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164B1 -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164B1
KR101153164B1 KR1020090123786A KR20090123786A KR101153164B1 KR 101153164 B1 KR101153164 B1 KR 101153164B1 KR 1020090123786 A KR1020090123786 A KR 1020090123786A KR 20090123786 A KR20090123786 A KR 20090123786A KR 101153164 B1 KR101153164 B1 KR 10115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high frequency
pair
frequency connector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266A (ko
Inventor
이용구
강경일
이장묵
임동일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090123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1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5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br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는 고주파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접지 유닛 몸체와 연결되며, 일정 폭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영역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접지 영역과 가압 접촉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와 상기 접지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영역에 고주파 커넥터의 접지 로드를 밀착 고정시키어 접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지 유니트는 얇은 프레스 제작물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열이 단시간에 전달되고, 납땜이용이해지며, 특히, 기판에 자동적으로 고정되어 솔더링 작업시간이 줄어 든다. 또한,사용 용도에 따라기판의 두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접지 유니트는 상기 기판을 모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축 커넥터가 이의 기판 두께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접지 유니트는 다양한 두께의 기판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GROUNDING UNIT FOR HIGH FREQUENCY CONNECTOR AND HIGH FREQUENCY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주파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영역에 고주파 커넥터의 접지 로드를 밀착 고정시키어 접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솔더링시 움직임 없이 고정할 수 있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과 같은 무선 통신 기기에는 개별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에는 다른 무선 통신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이 실장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는 고주파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고주파 안테나 유닛은 기판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턴(또는 접지 패턴)에 접지되도록 고정되는 커넥터와 결합된다.
종래의 고주파 커넥터가 기판에 고정되는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고주파 커넥터는 일측부에 고주파 안테나 유닛과 같은 장치가 결합되 는 결합부를 갖고 타측부에 상기 기판의 에지부에 형성되는 접지 패턴에 접촉될 수 있는 일정 길이의 접지 단자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 단자부는 일반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의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접지 단자부는 다수의 로드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기 접지 단자부는 상기 기판의 접지 패턴에 물리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접촉된 부분에 납과 같은 솔더 물질을 사용하여 솔더링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접지 단자부는 기판의 접지 패턴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솔더링되기 때문에, 상기 접지 단자부의 지지력 또는 고정력은 상기 솔더링되는 솔더 물질 자체에 의존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접지 단자부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접지 단자부와 기판과의 솔더링된 부분에서의 균열이 발생되어 상기 접지 단자부다 기판의 접지 패턴으로부터 틀어지거나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접지 단자부 자체만이 기판에서의 지지된 상태에서 솔더링되기 때문에 기구적인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고주파 커넥터는 기판에 솔더링 됨에 의하여 고정력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솔더링되는 부분에서의 균열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면, 접지 단자부와 접지 패턴의 사이에서의 기구적인 불안정성이 증가되어 결국 전기적 안정성이 하락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종래에는 기판과 고주파 커넥터와의 고정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조립 공정에 있어서, 고주파 커넥터를 기판의 에지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부재하였기 때문에, 제품을 생산하는데에 투입되는 공정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접지용으로 사용되는 로드와 로드 사이에 기판이 삽입되게 되는데, 기판의 두께보다 로드와 로드 사이의 거리가 길 경우에, 로드들이 기판의 에지부에 고정되지 않고 상하 유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솔더링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솔더링 시 커넥터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거나, 솔더링을 위해서 사용자 한명이 커넥터와 기판을 두 손으로 잡고 또 다른 사용자가 솔더링을 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불편하고 솔더링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고주파 커넥터를 다양한 두께를 갖는 기판에 선택적으로 고정 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즉, 종래에는 기판의 두께가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기판의 두께와 유사한 로드 사이의 거리를 가지는 커넥터들이 다양하게 존재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다양한 기판의 두께와 상관없이 기판의 에지부에 솔더링 전에 어느 정도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솔더링이 편리하고 다양한 두께의 기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개발이 요구된다.[코멘트:종래기술 도면은 구체적인 구성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무리하게 추가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영역과 고주파 커넥터의 접지 로드를 밀착 고 정시키어 접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도하며 솔더링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두께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수용하여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과 고주파 커넥터의 접지 로드를 밀착 고정할 수 있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주파 커넥터의 접지 로드를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에 면 접촉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솔더 물질이 상기 접지 로드와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을 서로 솔더링 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적인 통전 상태 및 기구적인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는 고주파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접지 유닛 몸체와 연결되며, 일정 폭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영역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접지 영역과 가압 접촉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와 상기 접지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지 로드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접지 로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끼움 몸체와, 상기 접지 로드를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끼움 몸체의 양측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노출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 몸체의 상단부는 상기 끼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 일단부로부터 상기 끼움 몸체의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벤딩되어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 타단부 측을 따라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과 일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로 상향 경사지어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되고 그 끝단이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 타단측과 벌어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 3고정부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부 접지 영역은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3고정부 몸체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고정부 몸체는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과 둔각을 이루어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접지 로드가 마련되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의 커넥터 몸체에는 상기 제 1고정부 몸체가 일정 간격으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지 로드를 갖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의 커넥터 몸체 외부 테두리를 에워싸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몸체는 일정 두께를 갖고 4면의 외부 테두리를 갖는 사각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상단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하단 양측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다단을 이루어 상기 접지 로드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을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으로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 2고정부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부 접지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 보다 일정 길이 더 돌출되는 것이 좋다.
