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883B1 - On 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 - Google Patents

On 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883B1
KR101151883B1 KR1020100070281A KR20100070281A KR101151883B1 KR 101151883 B1 KR101151883 B1 KR 101151883B1 KR 1020100070281 A KR1020100070281 A KR 1020100070281A KR 20100070281 A KR20100070281 A KR 20100070281A KR 101151883 B1 KR101151883 B1 KR 10115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sound source
schedule
prov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2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9741A (en
Inventor
김지태
Original Assignee
김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태 filed Critical 김지태
Priority to KR102010007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883B1/en
Publication of KR2012000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7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883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적인 광고 노출을 대가로 무료 혹은 할인 방식으로 온라인 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음원과 시각적 광고를 제공하면서 시각적 광고의 노출을 보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가변적인 음원 재생 스케줄과 광고 제공 스케줄을 효과적으로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무료 혹은 할인된 수준으로 품질 저하나 청각적 방해가 없는 고품질 음원을 제공하면서도 광고 노출 보장에 의해 광고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온라인 방식으로 접속한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시각적 광고와 함께 제공하여 상기 음원 재생 시 광고가 함께 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음원 재생 시 주기적으로 사용자 화면과 제공되는 광고의 화면을 비교하여 상기 광고 화면이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노출되면 음원 재생을 일시 중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광고 영역만 노출시킨다면 사용자의 다른 작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음원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sound source in a free or discounted manner in exchange for visual advertisement exposure, guaranteeing the exposure of the visual advertisement while providing the sound source and the visual advertisement, By effectively matching the advertisement delivery schedul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advertiser by guaranteeing the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while providing the user with a free or discounted high quality sound without deterioration or auditory disturbance. In addition, by providing a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user connected to the online method together with the visual advertisement, the advertisement is exposed together when the sound source is played, and the advertisement is compared by periodically comparing the screen of the advertisement provided with the user screen when the sound source is played. When the screen is exposed below the preset level, the playback of the sound source is paused. If the user only exposes the corresponding advertising area, the sound source can be played without disturbing the user's other work,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have.

Description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On 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On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 {On 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적인 광고 노출을 대가로 무료 혹은 할인 방식으로 온라인 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sound source in a free or discount manner in exchange for visual advertisement exposure.

저작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동영상이나 음원을 포함하는 콘텐츠에 대한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시 및 검출 기술들이 등장하였고, 법적인 대응이 잦아지면서 동영상이나 음원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무단 사용이 많이 줄어들고 있으며, 그 결과 콘텐츠 이용을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As interest in copyright has increased, various surveillance and detection technologies have emerged to prevent unauthorized use of content containing video or sound recordings, and the use of content containing video and sound recordings has been greatly reduced due to frequent legal responses. As a result, it is common to pay a corresponding cost for using the content.

최근에는 다양한 콘텐츠 활용을 위한 여러 사업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콘텐츠 이용에 따른 적절한 비용을 청구하는 시스템, 소정의 비용으로 다양한 콘텐츠들을 일정 기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특정한 광고를 제공하는 대가로 소정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등이 대표적이다.In recent years, various business models have emerged to utilize various contents, such as a system that charges appropriate costs for using contents, a system that allows various contents to be used at a predetermined cos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predetermined contents in exchange for providing specific advertisements. Representative systems such as to enable the use of.

이 중에서 광고에 노출되는 대가로 소정의 콘텐츠나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들은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거나 혹은 서비스 중에 있는데, 그 중 대부분은 제공되는 콘텐츠나 서비스와 유사한 형태의 광고에 노출되는 대가로 해당 콘텐츠나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mong these, systems that provide free access to a given content or service in exchange for exposure to the advertisement are being presented in various forms or services, and most of them are exposed to advertisements similar to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ed. In return, the content or service can be used free of charge.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SMS나 MMS 광고를 수신하면 SMS나 MMS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거나, 동영상 콘텐츠 선택 시 해당 콘텐츠 재생 이전이나 이후에 동영상 광고를 시청하도록 하는 등의 방식이다.For example, when an SMS or MMS advertisement is receiv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MS or MMS advertisement can be used free of charge, or when a video content is selected, a video advertisement can be watched before or aft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played.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대부분 콘텐츠 혹은 서비스 제공 환경의 연장선상에서 유사한 형태를 가진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다.However, most of these methods provide advertisements having a similar form as an extension of the content or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최근 다양한 규제와 DRM 정책 등에 의해서 급격히 유료화된 음원의 경우, 타인이 유로로 설치하거나 배포하는 온라인 음원을 수동적으로 이용할 수는 있지만, 자신이 원하는 음원을 선택하여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곳은 많지 않다.Recently, in the case of music that has been rapidly paid due to various regulations and DRM policies, it is possible to manually use online music that others install or distribute in euros, but there are not many places where users can freely select their own music.

특히, 이러한 음원의 경우 그 제공 환경이 청각이라는 제한된 이용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광고를 삽입하여 그 대가로 무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ch a sound source, since the provision environment has a limited use environment of hearing,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the use of free advertisement in exchange for an advertisement.

예를 들어, 이용하고자 하는 대상이 동영상인 경우라면 동일한 환경으로 광고를 사전이나 사후에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되지만, 음원의 경우 동일한 환경으로 광고를 사전이나 사후에 삽입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광고도 청각적인 것으로 한정되어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삽입 가능한 광고의 수도 작고, 음원 이용 시마다 지속적으로 광고를 들어야 하는 이용자 입장에서는 해당 서비스 자체를 기피하게 되어 서비스 자체가 어렵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target audience is a video, you can use the method of providing the advertisement in the same environment before or after. However, in the case of sound recording, if you insert the advertisement in the same environment before or after the advertisement, In addition to being low in sound quality, the number of insertable advertisements is small, and the service itself is difficult to avoi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만일, 시각적인 광고를 음원 제공 시 제공하는 방식을 취한다 하더라도, 이용자가 원하는 것은 청각적인 음원으로 한정되므로 시각적인 광고를 노출시키지 않는 방식(예를 들어, 해당 서비스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하거나 다른 활성화된 창으로 가리는 방식)으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광고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그에 따라 광고주의 불만이 커지거나 광고에 대한 관심이 낮아져 서비스 제공에 따른 이윤 창출이 어렵게 된다.Even if the visual advertisement is provided when the sound source is provided, the user wants to be limited to the acoustic sound so that the visual advertisement is not exposed (for example, switching the service to a background state or other activation). This service can be used as a screen hidden in a closed window, thereby reducing the advertising effect. As a result, advertisers' dissatisfaction increases or interest in advertisements de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generate profits from providing services.

