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521B1 -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521B1
KR101151521B1 KR1020100093089A KR20100093089A KR101151521B1 KR 101151521 B1 KR101151521 B1 KR 101151521B1 KR 1020100093089 A KR1020100093089 A KR 1020100093089A KR 20100093089 A KR20100093089 A KR 20100093089A KR 101151521 B1 KR101151521 B1 KR 101151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able connection
cabinets
interfac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614A (ko
Inventor
임건표
박두용
최인규
신만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9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5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각각에 대한 케이블 연결 정보로부터 각 캐비닛 간 동작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고,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없으면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제어부, 인터페이스 캐비닛,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과 각각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제어부로부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가 발령된 이후에,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핀 정보에 근거하여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연결 상태 감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nection monitoring of cable between cabin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소를 제어하는 제어설비를 건설할 경우나 개조할 경우 등에 있어 각 캐비닛 간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연결상태를 체크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를 제어하기 위한 현장설비의 각종 신호는 발전설비의 규모에 따라 수천 개에서 수만 개에 이른다. 이러한 현장설비의 신호는 발전소의 전자기기실의 인터페이스 캐비닛, 마샬링 캐비닛, 제어 캐비닛으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현재까지는 작업자들이 직접 모든 케이블을 캐비닛에 포설하고, 수작업으로 케이블을 하나씩 직접 연결함으로써 연결 오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왔다.
따라서, 각 캐비닛에 케이블을 포설 및 연결하고, 이후 연결 상태를 체크를 하는 과정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이후 시운전 과정에서 케이블 오류가 발생되어 공기지연으로 인한 발전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프로그램을 감시 장치에 탑재하고, 무선으로 인터페이스 캐비닛 단자의 각 핀에 자동으로 전기 신호를 주어 이를 케이블이 연결된 마샬링 캐비닛과 제어 캐비닛의 핀에서 인지하여 그 결과를 감시 장치에 다시 무선으로 수신함으로써, 점검 프로그램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력투입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케이블 연결 오류로 인한 고가의 제어카드 손상 및 시운전 지연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발전수익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정보를 공사착공 전에 미리 컴퓨터에 입력하여 오류를 사전에 확인하고, 입력된 케이블 연결 정보에 따라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자동으로 체크하도록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는, 발전소에서 인터페이스 캐비닛,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 순으로 연결된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로서,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각각에 대한 케이블 연결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케이블 연결 정보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간 동작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고,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제어부,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과 각각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가 발령된 이후에,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연결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별로 구비된 복수의 입출력 핀 각각에 대응하는 케이블 연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오류 정보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과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고, 검증하는 통신 상태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상태 검증부에 의해 상기 각 캐비닛의 통신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상기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시작 신호를 발령하기 이전에,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과 상기 마샬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상기 마샬링 캐비닛과 상기 제어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작 신호는, 케이블 연결 상태를 검사할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출력 핀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출력 핀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에 대한 케이블 연결 상태 확인이 완료되면, 다음 순서의 출력 핀에 대한 시작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상태 감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 발령 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해당 출력 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입력되는 경우의 입력 핀 정보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핀의 오결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상태 감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해당 출력 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마샬링 캐비닛의 입력 핀으로 입력된 신호를 대응하는 출력 핀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핀 정보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핀의 오결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은, 발전소에서 인터페이스 캐비닛,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 순으로 연결된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각각에 대한 케이블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연결 정보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간 동작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를 발령한 이후에,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별로 