또 한편, 상기 고주파 커넥터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지 로드를 갖는 커넥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저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를 에워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상단 양측부로부터 '
Figure 112009076941482-pat00001
'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을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밀착시키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제 2고정부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고주파 커넥터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와 양측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단과 일정의 갭을 이루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를 갖는 커넥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제 2접지 로드들 각각의 상단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벤딩되도록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연결 부분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고주파 커넥터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와 양측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단과 일정의 갭을 이루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를 갖는 커넥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상기 커넥터 몸체의 양측부에 각각 밀착 설치되고,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상기 커넥터 몸체의 상단부와 상기 갭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연결 부분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의 하단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의 상단을 잇는 연결 몸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부가 개방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연결 몸체의 전단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벤딩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주파 커넥터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의 하단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로 경사지어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와, 상기 연결 몸체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경사와 교차되도록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다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솔더링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부 접지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상면과 상기 솔더링 몸체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솔더링 몸체의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하부 접지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솔더링 몸체는, 상기 연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세워져 연장되는 제 1솔더링 몸체와, 상기 제 1솔더링 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경사와 교차되도록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제 2솔더링 몸체와, 상기 제 2솔더링 몸체의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3솔더링 몸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2솔더링 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는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한 측이 개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저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의 상단 양측부로부터 직선을 이루어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단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로 상향 경사지어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와, 상기 2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연장 방향과 역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3고정부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부 접지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3고정부 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주파 커넥터 모듈도 제공한다.
상기 고주파 커넥터 모듈은 상기에 언급되는 고주파 커넥터와, 상기 고주파 커넥터에 형성되며, 고주파 모듈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영역에 고주파 커넥터의 접지 로드를 밀착 고정시키어 접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솔더링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에 모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과 고주파 커넥터의 접지 로드가 밀착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주파 커넥터의 접지 로드를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에 면 접촉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솔더 물질이 상기 접지 로드와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을 서로 솔더링 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적인 통전 상태 및 기구적인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은 고주파 커넥터(10)와, 상기 고주파 커넥터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13)와, 상기 고주파 커넥터(10)와 인쇄 회로 기판(50)의 접지 영역(51,52)을 서로 연결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3)는 외부의 고주파 모듈(미도시)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결합부(13)와 상기 고주파 모듈은 서로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3)의 내부에는 핀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고주파 모듈에는 상기 핀 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주파 커넥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미도시)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 모듈은 이동 통신 기기인 핸드폰에 구비될 수 있는 안테나와 같은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는 하기에서 실시예 별로 순차적으로 기술한다.
[제 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다. 도 3은 도 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접지 유니트(100)가 채택되는 고주파 커넥터(10)는 한 쌍의 접지 로드(12)를 갖는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를 보면, 상기 고주파 커넥터(10)는 사각 판상을 이루는 커넥터 몸체(11)와, 상기 커넥터 몸체(11)의 일측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접지 로드(12)로 구성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의 타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1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는 그 단면 형상이 사각을 이루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단면 형상이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이나 삼각형 등의 모양도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 커넥터(1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는 상기 커넥터 몸체(11)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몸체(11)의 양측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접지 유니트(100)는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지 유니트(100)의 구성을 도 1 및 도 2, 도 3을 참조 하여 설명하도 록 한다.
