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762B1 -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 Google Patents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762B1
KR101152762B1 KR1020110093538A KR20110093538A KR101152762B1 KR 101152762 B1 KR101152762 B1 KR 101152762B1 KR 1020110093538 A KR1020110093538 A KR 1020110093538A KR 20110093538 A KR20110093538 A KR 20110093538A KR 101152762 B1 KR101152762 B1 KR 101152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einforcing
mounting
reinforcem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영
Original Assignee
오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영 filed Critical 오지영
Priority to KR102011009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복수의 지주; 상기 각 지주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장착브라켓과, 다수의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부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보강거더; 상기 장착브라켓과 상기 보강거더의 장착부를 접합시키기 위한 게르버조인트(gerber joint); 상기 보강거더의 콘크리트부 상부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슬래브; 및 상기 지주와 상기 장착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의 높이 또는 춤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지상으로는 층고를 낮출 수 있고, 지하로는 굴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진동이나 처짐에 유리하여 장지간화가 가능하고, 또한 주차 공간상에 기둥이 없는 무주(無柱) 공작물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차 공간의 확대와, 주차 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철골물량의 감소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의 단축과, 시공성 및 품질향상을 보장할 수 있는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PAR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에 관한 것으로, 보의 높이 또는 춤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지상으로는 층고를 낮출 수 있고, 지하로는 굴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진동이나 처짐에 유리하여 장지간화가 가능하고, 또한 주차 공간상에 기둥이 없는 무주(無柱) 공작물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차 공간의 확대와, 주차 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철골물량의 감소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의 단축과, 시공성 및 품질향상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들어 차량의 수가 급속히 증가되어 주차공간의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도심의 대형 할인점, 백화점 등의 각종 쇼핑상가 등에서의 주차공간 확보는 더욱 중요한 과제이다.
근래 들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주차 구조물은 기계식과 자주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기계식 주차 구조물은 횡행이송장치, 상기 횡행이송장치에 탑재되어 종행이송을 위한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에 얹혀져 주차차량과 함께 이송되는 팔레트를 포함하여, 차량을 입차 또는 출차시킨다.
이러한 기계식 주차구조물은 통상적으로 높이 8m 이상으로 시공되는데, 이렇게 8m이상의 높이로 시공되는 기계식 주차 구조물은 건축법 시행법규상 건축물(건축법 시행령 118조 제8항)로 규정되어, 건폐율, 용적률 등의 적용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시공 전, 건축허가를 얻어야 한다.
이에 반해 자주식 주차 구조물은 기둥과 바닥판으로 형성된 1층 2단, 2층 3단 또는 3층 4단으로 형성되어 그 구조가 간단하며,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입차, 출차시킬 수 있고,
아울러 자주식 주차 구조물은 8m 이하로 제작 설치할 경우 건축법상 공작물로 분류되어 건축법에 따른 건축물로의 규정을 피할 수 있다.
이하, 종래 자주식 주차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주차 구조물은 외부기둥, 내부기둥, 주차공간 빔, 이동공간 빔 및 바닥판을 포함한다.
