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670B1 - 주차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670B1
KR100862670B1 KR1020080024720A KR20080024720A KR100862670B1 KR 100862670 B1 KR100862670 B1 KR 100862670B1 KR 1020080024720 A KR1020080024720 A KR 1020080024720A KR 20080024720 A KR20080024720 A KR 20080024720A KR 100862670 B1 KR100862670 B1 KR 10086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eam
cross
increase
steel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신한에스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에스엔지 filed Critical (주)신한에스엔지
Priority to KR102008002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out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e.g. with helically-arranged fixed ramps, with movable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또는 지상주차장에 있어서 외측기둥 사이에 강재빔의 양 단부를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강재빔이 장지간으로 설치되어 내측기둥을 배제할 수 있도록 외측기둥과 강재빔의 연결부위를 강성증가부재에 의하여 보강함으로서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뛰어나며 층간 주차공간과 안전한 주차가 가능하도록 한 주차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주차장, 외측기둥, 내측기둥

Description

주차장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PAR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주차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하 또는 지하 또는 지상에 시공되는 주차장 구조물에 있어서, 층당 주차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내부기둥을 배제할 수 있어 주차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주차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특히 종래 3-4층 정도의 철골조 지상주차장을 정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상주차장(A)은 전체 지상주차장의 최대 높이가 8m이하인 경우달리 건축허가 등이 필요없기 때문에 최근 주차장 구조물 시공에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상 자주식 지상주차장이라고 지칭한다.
이러한 자주식 지상주차장은 지반에 H형 또는 I형 철골인 외측기둥(10)을 수직으로 시공하고, 상기 외측기둥(10) 사이 사이에 역시 H형 또는 I형 철골인 내측기둥(20)을 시공하게 된다.
도 1b의 경우에는 양 외측기둥(10) 사이에 2개의 내측기둥(20)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 사이에는 다소 길이가 짧은 강재빔(30)이 설치되고, 내측기둥(20)과 내측기둥(20) 사이에는 다소 길이가 긴 강재빔(40)이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b와 같이, 통상 외측기둥과 내측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강재빔(30)으로 구분되는 상,하 공간은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공간(P)으로 이용되고,
내측기둥과 내측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강재빔(40)으로 구분되는 상,하공간은 운전자가 차량을 입,출고 시키기 위한 이동공간(M)으로 이용된다.
이로서, 각 층에 구분되어 확보할 수 있는 도 1a에 의하면 1대당 법정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주차공간이 상,하열 모두 15대씩 30대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내측기둥(20)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에 있어 방해물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측기둥(20)을 설치하기 때문에 주차공간이 아무래도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내측기둥(20)을 시공하기 위한 비용도 추가로 소요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내측기둥(20) 설치를 배제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통상은 외측기둥과 외측기둥 사이에 장지간 설치가능한 강재빔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지간 설치가능한 강재빔은 그 제작 및 시공이 단순하지 않을 경우, 장지간 설치가능한 강재빔을 이용하는 것이 오히려 고가의 비용을 요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제작이 간단하고,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장지간화가 가능한 강재빔을 구비하여 이러한 강재빔을 지상주차장의 외측기둥 사이에 설치함으로서, 주차장에 있어 내측기둥의 설치를 배제하도록 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층당 주차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운전자의 주차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주차장 시공방법이 제공되도록 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외측기둥과 외측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강재빔은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직접 구입이 가능한 I형 또는 H형 단면의 압연형강빔을 이용하도록 한다. 단지 상기 압연형강빔은 일정한 규격을 가진 제품에 해당되므로 만약 이러한 강재빔을 가공해야 한다면 이는 공사비 증가요인이 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압연형강제품을 직접 그대로 이용하여 외측기둥과 외측기둥 사이에 연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그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위와 같이 설치된 강재빔은 내측기둥에 의한 지지가 없을 경우 그 단면강성이 증가되지 않으면 과도한 처짐 및 강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등에 균열이 생기는 등 하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단면강성을 증가시켜 장지 간화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주차장의 외측기둥 주위에 확보되는 주차공간은 층간높이가 외측기둥 중간에 확보되는 차량이동공간의 층간높이보다 작게 형성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외측기둥 주위에 확보되는 주차공간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강재빔의 하면 또는 그 하부플랜지 상면에 강성증가부재를 더 설치하도록 하였으며, 이는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성 및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상기 강성증가부재의 경우 다양한 앵글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예를 제공함으로서 현장여견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본 발명의 주차장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에 있어 내측기둥을 배제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 및 강재빔은 장지간 설치가 가능한 강성증가부재가 더 구비되어 경제적인 주차장 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압연형강 제품인 강재빔 및 연결부재를 그대로 이용할 경우 간단하게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성이 우수하며 효율적인 주차장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강재빔(100)을 외측기둥(200)에 설치할 경우에 있어 정면도, 부분 절단면도 및 설치사시도를 함께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지상주차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a의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지상주차장 시공을 위한 기본적인 시공공종에 의하여 외측기둥(200)이 시공된다.