상기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100)는 고주파 커넥터(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110)와, 상기 접지 유닛 몸체(110)와 연결되며, 일정 폭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50)의 저면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기판(50)의 저면과 가압 접촉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10)와 상기 기판(50)의 접지 영역(51,5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고정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 유니트(10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접지 유닛 몸체(110)는 상기 커넥터 몸체(11)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접지 로드(12)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접지 로드(1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끼움 몸체(11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끼움 몸체(111)의 내면은 상기 접지 로드(12)의 외면에 물리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서로 통전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 몸체(111)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접지 로드(12)의 외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홀(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출홀(112)은 상기 끼움 몸체(111)의 양측면부에서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노출홀(112)은 하기에 기술되는 기판(50)의 상부 접지 영역(51)과 접지 로드(12)의 외면을 서로 솔더링시키는 납과 같은 솔더 물질이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노출홀(112) 내측으로 솔더(납)가 스며들어가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더 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출홀(112)의 개수가 다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접지 로 드(12)의 외면이 솔더 물질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기판(50)의 상부 접지 영역(51) 및 끼움 몸체(111)와의 솔더링 력(力)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솔더가 노출홀(112)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지가 더욱 안정적이 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노출홀(112)은 상기 접지 로드(12)의 외면과 상기 끼움 몸체(111)의 내면과의 마찰을 저감시켜 상기 접지 로드(12)가 상기 끼움 몸체(111)에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끼움 몸체(111)의 상단부는 상기 끼움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단부가 서로 분리됨으로 인하여 상기 끼움 몸체(111)의 양측벽은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단면적을 갖는 접지 로드(12)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끼움몸체(111)의 하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 고정부(120)는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단 일단부로부터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121)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121)의 단부로부터 벤딩되어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단 타단부 측을 따라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과 일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로 상향 경사지어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122)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122)의 단부로부터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되고 그 끝단이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단 타단측과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을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 3고정부 몸체(1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 고정부(120)는 일정 폭을 구비함과 아울 러 일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판상으로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기판(50)은 제 3고정부 몸체(123)의 끝단을 타고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과 제 3고정부 몸체(123)의 사이 공간으로 인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 3고정부 몸체(123)의 끝단은 원호를 이루면서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으로부터 벌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원호는 상기 사이 공간으로 기판(50)이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0.3mm 내지 1.8mm의 두께를 갖는 기판(50)이 상기 사이 공간에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3고정부 몸체(123)의 볼록하게 벤딩되는 부분과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의 사이 공간으로 인쇄 회로 기판(50)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회로 기판(50)의 일측부 상면에는 상부 접지 영역(51)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이하, 기판 이라 한다.)의 일측부 하면에는 하부 접지 영역(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접지 영역(51)과 하부 접지 영역(52)에는 다수개의 비아홀들(51a)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50)의 상부 접지 영역(51)은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기판(50)의 하부 접지 영역(52)은 볼록하게 밴딩되는 제 3고정부 몸체(123)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 3고정부 몸체(123)를 포함하는 접지 고정부(120)는 일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이 탄성력을 상기 제 3고정부 몸체(123)의 상면에 접촉되는 기판(50)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50)은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과 제 3고정부 몸 체(123)의 상면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탄성력으로 인하여 조여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50)의 하부 접지 영역(52)은 상기 제 3고정부 몸체(123)의 상면 볼록한 부분이 펴지면서 선(line) 접촉에서 면(surface) 접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 몸체(111)에 끼워져 고정된 접지 로드(12)의 외면은 끼움 몸체(111)의 양측면부에 형성되는 노출홀들(112)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기판(50)의 상부 접지 영역(51)과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 및 상기 끼움 몸체(111)의 양측면부와 노출홀들(112)에 노출되는 접지 로드(12)의 외면은 납땜 물질인 솔더 물질에 의하여 서로 솔더링될 수 있다.
따라서, 솔더 물질이 상부 접지 영역(51)과, 끼움 몸체(111)를 비롯한 노출홀들(12)에 의하여 노출되는 접지 로드(12)의 외면을 직접적으로 솔더링함으로써 상기 상부 접지 영역(51)과 접지 로드(12)는 직접적으로 통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지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노출홀(112)에 반드시 솔더가 들어가지 않더라도 노출홀(112)의 아래 부분에만 솔더가 붙더라도 전기적인 연결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솔더 물질에 의하여 상부 접지 영역(51)과 끼움 몸체(111)를 비롯한 노출홀들(112)에 의하여 노출되는 접지 로드(12)의 외면이 직접적으로 솔더링됨으로써, 솔더링에 의한 기판(50)과 접지 로드(12) 간의 전기적/기구적인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의 기판(50)의 하면에 하부 접지 영역(52)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하였지만, 상기 상부 접지 영역(51) 만을 갖는 기판에서도 상기 제 1실시예에서의 접지 유니트(100)가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상부 접지 영역(51)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솔더링되고, 상기 기판의 하면은 제 3고정부 몸체(123)의 탄성력을 제공 받아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고정부 몸체(121)는 상기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과 둔각을 이루어 벌어지도록 연장되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접지 로드(12)가 마련되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10)의 커넥터 몸체(11)에는 상기 제 1고정부 몸체(121)가 일정 간격으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부(11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11a)는 기판(50)이 끼움 몸체(111)의 하단면과 제 3고정부 몸체(123)의 사이 공간에 끼워지는 경우에, 기판(5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 3고정부 몸체(123)가 하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즉, 제 3고정부 몸체(123)가 하방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제 1고정부 몸체(121)가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1고정부 몸체(121)가 후방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제 1고정부 몸체(121)가 상기 공간부(11a)의 내벽에 닿아 정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간부(11a)는 상기 제 1고정부 몸체(121)에 대한 스토퍼 역할도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부(11a)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1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11)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대표 예로 기술하였지만, 상기 공간부(11a)는 상기 커넥터 몸체(11)의 양측부 외측에 위치되는 공간일 수도 있다.