종래의 주차 구조물은 자중 및 활화중에 의한 처짐을 고려하여 소정 간격마다 내부기둥을 포함하고, 이렇게 소정간격마다 설치되는 기둥은 건출물 및 토목 구조물의 설계 및 미관의 가변성을 저하시키고, 공사비를 상승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주차 시에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키거나 출차시킬 경우, 장애물 역할을 하여 큰 불편함을 유발하며, 혹시라도, 운전자의 운전 미숙으로 인하여 내부기둥에 손상을 가하는 경우, 주차설비의 안전에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 내부기둥을 제거하고, 거더를 형성하면 주차된 차량에 의한 거더의 안정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빔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 빔을 두껍게 하면, 주차 구조물의 높이가 8m 이상이 되어 건축물로 분류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주차공간의 높이는 2.1m, 상기 이동공간의 높이는 2.3m를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스프링클러 또는 각종 배선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 이를 위한 설비를 더 포함하는 경우, 그 높이가 더욱 증가 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의 높이 또는 춤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지상으로는 층고를 낮출 수 있고, 지하로는 굴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진동이나 처짐에 유리하여 장지간화가 가능하고,
또한 주차 공간상에 기둥이 없는 무주(無柱) 공작물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차 공간의 확대와, 주차 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철골물량의 감소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의 단축과, 시공성 및 품질향상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건물이나 구조물의 상하층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건물이나 구조물 등의 사용 특성에 따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여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경제적인 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높이조절수단을 위한 위치결정구가 구비되어 있어 장착브라켓과 연결된 고정브라켓을 고장력볼트로 지주에 체결하기에 앞서, 설치위치를 미리 결정하고, 고정브라켓을 설치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어 높이조절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고정브라켓이 가설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고장력볼트에 의하여 체결작업이 보다 쉽고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높이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된 강판을 직접 보강거더의 하면부에 고장력볼트에 의하여 연결하는 경우 강판이 인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직접 저항하기 때문에 강판이나, 강판을 구조물과 연결하는 고장력볼트에 변형이 생겨 프리스트레스의 효과가 경감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판을 보강거더와 이격시키기 위한 채널 형태의 보강브라켓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 효과가 경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보강브라켓에 의하여 단면을 확대하여 구조물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켜 구조물의 내하성능을 증대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은 지중에 매설된 복수의 지주; 상기 각 지주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장착브라켓; 다수의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부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보강거더; 상기 장착브라켓과 상기 보강거더의 장착부를 접합시키기 위한 게르버조인트(gerber joint); 상기 보강거더의 콘크리트부 상부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슬래브; 및 상기 지주와 상기 장착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거더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연결된 중심웨브를 포함하는 TSC 또는 CFT 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거더와 상부에는 데크슬래브가 더 구비되되,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의 두께는 상기 보강거더의 상부에서 5cm, 상기 데크슬래브 상부에서 7.5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주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체결공과, 상기 장착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공에 상응하는 대응체결공을 갖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각 체결공에 관통 삽입되어 체결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는 고장력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설치위치를 결정하여주기 위한 위치결정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결정구는 사각틀 형태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고, 상기 지주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위치결정돌기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분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각 고정브라켓의 대응체결공에 삽입되어 각 고정브라켓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거더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연결되는 중심웨브를 포함하며,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빔; 상기 제1 빔의 플랜지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중앙을 향해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 보강플랜지 및 상기 제1 보강플랜지와 상기 제1 빔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1 보강웨브를 포함하는 제1 보강부재; 및 상기 제3 빔의 상기 플랜지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중앙을 향해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 보강플랜지 및 상기 제2 보강플랜지와 상기 제3 빔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2 보강웨브를 포함하는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빔의 각 양단부에는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3 빔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게르버조인트에 의하여 접합되며,
상기 제1 및 제3 빔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장착부는 상기 제2 빔의 양단부에 형성된 장착부에 상기 게르버조인트에 의하여 접합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보강플랜지는 상기 제2 빔의 중앙을 기준으로 선대칭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보강웨브는 상기 제1 빔의 플랜지와, 상기 제3 빔의 플랜지와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거더의 하면부에는 채널(channel) 형태의 보강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 보강브라켓의 하면부에는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된 강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은 보의 높이 또는 춤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지상으로는 층고를 낮출 수 있고, 지하로는 굴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진동이나 처짐에 유리하여 장지간화가 가능하고,