구비된 복수의 입출력 핀 각각에 대응하는 케이블 연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오류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과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고,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를 체크하고, 검증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캐비닛의 통신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상기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과 상기 마샬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상기 마샬링 캐비닛과 상기 제어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작 신호는, 케이블 연결 상태를 검사할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출력 핀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출력 핀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에 대한 케이블 연결 상태 확인이 완료되면, 다음 순서의 출력 핀에 대한 시작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 발령 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해당 출력 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입력되는 경우의 입력 핀 정보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핀의 오결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해당 출력 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마샬링 캐비닛의 입력 핀으로 입력된 신호를 대응하는 출력 핀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핀 정보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핀의 오결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프로그램을 감시 장치에 탑재하고, 무선으로 인터페이스 캐비닛 단자의 각 핀에 자동으로 전기 신호를 주어 이를 케이블이 연결된 마샬링 캐비닛과 제어 캐비닛의 핀에서 인지하여 그 결과를 감시 장치에 다시 무선으로 수신함으로써, 점검 프로그램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력투입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케이블 연결 오류로 인한 고가의 제어카드 손상 및 시운전 지연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발전수익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정보를 공사착공 전에 미리 컴퓨터에 입력하여 오류를 사전에 확인하고, 입력된 케이블 연결 정보에 따라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자동으로 체크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인터페이스 캐비닛에 연결되는 체크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4 는 마샬링 캐비닛에 연결되는 체크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5 는 제어 캐비닛에 연결되는 체크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실 내부에는 현장설비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캐비닛(Interface Cabinet)(10), 인터페이스 캐비닛(1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마샬링 캐비닛(Marshalling Cabinet)(20), 및 마샬링 캐비닛(2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캐비닛(Control Cabinet)(30)이 구비된다. 제어 캐비닛(30)에는 관리자가 각종 신호와 제어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운전조작용 인터페이스(2)가 외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현장 설비(1)는 현장으로부터 압력, 온도, 속도, 유량 등의 제어용 신호를 인터페이스 캐비닛(10)으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은 현장 설비(1)로부터 모든 제어신호가 모이게 된다. 마샬링 캐비닛(20)은 인터페이스 캐비닛(10)에 모인 각종 신호를 제어용도에 맞게 그룹을 재구성한다. 제어 캐비닛(30)은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된 제어카드가 각 현장설비별로 장착되며, 마샬링 캐비닛(20)의 케이블은 제어 캐비닛(30)으로 포설되어 각 카드로 연결된다.
제어 캐비닛(30)에 설치된 제어카드는 발전 운전원이 운전조작용 인터페이스(2)에 입력한 명령에 따라 발전출력에 적합한 증기압력 및 온도, 공기량, 연료량, 급수량, 터빈속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하고, 연산결과는 다시 제어 캐비닛(30)을 통해 현장설비까지 전송되어 설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이하, '감시 장치'라 칭함)(100)는 전자기기실 내부의 인터페이스 캐비닛(10),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과 각각 통신을 하며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감시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각 캐비닛 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감시한다.
감시 장치(100) 및 각 캐비닛의 세부 구조는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장치(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알람부(140), 통신부(150), 통신 상태 검증부(160), 연결 상태 감시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각 부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부(120)는 관리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수단이다. 입력부(120)는 관리자로부터 각 캐비닛 간 케이블의 연결 정보를 입력 받는다. 입력부(120)에 의해 입력된 캐비닛 간 케이블의 연결 정보는 저장부(180)에 저장된다. 이때, 캐비닛 간 케이블의 연결 정보는 캐비닛별로 구비된 복수의 입출력 핀 각각에 대응하는 케이블 연결 정보이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각 캐비닛 간 케이블의 연결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에 각 케이블 간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 결과 오류가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시뮬레이션 결과 입력된 각 캐비닛 간 케이블의 연결 정보에 이상이 있으면, 관리자에게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보하여 오류 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표시부(130)는 감시 장치(100)의 동작 화면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통신 상태 검증부(160)의 검증 결과 및 연결 상태 감시부(170)의 감시 결과를 표시한다.
알람부(140)는 통신 상태 검증부(160)의 검증 결과 통신 상태가 불량이거나, 연결 상태 감시부(170)의 감시 결과 케이블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15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과 각각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특히, 통신부(15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으로부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결과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 상태 검증부(16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과 각각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각 캐비닛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고, 검증한다.
