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429B1 - 모판 이송장비 - Google Patents

모판 이송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429B1
KR101150429B1 KR1020090024973A KR20090024973A KR101150429B1 KR 101150429 B1 KR101150429 B1 KR 101150429B1 KR 1020090024973 A KR1020090024973 A KR 1020090024973A KR 20090024973 A KR20090024973 A KR 20090024973A KR 101150429 B1 KR101150429 B1 KR 101150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main frame
grip
plate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787A (ko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호 filed Critical 최정호
Priority to KR102009002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42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판이송장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모판 이송장비는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110), 그리고 상기 메인축 말단에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모판의 하부 또는 모판의 손가락홈에 걸리는 모판그립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판그립부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신체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이송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면에서 탁월한 활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판을 손쉽게 그립(grip)하고, 이를 이송위치로 손쉽게 이송할 수 있도록 반회전 이송작업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모판을 이어 받는 작업자간의 연속적인 이송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판의 수직 또는 수평 이송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손가락과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생력(省力)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한다.
모판, 이송장비, 모판분리, 모판그립부

Description

모판 이송장비{Transproting device for a rice-sprouts case}
본 발명은 육묘용 모판을 이송하는 이송장비에 관한 것으로, 모판을 손쉽게 그립(grip)하고, 이를 이송위치로 손쉽게 이송할 수 있도록 반회전 이송작업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모판을 이어 받는 작업자간의 연속적인 이송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판의 수직 또는 수평 이송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손가락과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생력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 벼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봄철에 답에 물을 고이게 한 다음 경운기 등을 사용하여 답 바닥을 갈고 로터리 작업을 거쳐 지면을 고르게 한 다음 이에 볍씨를 뿌려 모를 키우고 모가 어느 정도 자란 다음 모를 3~5포기씩 떼어서 모내기를 하여야 한다.
근래에는 이앙기를 사용하여 모내기를 하고 있으며 이앙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볍씨를 모판에 뿌려 이앙기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렇게 사용되는 모판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면을 고른 다음 지면 상에 모판을 놓고 이에 볍씨를 뿌려서 모를 키우게 되는바, 이때 모는 모판 하측의 답상으로 뿌리를 내 리게 된다. 이렇게 모를 일정 크기로 키운 다음 모내기를 하기 위해서는 답에서 모판을 분리시키고 모판에서 모를 분리하여 이앙기 상에 올려서 모내기를 하게 되나 답상에 뿌리를 내린 상태의 모판을 떼어내기 위해서 농사자 들은 삽이나 칼 등으로 모판 하부에 삽입하여 모판을 답상에서 분리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도 1a는 작업자가 논에서 모판(1)을 분리하고, 이를 이송하는 모판 이송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도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모판(1)을 논바닥(P)이나 작업장 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판 하부의 양쪽 홈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수직 lift)을 수행한 후, 이송 지점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옆의 작업자에게 전달하여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모판의 이송이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매우 열악하고 작업자의 허리와 무릎, 그리고 손가락 및 손목에 강한 힘을 요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가 있다. 특히 수백 개 또는 수천 개의 모판을 들어서 올리기 위해서는 모판(1)의 양 측면 하측에 형성된 홈(Q)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들어 올려야 하는바, 손가락 관절에 심한 무리가 되어 고질적인 관절염을 유발시키는 치명적인 작업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도 1b는 현재 농촌에 규격화하여 보급되는 모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 모판은 이양을 위해서 규격화된 제품으로 가로 30cm, 세로 60cm, 높이 3cm의 직사각형의 평면을 가진 육면체의 형상이 보급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종자를 파종하여 모가 생육되는 육모공간이 형성되며, 모판의 바닥은 육묘되는 모의 뿌리가 자랄 수 있도록 소정의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a)에 제시된 것 처럼, 종래의 이러한 모판 바닥의 구멍은 종래 모델은 모판 구멍(Q2)을 다수 형성하여 모 의 뿌리가 논 바닥에 강하게 흡착되어 생육을 증진시키는 면은 있으나, 이를 탈착하여 이송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면이 있어, (b)에 제시된 것 처럼 모판의 구멍을 최소화 하는 구조가 제공되기도 한다.