또한 주차 공간상에 기둥이 없는 무주(無柱) 공작물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차 공간의 확대와, 주차 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철골물량의 감소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의 단축과, 시공성 및 품질향상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본 발명은 게르버조인트의 접합부위를 조절할 수 있어 휨 모멘트의 분포를 최적화하여 복합보의 합리적인 시공을 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이나 구조물의 상하층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건물이나 구조물 등의 사용 특성에 따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여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경제적인 시공하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높이조절수단을 위한 위치결정구가 구비되어 있어 장착브라켓과 연결된 고정브라켓을 고장력볼트로 지주에 체결하기에 앞서, 설치위치를 미리 결정하고, 고정브라켓을 설치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어 높이조절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고정브라켓이 가설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고장력볼트에 의하여 체결작업이 보다 쉽고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된 강판을 직접 보강거더의 하면부에 고장력볼트에 의하여 연결하는 경우 강판이 인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직접 저항하기 때문에 강판이나, 강판을 구조물과 연결하는 고장력볼트에 변형이 생겨 프리스트레스의 효과가 경감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판을 보강거더와 이격시키기 위한 채널 형태의 보강브라켓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 효과가 경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보강브라켓에 의하여 단면을 확대하여 구조물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증대시켜 구조물의 내하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보강거더와 상기 콘크리트슬래브가 시공된 후에는 게르버조인트 내측으로 'T'형보 단순보 구조를 이루게 되어 진동이나 처짐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되고,
또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이 용이하여 내하성능의 증대와, 이로 인한 장스팬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주차를 위한 공작물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보강거더와 보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주 보강거더의 각 부분에 적용되는 휨 모멘트를 나타내는 해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의 또 다른 변형례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동작상태도,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은
지중에 매설된 복수의 지주(10); 상기 각 지주(10)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장착브라켓(20); 다수의 철근(F)이 배근된 콘크리트부(31)와, 상기 콘크리트부(31)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33)를 포함하는 보강거더(30); 상기 장착브라켓(20)과 상기 보강거더(30)의 장착부(33)를 접합시키기 위한 게르버조인트(gerber joint)(40); 상기 보강거더(30)의 상부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슬래브(50); 및 상기 지주(10)와 상기 장착브라켓(20)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H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에서, 상기 지주(10)는
건물이나, 각종 구조물의 기둥으로 그 하부 부분은 지면이나 지중에 매설되어 수직하게 배열된다.
상기 지주(10)는 'I 또는 H'형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철근(F)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I 또는 H'형강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제작될 수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나, 공지의 시공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10)에는 장착브라켓(20)이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상기 지주(10)와 용접에 의한 접합방식이나, 고장력볼트(B)에 의한 체결방식 등이 도입될 수 있고,
다만 하기할 높이조절수단(HC)이 도입되는 경우에는 볼트에 의한 체결방식을 도입하여 그 기능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에서,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상기 각 지주(10)에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게르버조인트(40)에 의하여 보강거더(30)의 장착부(33)와 연결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상기 지주(10)에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장착브라켓(20)은 보강거더(30)(제1 및 제3 빔(310a)(310c))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각 장착브라켓(20)은 상기 각 지주(10)의 동일한 위치에 상호 대응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20)은 'I'형강의 빔을 사용되고,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상기 지주(10)가 'I 또는 H'형강인 경우 각 플랜지의 외측면, 웨버의 양측면에 모두 연결되거나, 또는 각 구조물에 지주(10)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브라켓(20)과 지주(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방식이나, 고장력볼트(B)에 의한 체결방식이 도입될 수 있고,
특히 상기 고장력볼트(B)에 의한 체결방식이 도입되는 경우 상기 지주(10)에서 장착브라켓(20)의 설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HC)이 도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우선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수단(HC)은 상기 지주(10)와 상기 장착브라켓(20)의 연결부위 상하부를 결합되어 장착브라켓(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한 상기 높이조절수단(HC)은
상기 지주(10)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체결공(11)과,
상기 장착브라켓(20)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공(11)에 상응하는 대응체결공(25)을 갖는 고정브라켓(23)과,
상기 각 체결공(11)에 관통 삽입되어 체결너트(N)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는 고장력볼트(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공(11)은 상기 장착브라켓(20)이 연결되는 상기 지주(10)의 각 플랜지와, 웨브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3)은 'ㄱ'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브라켓(20)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에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거나, 또는 고장력볼트(B)에 의하여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브라켓(20)의 설치 위치, 즉 설치 높이를 결정한 후,
상기 지주(10)의 체결공(11)과, 해당위치에서 상기 체결공(11)에 대응하는 고정브라켓(23)의 대응체결공(25)에 고장력볼트(B)를 관통 삽입하여 고장력볼트(B)에 체결너트(N)로 체결 고정하여 높이 조절이 된 장착브라켓(20)을 지주(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HC)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높이를 조절하여 건물이나, 구조물 등의 층고를 사용목적이나 특성에 따라 조절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최적화된 설계 및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1의 "B"에 도시는 본 발명에 다른 높이조절수단(HC)의 또 다른 변형례로 상기 고정브라켓(23)이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단면부에 용접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3)에는 상기 지주(10)의 체결공(11)에 상응하는 대응체결공(25)이 형성되어 있어 고장력볼트(B)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된 장착브라켓(20)을 지주(10)에 고정시키게 된다.