제어부(110)는 통신 상태 검증부(160)에 의해 각 캐비닛의 통신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각 캐비닛으로 각 캐비닛에 대응하는 케이블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각 캐비닛으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인터페이스 캐비닛(10)으로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시작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로부터 연결 상태를 감시할 캐비닛 간 핀 정보를 호출하여, 해당 핀에 대응하는 시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작 신호는 케이블 연결 상태를 검사할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 정보를 포함한다.
연결 상태 감시부(17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으로 시작 신호가 전송된 이후,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PIN#1, PIN#2, ..., PIN#N)에서 출력된 신호가 마샬링 캐비닛(20)으로 입력되는 핀 정보,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케이블로 입력되는 핀 정보를 감시한다.
이때, 연결 상태 감시부(170)는 초기에 입력된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따라 신호가 입출력되는지를 감시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캐비닛(10),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 간 케이블 연결 정보가 PIN#1->PIN#4:PIN#4->PIN#2인 경우, 연결 상태 감시부(17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PIN#1을 통해 출력된 신호가 마샬링 캐비닛(20)의 PIN#4를 통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마샬링 캐비닛(20)의 PIN#4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제어 캐비닛(30)의 PIN#2를 통해 출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에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연결 완료된 핀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또한,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에 대응하는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연결 완료된 핀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한편, 연결 상태 감시부(17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에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과,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에 대응하는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하여, 오결선 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이때, 연결 상태 감시부(170)는 각 캐비닛에 구비된 모든 핀에 대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 상태를 감시한다. 물론, 검사의 편의성을 위해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위쪽 출력 핀부터 순차적으로 아래로 내려가며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80)는 각 캐비닛 간 케이블의 연결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각 캐비닛 간 케이블의 연결 정보는 캐비닛 번호, 열 번호, 핀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80)는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으로부터 수신된 핀 연결 정보 및 오결선 정보가 저장된다.
도 3은 인터페이스 캐비닛에 연결되는 체크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캐비닛(10)에 연결되는 체크수단(11)은 제1 통신부(15)가 감시 장치(100)의 통신부(150)와 연결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통신부(15)와 감시 장치(100)의 통신부(150) 간에 통신 연결되면,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외부에 설치된 LED를 점등시킬 수도 있다.
제1 통신부(15)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부터의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부(13)는 제1 단자대 핀에 대응하는 포토커플러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포토커플러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24V의 전원이 제1 단자대 핀에 인가되게 된다. 여기서, 포토커플러를 이용함으로써, 케이블이 오결선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이 유입되어 해당 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단자대 핀에 인가된 전원은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제1 출력 핀(PIN#1)으로 출력되고, 제1 출력 핀(PIN#1)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대응되는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으로 인가되게 된다.
이때, 제2 통신부(25)는 제1 출력 핀(PIN#1)에 대응되는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으로 신호 출력 시, 감시 장치(100)로 신호 출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부(15)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부터의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부(13)는 단자대 핀의 순서에 따라 다음 순서의 단자대 핀에 대응하는 포토커플러로 신호를 출력하여 24V의 전원이 다음 단자대 핀에 인가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다음 단자대 핀에 인가된 전원은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제2 출력 핀(PIN#2)으로 출력되고, 제2 출력 핀(PIN#2)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대응되는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으로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통신부(15)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부터의 시작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제1 제어부(13)는 다음 순서의 단자대 핀에 인가되는 24V의 전원이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을 통해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체크수단(11)은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내부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과 별도로 구현되어, 커넥터를 통해 인터페이스 캐비닛(1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마샬링 캐비닛에 연결되는 체크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샬링 캐비닛(20)에 연결되는 체크수단(21)은 제2 통신부(25)가 감시 장치(100)의 통신부(150)와 연결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통신부(25)와 감시 장치(100)의 통신부(150) 간에 통신 연결되면, 마샬링 캐비닛(20)의 외부에 설치된 LED를 점등시킬 수도 있다.
제2 통신부(25)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부터 대기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제어부(23)는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을 통해 전원이 인가될 때까지 대기한다.