[제 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접지 유니트(200)가 채택되는 고주파 커넥터(10)는 한 쌍의 접지 로드(12)를 갖는다. 이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고주파 커넥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는 접지 유니트(200)는 접지 유닛 몸체(210)와, 상기 접지 유닛 몸체(210)에 구비되는 접지 고정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 유닛 몸체(21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10)의 커넥터 몸체(11) 외부 테두리를 에워싸도록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몸체(11)는 일정 두께를 갖고 4면의 외부 테두리를 갖는 사각 몸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지 유닛 몸체(210)의 내면은 상기 커넥터 몸체(11)의 4면 외부 테두리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 유닛 몸체(210)의 상단은 서로 분리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박판으로 형성되는 접지 유닛 몸체(210)를 벌려 상기 커넥터 몸체(11)의 외부 테두리를 용이하게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지 유닛 몸체(210)는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커넥터 몸체(11)의 외부 테두리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지 고정부(220)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210)의 하단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접지 고정부(220)는 상기 접지 로드(1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지 유닛 몸체(2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접지 고정부(220)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210)의 하단 양측부로부터 다단을 이루어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1고정부 몸체(221)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221)의 단부로부터 다단을 이루어 상기 접지 로드(1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50)을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기판(50)으로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 2고정부 몸체(2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50)이 인입되는 공간은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의 하단면과 상기 제 2고정부 몸체(222)의 상면 사이의 사이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기판(50)이 상기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면, 상기 기판(50)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221)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222)의 외면에 접촉되어 사이 공간으로의 인입이 안내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기판(50)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제 2고정부 몸체(222)는 하방으로 유동되어 벌어지고, 이때, 상기 제 1고정부 몸체(221) 역시 하방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어, 상기 제 1,2고정부 몸체(221,222)에는 원 상태로 복귀되는 탄성력을 상기 기판(50)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50)의 상면은 접지 로드(12)의 하단면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222)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조여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부 몸체(221)의 하방으로의 휘어짐에 대한 스토퍼 역할을 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제 1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기판(50)의 두께의 범위를 넘는 다른 기판을 수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51)은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기판(5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52)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222)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실시예에서의 제 2고정부 몸체(222)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 보다 일정 길이 더 돌출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이는 제 2고정부 몸체(222)가 상기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는 기판(50)으로 충분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 1고정부 몸체(221)와 제 2고정부 몸체(222)의 사이 거리가 일정 이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기판(50)이 상기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어 접지 고정부(220) 및 접지 로드(12)에 결합되는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의 하단면과 기판(50)의 상부 접지 영 역(51)은 솔더 물질에 의하여 서로 솔더링될 수 있고, 상기 제 2고정부 몸체(222) 역시 기판(50)의 하부 접지 영역(52)과 서로 솔더링 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50)은 상기 접지 고정부(220)에 의하여 탄성력을 제공받아 접지 로드(12)와 제 2고정부 몸체(222)의 사이에서 조여진 상태를 이룬 후에, 솔더링 과정을 거침으로써, 솔더링에 따른 기구적인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 로드(12)가 상부 접지 영역(51)에 직접적으로 솔더링되기 때문에 접지의 효율이 향상될 수도 있다.