다만 상기 장착브라켓(20)과, 이와 연결되어 결합체를 이루는 고정브라켓(23)은 모두 강재로 이루어져 있어 그 무게가 상당하며,
따라서 이러한 중량의 결합체를 작업자, 또는 특수 장비를 이용하여 리프팅 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작업은 쉽지도 않을뿐더러, 또한 위험성을 내포한 작업일 것이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수단(HC)에는 상기 고정브라켓(23)의 설치위치를 결정하여주기 위한 위치결정구(9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위치결정구(90)를 미리 설치위치에 배열시킨 후, 장착브라켓(20)과 고정브라켓(23)의 결합체를 위치결정구(90)에 고정시켜 지주(10)에 체결작업을 함으로써 높이조절작업이 단숨에 이루어지고,
또한 고장력볼트(B)에 의한 체결작업 또한 쉽고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성 또한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위치결정구(90)는 사각틀 형태의 고정부재(91)와, 상기 고정부재(91)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고, 상기 지주(10)의 체결공(11)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위치결정돌기(93)와,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91)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93)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분리부재(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위치결정구(90)의 고정부재(91)는 직사각형 또는 장방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91)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된 위치결정돌기(93)의 이격거리는 상기 위치결정돌기(93)가 상기 지주(10)의 체결공(11)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브라켓(2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켓(23)의 어느 대응체결공(25)에 삽입될 수 있을 만큼의 거리를 유지하여 한다.
따라서 상기 장착브라켓(20)와 고정브라켓(23)의 결합체의 설치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위치결정구(90)의 위치결정돌기(93)를 결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지주(10)의 체결공(11)에 삽입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93)에 상기 각 고정브라켓(23)의 대응체결공(25)을 삽입시켜 상기 결합체를 가설치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위치결정돌기(93)가 삽입되지 않은 체결공(11)과 대응체결공(25)에 고장력볼트(B)를 관통 삽입한 후, 체결너트(N)를 체결하여 결합체를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위치결정구(90)의 위치결정돌기(93)가 삽입되어 있는 체결공(11)과 대응체결공(25)에서 분리한 다음 위치결정돌기(93)가 삽입되어 있던 체결공(11)과 대응체결공(25)에 고장력볼트(B)를 관통 삽입 후, 체결너트(N)를 체결하여 결합체를 지주(10)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분리부재(95)는 상기 위치결정구(90)를 상기 지주(10)의 체결공(11)에 삽입하는 경우,
또는 결합체를 상기 지주(10)에 고정시킨 후, 상기 위치결정구(90)를 분리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분리부재(95)를 파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치결정구(90)의 취급이 보다 편리해진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구(90)는 2개소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지주(10)가 'I' 또는 'H'형강으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상기 체결공(11)들은 상기 지주(10)의 웨브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구(90)는 상기 지주(10)의 웨브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어야 상기 고정브라켓(23)을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위치결정구가 상부 또는 하부의 위치하는 고정브러켓과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상기 위치결정구는 4개소가 한 쌍을 이루게 되고,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이 상기 장착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결정구의 길이를 이에 대응하도록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부재 자체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보다 다양한 경우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장착부(33)의 일단부, 즉 장착부(33)와 게르버조인트(40)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부 부분의 웨브에는 다수의 제1 연결공(21)이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에서, 상기 보강거더(30)는
다수의 철근(F)을 배근시키고, 장착부(33)를 양단부에 배열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강거더(30)는 공장 제작이 가능하므로, 보강거더를 공장 제작한 후,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여 게르버조인트(40)에 의하여 상기 장착브라켓(20)과 장착부(33)를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의 스틸로 제작된 보를 시공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거더(30)는 철골 상부에 슬래브를 얹는 형태로 제작되는 종래의 철골 합성보에 비하여 보의 높이 또는 춤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구조물의 층고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부(31)에 배근된 철근(F)은 'U'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어 있고,
또한 각 철근(F)의 양단부는 상기 콘크리트부(31)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어 현장에서 시공되는 콘크리트슬래브(50)에 배근되어 콘크리트부(31)에 정착된다.