마샬링 캐비닛(20)은 도 3에서와 같이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제1 출력 핀(PIN#1)을 통해 신호가 출력되면, 제1 출력 핀(PIN#1)에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으로 신호가 인가된다.
이때,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 중 어느 하나로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입력 핀에 연결된 포토커플러가 동작하여 제2 제어부(23)로 24V의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2 제어부(23)는 전원이 인가된 해당 입력 핀의 정보를 제2 통신부(25)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만일, 제2 통신부(25)를 통해 대기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에러 정보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통신부(25)는 사전에 감시 장치(100)로부터 인터페이스 캐비닛(10)과 마샬링 캐비닛(20)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감시 장치(100)로부터 대기 신호 수신 시 신호를 출력할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어부(23)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과 마샬링 캐비닛(20)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가 인가된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이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에 대응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3)는 신호가 인가된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이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에 대응되면, 케이블 연결 완료된 핀 정보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제2 제어부(23)는 신호가 인가된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이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에 대응되지 않으면,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출력 핀에 대한 오결선 정보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제어부(23)는 케이블 연결 완료 시 또는 오결선 감지 시 마샬링 캐비닛(20)의 외부에 설치된 LED를 점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으로 인가된 신호는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을 통해 제어 캐비닛(30)으로 출력된다. 이때, 마샬링 캐비닛(20)의 해당 출력 핀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대응하는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으로 출력한다.
물론, 제2 제어부(23) 또한 제1 제어부(13)와 마찬가지로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으로 신호를 출력한 후에, 제2 통신부(25)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부터 대기 신호가 수신되기까지 대기한다. 이후, 제2 제어부(23)는 제2 통신부(25)를 통해 대기 신호가 수신되면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마샬링 캐비닛(20)의 다른 입력 핀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제어부(23)는 제2 통신부(25)를 통해 전원이 인가된 입력 핀 정보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한다. 물론, 마샬링 캐비닛(20)의 입력 핀으로 인가된 신호는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을 통해 제어 캐비닛(30)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체크수단(21)은 마샬링 캐비닛(20)의 내부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마샬링 캐비닛(20)과 별도로 구현되어, 커넥터를 통해 마샬링 캐비닛(2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는 제어 캐비닛에 연결되는 체크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캐비닛(30)에 연결되는 체크수단(31)은 제3 통신부(35)가 감시 장치(100)의 통신부(150)와 연결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통신부(35)와 감시 장치(100)의 통신부(150) 간에 통신 연결되면, 제어 캐비닛(30)의 외부에 설치된 LED를 점등시킬 수도 있다.
제3 통신부(35)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부터 대기 신호가 수신되면, 제3 제어부(33)는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을 통해 전원이 인가될 때까지 대기한다.
제어 캐비닛(30)은 도 4에서와 같이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을 통해 신호가 출력되면, 해당 출력 핀에 대응하는 케이블의 입력 핀으로 신호가 인가된다.
이때,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 중 어느 하나로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입력 핀에 연결된 포토커플러가 동작하여 제3 제어부(33)로 24V의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3 제어부(33)는 전원이 인가된 해당 입력 핀의 정보를 제3 통신부(35)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만일, 제3 통신부(35)를 통해 대기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에러 정보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3 통신부(35)는 사전에 감시 장치(100)로부터 마샬링 캐비닛(20)과 제어 캐비닛(30)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감시 장치(100)로부터 대기 신호 수신 시 신호를 출력할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제어부(33)는 마샬링 캐비닛(20)과 제어 캐비닛(30)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가 인가된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이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에 대응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제어부(33)는 신호가 인가된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이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에 대응되면, 케이블 연결 완료된 핀 정보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제3 제어부(33)는 신호가 인가된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이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에 대응되지 않으면,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마샬링 캐비닛(20)의 출력 핀에 대한 오결선 정보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제어부(33)는 케이블 연결 완료 시 또는 오결선 감지 시 제어 캐비닛(30)의 외부에 설치된 LED를 점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3 제어부(33)는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으로 신호를 출력한 후에, 제3 통신부(35)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부터 대기 신호가 수신되기까지 대기한다. 이후, 제3 제어부(33)는 제3 통신부(35)를 통해 대기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캐비닛(30)의 입력 핀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제어 캐비닛(30)의 다른 입력 핀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3 제어부(33)는 제3 통신부(35)를 통해 전원이 인가된 입력 핀 정보를 감시 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체크수단(31)은 제어 캐비닛(30)의 내부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제어 캐비닛(30)과 별도로 구현되어, 커넥터를 통해 제어 캐비닛(3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장치(100)로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정보가 입력되면(S100), 감시 장치(100)는 각 캐비닛 간 통신상태를 확인한다(S120). 이때, 통신상태 검증부(160)가 각 캐비닛의 통신 상태를 검증한다.