그 외에, 음원이 제공되는 시간 동안 광고를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할 경우 음원마다 그 재생 시간이 상이하여 역시 소정의 시간 동안 제공되는 광고와 정확히 매칭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음원에 따라 광고를 각각 매칭시키는 작업을 거치지 않을 경우 광고 중간에 음원 제공이 끝나거나, 불필요하게 광고가 반복되는 상황이 발생하기 쉬워 광고 효율이 낮아지며 광고비 정산이 어려워지게 된다.
In addition, when us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during the time that the sound source is provided, its playback time is different for each sound source, it is difficult to exactly match the advertisement provid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if the advertisement is not matched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the provision of the sound source is terminated in the middle of the advertisement or the situation is repeated unnecessarily, and thus the advertisement efficiency is lowered and it is difficult to settle the advertisement cost.

그에 따라 광고 시청을 대가로 이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음원을 제공하면서도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온라인 음원 제공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new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that can provide a sound source in the form desired by a user in exchange for watching an advertisement, while enhancing an advertisement effect.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온라인 방식으로 음원과 시각적 광고를 제공하면서 시각적 광고의 노출을 보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가변적인 음원 재생 스케줄과 광고 제공 스케줄을 효과적으로 매칭시켜 사용자의 불편 없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ensure the exposure of the visual advertisement while providing the sound source and the visual advertisement in an online manner, and to effectively match the variable sound playing schedule an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t is to provide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to enhance the advertising effect without inconvenience.

이를 위해 본 발명 실시예들은 온라인 방식으로 접속한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시각적 광고와 함께 제공하여 상기 음원 재생 시 광고가 함께 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음원 재생 시 주기적으로 사용자 화면과 제공되는 광고의 화면을 비교하여 상기 광고 화면이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노출되면 음원 재생을 일시 중단하도록 하여 청각적인 음원과 시각적 광고를 함께 제공하면서도 시각적 광고의 노출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o this e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ound source selected by a user connected to the online method with a visual advertisement so that the advertisement is exposed together when the sound source is played, and the user screen and the screen of the advertisement provided periodically during the sound source playback. Compared with the above, when the advertisement screen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the playback of the sound source is suspended so that both the audio source and the visual advertisement are provided together, while providing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that can guarantee the exposure of the visual advertisement. do.

또한, 본 발명 실시예들은 다양한 음원의 재생 시간과 음원 재생 시 제공되어야 하는 광고의 제공 시간을 고려하여 광고를 선정하고, 광고 제공 스케줄과 음원 재생 스케줄의 매칭을 위해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의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을 조정하여 광고와 음원을 효과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한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advertis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playback time of the various sound sources and the advertisement time to be provided at the time of playing the sound source, and the adjustable schedule of the sound source playback schedule to match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nd the sound source playback schedu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that effectively adjusts an area so that advertisements and sound sources can be effectively correspon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에 온라인 접속한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음원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면서 시각적 광고를 함께 제공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및 시각적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음원 재생과 함께 시각적 광고를 제공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와 연동하도록 상기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재생부의 음원 재생 시 기 설정된 타이밍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체 화면과 해당 시점에 상기 재생부에서 제공되는 시각적 광고 영상을 비교하여 해당 시점의 시각적 광고 영상의 노출 정도에 따라 상기 재생부의 음원 재생 여부나 상기 재생부의 강제 노출 여부를 결정하는 광고 노출 확인부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의 재생 스케줄에 따른 광고 제공 스케줄을 결정하며 상기 광고 제공 스케줄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과 광고 제공 스케줄 중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을 조정하여 상기 온라인 접속된 상기 재생부에 음원과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nline sound source that provides visual advertisements together with at least one sound source selected by a user connected to a service server through a user terminal. A system comprising: a playback unit operating in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sound source and visual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a visual advertisement together with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the playback unit, and compares the entir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with the visual advertisement image provided by the playback unit at a corresponding timing at a preset timing when the sound source is played back. An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play the sound source of the playback unit or whether to force the exposure of the playback unit; Determine an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ccording to a playing schedule of the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user, and adjust an adjustable schedule area among the sound source playing schedule an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to provide a sound source and an advertisement to the online connected playback unit; The service server is provided.