아울러 상기 장착부(33)에는 상기 콘크리트부(31)에서 노출된 부분에 다수의 제2 연결공(33a)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33)의 양측면에는 전단연결재(SC)가 다수 구비되어 있어 상기 장착부(33)와 콘크리트부(31)를 정착 또는 부착시키게 된다.
도 2 및 도 4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거더(30)는 제1 빔(310a), 제2 빔(310b), 제3 빔(310c), 제1 보강부재(320) 및 제2 보강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빔(310a), 제2 빔(310b) 및 제3 빔(310c) 각각은 플랜지(311)와, 상기 각 플랜지(311)의 하부에 연결되는 중심웨브(313)를 포함하고,
상기 각 빔의 플랜지(311)는 각각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중심웨브는(313)은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연결되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보강부재(320)는 제1 보강플랜지(321) 및 제1 보강웨브(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플랜지(321)는 상기 제1 빔(310a)의 플랜지(311)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311)의 중심방향으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며, 상기 제1 보강웨브(322)는 상기 플랜지(311)와 상기 제1 보강플랜지(321)를 연결한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1 빔(310a)의 플랜지(311)와 상기 제1 보강플랜지(321)을 연결하는 상기 제1 보강웨브(322)는 웨지(wedge)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 보강부재(330)는 제2 보강플랜지(331) 및 제2 보강웨브(3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강플랜지(331)는 상기 제3 빔(310c)의 플랜지(311)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311)의 중심방향으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며,
상기 제2 보강웨브(332)는 상기 플랜지(311)와 상기 제2 보강플랜지(331)을 연결한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3 빔(310c)의 플랜지(311)와 상기 제2 보강플랜지(331)을 연결하는 상기 제2 보강웨브(332)는 웨지(wedge)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제1 보강부재(320) 및 제2 보강부재(330)는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플랜지(311)의 상기 제2 빔(310b)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선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빔(310a), 제2 빔(310b), 제3 빔(310c), 제1 보강부재(320) 및 제2 보강부재(330)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제1 빔(310a), 제2 빔(310b), 제3 빔(310c), 제1 보강부재(320) 및 제2 보강부재(330)는 SM490(용접구조용 압연강재)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각 빔에는 'ㄱ' 또는 'ㄴ'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보강부재는 'ㄱ' 또는 'ㄴ'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연장된다.
도 5는 본 발며에 따른 보강거더의 각 부분에 적용되는 휨 모멘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무주의 보강거더(30)의 휨 모멘트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보강거더의 휨 모멘트는 도 2의 상기 보강거더(30)의 단부를 포함하는 끝부분에 부 모멘트(-)가 걸리게 되며, 이때 모멘트가 최대로 걸리는 부분은 상기 보강거더(30)의 양 끝 단면이 되고, 이때 최대 부 모멘트 값은 Ma(-)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거더(30)에 중심 부분에는 정 모멘트(+)가 걸리게 되는데,
이때 모멘트가 최대로 걸리는 부분은 상기 보강거더(30)의 중앙부가 되며, 최대 정 모멘트 값은 Mb(+)를 가지게 되고,
상기 Ma(-)의 절대값은 Mb(+)의 절대값보다 크게 설계된다.