각 캐비닛과의 통신상태가 양호하면, 감시 장치(100)는 각 캐비닛으로 케이블 연결정보를 전송한다(S130). 이때,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각 캐비닛으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S140), 'S120' 및 'S130'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각 캐비닛으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S140), 감시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으로 출력 핀, 즉, PIN#N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시작신호를 전송한다(S150).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PIN#N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정보 중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PIN#N에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의 해당 핀으로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60).
여기서, N은 초기에 '1'로 설정된다(S110). 따라서, 연결 상태 감시부(17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PIN#1로 전원이 인가되면,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정보 중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PIN#1에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의 해당 핀으로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PIN#1에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의 해당 핀으로 전원이 인가되면(S170), PIN#1에 대한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완료된 핀 정보를 저장하고(S180), 다음 핀에 대한 연결 상태를 감시한다.
반면, PIN#1에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의 해당 핀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S170), 도 7의 'A' 이후 과정으로 진입하여 다음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감시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PIN#1로 전원이 인가는 경우,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PIN#1에 대응하는 핀이 아닌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의 다른 핀으로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확인하여(S210), 전원 인가된 핀 번호를 확인하고(S230), PIN#1에 대한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오결선 정보를 저장한다(S240).
이후, 감시 장치(100)는 다시 도 6의 'B' 이후 과정으로 진입하여, 다음 핀에 대한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감시 장치(100)는 다음 핀의 연결 상태를 감시할 때마다 N을 1씩 증가시킨다(S200).
따라서, 감시 장치(100)는 PIN#2에 대한 시작 신호를 인터페이스 캐비닛(10)으로 전송하고(S150), PIN#2로 전원이 인가되면,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정보 중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PIN#2에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의 해당 핀으로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60).
만일, PIN#2에 대응하는 마샬링 캐비닛(20) 및 제어 캐비닛(30)의 해당 핀으로 전원이 인가되면(S170),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완료된 PIN#2 정보를 저장하고(S180), 다음 핀에 대한 연결 상태를 감시한다.