(c)를 참조하면, 이는 상술한 (a) 또는 (b)에 제시된 모판의 단면도로, 종래의 모판은 그 규격면에서 정격화되어 있으며, 특히 모판의 양 가장자리에는 모판의 적층이 손쉽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모판의 홈(Q1)이 모판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를 중심으로 모판은 여러장이 블럭구조처럼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모판을 들어올리려면, 이 홈(Q1)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위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모판을 들어올리거나 이송을 위한 그립위치가 상술한 모판의 홈(Q1)을 잡을 수 밖에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논에서 모판을 분리한 후에라도, 이를 이양하고자 하는 농지나 개소로 이송을 하는 경우, 이송을 위해서는 다수의 모판을 지면에서 들어올려 일정한 장소로 이송을 하여야 하는 작업이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농민이 직접 모판의 양 가장자리의 홈(Q1)에 손가락을 넣어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야 하게 되는바, 모판을 들어올리기 위한 그립위치를 찾기가 어려워 노동의 생력화를 구현하기가 어려우며, 작업도 매우 불편하며 자칫 손가락을 베이거나 손가락 관절에 무리가 생겨 관절염을 유발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특히 다수의 모판을 들어올리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이 작업은 더더욱 모내기 철에 농민들의 고충을 가중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모판의 육모를 위해서 논에서 직접 모판을 육성하는 대신, 온실이나 별개이 발아장소에서 모를 일정기간 생육한 후, 이를 논으로 추후에 이송하는 과정으로 수행되는 형태로 모내기가 진행되는바, 농민 개개인의 작업의 부담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논이나 답지, 또는 온실 등의 어느 장소에서든지, 육묘용 모판을 쉽게 들어올리고, 용이하게 전달하거나 이를 특정장소로 쉽게 이송할 수 있는 기능형 장비가 절실한 실정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판을 손쉽게 그립(grip)하고, 이를 이송위치로 손쉽게 이송할 수 있도록 반회전 이송작업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모판을 이어 받는 작업자간의 연속적인 이송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판의 수직 또는 수평 이송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손가락과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생력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모판 이송 장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모판을 그립하는 그립부를 2단의 절곡구조와 첨부를 원추형으로 마무리하여 모판에 그립부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손쉽게 그립하고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는 장비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축 말단에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모판의 하부 또는 모판의 손가락홈에 걸리는 모판그립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판 이송 장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모판의 손쉬운 그립과 들어올리기, 그리고 함께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하여 연속적이고 효율적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모판 그립부(220)는 상기 메인축에 삽입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한 서브프레임(2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판그립부의 구성은 다양한 변형례가 존재할 수 있으나, 그 바람직한 일례로는 상기 메인프레임은 2개의 축으로 형성되어 제1지지대(120)에 의해 이격되며, 상기 서브프레임의 말단이 상기 2개의 축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모판그립부(220)는 제1곡부와 제2곡부의 2단굴곡구조로 형성되어, 특히 상기 제1곡부(X)는 서브프레임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이 예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2곡부(Y)는 제1곡부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이 예각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하여 모판의 그립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곡부의 말단부는 첨점으로 갈수록 예리한 각을 형성하는 원추형 첨부(z)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모판에 용이한 그립을 돕고, 나아가 모판을 다른 작업자에게 전달하거나 내려 놓을때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판 그립부에서 상기 제1곡부 내측변의 길이(x)는 2~4cm, 제2곡부의 내측변의 길이(y)는 1.5~2.5cm의 구조를 제공하여 규격화된 모판에 자동적으로 적합한 그립작업이 형성되어 그립시 안정성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그립홈(H)이 적어도 1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모판을 들어올리는 데 안정적으로 손아귀의 힘을 유지할 수 있으며, 모판을 이송하는 반회전 이송작업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기본이 되는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례를 적용하여 장비를 개량할 수 도 있다.