상기 재생부는 웹 브라우저, 온라인 접속 기능을 구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이며,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는 상기 재생부 내부에 구성되거나 연동 가능한 추가 구성 요소로서 상기 재생부 동작 시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playback unit may be an application or a widget having a web browser, an online access function, and the advertisement exposure confirming unit may be downloaded or installed when the playback unit is operated as an additional component that is configured or interoperable inside the playback unit.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는 기 설정된 타이밍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체 화면을 캡처하는 화면 캡처부와; 상기 타이밍에 상기 재생부가 제공하는 광고 영상을 획득하는 광고 영상 획득부와; 상기 광고 영상 획득부의 광고 영상과 상기 화면 캡처부가 캡처한 단말의 전체 화면을 비교하여 상기 광고 영상이 노출된 정도를 판단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재생부에 음원 재생 혹은 일시 정지를 요청하거나, 상기 재생부를 강제 노출시키는 광고 노출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unit comprises: a screen capture unit which captures the entir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a preset timing; An advertisement image acquisition unit obtaining an advertisement image provided by the playback unit at the timing; Compare the advertisement image of the advertisement image acquisition unit with the entire screen of the terminal captured by the screen capture unit to determine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image, and request playback or pause of the sound source to the playback unit, or according to the result. It may be made including an advertisement exposure determination unit for forcibly exposing the wealth.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원과 음원의 선택 순서 및 재생 방식에 따른 음원 재생 스케줄과 사용자의 재생 조작 정보에 따라 음원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설정된 광고 제공 스케줄로 광고를 제공하는 음원 서비스 제공부와;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의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 및 사용자의 음원 재생 조작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 정보 관리부와; 개별 광고에 대한 우선 순위와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광고 정보와 각 광고에 따른 광고 노출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 정보 관리부와; 상기 음원 정보 관리부가 제공하는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의 재생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가 제공하는 광고를 매칭시켜 광고 제공 스케줄을 생성하여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며, 상기 광고 제공 스케줄에 따른 광고 노출 정보를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에 제공하는 광고 스케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rvice server provides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 sound source playback schedule and a user's playback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or more sound sources selected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a selection order and a playback method of the sound source, and provides an advertisement with an advertisement provision schedule set accordingly. A service provider; A sound 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extracting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unit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advertisement information including priority and play time for individual advertisements and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for each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advertisement provided by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generate an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nd provide it to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er,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nd an advertisement scheduler for providing the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은 음원과 시각적 광고를 제공하면서 시각적 광고의 노출을 보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가변적인 음원 재생 스케줄과 광고 제공 스케줄을 효과적으로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무료 혹은 할인된 수준으로 품질 저하나 청각적 방해가 없는 고품질 음원을 제공하면서도 광고 노출 보장에 의해 광고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The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uarantees the exposure of the visual advertisement while providing the sound source and the visual advertisement, and freely or discounts the level to the user by effectively matching the variable sound play schedule an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y providing a high-quality sound source without deterioration or auditory disturbanc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advertisers by guaranteeing the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 방식으로 접속한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시각적 광고와 함께 제공하여 상기 음원 재생 시 광고가 함께 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음원 재생 시 주기적으로 사용자 화면과 제공되는 광고의 화면을 비교하여 상기 광고 화면이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노출되면 음원 재생을 일시 중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광고 영역만 노출시킨다면 사용자의 다른 작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음원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The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source selected by a user connected through an online method together with a visual advertisement so that the advertisement is exposed together when the sound source is played, and the user screen is periodically provided when the sound source is played. By comparing the screens of the advertisements, if the advertisement screen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the playback of the sound source is paused. One effect is to increase your satisfaction.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음원의 재생 시간과 음원 재생 시 제공되어야 하는 광고의 제공 시간을 고려하여 광고를 선정하고, 광고 제공 스케줄과 음원 재생 스케줄의 매칭을 위해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 중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을 조정하여 광고와 음원을 효과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원 선택이나 재생 중 조작 등을 허용하여 원활한 음원 제공이 가능하면서도 효율적인 광고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 advertisement in consideration of a play time of various sound sources and an advertisement time to be provided at the time of playing a sound source, and the sound source playing schedule for matching an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with a sound source playing schedu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tch the advertisement and the sound source by adjusting the adjustable schedule area,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he sound source or the operation during playback, thereby providing a smooth sound source and effective advertisement expos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및 음원 제공를 위한 재생부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노출 확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노출 확인부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스케줄 및 광고 스케줄의 예.
1 is an example of a playback unit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and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playbac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n advertisement exposure confi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advertisement exposure confi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sound source schedule and an advertisement sche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및 음원 제공을 위한 재생부(10)의 예로서, 도시한 예는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되는 재생부(10)의 예를 보인 것이다. 물론, 웹 브라우저 형태가 아닌 위젯이나 온라인 접속 기능을 구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스마트폰이나 피처폰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개인용 컴퓨터(PC) 등에서 동작되는 프로그램을 포함)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rst, FIG. 1 is an example of a playback unit 10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and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llustrated example is a playback unit 10 provided through a web browser operated in various types of user terminals. An example of this is shown. Of course, it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edicated application (including an application running on a smartphone or a feature phone or a program running on a personal computer (PC)) having a widget or an online connection function rather than a web browser. to be.

상기 재생부(10)는 기본적으로 온라인 접속한 서비스 서버로부터 음원과 광고를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하며, 이를 위해 광고가 제공되는 광고 제공 영역(11)과 음원 재생을 위한 음원 재생 영역(12)을 포함하며, 상기 음원 재생 영역(12)은 재생 조작이나 음원 선택이 가능한 일반적인 음원 재생기의 구성과 유사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음원 재생 영역(12)의 재생 조작 중에서 음원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은 대응되는 광고에 따라 광고 단위로만 재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layback unit 10 basically receives and plays a sound source and an advertisement from a service server connected online by downloading or streaming, and for this purpose, an advertisement providing region 11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and a sound source reproduction region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 12), the sound source playback area 12 may be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sound source player capable of a playback operation or a sound source selection. Meanwhile, if necessary,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sound source playback position during the playback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playback area 12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playback position only in the advertisement uni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나 해당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을 선택하고, 해당 음원을 순차적 혹은 랜덤 방식으로 재생하도록 하는 일반적인 음원 선택 및 재생 방식의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The user may access a service server or a web site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select one or more sound sources, and select a general sound source and a reproduction method to play the sound sources sequentially or randoml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용 PC(20)나 휴대용 단말(30)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접속 가능 단말로서, 상기 설명한 재생부(10)의 구성 및 동작이 가능한 모든 단말과, 통신망(40)을 통해 접속한 상기 단말에 선택된 음원과 광고를 사용자 선택에 따른 음원 제생 스케줄을 기반으로 광고와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50)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50)는 그 내외부에 음원 데이터베이스(51)와 광고 데이터베이스(52)를 구성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various types of online connectable terminals including a personal PC 20 or a portable terminal 30 are described. The service server 50 which provides all the terminals capable of configuring and operating the unit 10 and the sound source and the advertisement selected to the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together with the advertisement based on the sound source control sche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t includes. The service server 50 may configure a sound source database 51 and an advertisement database 52 inside and outside thereof.