이러한 외측기둥(200)은 통상 H형 단면의 철골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기둥(200) 사이에 강재빔(100)이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구(420) 및 덧댐판(410)에 의하여 설치된다.
통상은 외측기둥(200)에 수평으로 연장 돌출된 연결부재(300)를 먼저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300)에 강재빔(100)을 체결구(420) 및 덧댐판(410)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연결부재(300)도 I형 또는 H형 단면의 철골로서 압연형강제품인 상부플랜지(310), 복부(320) 및 하부플랜지(330)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즉, H형 철골인 외측기둥(200)에 역시 H형 철골을 절단하여 제작한 연결부재(300)을 수평으로 내측에 연장되도록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중요한 점은 상기 강재빔(100)도 역시 통상 I형 또는 H형 철골로서 상부플랜지(110), 복부(120) 및 하부플랜지(130)으로 형성된 압연형강 제품을 사용하도록 하되 달리 가공없이 구입된 그대로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만약 구입한 강재빔(100)에 추가적인 가공작업이 필요하다면 그 만큼 비용이 증가될 수 밖에 없으므로 압연형강 제품을 이용할 필요성이 반감되기 때문이다.
이로서 강재빔(100)이 연결부재(300)에 연결시킬 경우, 용접 또는 체결구(420)에 의한 연결방식은 일종의 강결시키는 방식이라 할 수 있어 그 연결부위에는 휨 부모멘트가 매우 크게 발생하게 된다.(일종의 라멘 또는 캔틸레버 형식의 구조물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이러한 휨 부보멘트에 저항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위에 강성증가부재(500:510,520)를 설치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300) 하부플랜지(330) 하면에 상기 강성증가부재(510)을 설치하고, 상기 강성증가부재(510)와 일체로 강재빔(100)의 연결부위 하부면에 강성증가부재(520)을 더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강성증가부재(500:510,520)는 도 2a의 경우 역 T형 단면부재를 이용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단면부재는 H형 철골의 복부 중앙을 절단하여 제작할 수 있을 것이 다.
이때 상기 역 T형 단면부재의 수직부(511,521)를 연결부재(300) 및 강재빔(100)의 복부(120)의 중심선에 맞추어 설치하도록 한다.
이에 연결부재(300) 및 강재빔(100)의 단면높이는 당초 높이에 단면부재의 수직부(511,521) 높이를 합한 것이되고 이로서 단면 강성은 높이 증가분에 3승에 비례하므로 상당한 단면 강성 증가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2a의 A-A 절단면도를 보면 확인 할 수 있으며, 특히 B-B 절단면도에 의하면 강재빔(100) 자체에도 그 단면 강성 증가를 위하여 L형 앵글부재인 접철부재(14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더 장착함으로서 강재빔(100) 자체의 단면강성도 증가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결국, 상기 연결부재(300)와 강재빔(100)의 연결부위에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는 본 발명에 의한 강성증가부재(500)에 의하여 간단하게 저항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강재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강재빔(100) 일부 및 연결부재(300)에 추가로 간단하게 강성증가부재(500)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더 설치하는 현장 또는 공장공종을 요구하므로 시공성 및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강성증가부재에 의해 강재빔을 보다 장지간화 할 수 있어 요구되는 내측기둥의 설치를 배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b에 의하면, 도 2a와 비교하여 연결부재(300) 및 강재빔(100) 하부에 강성증가부재(500:510,520))로서 역 T형 단면부재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은 동일하 지만,
차이가 나는 것은, 상기 연결부재(300)에 설치되는 강성증가부재(510)에 있어 그 수직부(511) 양 측면에 L형 앵글을 포함하는 접철부재(600)를 더 설치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연결부재(300)에 보다 큰 휨 부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이러한 접철부재(600)의 설치상태를 보면 A-A 절단면도 및 시공사시도와 같이,
L형앵글을 포함하는 접철부재(600)를 연결부재(300)의 하부플랜지 하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상기 연결부재(300) 하부면과 L형앵글을 포함하는 접철부재(600)가 이루는 단면이 박스체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L형앵글을 포함하는 접철부재(60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610)에 의하여 조여 고정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박스체 단면으로 접철부재(600)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큰 휨 부모멘트에 의한 좌굴, 비틀림 등에 대한 저항효과의 경우 박스체 단면으로 저항되도록 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로서 도 3b의 경우에는 연결부재(300)의 전체길이가 다소 길게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접철부재(600)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강재빔(100)에는 도 2a에 의한 B-B 절단면도와 달리 접철부재(140)이 더 설치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역시 이러한 접철부재의 추가 설치는 가능하다.
