상기 오일펌프(43)를 제어하는 마이컴(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40)내의 오일공급라인 상에 주유센서(49)를 장착하고 이 주유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주유 개시시점과 마이컴이 가지고 있는 단위시간당 오일공급량 정보를 연산 처리하는 것으로 마이컴(41)에서 실시간 주유량을 산출하여 상기 주유정보표시부(45)에 표시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41)은 주유되는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여 온도편차에 따른 오일총량의 부피변화분을 실제 주유량 검출 정보에 보상 적용하여 표준 주유량을 산출하고 이를 주유정보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40)의 상부에는 현재의 주유상태가 주유상태표시부(46)상의 주유 온/오프, 예약주유, 불순물, 필터교환, 배터리 정보 표시용 LED램프(L1~L6)를 통해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상태표시부(46)상의 불순물 표시 LED램프(L4)를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는 급유라인 상에 설치되는 불순물검출센서(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검출센서(50)는 급유라인을 통과하는 오일의 광투과량 또는 전도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전도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디지털 주유기.
KR1020090106931A 2009-11-06 2009-11-06 야전 디지털 주유기 KR101153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31A KR101153233B1 (ko) 2009-11-06 2009-11-06 야전 디지털 주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31A KR101153233B1 (ko) 2009-11-06 2009-11-06 야전 디지털 주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90A KR20110050090A (ko) 2011-05-13
KR101153233B1 true KR101153233B1 (ko) 2012-06-13

Family

ID=4436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931A KR101153233B1 (ko) 2009-11-06 2009-11-06 야전 디지털 주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2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26B1 (ko) * 2015-12-24 2016-09-02 (주)에프앤에스플러스 온도 보상형 유류 출하 시스템
KR20220002203U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피스 수평 귄취방식의 급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659B1 (ko) * 2017-09-19 2018-06-20 티피시스템(주) 이동형 유압 주유기, 그리고 이의 관리 시스템
CN111483967B (zh) * 2020-04-16 2022-08-09 陈小波 一种工程车车轮横向注油辅助器
CN112390219B (zh) * 2020-11-15 2022-09-13 云南泰安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加油站机械升降式密闭人工量油口装置
KR102453997B1 (ko) 2021-09-01 2022-10-14 대한민국 가스 주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9099U (ko) * 1979-03-23 1980-10-03
KR100227527B1 (ko) * 1996-08-30 1999-11-01 다쓰노 히로미찌 현수식 급유장치
KR200364546Y1 (ko) * 2004-07-27 2004-10-15 최정필 휴대용 주유기
KR100754882B1 (ko) * 2006-03-28 2007-09-04 정달호 이동용 주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9099U (ko) * 1979-03-23 1980-10-03
KR100227527B1 (ko) * 1996-08-30 1999-11-01 다쓰노 히로미찌 현수식 급유장치
KR200364546Y1 (ko) * 2004-07-27 2004-10-15 최정필 휴대용 주유기
KR100754882B1 (ko) * 2006-03-28 2007-09-04 정달호 이동용 주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26B1 (ko) * 2015-12-24 2016-09-02 (주)에프앤에스플러스 온도 보상형 유류 출하 시스템
KR20220002203U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피스 수평 귄취방식의 급유장치
KR200496754Y1 (ko) * 2021-03-08 2023-04-17 주식회사 피스 수평 귄취방식의 급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90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233B1 (ko) 야전 디지털 주유기
US8915331B2 (en) Battery powered, handheld lubrication gun with display
US7617725B2 (en) Electric generator protection system
JP2008008861A (ja) バッテリ性能ランク診断装置及びバッテリ性能ランク診断プログラム
US2012026542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fuel consumption in an environmental-control unit
EP3178685B1 (en) Hybrid vehicle display device
JP5298948B2 (ja) 充電量監視装置
KR20110109464A (ko) 이동식 주유기
CN201922926U (zh) 一种外插电式油电混合动力车油箱燃油蒸汽控制系统
JP6493813B2 (ja) 液化天然ガス充填装置
US20080302606A1 (en) Oil replacement system
JP2011248718A (ja) 車両の給油量提示装置
KR100754882B1 (ko) 이동용 주유 장치
KR100761098B1 (ko) 휴대용 주유 장치
CN210290696U (zh) 一种动车组综合油脂加注装置
CN212273005U (zh) 一种动车齿轮箱油脂加注车
KR200397666Y1 (ko) 이동용 주유 장치
CN216643780U (zh) 一种自动定量注油机
CN202839227U (zh) 配电变压器加油装置
JP6511787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CN215891915U (zh) 一种电动卷门机自动加油装置
CN213816377U (zh) 铁路客车蓄电池智能注液车
KR200397665Y1 (ko) 휴대용 주유 장치
CN214618958U (zh) 润滑系统智能加注设备
CN217206689U (zh) 燃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