사용자는 상기 온라인 접속 단말(20, 30)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50)에 접속하여 원하는 음원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음원 재생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50)는 상기 음원 재생 리스트 상의 음원을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51)로부터 추출하여 스트리밍 방식 혹은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하면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52)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 리스트에 따라 스케줄링된 광고를 스트리밍 혹은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과 광고 제공 스케줄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접속 단말(20, 30)에서 동작하는 재생부는 상기 서비스 서버(50)가 제공하는 음원과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A user may access the service server 50 using the online access terminals 20 and 30 to select one or more desired sound sources to generate a sound source playlist, and the service server 50 may generate the sound source playlist. While the sound source is extracted from the sound source database 51 and provided in a streaming or download manner, the advertisement database 52 provides an advertisement scheduled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playlist in a streaming or download manner. In this case, the sound source playback schedule and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information may be used. The playback unit operating in the online access terminals 20 and 30 provides a sound source and an advertisement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50 to the user.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재생부의 재생 시 광고의 노출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광고를 노출시키지 않을 경우 음원 제공을 중단하도록 하여 광고의 노출을 유도하며, 상기 음원 제공 스케줄과 광고 제공 스케줄을 적절하게 매칭시켜 사용자의 관심이 높은 음원 전환 시점에서 새로운 광고가 시작하도록 하는 등의 적절한 광고 제공이 가능하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dvertisement is not exposed when playing the playback unit, the user stops providing the sound source when the user does not expose the advertisement to induce the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schedule an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Proper matching can be provided such that a new advertisement starts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sound source of high interest to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부의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부(25)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와 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의 재생 조작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전달하여 음원 재생 스케줄과 광고 제공 스케줄을 조절하도록 하는 광고 및 음원 제공부(60)와, 상기 광고 및 음원 제공부(60)에 연동되도록 상기 재생부(25) 내부에 구성되거나 혹은 별도로 구성되는 광고 노출 확인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70)는 상기 재생부(25)의 동작에 따라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ActiveX 형태의 부가 기능부로 구성될 수 있고, 별도로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재생부(25) 동작 시에만 연동되는 추가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위젯 등 온라인 연결을 통해 상기 재생부(25)의 필요에 따라 추가 설치되는 모든 종류의 구성을 포괄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playbac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layback unit 25 provides an advertisement and a sound source provided from a service server to a user, and provides the user's playback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Advertisement an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60 and the advertisement or sound source providing unit 60 and the advertisement or sound source providing unit 60 to be connected to the advertisement an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60 to be configured or separately configured in the playback unit 25 The exposure check unit 70 is formed. 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unit 70 may be configured as an add-on function of an ActiveX type that is downloaded and install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ayback unit 25, and is separately downloaded and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o operate the playback unit 25. It may be an additional program linked only with, the form may include all kinds of configuration that is additional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playback unit 25 through an online connection such as an application or a widget.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70)는 도 4에 도시한 구성예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온라인 접속 단말의 화면 전체를 캡처하는 화면 캡처부(71)와, 상기 화면 캡처부(71)가 화면을 캡처하는 시점에서 상기 재생부(25)의 광고 제공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 영상을 획득하는 광고 영상 획득부(72)와, 상기 화면 캡처부(71)에서 캡처된 전체 단말 화면에서 상기 광고 영상 획득부(72)가 획득하는 광고 제공 영역의 광고 영상이 노출된 정도를 파악하여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광고 및 음원 제공부(60)에 음원 재생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고,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광고 및 음원 제공부(60)에 음원 재생을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광고 노출 판단부(7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광고 노출 판단부(73)는 상기 음원 재생 중단이나 유지 요청을 상기 광고 및 음원 제공부(60)에 전달하는 대신, 노출 광고 영상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가 소정 시간 유지될 경우 상기 재생부(25)를 강제적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The advertisement exposure confirmation unit 7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shown in FIG. 4, wherein the screen capture unit 71 captures the entire screen of the online access terminal, and the screen capture unit 71 displays the screen. Acquisition of the advertisement image from the advertisement image acquisition unit 72 for acquiring the advertisement image provided through the advertisement providing area of the playback unit 25 and the entire terminal screen captured by the screen capture unit 71 at the time of capturing. When the advertisement image of the advertisement providing area acquired by the unit 72 is detected and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advertisement an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60 is requested to stop playing the sound source, and when the threshold value is exceeded, the advertisement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60 includes an advertisement exposure determining unit 73 that requests to maintain sound source reproduction. On the other hand, the advertisement exposure determination unit 73 instead of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top or maintenance request to the advertisement an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60, if the exposure advertisement imag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layback unit ( 25 may be forcibly expo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광고 노출 확인부(70)에서 실제 화면 영상을 기반으로 광고 노출을 판단하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advertisement exposure based on the actual screen image by 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unit 70 as described above is used.

일반적으로 운영체제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재생부(25)의 활성화 여부는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게 될 경우 현재 재생부(25)가 실행중인지, 활성화되었는 지 여부만 파악할 수 있어 부정확하거나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을 심하게 제한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재생부가 실행 중이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하면서 해당 작업창으로 상기 재생부를 가릴 수 있으며, 재생부가 활성화되었는 지 확인하도록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하게 될 경우 활성화되는 창이 달라지므로 그에 따라 음원 재생을 중단할 경우 음원 재생 중에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전혀 할 수 없게 된다.In general,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playback unit 25 is activated through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of the operating system. However, if such a method is used, only the current playback unit 25 is running or activated. Inaccurate or severely limit the user's use of the terminal can not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ven if the playback unit is running, the user can cover the playback unit with the work window while doing other work, and if the user wants to check whether the playback unit is activated, the window that is activated when the user does other work changes. As a result, when the playback of the sound source is stopped, the user may not perform any other operations at all during the playback of the sound sourc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재생부(25)를 통해 음원을 제공 받는 경우 광고가 일정 수준 이상 노출되기만 하면 사용자가 어떠한 다른 작업을 하더라도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확실한 광고 노출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playback unit 25, if the advertisement is expos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the user does not interfere with any other work so as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while ensuring a certain advertisement. Ensure exposure is guaranteed.

상기 화면 캡처부(71)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의 종류에 무관하게 해당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화면의 하드캡처 기능을 활용하므로 그 구현이 용이하고 실행에 따른 부담이 작다. 또한, 이는 사용자가 단말의 멀티태스킹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실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화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멀티 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모든 스크린에 대한 화면을 단일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하드캡처를 위해서 클립보드의 내용을 백업하고, 상기 하드캡처 기능을 활용한 후 클립보드의 내용을 기존 백업된 내용으로 채우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혹은 해당 하드캡처 시 운영체제의 클립보드를 이용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Since the screen capture unit 71 utilizes a hard capture function of a screen provided by a corresponding operating system regardless of the type of a terminal used by a user, the screen capture unit 71 is easy to implement and the burden of execution is small.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uses the multitasking function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obtain information on the screen visually confirmed by the actual user, and even when using the multi-screen, all screens can be obtained as a single image. . Since the user can use the clipboard, the contents of the clipboard can be backed up for such a hard capture, and the contents of the clipboard can be filled with the existing backup contents after utilizing the hard capture function. Alternatively, the hard capture may not use the operating system clipboard.