[제 3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과 기판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접지 유니트(500)가 채택되는 고주파 커넥터(10)는 한 쌍의 접지 로드(12)를 갖는다. 이는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고주파 커넥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는 접지 유니트(500)는 접지 유닛 몸체(510)와, 상기 접지 유닛 몸체(510)에 구비되는 접지 고정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 유닛 몸체(510)는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한 쌍의 접지 로 드(12)의 저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11)를 에워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접지 고정부(520)는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510)의 상단 양측부로부터 '
Figure 112009076941482-pat00002
'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50)을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의 하단면에 밀착시키는 제 1고정부 몸체(521)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521)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제 2고정부 몸체(5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50)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12)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521)의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면, 상기 기판(50)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521)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기판(50)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제 1고정부 몸체(521)는 하방으로 유동되어 벌어지고, 이때, 상기 제 2고정부 몸체(522) 역시 하방으로 휘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고정부 몸체(521)는 하방으로 외력을 가하여 접지 로드(12)와 제 1고정부 몸체(521)의 사이 공간을 벌려 기판(50)을 인출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 1,2고정부 몸체(521,522)에는 원 상태로 복귀되는 탄성력을 상기 기판(50)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50)의 상면은 접지 로드(12)의 하단면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521)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조여져 고정될 수 있다.
[제 4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 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과 기판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르는 접지 유니트(600)는 접지 유닛 몸체(610)와, 상기 접지 유닛 몸체(610)에 구비되는 접지 고정부(6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1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12)와 양측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12)의 하단과 일정의 갭(a)을 이루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14)를 갖는 커넥터 몸체(11)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 커넥터(11)는 상기 제 3실시예에서의 고주파 커넥터(10)에서 상기 제 2접지 로드들(14)을 더 갖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접지 로드(12)와 상기 제 2접지 로드(14)는 서로 수직인 방향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접지 유닛 몸체(610)는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14)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14)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 고정부(620)는 상기 제 2접지 로드들(14) 각각의 상단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610)의 끝단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벤딩되도록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621)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621)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몸체(622)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12)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50)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621)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622)의 연결 부분에 의하여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50)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12)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521)의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면, 상기 기판(50)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621)와 제 2고정부 몸체(622)와의 연결 부분에 밀착되는 상태로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기판(50)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제 1고정부 몸체(621)는 하방으로 유동되어 벌어지고, 이때, 상기 제 2고정부 몸체(622) 역시 하방으로 휘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고정부 몸체(621)는 하방으로 외력을 가하여 접지 로드(12)와 제 1고정부 몸체(621)의 사이 공간을 벌려 기판(50)을 인출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 1,2고정부 몸체(621,622)에는 원 상태로 복귀되는 탄성력을 상기 기판(50)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50)의 상면은 제 1접지 로드(12)의 하단면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521)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622)와의 연결 부분에 밀착되는 상태로 조여져 고정될 수 있다.
[제 5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과 기 판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르는 접지 유니트(700)는 접지 유닛 몸체(710)와, 상기 접지 유닛 몸체(710)에 구비되는 접지 고정부(7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1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12)와 양측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12)의 하단과 일정의 갭(a)을 이루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14)를 갖는 커넥터 몸체(11)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접지 유닛 몸체(710)는 상기 커넥터 몸체(11)의 양측부에 각각 밀착 설치되고,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상기 커넥터 몸체(11)의 상단부와 상기 갭(a)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 고정부(720)는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710)의 끝단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721)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721)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몸체(722)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12)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50)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721)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722)의 연결 부분에 의하여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50)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12)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721)의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면, 상기 기판(50)은 상기 제 1고정부 몸 체(721)와 제 2고정부 몸체(722)와의 연결 부분에 밀착되는 상태로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기판(50)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제 1고정부 몸체(721)는 하방으로 유동되어 벌어지고, 이때, 상기 제 2고정부 몸체(722) 역시 하방으로 휘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고정부 몸체(721)는 하방으로 외력을 가하여 접지 로드(12)와 제 1고정부 몸체(721)의 사이 공간을 벌려 기판(50)을 인출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 1,2고정부 몸체(721,722)에는 원 상태로 복귀되는 탄성력을 상기 기판(50)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50)의 상면은 제 1접지 로드(12)의 하단면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721)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722)와의 연결 부분에 밀착되는 상태로 조여져 고정될 수 있다.