도 4,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거더(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빔(310a), 제2 빔(310b) 및 제3 빔(310c)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각 빔의 양단부에는 장착부(33)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제1 및 제3 빔(310a)(310c)의 외측단부에 구비된 장착부(33)와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상기 게르버조인트(40)에 의하여 접합되어 상기 각 지주(1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3 빔(310a)(310b)의 내측단부는 상기 제2 빔(310b)의 양단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제1 및 제3 빔(310a)(310c)의 내측단부에 구비된 장착부(33)와 상기 제2 빔(310b)의 양단부에 구비된 장착부(33)는 상기 게르버조인트(40)에 의하여 접합되거나, 또는 용접과 같은 접합방식에 의하여 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보에서, 상기 게르버조인트(40)는
상기 장착브라켓(20)과 상기 보강거더(30)의 장착부(33)(상기 제1 및 제 3 빔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장착부)를 연결하여 복합보를 형성하고, 철골의 양와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게르버조인트(40)는 상기 장착브라켓(20)의 제1 연결공(21)과, 상기 장착부(33)의 제2 연결공(33a)에 상응하는 대응연결공(41)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공(21)(33a)과, 상기 대응연결공(41)에 고장력볼트(B)를 관통 삽입한 후,
상기 고장력볼트(B)에 체결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장착브라켓(20)과 장착부(33)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게르버조인트(40)에 의한 접합 부위는 상기 보강거더(30)에 의한 모멘트 분포에 따라 접합 부위를 휨 모멘트의 분포를 조절하여 최적화시켜 합리적인 보의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에서,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는
상기 보강거더(30)가 공장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게르버조인트(40)에 의하여 장착브라켓(20)에 연결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형성된다.
우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를 현장에서 시공하기 전에 상기 보강거더(30)의 콘크리트부(31) 사이, 즉 인접한 콘크리트부(31) 상면부에 데크슬래브(60)를 고정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를 시공하기 위해 상기 데크슬래브(60)의 상부에 철근(F)이 배근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제작된다.
이 경우 상기 콘크리트부(31)에 배근된 철근(F)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콘크리트부(31)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의 시공 시 콘크리트슬래브(50)에 배근되어 정착 또는 부착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슬래브(50)와 콘크리트부(31)를 접착시켜 일체화를 이루게 된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거더와 상기 콘크리트슬래브가 시공된 후에는 게르버조인트 내측으로 'T'형보 단순보 구조를 이루게 되어 진동이나 처짐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되고,
또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이 용이하여 내하성능의 증대와, 이로 인한 장스팬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은
주차통로와 주차공간 사이에 배열되는 보강거더(도 3의 G1, G2)의 최대높이 50cm인 TSC를 사용하고,
주차통로의 폭은 법정 최소치가 6m이지만, 7m로 확보하여 차량이동과 주차 시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
그리고 주차통로와 주차공간에는 높이가 20cm인 데크슬래브(도3의 D1, D2)를 깔고, 그 위에 콘크리트슬래브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데크슬래브를 깔아도 바닥판의 최소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내구성과 차음효과에 도움이 되므로,
예컨대 데크슬래브의 상단을 상기 보강거더의 상단보다 2.5cm 낮게 설치하면 바닥두께, 즉 콘크리트슬래브의 최소두께가 7.5cm가 확보된다.