상기 광고 영상 획득부(72)는 상기 재생부(25)에 대한 정보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작업 역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70)가 상기 재생부(25)의 내부에 구성되는 경우라면 광고를 광고 제공 영역으로 제공하는 중에 특정 시점의 영상을 별도로 획득하도록 하면되고,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70)가 상기 재생부(25)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70)가 상기 재생부(25)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창이나 어플리케이션 정보, 광고 제공 영역의 위치와 크기 등)를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해당 광고 제공 영역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ince the advertisement image acquisition unit 72 already knows the information about the reproduction unit 25, an operation for acquiring an image thereof may also be easily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unit 70 is configured inside the playback unit 25, an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unit may be separately obtained while providing an advertisement to the advertisement providing area. Even if 70 is configured as a separate application from the playback unit 25, 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unit 70 may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window or application information, location of an advertisement providing area) of the playback unit 25. And size, etc.),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obtain the image of the advertisement providing area.

상기 광고 노출 판단부(73)는 상기 광고 영상 획득부(72)의 영상이 상기 화면 캡처부(71)에서 캡처된 영상에 얼마나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며, 이는 영상을 직접 비교하는 방식,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들만을 비교하는 방식, 해쉬를 연산하여 해쉬값을 비교하는 방식 등과 같이 영상을 비교하는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식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실시할 수 있다. 최근의 고성능 주제어기를 구비한 단말에서는 이러한 영상 비교 정도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광고 노출 확인에 따른 리소스 문제나 연산량 문제는 미미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exposure determination unit 73 checks how much the image of the advertisement image acquisition unit 72 is included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screen capture unit 71, which directly compares the im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It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reliably by using any known method for comparing images, such as a method of extracting and comparing only features, a method of calculating a hash, and comparing a hash value.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recent high-performance master controller, such an image comparison degree may be performed without causing inconvenience to a user, and thus a resource problem or a computational problem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 may be insignificant.

따라서, 위와 같은 방식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광고를 노출하지 않으면서 음원을 재생하도록 하는 모든 우회(예를 들어, 광고 노출관련 기능을 해킹하는 등의 행위)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광고 노출 여부를 신뢰성 있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you use the above method, you can reliably block the possibility of any bypass (for example, hacking the function related to ad exposure) by allowing the user to play the sound source without exposing the advertisement. To ensure that the

한편, 상기 제공되는 광고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해당 광고에 연결된 링크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서 수집하여 광고비 정산 등에 활용한다. 이 경우 음원 재생은 일시 중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selects the provided advertisement, a link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may be activated,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is collected by the service server and used to calculate the advertisement cost. In this case, sound source reproduction may be suspended.

도 5는 광고 노출 확인부의 동작 예를 보인 개념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캡처부(71)에서 캡처한 화면 영상(81)과 해당 시점의 광고 제공 영역의 영상을 획득한 광고 영상 획득부(72)의 획득 영상(82)을 광고 노출 판단부(73)가 비교하여 비록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다른 창이 상기 재생부의 일부를 가리더라도 광고 제공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의 약 90%가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음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며, 그 이하가 된다면 음원 제공을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광고 노출을 요청하는 음성, 문자, 그림 등의 다양한 알람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광고를 노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혹은 음원 제공을 중단하지 않고 소정 시간 후 상기 재생부(25)를 자동적으로 활성화 시켜 노출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즈 기반의 운영체제인 경우 상기 재생부(25)에 대응하는 창을 활성화시켜 노출 우선 순위를 최고로 설정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n advertisement exposure checker. As shown in FIG. 5, the advertisement image acquisition unit 72 acquires the screen image 81 captured by the screen capture unit 71 and the image of the advertisement providing region a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The advertisement exposure determining unit 73 compares the acquired image 8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ven though another window used by the user covers a part of the playback unit, about 90% of the advertisements provided through the advertisement providing area are exposed. If it is to continue to provide the sound source, if less than that can stop the sound source and provide a variety of alarms, such as voice, text, picture, etc. to request the user to advertise the user can b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Alternatively, the playback unit 25 may be automatically activ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interruption of the sound sour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indows-based operating system, a method of activating a window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unit 25 to set the exposure priority to the highest may be used.

이러한 광고 노출 확인 동작은 기 설정된 타이밍에 따라 실시될 수 있는데, 주기적으로 실시되거나 비주기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실시되거나 음원 재생 시간을 일정하게 나누어 각 시점마다 실시하는 등 광고 노출 확인 동작은 단말 리소스에 부담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타이밍으로 실시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timing, and may be perform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For example, 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various times, such as when the advertisement is switched or when the sound source playing time is regularly divided and performed at each tim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90)의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온라인 단말 접속 시 제공되는 서비스 서버나 혹은 해당 서비스 서버에 연동되는 웹서버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음원과 음원의 선택 순서 및 재생 방식에 따른 음원 재생 스케줄과 사용자의 재생 조작 정보에 따라 음원 데이터베이스(95)의 음원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설정된 광고 제공 스케줄로 광고를 제공하는 음원 서비스 제공부(91)와,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91)의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 및 사용자의 음원 재생 조작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 정보 관리부(93)와, 광고 데이터베이스(96)와 연동하여 개별 광고에 대한 우선 순위와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광고 정보와 각 광고에 따른 광고 노출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 정보 관리부(94)와, 상기 음원 정보 관리부(93)가 제공하는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의 재생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94)가 제공하는 광고를 매칭시켜 광고 제공 스케줄을 생성하여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91)에 제공하며, 상기 광고 제공 스케줄에 따른 광고 노출 정보를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에 제공하는 광고 스케줄부(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server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an interface provided by a service server provided when a user connects to an online terminal or a web server linked to the service server (not shown) Provides the sound source of the sound source database 95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playback schedule and the user's playback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or more sound sources and the selection order of the sound source and the playback method selected through the), and provides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set accordingly. A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unit 91, a sound source information managing unit 93 for extracting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unit 91, and a user's sound source reproduc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an advertisement database 96 Ad information management, inclu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including priority and duration for ads, and ad impressions for each ad. And the advertisement provided by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94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93 and the reproduction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reby generating an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It is provided to the providing unit 91, and comprises an advertisement scheduler 92 for providing the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91)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음원 리스트 및 음원 재생 방식(순차, 랜덤 등)에 따라 음원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스케줄을 만들어 해당 스케줄에 따라 음원을 스트리밍하며, 사용자 단말의 재생부를 통해 사용자가 다른 음원을 선택하거나 음원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재생 조작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면 그에 따라 음원 제공 스케줄을 변경하여 음원을 스트리밍하는 기본적인 음원 스트리밍 기능에 상기 광고 스케줄부(92)에서 제공하는 광고 제공 스케줄에 따른 광고를 재생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일반적인 음원 스트리밍 기능에 광고를 함께 제공하는 기능만 추가하면 되므로 그 구성이 용이하며, 기존 구성에 대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unit 91 basically creates a schedule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in a streaming method according to a sound source list and a sound source reproduction method (sequential, random, etc.) designated by the user, and streams th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chedule. When the user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playback operation such as selecting a different sound source or changing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playback unit of the advertisement scheduler 92 to the basic sound source streaming function of changing the sound source providing schedule and streaming the sound source accordingly. ) Is a function that provides advertisement to the play part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provision schedule provided by), and it is easy to configure because only the function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is added to a general sound source streaming function, and the variation of the existing configuration is minimized. can do.