[제 6실시예]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의 접지 유니트(300)가 채택되는 고주파 커넥터(20)는 제 1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결합부(24)를 갖는 커넥터 몸체(21)와, 상기 커넥터 몸체(21)의 하단 양측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와,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21)의 양측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2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접지 로드(22)와 상기 제 2접지 로드(23)와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도 24 내지 도 2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따르는 접지 유니트(300)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에 끼워져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와, 상기 접지 유닛 몸체에 형성되어 기판의 저면 다수 위치를 탄성 지지하는 접지 고정부(330)로 구성된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 하면,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 몸체(310)와,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310)의 상단을 잇는 연결 몸체(320)를 갖는다.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박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310)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 몸체(310)의 내면은 상기 제 1접지 로드(22)를 에워싸되, 상기 제 1접지 로드(22)의 저면과 바깥 측면에 밀착되도록 벤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몸체(320)의 저면은 상기 제 1접지 로드(22)의 상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 몸체(310)는 일정의 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써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꺽여 형성되는 하단벽 각각은 제 1접지 로드(22)의 측면과 저면을 밀착되도록 조여진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는 상기 끼움 몸체(310)와 연결 몸체(320)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 고정부(330)는 상기 연결 몸체(320)의 전단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벤딩되는 제 1고정부 몸체(331)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331)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23)의 하단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로 경사지어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332)와, 상기 연결 몸체(320)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 2고정부 몸체(332)의 경사와 교차되도록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다수개의 관통홀들(342a)이 형성되는 솔더링 몸체(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51)은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23)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52)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332)의 상면과 상기 솔더링 몸체(340)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솔더링 몸체(340)의 상기 관통홀들(342a)은 상기 하부 접지 영역(52)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들(342a)은 솔더(납)가 스며들어 상기 하부 접지 영역(52)과 솔더링에 의해 접지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2고정부 몸체(332)와 상기 솔더링 몸체(340)의 경사 방향이 서로 어긋남에 따라서 기판(50)의 저면에는 제 2고정부 몸체(332)의 상면이 접촉되는 부분과 솔더링 몸체(340)의 상면이 접촉되는 부분 즉, 두 곳의 접촉 위치 가 형성된다. 상기 2곳의 접촉 위치는 실질적으로 기판(50)의 저면과 면 접촉을 이루며 기판(50)을 지지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제 2고정부 몸체(332)와 솔더링 몸체(340)는 일정의 탄성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판(50)이 제 2고정부 몸체(332)와 제 1접지 로드(22)의 사이 공간에 인입되어 위치되면 상기 기판(50)으로 상기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50)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332) 및 솔더링 몸체(340)에 의하여 다수의 위치에서 조여져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기구적으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솔더링 몸체(340)는 상기 연결 몸체(320)의 상단으로부터 세워져 연장되는 제 1솔더링 몸체(341)와, 상기 제 1솔더링 몸체(341)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고정부 몸체(332)의 경사와 교차되도록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들(342a)이 형성되는 제 2솔더링 몸체(342)와, 상기 제 2솔더링 몸체(342)의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3솔더링 몸체(3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접지 영역(52)은 상기 제 2솔더링 몸체(342)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 공간으로 기판(50)이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 2솔더링 몸체(342)가 하방으로 휘어지면, 상기 휘어짐의 정도는 상기 제 1솔더링 몸체(341)의 휨에 의허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솔더링 몸체(341)가 연결 몸체(320)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50)으로 가해지는 탄성력 역 시 일정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기판(50)의 상부 접지 영역(51)과 제 1접지 로드(22)는 서로 솔더 물질에 의하여 솔더링 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상부 접지 영역(51)에 형성되는 비아홀들(51a)을 통하여 솔더 물질은 하부 접지 영역(52)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2솔더링 몸체(342)의 관통홀들(342a)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로 제 2솔더링 몸체(342)와 솔더링시킴으로써 접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7실시예]
도 3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3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7은 도 3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의 접지 유니트(400)가 채택되는 고주파 커넥터(20)는 제 6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결합부(24)를 갖는 커넥터 몸체(21)와, 상기 커넥터 몸체(21)의 하단 양측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와,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21)의 양측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2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접지 로드(22)와 상기 제 2접지 로드(23)와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다만, 상기 제 1접지 로드(22)의 수직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 2접지 로드(23)의 수직으로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따르는 접지 유니트(400)가 상기 제 1접지 로드(22)에서 고정되는 영역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를 따르는 접지 유니트(400)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일면을 밀착 지지하여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에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와, 상기 접지 유닛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2접지 로드(22,23)의 사이로 인입되는 기판(50)에 탄성력을 가하는 접지 고정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20)의 하단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외면을 밀착 지지하는 한 쌍의 끼움 몸체(410)와,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410)의 상단을 잇는 연결 몸체(4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410)는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한 측이 개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저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410)는 측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측벽은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내측면을 밀착 지지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한 쌍으로 구성되는 상기 측벽의 상단은 상기 연결 몸체(420)의 양측단에 연결되고 연결 몸체(420)로부터 수직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측벽 자체는 일정 이상의 복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벽이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 인하여 제 1접지 로드(22)로 일정의 탄성력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되는 끼움 몸체(410)는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 고정부(430)는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410)의 상단 양측부로부터 직선을 이루어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431)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431)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하단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로 상향 경사지어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432)와, 상기 2고정부 몸체(43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고정부 몸체(431)의 연장 방향과 역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3고정부 몸체(433)로 구성된다.
