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583B1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583B1
KR101151583B1 KR1020050128053A KR20050128053A KR101151583B1 KR 101151583 B1 KR101151583 B1 KR 101151583B1 KR 1020050128053 A KR1020050128053 A KR 1020050128053A KR 20050128053 A KR20050128053 A KR 20050128053A KR 101151583 B1 KR101151583 B1 KR 10115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arch
search word
keyword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6641A (ko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2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5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시에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키워드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키워드와 함께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고, 키워드의 입력이 없으면 데이터만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와 데이터의 속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검색시에 검색어와의 매칭을 위한 서치 워드를 생성한다. 서치 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입력된 검색어를 인덱스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다. 검색된 결과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검색, 데이터, 서치, 워드, search, 이동통신단말기, 사진, 이미지, 텍스트.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Method for searching data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무선회로부 160 음성처리부
700 데이터 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의 검색시에 검색어와의 매칭을 위한 서치 워드(search word)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들어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대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VOD(Video On Demand), MOD(Music On Demand) 서비스의 이용이 활발해지고, MP3, DMB를 즐길 수 있는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단말기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기능은 미비한 실정이었다. 예를 들어,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일정, 주소록 등의 각 기능별로 검색을 지원하여서 매우 제한적인 검색기능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검색이 되지 않는 데이터가 있어서, 데이터에 따라서는 검색 자체가 불가한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검색어와의 매칭을 위한 서치 워드를 이용한 강력한 검색기능을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시에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제1단계와, 키워드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키워드와 함께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고, 키워드의 입력이 없으면 데이터만 저장하는 제2단계와,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와 데이터의 속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검색시에 검색어와의 매칭을 위한 서치 워드(search word)를 생성하는 제3단계와, 서치 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제4단계와, 입력된 검색어를 인덱스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제5단계와, 검색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6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5단계는 입력된 검색어와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가 있으면, 입력된 검색어 및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를 인덱스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 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단계는 입력된 검색어로 검색된 결과와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로 검색된 결과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키워드의 입력 없이 데이터만 저장하면, 상기 제3단계는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데이터의 속성을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단계는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이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고,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가 아니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을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키워드와 함께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면, 상기 제3단계는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와 데이터의 속성을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단계는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이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와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고,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가 아니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음성처리부(160)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처리부(16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 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은 크게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고자 한다(S210). 이 때 이동통신단말기는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S220). 이 때의 화면예가 도 4 (a)에 도시되어 있다.
S220 단계에서 키워드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키워드와 함께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만 저장한다.
도 4는 이미지 형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화면예이다. 도 4 (a)에서 "a.jpg"라는 파일명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시에 "생일"이라는 키워드가 입력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a.jpg" 데이터의 저장시에 "생일"이라는 키워드도 함께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이 완료된 화면이 도 4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화면예이다. 도 5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hello world"라는 텍스트가 있으면, 이를 저장하는 화면이 도 5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b)에서 파일명은 "a.txt"이고, 키워드는 "인사"로 입력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이 완료된 화면이 도 5 (c)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된 데이터의 여러가지 정보와 키워드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search word)를 생성하게 되는데, 서치 워드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의 검색시에 검색어와의 매칭을 위해 사용되는 단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서치워드는 키워드 입력 유무와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 여부에 따라 다르게 생성된다.
먼저 S220 단계에서 키워드 입력이 없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저장된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인지를 확인한다(S230).
저장된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가 아니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을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한다(S250). 예를 들어 도 4 (a)에서 키워드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파일명인 "a" 또는 "a.jpg"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게 된다.
저장된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이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한다(S260). 예를 들어 도 5 (a)에서 키워드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파일명인 "a" 또는 "a.txt"와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인 "hello", "world"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S220 단계에서 키워드 입력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저장된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인지를 확인한다(S240).
저장된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가 아니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한다(S270). 예를 들어, 도 4 (a)에서 파일명인 "a" 또는 "a.jpg"와 키워드인 "생일"을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게 된다.
저장된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이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와 텍 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한다(S280). 예를 들어 도 5 (a)에서 파일명인 "a" 또는 "a.txt"와 키워드인 "인사"와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인 "hello", "world"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서치 워드를 DB에 저장한다(S290).