상기 음원 정보 관리부(93)는 상기 광고 스케줄부(92)가 음원 스케줄에 따른 광고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제공되는 음원과 광고 스케줄의 변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음원 서비스 제공부(91)의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 및 사용자의 음원 재생 조작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음원 서비스 제공부(91)나 상기 광고 스케줄부(92) 중 하나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93 needs to provide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schedule, so that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unit 91 can grasp the change of the currently provided sound source and the advertisement schedule. And extra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is may be included in either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er 91 or the advertisement scheduler 92.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94)는 노출 대상 광고들에 대해서, 광고의 재생 시간과 함께 광고에 대한 비용, 광고주 요청,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도, 서비스 제공자 지정 등에 따라 설정된 우선 순위를 변경 및 확인하여 광고 스케줄부(92)에서 광고 제공 스케줄링 시 참조되도록 하며, 광고 제공 스케줄의 수행 여부에 따라 광고 노출 정보를 확인하여 광고비 정산을 위해 광고별 노출 정보를 관리한다.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94 changes and checks the priority set according to the exposure time of the advertisement, the priority set according to the cost of the advertisement, the advertiser request, the matching degree to the user, service provider designation, and the like, for the advertisements to be exposed. The unit 92 is referred to when scheduling an advertisement providing, and the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is checked according to whether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is performed, and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for each advertisement is managed for the advertisement cost settlement.

상기 광고 우선 순위는 광고비, 광고주의 요청(광고 기간, 광고 시간, 음원 종류 등), 특정 음원에 대한 특정 광고의 선택성(광고주가 특정 음원을 지정하는 경우) 등과 같은 광고주가 지정하는 우선순위가 있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광고 타게팅 방식에 의해서 결정되는 개인화에 따른 우선 순위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광고 타게팅 방식은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지역, 이용 시간대, 과거 이력, 사용자가 속하는 카테고리의 선호도 등과 같은 개인적 성향에 맞는 광고를 선별 제공하여 광고 효율을 높이는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서비스 제공자가 지정하는 우선 순위(최근 동향, 특정 기간 동안 집중해야 하는 광고에 대한 설정 등)도 함께 이용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priority may be a priority assigned by an advertiser such as an advertisement fee, an advertiser's request (ad duration, advertisement time, sound source type, etc.), selectivity of a specific advertisement for a specific sound source (when the advertiser specifies a specific sound source), and the like. In addition, priority may be considered according to personalization determined by a generally known advertisement targeting method. The advertisement targeting method may include various methods of increasing advertisement efficiency by selectively provid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personal tendencies such as gender, age, region, time of use, past history, preference of a category to which the user belongs, and the like. In addition, priorities specified by the service provider (such as recent trends and settings for advertisements that need to be foc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also be used.

상기 광고 스케줄부(92)는 기본적으로,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91)에서 제공되는 음원 재생 스케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광고 중 재생 시간이 적당한 광고를 선정하여 하나의 음원에 대해 복수의 광고가 포함되도록 광고 제공 스케줄을 결정하여 해당 광고 제공 스케줄 정보와 광고를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91)에 전달하여 음원과 광고가 재생부에 전달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광고 스케줄에 따라 광고가 노출된 것으로 확인된 광고 노출 정보를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94)에 제공하여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94)가 정산에 필요한 광고 노출 정보를 누적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음원 재생 중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음원 스케줄이 변화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음원 정보 관리부(93)를 통해 수신하여 그에 따라 상기 생성했던 광고 제공 스케줄을 새로운 음원 제공 스케줄에 따라 재구성한다.The advertisement scheduler 92 basically selects an advertisement having a proper play time among advertisements having a high priority according to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unit 91, and thus, a plurality of advertisements for one sound source may be selected. Determining an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to be included to deliver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to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unit 91 to be delivered to the playback unit, and the advertisement is exposed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schedule. The confirmed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r 94 so that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r 94 can accumulate and manage the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required for settlement. In addition, when a sound source schedule is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during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anager 93 and accordingly, the generated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is reconfigured according to a new sound source providing schedu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광고 스케줄부(92)는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의 음원 제공 시작 및 종료, 그리고 음원 전환시 삽입되는 지연 시간 영역을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으로 간주하여 상기 광고 제공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의 지연 시간 영역을 조정한 후 이를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91)에 광고 제공 스케줄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고 스케줄부(92)는 광고 효과가 큰 음원의 시작 시 새로운 광고가 시작 되도록 광고 스케줄을 생성하며, 해당 광고는 광고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원 시작 시 제공되는 광고와 음원 중간에 제공되는 광고의 광고비를 다르게 설정하는 방식의 광고 차별화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ertisement scheduler 92 regards the start and end of sound source providing schedule of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delay time region inserted when the sound source is switched as the adjustable schedule region, an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lay time region of the sound source playing schedule information may be adjusted and then provided to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er 91 together with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dvertisement scheduler 92 generates an advertisement schedule such that a new advertisement starts at the start of a sound source having a large advertising effect, and the advertisemen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priority. This enables differentiation of advertisements by setting different advertising costs for advertisements provided at the start of the sound source and advertisements provided between the sound sources.