상기 제 3고정부 몸체(433)는 다단을 이루어 하향 경사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3고정부 몸체(433)는 기판(5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실질적으로 벤딩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51)은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23)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52)은 상기 제 3고정부 몸체(433)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50)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하단면과 제 3고정부 몸체(433)와의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기판(50)은 상기 경사 지도록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몸체(432)의 상면을 타고 상기 사이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고정부 몸체(431)가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410)의 상단 양측부로부터 직선을 이루어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 1고정부 몸체(431)는 기판(50)의 두께로 인하여 제 2,3고정부 몸체(432,433)가 하방으로 휘어지는 정도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2,3고정부 몸체(431,432,433)는 탄성력을 지니기 때문에 원위치로 복귀되는 복귀 탄성력이 존재된다.
이에 따라, 기판(50)의 하부 접지 영역(52)은 상기 제 3고정부 몸체(433)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 3고정부 몸체(433)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기판(50)의 상부 접지 영역(51)은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22)의 하단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50)은 상기 제 3고정부 몸체(4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사이 공간에서 조여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기판(50)의 상부 접지 영역(51)과 제 1접지 로드(22)는 솔더 물질에 의하여 솔더링 될 수 있다. 이어, 솔더 물질은 상기 상부 접지 영역(51)에 형성되는 비아홀들(51a)을 통하여 기판(50)의 하부 접지 영역(52)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3고정부 몸체(433)와 솔더링 시킴으로써 접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제 3고정부 몸체(433)는 한 쌍으로 구성됨으로써, 기판(50)의 하부 접지 영역(52)의 다수 위치를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과 기판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과 기판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과 기판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4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를 따르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1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가 장착된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3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7은 도 33의 고주파 커넥터 모듈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20 : 고주파 커넥터
50 : 기판
100, 200, 300, 400, 500, 600, 700 : 접지 유니트
110, 210, 510, 610, 710 : 접지 유닛 몸체
111, 310, 410 : 끼움 몸체
112 : 노출홀
120, 220, 330, 430, 520, 620, 720 : 접지 고정부
320, 420 : 연결 몸체
340 : 솔더링 몸체

Claims (23)

  1. 고주파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접지 유닛 몸체와 연결되며, 일정 폭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 회로기판의 접지 영역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접지 영역과 가압 접촉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와 상기 접지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지 로드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접지 로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끼움 몸체와, 상기 접지 로드를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끼움 몸체의 양측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노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몸체의 상단부는 상기 끼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 일단부로부터 상기 끼움 몸체의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벤딩되어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 타단부 측을 따라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과 일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로 상향 경사지어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되고 그 끝단이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 타단측과 벌어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 3고정부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 상부 접지 영역은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3고정부 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 몸체는 상기 끼움 몸체의 하단면과 둔각을 이루어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접지 로드가 마련되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의 커넥터 몸체에는 상기 제 1고정부 몸체가 일정 간격으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부가 더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7. 고주파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접지 유닛 몸체와 연결되며, 일정 폭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 회로기판의 접지 영역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접지 영역과 가압 접촉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와 상기 접지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지 로드를 갖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의 커넥터 몸체 외부 테두리를 에워싸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는 일정 두께를 갖고 4면의 외부 테두리를 갖는 사각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상단은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하단 양측부에서 돌출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하단 양측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다단을 이루어 상기 접지 로드의 하부 에 위치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을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인쇄 회로 기판으로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 2고정부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 상부 접지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 보다 일정 길이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1.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지 로드를 갖는 커넥터 몸체를 구비하는 고주파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접지 유닛 몸체와 연결되며, 일정 폭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 회로기판의 접지 영역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접지 영역과 가압 접촉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와 상기 접지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저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를 에워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상단 양측부로부터 '
    Figure 112009076941482-pat00003