이상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하여 검색어를 입력한다(S310). 이 때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6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검색어의 입력이 있으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된 검색어와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가 있는지 확인한다(S320). 입력된 검색어와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가 있으면, 입력된 검색어 및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를 추출한다(S330). 그렇지 않으면 입력된 검색어만 추출한다(S340). 예를 들어, 도 6 (a)에서 "생일"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전에 "생일" 이라는 검색어와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생일"이라는 검색어와 함께 "친구"라는 검색어가 사용되었다면, "생일"과 "친구"를 검색어로 추출하게 된다.
이렇게 추출된 검색어를 인덱스로 하여 DB를 검색한다(S350). 도 7은 DB(700)에서 "생일"과 "친구"를 인덱스로 하여 사진데이터(710), 일정데이터(720), 전화번호(730)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검색하는 개념을 도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다음, 검색된 결과를 출력한다(S360). 도 6 (b)는 "생일"로 데이터를 검색한 결과를 출력한 화면예이다. 도 6 (b)에서 "a.jpg"라는 사진 데이터와, "일정①: 홍길동 생일 파티 강남"이라는 일정 데이터가 검색되어 총 2건의 데이터가 검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검색된 데이터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면 해당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e)는 도 6 (b)에서 "a.jpg"를 선택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한 화면예이고, 도 6 (f)는 도 6 (b)에서 "일정①: 홍길동 생일 파티 강남"을 선택하여 일정 데이터를 확인한 화면예이다.
도 6 (b)의 화면예에서 하단의 "계속"을 선택하면 도 6 (c)와 같은 화면예가 디스플레이된다. 즉 도 6 (c)에서 "생일"과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인 "친구"로 검색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친구"로 검색한 결과를 출력한 화면예가 도 6 (d)에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입력된 검색어로 검색된 결과와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로 검색된 결과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미지, 텍스트 등의 데이터 속성에 관계없이 검색을 수행하고,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도 검색이 가능하여 매우 강력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시에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제1단계와,
    키워드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키워드와 함께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고, 키워드의 입력이 없으면 데이터만 저장하는 제2단계와,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와 데이터의 속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검색시에 검색어와의 매칭을 위한 서치 워드(search word)를 생성하는 제3단계와,
    서치 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제4단계와,
    입력된 검색어를 인덱스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제5단계와,
    검색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6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입력된 검색어와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가 있으면, 입력된 검색어 및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를 인덱스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입력된 검색어로 검색된 결과와 이전에 함께 사용되었던 검색어로 검색된 결과를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 이터 검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키워드의 입력 없이 데이터만 저장하면,
    상기 제3단계는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데이터의 속성을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이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고,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가 아니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을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키워드와 함께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면,
    상기 제3단계는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와 데이터의 속성을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이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와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고, 데이터의 속성이 텍스트가 아니면 저장된 데이터의 파일명과 키워드를 이용하여 서치 워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KR1020050128053A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KR10115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53A KR101151583B1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53A KR101151583B1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641A KR20070066641A (ko) 2007-06-27
KR101151583B1 true KR101151583B1 (ko) 2012-06-01

Family

ID=3836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053A KR101151583B1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379B1 (ko) * 2018-01-22 2023-08-01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결제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로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641A (ko)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421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참조필드 이용방법
US20150262583A1 (en) Information terminal and voice operation method
US87992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earching of database content
JP5559684B2 (ja) メッセージの自動解析による電話番号記憶方法と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携帯端末
US2008020727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bridged contact list creation based on communication history
US200800207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tegration searc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301229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KR10115158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검색 방법
KR101248165B1 (ko) 휴대전화 및 그 데이터 검색방법
KR1006515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 편집 방법
JP2008176367A (ja) 入力処理装置、入力処理方法、入力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2010009099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694999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0754630B1 (ko) 정보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CN104301488A (zh) 一种拨号记录生成方法、设备及移动终端
KR10059217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관리 방법
KR100832932B1 (ko) 낭독 정보 등록 장치
JP4678692B2 (ja) 携帯情報端末
KR20070068718A (ko) 통화내용 녹음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81628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념일 알림 방법
KR101406569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JP2006268159A (ja) 情報処理端末、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KR101245585B1 (ko) 사용자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JP5062670B2 (ja) 電子機器
KR20090104377A (ko) 휴대단말기에서 단축키 문자열 입력을 이용한 데이타검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