또한 주차통로의 폭을 7m로 하고, 주차공간을 4.5m로 설계하면 상기 데크슬래브를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 주차공간 바닥은 비경제적이게 되는데,
이는 휨 모멘트가 바닥길이의 제곱에 비례하며, 또한 주차통로의 법적 적재하중이 주차공간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7m 구간의 데크슬래브에 내에 철근을 배근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은 그 높이를 8m 이하로 제한하여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축법상 공작물로 분류되어 건축법에 따른 건축물로의 규정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하부층으로부터 각 층의 최대높이를 2650, 2650, 2700mm로 층고를 형성하여 공작물의 전체 높이가 8m를 이하가 되도록 하여 건축법에 따른 건출물로의 규정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보강브라켓(7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보강거더(30)(상기 제2 빔(310b))에는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된 강판(80)을 연결하여 구조물의 내하성능을 보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강판(80)이 직접 장착브라켓(20)이나 장착부(33) 하면부에 고장력볼트(B)에 의하여 연결되어 직접 저항하는 경우 강판(80)이나, 강판(80)을 구조물과 연결하는 고장력볼트(B)에 변형이 생겨 프리스트레스의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브라켓(70)을 도입하여 강판(80)을 도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상기 보강브라켓(70)에 의하여 단면을 확대하여 구조물의 2차 모멘트를 증대시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브라켓(70)은 상기 제2 빔(310b)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3 빔(310a)(310b)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각 장착부(33)에 맞닿는 복수의 고정부(71)와,
상기 고정부(7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이음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고정부(71)에는 제1 결합공(71a)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73)에는 제2 결합공(7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3 빔(310a)(310b)의 각 장착부(33) 또는 상기 제2 빔(310b)의 각 장착부(33)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제1 결합공(71a)에 상응하는 제1 대응결합공(27)(33b)이 형성되고,
상기 강판(80)의 단부 부분에는 상기 제2 결합공(73a)에 상응하는 제2 대응결합공(81)이 형성되며,
상기 각 결합공에는 고장력볼트(B)가 관통 삽입되어 체결너트(N)로 체결하여 보강브라켓(70)과 강판(80)을 구조물 하면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아울러 첨부된 도 6 내지 도 9의 도시에서는 상기 보강거더는 제2 빔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므로 제1 빔에 관한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반대쪽에 배열되는 제3 빔의 구성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임을 밝힌다.
또한 도 2 및 도 4의 도시는 보강거더에서 각 빔으로만 구성된 골조만을 도시한 것으로 보강거더의 보다 명확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은 그 높이를 8m 이하로 제한하여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축법상 공작물로 분류되어 건축법에 따른 건축물로의 규정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6 내지 도 9에서 미설명 부호 '35'는 콘크리트부 외곽을 둘러싸는 강판 또는 강관으로 TSC 또는 CFT 보에서의 공지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고장력볼트 N : 체결너트
F : 철근 SC : 전단연결재
HC : 높이조절수단
10 : 지주 11 : 체결공
20 : 장착브라켓 21 : 제1 연결공
23 : 고정브라켓 25 : 대응체결공
27 : 제1 결합공
30 : 보강거더 31 : 콘크리트부
33 : 장착부 33a : 제2 연결공
33b : 제1 결합공 35 : 강판 또는 강관
40 : 게르버조인트 41 : 대응연결공
50 : 콘크리트슬래브 60 : 데크슬래브
70 : 보강브라켓 71 : 고정부
71a : 제1 결합공 73 : 이음부
73a : 제2 결합공
80 : 강판 81 : 제2 대응결합공
90 : 위치결정구 91 : 고정부재
93 : 위치결정돌기 95 : 분리부재
310a : 제1 빔 310b : 제 빔
310c : 제3 빔 311 : 제1 플랜지
313 : 중심웨브
320 : 제1 보강부재 321 : 제1 보강플랜지
322 : 제1 보강웨브 330 : 제2 보강부재
331 : 제2 보강플랜지 332 : 제2 보강웨브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된 복수의 지주;
    상기 각 지주에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장착브라켓;
    다수의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부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보강거더;
    상기 장착브라켓과 상기 보강거더의 장착부를 접합시키기 위한 게르버조인트(gerber joint);
    상기 보강거더의 콘크리트부 상부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슬래브; 및
    상기 지주와 상기 장착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거더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연결된 중심웨브를 포함하는 TSC 또는 CFT 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거더와 상부에는 데크슬래브가 더 구비되되,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의 두께는 상기 보강거더의 상부에서 5cm, 상기 데크슬래브 상부에서 7.5cm이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주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체결공과,
    상기 장착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공에 상응하는 대응체결공을 갖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각 체결공에 관통 삽입되어 체결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는 고장력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설치위치를 결정하여주기 위한 위치결정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결정구는
    사각틀 형태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고, 상기 지주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위치결정돌기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분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각 고정브라켓의 대응체결공에 삽입되어 각 고정브라켓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거더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연결되는 중심웨브를 포함하며,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빔;