그 일례로는, 내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의 가이드 홈에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2개의 평행한 축을 이루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격시키는 제 1 지지대(120), 상기 지지대의 상측의 메인프레임부위에 형성되는 서브프레임 고정부(130), 상기 메인프레임의 2개의 평행한 축의 내부로 각각 삽입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30)의 말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서브프레임(200), 상기 서브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 2지지대(210)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말단에 형성되는 모판 그립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모판의 이송작업을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가능하도록 하며, 지면에서 모판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해,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 상술한 상기 손잡이부(100)에 결합고정되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말단부는 가이드 홈 내부에서 메인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지지대는 중앙부에 길이조절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2개의 축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기를 제공하여 본 모판이송기를 사용하는 용도나 사용자의 신체에 따른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서브프레임(200) 상에는 적어도 1 이상의 보조그립 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기를 제공하여, 모판의 하중이 과한 경우에 모판그립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안정적인 작업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브프레임(200)의 말단에는 2개의 강선고정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강선고정부(240)에는 모판절취를 위한 강선(25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기를 제공하여, 모판을 논에서 분리하는 작업과 연속적으로 모판을 이송할 수 있는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판을 손쉽게 그립(grip)하고, 이를 이송위치로 손쉽게 이송할 수 있도록 반회전 이송작업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모판을 이어 받는 작업자간의 연속적인 이송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판의 수직 또는 수평 이송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손가락과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생력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모판을 그립하는 그립부를 2단의 절곡구조와 첨부를 원추형으로 마무리하여 모판에 그립부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손쉽게 그립하고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으로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맞는 길이의 모판이송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판 이송작업시 사용자의 허리나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과 부담을 줄여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함은 물론, 생력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메인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 다양한 규격의 모판이나 유사한 육묘 판의 이송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는 논에 육묘하는 모판의 절취를 위한 절취용 강선을 부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간편한 절취와 이송이 연속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기능적인 효용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축 말단에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모판의 하부 또는 모판의 손가락홈에 걸리는 모판그립부를 구비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하며, 상술한 모판 그립부를 통해 모판을 쉽게 들어올리고, 이송을 효율적으로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그 핵심으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할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축 말단에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모판의 하부 또는 모판의 손가락홈에 걸리는 모판그립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으로, 목재, 플라스틱, SUS, 또는 이들에 코팅한 것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되, 손잡이부의 겉면에는 적어도 1이상의 그립홈(H)을 형성하여, 손가락을 잡는 형상을 잡아주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도시된 것 처럼 상기 손잡이부(100)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2개의 이격된 축으로 형성되며, 그 말단에는 모판 그립부(220)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메인프레임과 모판그립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별도로 분리하여 메인프레임(110)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서브프레임(200) 상에 모판그립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경우 메인프레임과 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브프레임(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인프레임에는 삽입되는 서브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30)가 형성되어, 삽입된 서브프레임을 일정길이에서 고정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30)은 메인프레임 외부에서 내부로 강하게 조일 수 있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외 탄성을 구비하거나 결합력을 구비하는 다양한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1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서브프레임상에 상기 고정부(130)가 조여지는 위치에 고정홈(201)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2개의 축으로 형성되어 제1지지대(120)에 의해 이격되며, 이 경우 서브프레임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2지지대(210)의해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이격간격은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는 구조이며, 특히 상기 제2지지대와 모판 그립부(220)사이의 간격은 모판을 이웃하는 작업자에게 본 장비로 반회전 이송을 통해 전달할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모판을 잡을 수 있는 손을 투입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d)은 모판의 크기보다는 작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10~25cm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13cm의 범주에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11~13cm 의 간격에서는 작업자의 손이 용이하게 전달되는 모판을 잡을 수 있는 간격임과 동시에 모판을 그립하고 이송하는데에도 가장 효율적인 힘전달을 할 수 있는 간격이다.