도 2c의 경우에는 위에서 살펴본 도 2a 및 도 2b에 의한 강성증가부재(500)가 연결부재(300) 및 강재빔(100)의 하부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과 달리 특히 연결부재(300)의 하부플랜지(330)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강성증가부재(500)를 설치하는 이유는 강성증가부재(500)를 연결부재(300)와 강재빔(100)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서 소요의 층간 높이를 확보할 수 없을 경우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것이다.
즉, 연결부재(300)의 하부플랜지(330)의 상면에 강성증가부재로서 L형 앵글을 포함하는 접철부재(600)를 더 설치하게 된다.
설치상태를 보면 A-A 절단면도와 같이,
L형앵글을 포함하는 접철부재(600)를 연결부재(300) 하부플랜지 상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역시 연결부재(300) 하부플랜지 상부면과 L형앵글을 포함하는 접철부재(600)가 이루는 단면이 박스체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L형앵글을 포함하는 접철부재(60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610)에 의하여 조여 고정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강재빔(100)의 연결단부는 스티프너(150)에 의하여 보강되도록 하되, 연결부재(300)의 높이에 맞추어 덧댐판(410) 및 체결구(42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강재빔(100)의 상부플랜지(110)를 더 돌출되도록 하되, 하부플 랜지(130) 하면에 접속부재(160)를 더 형성시키는 방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부재(160)도 역시 강재빔(100)의 단면 강성증가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다.
도 2d의 경우에는 도 2c의 강성증가부재(500)를 변형시킨 예라 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300)의 하부플랜지(330)의 상면에 강성증가부재로서 L형 앵글이 아닌 ㄷ자 앵글인 접철부재(600)를 더 설치하게 된다.
설치상태를 보면 A-A 절단면도와 같이,
ㄷ자 앵글인 접철부재(600)를 연결부재(300) 하부플랜지 상면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상기 ㄷ자 앵글인 접철부재(600)를 종방향(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610)에 의하여 조여 고정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강재빔(100)의 연결단부도 스티프너(150)에 의하여 보강되도록 하되, 연결부재(300)의 높이에 맞추어 덧댐판(310) 및 체결구(32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강재빔(100)의 상부플랜지(110)를 더 돌출되도록 하되, 하부플랜지(130) 하면에 연결부재(160)를 더 형성시키는 방식을 취함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외측기둥의 연결부재(300)와 강재빔(100)에 강성증가부재(500)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지상주차장을 시공하게 되면,
도 3a와 같이 도 1a와 동일한 공간에 있어 내측기둥이 배제되어 상,하 16대씩의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지상주차장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 3b에 의하면 내측기둥이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보다 용이하게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지상주차장의 평면도 및 정면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강재빔, 연결부재와 외측기둥의 각 설치정면도, 절단면도 및 설시사시도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지상주차장의 평면도 및 정면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강재빔 110:강재빔의 상부플랜지
120:강재빔의 복부 130:강재빔의 하부플랜지
140:강재빔의 접철부재 150:스티프너
160:접속부재
200:외측기둥 300:연결부재
310:연결부재의 상부플랜지
320:연결부재의 복부 330:연결부재의 하부플랜지
410:덧댐판 420:체결구
510,520:강성증가부재
600:강성증가부재의 접철부재
P:주차공간 M:이동구간

Claims (7)

  1. 삭제
  2. 전체 높이가 8m이하로 시공되는 지상주차장을 구성하는 강재인 외측기둥 사이에 강재빔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측기둥(200)과 외측기둥(200) 사이에 연결부재(300)를 별도 이용하여 강재빔을 단면변화없이 그대로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외측기둥과 강재빔과의 연결부위에 발생하는 작용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 및 강재빔에 강성보강부재(500:510,520)를 더 설치하고, 상기 강성보강부재는 연결부재 및 강재빔의 복부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부재와 강재빔의 높이가 증가되도록 하는 역 T형 부재를 포함하는 단면부재로서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되,
    상기 강성증가부재에는 연결부재의 하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L형 앵글부재가 강성증가부재(5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여 연결부재의 하면에 박스체 단면의 접철부재(600)가 더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접철부재는 볼트 및 너트(610)가 관통되어 횡방향으로 조여져 고정되도록 하는 주차장 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증가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강재빔(100)의 단면강성증가를 위하여 앵글부재를 포함하는 접철부재(140)가 더 설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단면부재에도 앵글부재를 포함하는 접철부재가 추가로 더 포함되도록 하는 주차장 시공방법.