이후, 감시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캐비닛(10)의 모든 핀에 대한 연결 감시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S150' 내지 'S240'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10: 인터페이스 캐비닛 13: 제1 제어부
15: 제1 통신부 20: 마샬링 캐비닛
23: 제2 제어부 25: 제2 통신부
30: 제어 캐비닛 33: 제3 제어부
35: 제3 통신부 100: 감시 장치
110: 제어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알람부
150: 통신부 160: 통신 상태 검증부
170: 연결 상태 감시부 180: 저장부

Claims (20)

  1. 발전소에서 인터페이스 캐비닛,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 순으로 연결된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로서,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각각에 대한 케이블 연결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케이블 연결 정보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간 동작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고,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제어부;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과 각각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가 발령된 이후에,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연결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별로 구비된 복수의 입출력 핀 각각에 대응하는 케이블 연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오류 정보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과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고, 검증하는 통신 상태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상태 검증부에 의해 상기 각 캐비닛의 통신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상기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시작 신호를 발령하기 이전에,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과 상기 마샬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상기 마샬링 캐비닛과 상기 제어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신호는,
    케이블 연결 상태를 검사할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출력 핀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출력 핀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에 대한 케이블 연결 상태 확인이 완료되면, 다음 순서의 출력 핀에 대한 시작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 감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 발령 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해당 출력 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입력되는 경우의 입력 핀 정보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핀의 오결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 감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해당 출력 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마샬링 캐비닛의 입력 핀으로 입력된 신호를 대응하는 출력 핀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핀 정보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핀의 오결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11. 발전소에서 인터페이스 캐비닛,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 순으로 연결된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각각에 대한 케이블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연결 정보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간 동작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를 발령한 이후에,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별로 구비된 복수의 입출력 핀 각각에 대응하는 케이블 연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오류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과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고,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상태를 체크하고, 검증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캐비닛의 통신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상기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과 상기 마샬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상기 마샬링 캐비닛과 상기 제어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를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신호는,
    케이블 연결 상태를 검사할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출력 핀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출력 핀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에 대한 케이블 연결 상태 확인이 완료되면, 다음 순서의 출력 핀에 대한 시작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 발령 시,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해당 출력 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입력되는 경우의 입력 핀 정보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핀의 오결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캐비닛의 해당 출력 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마샬링 캐비닛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마샬링 캐비닛의 입력 핀으로 입력된 신호를 대응하는 출력 핀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캐비닛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핀 정보를 상기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핀의 오결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방법.
KR1020100093089A 2010-09-27 2010-09-27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15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89A KR101151521B1 (ko) 2010-09-27 2010-09-27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89A KR101151521B1 (ko) 2010-09-27 2010-09-27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614A KR20120031614A (ko) 2012-04-04
KR101151521B1 true KR101151521B1 (ko) 2012-05-30

Family

ID=4613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089A KR101151521B1 (ko) 2010-09-27 2010-09-27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7504B2 (en) * 2019-04-25 2020-12-15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Monitoring of marshalling cabinet wir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979A (ko) * 1997-12-31 1999-07-26 이해규 발전설비의실시간/비실시간 시뮬레이터
KR20110001766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전력공사 무선 이동형 실시간 디지털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979A (ko) * 1997-12-31 1999-07-26 이해규 발전설비의실시간/비실시간 시뮬레이터
KR20110001766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전력공사 무선 이동형 실시간 디지털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614A (ko)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3884A (zh) 多芯线缆测试系统及方法
EP1166136B1 (en) Simulator cart
KR101372335B1 (ko) 선박 추진제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761908B1 (ko) 전산제어설비용 제어카드 테스트장치
KR101797078B1 (ko) 원자로노심보호계통 유지보수 시뮬레이션 장치 및 시스템
CN106829668A (zh) 一种电梯远程调试方法及装置
CN103048581A (zh) 线缆测试装置
CN103163398A (zh) 核电站贝雷板件可靠性检测系统和方法
US7373267B2 (en) System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CN107544366A (zh) 一种自动控制系统中冗余传感器信号采集及处理方法
US11579602B2 (en) Method for commissioning and maintenance of alarm systems
KR100790812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이상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151521B1 (ko)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N106708736B (zh) 用于通信设备的生产自动化测试方法及系统
KR101186754B1 (ko) 스카다 시스템의 원격소장치 이벤트 발생 시험장치
KR101396501B1 (ko) 원자력발전소의 연계논리계통 루프신호 자동 시험장치
CN112113308A (zh) 空调内机诊断系统及诊断方法
CN203722647U (zh) 高频收发机的测试系统
US20170191690A1 (en) Field-testing system
CN109618006B (zh) 一种rtu远程监听方法
US20150155956A1 (en) Procedure and arrangement for testing the operational state of a process tool
KR101035887B1 (ko) 전자연동 장치용 카드시험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824386A (zh) 一种用于电力机车电子插件箱的绕接线测试装置
KR102660640B1 (ko) 베인 모터 점검시스템
CN219751579U (zh) 一种用于电梯轿顶接线箱的独立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