상기 모판 그립부(220)은 상술한 것처럼, 메인프레임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시키는 경우나, 도시된 것처럼 서브프레임을 형성하여 그 말단에 형성시키는 경우를 다양하게 상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서브프레임의 말단에 형성시키는 도시된 구조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b는 상기 모판그립부를 확대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기 모판그립부(220)는 모판의 측면이나 모판의 하면에 갈고리 처럼 걸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규격화되어 있는 모판의 구조에서 모판의 양 측면에서 그 두께를 고려할 때 자연스럽게 모판의 측면으로 모판그립부를 가져가는 경우 반자동적으로 모판의 측면이나 모판의 하면에 걸려 그립이 형성될 수 있는 독특한 2중 절곡구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2중 절곡구조는 제1곡부(X)와 제2곡부(Y)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곡부(X)는 서브프레임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θ1)이 예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곡부(Y)는 제1곡부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θ2)이 예각을 형성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제2곡부(Y)의 말단부는 첨점으로 갈수록 예리한 각을 형성하는 원추형 첨부(Z)로 형성시킴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곡부 내측변의 길이(x)는 2~4cm, 제2곡부의 내측변의 길이(y)는 1.5~2.5cm의 범주에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판그립부(220)의 2단 절곡구조는 현재 농업계에 시판되는 규격화된 구조의 모판(30×60×3cm)의 세로,가로, 높이를 가지는 규격화된 모판에 적용될 수 있는 최상의 작업효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규격화되어 있는 모판의 구조에서 모판의 양 측면에서 모판의 높이와 그 두께를 고려할 때 자연스럽게 모판의 측면으로 모판그립부를 가져가는 경우 반자동적으로 모판의 측면이나 모판의 하면에 걸려 그립이 형성되게 되어 손쉽게 모판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되며, 이후 탈착하는 경우에도 손쇱게 탈착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2c에 도시된 것 처럼, 상기 제1곡부(X)는 모판의 바닥에 제2곡부(Y)의 첨부(Z)가 삽입되어 모판의 구멍으로 상기 모판그립부가 삽입되는 경우에 모판의 측면과 서브프레임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안정적인 그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모판의 이송 시 탈착이 필요한 경우 손쉽게 상기 원추형 첨점(Z)의 구조때문에 매끄럽게 모판에서 탈착되게된다. 물론 상기 모판그립부가 모판의 측면의 홈에 걸리는 경우에도 모판의 측면의 벽(L)과 모판그립부(220)의 제2곡부(Y)와의 지지력이 형성되어 모판이 안정적으로 수직 리프트(lift)작업이나 이송 작업, 반회전 이송작업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모판의 하면을 관통하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모판그립부가 하면에 결리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그립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이송장비의 이송작업을 설명한다.
모판의 수직리프트(lift)나 수평이동은 상술한 구조를 설명하며 기술한바, 아래에서는 반회전이송 작업용도로의 활용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이송장비는 한쌍으로 형성하여 상술한 모판그립부(220)에서 모판의 하면이나 모판 측면의 홈 부위를 걸어 고정력을 형성하게 되며, 양쪽의 모판 이송장비의 손잡이부(100)를 잡고 좌우로 모판을 움직일 수 있으며, 도 3a에 도시된 것 처럼, 마치 모판이 그네를 타듯이 리듬감 있게 반회전하게 되며 왼쪽의 작업자의 무릎이나 손위치까지 올라오면, 모판그립부(220)의 이격된 사이 공간(A)에 이웃하는 작업자의 손이 가볍게 들어가 모판을 잡을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본 발명의 모판 그립부의 구조상 손쉽게 탈착되는바, 모판의 전달이 매우 쉬워진다.(도 3b의 모판 이송장비에 그립된 구조 참조)
이러한 본 모판이송장비에 따른 작업은 다양한 측면에서 장점이 구현된다.