  4. 삭제
  5. 전체 높이가 8m이하로 시공되는 지상주차장을 구성하는 강재인 외측기둥 사이에 강재빔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측기둥(200)과 외측기둥(200) 사이에 연결부재(300)를 별도 이용하여 강재빔을 단면변화없이 그대로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외측기둥과 강재빔과의 연결부위에 발생하는 작용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 및 강재빔에 강성보강부재(500:510,520)를 더 설치하고,
    상기 강성보강부재는 연결부재의 강성이 증가하도록 L형 앵글부재를 포함하는 단면부재로서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면부재는 연결부재의 하부플랜지 상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L형 앵글부재가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여 연결부재의 하면에 박스체 단면의 접철부재(600)가 더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접철부재는 볼트 및 너트(610)가 관통되어 횡방향으로 조여져 고정되도록 하는 주차장 시공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증가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강재빔의 단면강성증가를 위하여 연결부재와 일체로 강재빔의 하부플랜지 하면에 접속부재(160)가 더 설치되도록 하는 주차장 시공방법.
KR1020080024720A 2008-03-18 2008-03-18 주차장 시공방법 KR100862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20A KR100862670B1 (ko) 2008-03-18 2008-03-18 주차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20A KR100862670B1 (ko) 2008-03-18 2008-03-18 주차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670B1 true KR100862670B1 (ko) 2008-10-10

Family

ID=4015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720A KR100862670B1 (ko) 2008-03-18 2008-03-18 주차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762B1 (ko) 2011-09-16 2012-06-18 오지영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KR102215144B1 (ko) * 2020-09-04 2021-02-10 태영강건(주) 강관과 콘크리트가 합성된 기둥과 강판슬리브 보강한 보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699A (ko) * 2001-11-23 2003-06-02 이연주 건물 철골 구조물 조립 구조 및 이에 적합한 방법
KR20030079993A (ko) * 2001-02-15 2003-10-10 이대준 관상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듈식건물조립체
KR100710583B1 (ko) * 2006-05-03 2007-04-24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Pc기둥과 철골보의 복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993A (ko) * 2001-02-15 2003-10-10 이대준 관상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듈식건물조립체
KR20030042699A (ko) * 2001-11-23 2003-06-02 이연주 건물 철골 구조물 조립 구조 및 이에 적합한 방법
KR100710583B1 (ko) * 2006-05-03 2007-04-24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Pc기둥과 철골보의 복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762B1 (ko) 2011-09-16 2012-06-18 오지영 장지간화 및 무주 주차를 위한 공작물
KR102215144B1 (ko) * 2020-09-04 2021-02-10 태영강건(주) 강관과 콘크리트가 합성된 기둥과 강판슬리브 보강한 보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575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장지간 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4460B1 (ko)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강재빔 및 그 시공방법
JP5316490B2 (ja) 鋼矢板地下壁構造
KR100722809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을 이용한교량 설치구조 및 교량시공방법
KR102161809B1 (ko) 가설교량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62670B1 (ko) 주차장 시공방법
JP2002070326A (ja) 鉄骨構造材の補強構造
KR100765719B1 (ko) 철골구조물용 가새의 보강구조
JP4696843B2 (ja) 合成梁構造
JP6660646B2 (ja) 鉄骨床版橋
JP5748642B2 (ja) 車落下防護柵
JP5661591B2 (ja) トレーラのフロントウォール
KR100921825B1 (ko)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KR20180012589A (ko) 리브펜스,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8144444A (ja) 防護柵支柱の補強構造及び防護柵支柱の補強方法
JP7087262B2 (ja) 構造物
KR20180118414A (ko) 강관 연결부를 구비한 터널식 방음벽
KR200446592Y1 (ko) 단면 강성이 보강된 장지간보
JP2012167462A (ja) 仕口部材とこれを用いた仕口構造、並びに鉄骨建築物
KR102254052B1 (ko) 단면 강성 보강용 장지간 보
JP2007039995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架構
JP4589789B2 (ja) 構造物及びその隅角部構造並びに柱構造
JP5851056B2 (ja) 車落下防護柵
US20190284793A1 (en) Slotted joist seat structure and methods of designing and building the structure
JP7263677B2 (ja) 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