    상기 제1 빔의 플랜지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중앙을 향해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 보강플랜지 및 상기 제1 보강플랜지와 상기 제1 빔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1 보강웨브를 포함하는 제1 보강부재; 및
    상기 제3 빔의 상기 플랜지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중앙을 향해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 보강플랜지 및 상기 제2 보강플랜지와 상기 제3 빔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2 보강웨브를 포함하는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빔의 각 양단부에는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3 빔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게르버조인트에 의하여 접합되며,
    상기 제1 및 제3 빔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장착부는 상기 제2 빔의 양단부에 형성된 장착부에 상기 게르버조인트에 의하여 접합되는 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플랜지는 상기 제2 빔의 중앙을 기준으로 선대칭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강웨브는 상기 제1 빔의 플랜지와, 상기 제3 빔의 플랜지와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거더의 하면부에는 채널(channel) 형태의 보강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브라켓의 하면부에는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된 강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KR1020110093538A 2011-09-16 2011-09-16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KR10115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538A KR101152762B1 (ko) 2011-09-16 2011-09-16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538A KR101152762B1 (ko) 2011-09-16 2011-09-16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762B1 true KR101152762B1 (ko) 2012-06-18

Family

ID=4668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538A KR101152762B1 (ko) 2011-09-16 2011-09-16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194B1 (ko) 2012-08-20 2013-02-01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유자형 합성보 및 덮개부재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478B1 (ko) 2007-04-16 2008-09-26 주식회사 동성진흥 철골구조물의 보
KR100862670B1 (ko) 2008-03-18 2008-10-10 (주)신한에스엔지 주차장 시공방법
KR20090080628A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장지간 빔을 이용한 자주식 주차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478B1 (ko) 2007-04-16 2008-09-26 주식회사 동성진흥 철골구조물의 보
KR20090080628A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장지간 빔을 이용한 자주식 주차설비
KR100862670B1 (ko) 2008-03-18 2008-10-10 (주)신한에스엔지 주차장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194B1 (ko) 2012-08-20 2013-02-01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유자형 합성보 및 덮개부재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RU2548627C2 (ru) * 2012-08-20 2015-04-20 ДРБ Холдинг Ко., Лтд. Сталь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образной составной балк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46120B2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KR100797194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391637B1 (ko) 강재트러스를 이용한 복합트러스 거더의 제작공법
CN203475598U (zh) 耐震、预制的钢筋桁架剪力墙混合结构建筑物
CN102251699A (zh) 现浇梁柱预制夹芯混凝土墙板住宅建筑体系及施工方法
KR101614842B1 (ko) 층고 증가 없이 다양한 스팬에 적용가능한 내민보 일체형 pc기둥을 이용한 건축물의 골조시스템
CN103388357A (zh) 耐震、预制的钢管剪力墙混合结构建筑物
US20210025164A1 (en) Pre-stressed intersecting modular truss and concrete decking floor system
KR20190084712A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KR101176846B1 (ko)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KR100896173B1 (ko) 장지간 빔, 이를 포함하는 무주 구조물, 무주 주차 구조물 및 장지간 빔의 제조방법 및 무주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29502B1 (ko) I 형 합성 거더
KR100939970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공법 및 그 구조
KR100923634B1 (ko) 철재 계단이 구비된 건축 모듈러 유닛
KR102120884B1 (ko) Rc 벽체와 합성보 간 접합구조가 개선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88231B1 (ko) 빔 제조방법 및 무주 구조물 제조방법
KR101152762B1 (ko)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KR20180001212A (ko) 강성구조를 갖는 조립식 영구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칼럼용 영구거푸집의 시공 방법
KR20230144438A (ko)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WO2019025928A1 (en) PRE-PRESET MODULAR FARM WITH INTERSECTIONS AND CONCRETE PLATE FLOOR SYSTEM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CN114250912A (zh) 一种预制型钢混凝土柱及组合结构
KR101083062B1 (ko) 복합보
KR101548215B1 (ko) 보춤이 높은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