    '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을 상기 한 쌍의 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밀착시키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제 2고정부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3.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와 양측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단과 일정의 갭을 이루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를 갖는 커넥터 몸체를 구비하는 고주파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접지 유닛 몸체와 연결되며, 일정 폭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 회로기판의 접지 영역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접지 영역과 가압 접촉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와 상기 접지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제 2접지 로드들 각각의 상단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끝단 으로부터'V'자 형상으로 벤딩되도록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연결 부분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5.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와 양측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단과 일정의 갭을 이루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를 갖는 커넥터 몸체를 구비하는 고주파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접지 유닛 몸체와 연결되며, 일정 폭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 회로기판의 접지 영역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접지 영역과 가압 접촉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와 상기 접지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상기 커넥터 몸체의 양측부에 각각 밀착 설치되고, 일정 길이를 갖고, 양단이 상기 커넥터 몸체의 상단부와 상기 갭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접지 유닛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2고정부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부로 인입되는 기판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연결 부분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7. 고주파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접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접지 유닛 몸체와 연결되며, 일정 폭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쇄 회로기판의 접지 영역에 일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접지 영역과 가압 접촉되고, 상기 고주파 커넥터와 상기 접지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유닛 몸체는,
    상기 고주파 커넥터의 하단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의 상단을 잇는 연결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연결 몸체의 전단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벤딩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주파 커넥터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의 하단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로 경사지어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와, 상기 연결 몸체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경사와 교차되도록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다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솔더링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 상부 접지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상면과 상기 솔더링 몸체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솔더링 몸체의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하부 접지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링 몸체는,
    상기 연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세워져 연장되는 제 1솔더링 몸체와, 상기 제 1솔더링 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고정부 몸체의 경사와 교차되도록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제 2솔더링 몸체와, 상기 제 2솔더링 몸체의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3솔더링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2솔더링 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는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내측면 또는 외측 면 중 어느 한 측이 개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저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끼움 몸체의 상단 양측부로부터 직선을 이루어 연장되는 제 1고정부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로드의 하단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로 상향 경사지어 연장되는 제 2고정부 몸체와, 상기 2고정부 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고정부 몸체의 연장 방향과 역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3고정부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 상부 접지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로드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 영역은 상기 제 3고정부 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23. 고주파 커넥터;
    상기 고주파 커넥터에 형성되며, 고주파 모듈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고주파 커넥터와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
KR1020090123786A 2009-12-14 2009-12-14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 KR10115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786A KR101153164B1 (ko) 2009-12-14 2009-12-14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786A KR101153164B1 (ko) 2009-12-14 2009-12-14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266A KR20110067266A (ko) 2011-06-22
KR101153164B1 true KR101153164B1 (ko) 2012-06-18

Family

ID=4439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786A KR101153164B1 (ko) 2009-12-14 2009-12-14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231B1 (ko) * 2014-04-10 2020-02-19 주식회사 솔루엠 알에프 모듈
KR102339092B1 (ko) * 2020-03-13 2021-12-14 주식회사 센서뷰 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427Y1 (ko) * 1995-09-25 1998-08-17 배순훈 그라운드 커넥터와 연결단자
KR20000017121U (ko) * 1999-02-13 2000-09-25 조동철 통신기기의 rf콘넥터
KR20090024629A (ko) * 2007-09-04 2009-03-0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유닛 및 이에 이용되는 커넥터
KR20090042596A (ko) * 2007-10-26 2009-04-30 동양기전 주식회사 무용접 접지구조를 가지는 브러시 홀더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427Y1 (ko) * 1995-09-25 1998-08-17 배순훈 그라운드 커넥터와 연결단자
KR20000017121U (ko) * 1999-02-13 2000-09-25 조동철 통신기기의 rf콘넥터
KR20090024629A (ko) * 2007-09-04 2009-03-0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유닛 및 이에 이용되는 커넥터
KR20090042596A (ko) * 2007-10-26 2009-04-30 동양기전 주식회사 무용접 접지구조를 가지는 브러시 홀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266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7184B (zh) 电连接器
US88211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50111400A1 (en) Connector
US7726992B2 (en) RF connector having contact terminal set with movable bridge
TWM477690U (zh) 低剖面背板連接器
CN107591655B (zh) 卡缘连接器及其组件
US8628340B2 (en) Connector mounted vertically through a hole in a printed circuit board
US8641460B2 (en) Mounting component, electronic device, and mounting method
US7654828B1 (en) Socket with contact for being soldered to printed circuit board
KR101153164B1 (ko) 고주파 커넥터용 접지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커넥터 모듈
US8371864B2 (en) Grounding unit for high-frequency connector and high-frequency connector module having the same
US911815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ed thereof
US7841859B2 (en) Socket with solder pad
KR101372079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US6769924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eleasable cover
KR101433217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SG176336A1 (en) Sim card connector and sim car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2016081670A (ja) 線状導体接続用端子
JP3072246U (ja) コネクタ
USRE37961E1 (en) Pin connector, pin connector holder and packaging boar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KR101047327B1 (ko) 안테나 커넥터 장치
TWI628868B (zh) Card connector
US9210824B2 (en) Support devic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ed thereof
US20070152907A1 (en) Structure of metal housing for antenna connector
JP3941593B2 (ja) 印刷配線板の金具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