음원을 제공하면서 광고를 음원과 동기화시키지 않고 무작위로 제공하게 되면 광고의 효율이 낮아지고 광고 효과의 판단 역시 신뢰성이 낮아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광고 스케줄부(92)는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을 조정하여 적어도 음원 전환 시 제공 중인 광고가 완전하게 제공되도록 하며, 새로운 음원 재생 시에는 새로운 광고가 제공되도록 광고 제공 스케줄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의 조정 가능 범위(예를 들어, 3초 이내)를 고려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광고들을 우선 선정한 후 해당 음원 재생 시간 중 남은 광고 제공 스케줄은 재생 시간이 적당한 광고를 선택하여 채우는 방식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남은 시간에 적합한 광고가 없을 경우 해당 서비스 서버 관리사의 광고나 더미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If the advertisement is randomly provided without providing a sound source and is not synchronized with the sound source, the efficiency of the advertisement is lowered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advertisement effect is also less reliable. Therefore, the advertisement scheduler 92 adjusts the adjustable schedule area at least. Advertisement to be provided is provided completely when switching to the sound source, and when the new sound source is created to provide a schedule for advertisement advertising. For example, the high priority advertisements are first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djustable range of the adjustable schedule area (for example, within 3 seconds), and the remaining advertisement provision schedule of the sound source playing time selects an advertisement having a suitable playing time. Can be a way of filling. In some cases, if there is no advertisement for the remaining time, the advertisement may be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manager or a dummy image.

도 7은 상기 광고 스케줄부(92)에서 음원 제공 스케줄에 따라 광고 제공 스케줄을 생성한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음원들이 제공되는 스케줄에서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d1~d4)은 광고들(a~l)에 따라 약간씩 조정되어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들의 조정에 따라 복수의 광고들은 각각의 음원에 따라 적절하게 매칭될 수 있어 광고 재생이 중단되거나 음원과 무관하게 재생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광고 효과가 높은 음원의 시작 시 광고도 같이 시작하도록 하여 관심을 높이도록 하고 광고 효과가 높은 음원의 종료 시에도 광고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 모든 광고가 신뢰성 있게 제공되도록 한다.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dvertisement schedule is generated by the advertisement scheduler 92 according to a music source providing schedule. As shown in FIG. It can be seen that the configuration is adjusted slightly according to (a ~ l).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adjustable schedule areas, a plurality of advertisements can be appropriately matched to each sound source, thereby preventing the advertisement from being interrupted or being played independently of the sound source, and at the start of a sound source having a high advertising effect. Advertisements should also be started together to increase interest and ensure that all advertisements are provided reliably by not interrupting the advertisement even at the end of a high-sounding sound source.

한편, 광고 제공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자가 재생 중 조작을 실시할 경우, 제공중인 광고가 완료된 이후 조작에 따른 전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광고자에 대한 광고 제공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 제공된 광고의 재생 상태를 반영하여 일정 수준 이하로 재생된 광고(예를 들어 광고 재생 시간 중 10% 이하)라면 해당 광고 제공을 취소하고 바로 조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원을 전환하면서 원하는 음원을 찾는 경우나 음원 중 일정 영역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편의를 높이기 위한 방편).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erforms the operation during the playback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dvertisement provision, it is possible to switch according to the operation after the advertisement being provided is completed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dvertisement provision for the advertiser), If the advertisement is played below a certain level (for example, 10% or less of the duration of the advertisement) by reflecting the playing state of the advertisement, the advertisement may be canceled and the user may be able to immediately respond to the manipulation (for example, the user may play a sound source). If you want to find the sound source you want to switch to, or if you want to move to a certain area of the sound source, this is for your convenien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재생부 11: 광고 제공 영역
12: 음원 재생 영역 50: 서비스 서버
60: 광고 및 음원 제공부 70: 광고 노출 확인부
90: 서비스 서버 91: 음원 서비스 제공부
92: 광고 스케줄부 93: 음원 정보 관리부
94: 광고 정보 관리부
10: play unit 11: advertisement providing area
12: sound source playback area 50: service server
60: advertising and sound recording provider 70: ad impression check unit
90: service server 91: sound source service provider
92: advertisement schedule unit 93: sound 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94: advertis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laims (9)

서비스 서버에 온라인 접속한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음원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면서 시각적 광고를 함께 제공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및 시각적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음원 재생과 함께 시각적 광고를 제공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와 연동하도록 상기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재생부의 음원 재생 시 기 설정된 타이밍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체 화면과 해당 시점에 상기 재생부에서 제공되는 시각적 광고 영상을 비교하여 해당 시점의 시각적 광고 영상의 노출 정도에 따라 상기 재생부의 음원 재생 여부나 상기 재생부의 강제 노출 여부를 결정하는 광고 노출 확인부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의 재생 스케줄에 따른 광고 제공 스케줄을 결정하며 상기 광고 제공 스케줄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과 광고 제공 스케줄 중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을 조정하여 상기 온라인 접속된 상기 재생부에 음원과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원과 음원의 선택 순서 및 재생 방식에 따른 음원 재생 스케줄과 사용자의 재생 조작 정보에 따라 음원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설정된 광고 제공 스케줄로 광고를 제공하는 음원 서비스 제공부와;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의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 및 사용자의 음원 재생 조작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 정보 관리부와;
개별 광고에 대한 우선 순위와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광고 정보와 각 광고에 따른 광고 노출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 정보 관리부와;
상기 음원 정보 관리부가 제공하는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의 재생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가 제공하는 광고를 매칭시켜 광고 제공 스케줄을 생성하여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에 제공하며, 상기 광고 제공 스케줄에 따른 광고 노출 정보를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에 제공하는 광고 스케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visual advertisements together with at least one sound source selected by a user who is connected to a service server through a user terminal.
A playback unit which operates in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a sound source and visual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provides a visual advertisement together with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the playback unit, and compares the entir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with the visual advertisement image provided by the playback unit at a corresponding timing at a preset timing when the sound source is played back. An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play the sound source of the playback unit or whether to force the exposure of the playback unit;
Determine an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ccording to a playing schedule of the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user, and adjust an adjustable schedule area among the sound source playing schedule an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to provide a sound source and an advertisement to the online connected playback unit; Include service servers provided,
A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 sound source playing schedule and a user's 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or more sound sources selected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a selection order and a playing method of the sound source, and an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set accordingly; ;
A sound 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extracting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unit and sound source reproduction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advertisement information including priority and play time for individual advertisements and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for each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advertisement provided by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generate an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nd provide it to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er,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And an advertisement scheduler for providing the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웹 브라우저, 온라인 접속 기능을 구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이며,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는 상기 재생부 내부에 구성되거나 연동 가능한 추가 구성 요소로서 상기 재생부 동작 시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yback unit is a web browser, an application or a widget having an online connection function, and 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ing unit is an additional component that is configured or interworked in the playback unit and is downloaded and installed when the playback unit is operated.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는
기 설정된 타이밍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체 화면을 캡처하는 화면 캡처부와;
상기 타이밍에 상기 재생부가 제공하는 광고 영상을 획득하는 광고 영상 획득부와;
상기 광고 영상 획득부의 광고 영상과 상기 화면 캡처부가 캡처한 단말의 전체 화면을 비교하여 상기 광고 영상이 노출된 정도를 판단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재생부에 음원 재생 혹은 일시 정지를 요청하거나, 상기 재생부를 강제 노출시키는 광고 노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vertisement exposure check unit
A screen capture unit which captures an entir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a preset timing;
An advertisement image acquisition unit obtaining an advertisement image provided by the playback unit at the timing;
Compare the advertisement image of the advertisement image acquisition unit with the entire screen of the terminal captured by the screen capture unit to determine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image, and request playback or pause of the sound source to the playback unit, or according to the result.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n advertisement exposure determination unit for forcibly exposing the weal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노출 확인부는 시각적 광고 영상의 노출 정보가 기 설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 영상 노출을 요청하는 알람을 출력하거나, 소정 시간 후 상기 재생부의 노출 순위를 높여 강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
The online display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advertisement exposure confirming unit outputs an alarm requesting the image exposure when the exposure information of the visual advertisement imag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or increases the exposure order of the playback un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to force the exposur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스케줄부는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의 음원 제공 시작 및 종료, 그리고 음원 전환시 삽입되는 지연 시간 영역을 조정 가능한 스케줄 영역으로 간주하여 상기 광고 제공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 정보의 지연 시간 영역을 조정한 후 상기 음원 서비스 제공부에 광고 제공 스케줄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vertising scheduler regards the sound source playback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information by considering the start time and end of the sound source providing of the sound source playing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delay time area inserted when switching the sound source as an adjustable schedule area. After adjusting the delay time of the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service provid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고 스케줄부는 음원의 시작 시 새로운 광고가 시작 되도록 광고 제공 스케줄을 생성하며, 상기 새로운 광고는 광고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advertisement scheduler generates an advertisement providing schedule so that a new advertisement starts at the start of a sound source, and the new advertisem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advertisement prior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스케줄부는 상기 사용자의 재생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 스케줄이 변경되는 경우 새로운 광고 제공 스케줄을 생성하며, 이전에 생성된 광고 제공 스케줄에 따라 기 노출된 광고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고 정보 관리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
The advertisement scheduler of claim 1, wherein the advertisement scheduler generates a new advertisement provision schedule when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chedu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previously expos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a previously generated advertisement provision schedule.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the advertis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 스케줄부는 상기 광고 스케줄 생성을 위한 광고 선별 시 광고 시간과 우선 순위를 기준으로 음원에 대한 광고를 매칭시키며, 상기 우선 순위는 광고주 요청에 따른 우선 순위, 광고 타게팅을 위한 개인화 우선 순위, 서비스 제공자가 지정하는 우선 순위 중 하나 이상의 우선 순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음원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vertisement schedule unit matches the advertisement for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advertisement time and priority when selecting the advertisement for generating the advertisement schedule, the priority is a priority according to the advertiser request, personalization for advertisement targeting An online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of a priority and a priority specified by a service provider.
KR1020100070281A 2010-07-21 2010-07-21 On 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 KR1011518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81A KR101151883B1 (en) 2010-07-21 2010-07-21 On 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81A KR101151883B1 (en) 2010-07-21 2010-07-21 On 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41A KR20120009741A (en) 2012-02-02
KR101151883B1 true KR101151883B1 (en) 2012-05-31

Family

ID=4583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281A KR101151883B1 (en) 2010-07-21 2010-07-21 On 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8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70B1 (en) * 2012-03-05 2012-11-19 곽상기 Product Placemant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of Advertisement Using the Same
KR101301127B1 (en) * 2013-06-21 2013-09-03 남양우 A system and method of verifying of watching con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777A (en) * 2004-05-06 2005-11-11 현석남 Online streamming system for music data having an advertisement and method thereof
KR20060054647A (en) * 2004-11-15 2006-05-23 이지맥스 주식회사 Contents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777A (en) * 2004-05-06 2005-11-11 현석남 Online streamming system for music data having an advertisement and method thereof
KR20060054647A (en) * 2004-11-15 2006-05-23 이지맥스 주식회사 Contents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41A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275B1 (en) System and/or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content
US8744951B2 (en) Advertisement in operating system
US9191450B2 (en) Measuring user engagement during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US20010037304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proprietary audio and visual works to purchaser electronic devices
US20140245342A1 (en) System and/or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Content and Providing an Option to Maintain an Advertising Experience
US20150281756A1 (en) Data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cluding content recognition of broadcast data and remote device feedback
CN101978692B (en) Interactive media system and method for dimensioning interaction servers in interactive media system
US9094511B2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dvertising content to a mobile telephone
KR20150088827A (en) Attention-based, multi-screen advertisement scheduling
JP2015510315A (en) How to set frequency limit for addressable content
CN114503598A (en) Management server, user terminal, gif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313643B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elivery time suggestions
KR101256932B1 (en) Method for contents playing
KR20170038813A (en) Advertising platform for ad placement
US89903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edited delivery of media content
JP2008199373A (en) System and method for tabulating animation-content audience rating
US20110029386A1 (en) Allocation of digital media store credit for presentation of an advertisement with a media player
KR101151883B1 (en) On line music source providing system
JP5407494B2 (en) Content distribution ser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1170117A (en)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dvertising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KR2014006602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ement platform service
KR102504539B1 (en) Content delivery system and content delivery method
US20240196032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stribution time suggestion
KR20020000289A (en) An advertising apparatus and an advertis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an action analysis of user
KR101315999B1 (en) Method for contents pla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