우선, 최초 작업자가 모판을 들어올리기 위해 모판의 좁은 틉으로 손가락을 밀어넣고, 이를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수행시 크게 무리가 가던 손가락관절과 허리,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과 하중을 제거하며, 다음으로 이를 이웃하는 작업자에게 전달함에 있어서, 반회전 모멘트에 의해 매우 작은 힘으로 이웃 작업자의 작업위치로 전달이 가능하며, 나아가 이웃 작업자도 본 모판 이송장비의 모판그립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자연스럽게 모판을 잡을 수 있게되어 연속작업이 효율성이 구현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이송장비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어느 경우이던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이송장비에서 손잡이부(100)에서 이어지는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인의 말단에 형성되는 모판그립부(220), 그리고 모판그립부를 이격시키켜, 이격 시킨 공간으로 작업자의 손이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이격부(210)가 형성되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변형례에 속함은 물론이다. 또한 손잡이부(100) 역시 막대형으로 되어 있으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가로형 막대형으로 형성시키거나 'T'자형 손잡이 등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도시된 도 4의 (d)의 경우처럼, 손잡이부(100)에 메인프레임(110)을 일체로 형성시키고, 그 말단에 모판그립부(220)을 형성시킨 다른 변형례를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메인프레임을 짧게 형성시키되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시키며, 메인프레임에 수직인 방향으로 모판그립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모판그립부를 본 발명에 따른 2중 절곡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본 변형례에서는 도 4(d)에 도시된 것 처럼 수직형으로 부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에 수직형으로 모판그립부(22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모판의 하면에 상기 모판그립부(220)가 슬라이딩되며, 모판의 측벽에 상기 메인프레임(110)이 면접촉되는 구조로 밀착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는 모판을 그립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손끝과 손목등의 관절에 무리를 줄일 수 있으며, 모판 측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야 하는 까다로운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될 수 있게 된 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모판이송장비에 변형 개량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량례는 상술한 기본 구조에 부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개량례로서의 모판 이송기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구조에서 손잡이부와 제1고정지지부의 넓이 조절가능기능과 모판그립부의 기능을 보완할 보조그립부, 모판 절취 강선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의 가이드 홈에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2개의 평행한 축을 이루는 메인프레임(110),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격시키는 제 1 지지대(120), 상기 지지대의 상측의 메인프레임부위에 형성되는 서브프레임 고정부(130), 상기 메인프레임의 2개의 평행한 축의 내부로 각각 삽입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30)의 말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홈(201)이 형성된 서브프레임(200), 상기 서브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 2지지대(210)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말단에 형성되는 모판 그립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2개의 메인프레임(110) 축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구조를 구비하게 된다. 특히, 내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이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다수 마련되어, 메인프레임의 2개의 축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 5b참조).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의 긴 원통형 강관이 평행하게 2개로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반대편 말단부에서 2개의 축을 이격시켜 고정하는 제1지지대(120)를 통해 연결된다. 메인프레임을 이루는 2개의 축은 서로 평행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20)는 중심부에 제1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길이조절부(1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부(121)은 볼트, 너트 결합구조로 연결되어 중앙부의 길이조절부를 돌림으로써 전체 제1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며, 이는 상술한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의 말단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메인프레임의 2개의 축의 간격을 평행하게 형성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조절부의 상단에는 서브프레임 고정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비어있는 내부로 삽입되는 서브프레임의 고정홈에 상기 서브프레임 고정부(130)가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서브프레임 고정부는 일례로 일명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외부 면에는 다수의 고정홈(20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의 2개의 축으로 형성되는 서브프레임은 중앙에 지지부(210)로 인해 이격되어 평형한 구조로 형성되며, 서브프레임의 말단에는 모판의 가장자리의 부분이 홈에 걸릴 수 있도록 모판그립부(220)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모판그립부(220)의 상부에는 적어도 1 이상의 보조그립 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모판의 하중이 평균 7~8kg 정도 되며, 이러한 모판이 다수 개가 적층되는 경우 그 하중이 매우 높아지며, 이 경우 상기 모판그립부(220)가 이러한 하중을 부담하기 어려운 경우, 보조그립부에서 중간에 적층된 모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각각 그립(grip) 하게 되어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200)의 말단부에는 강선고정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선고정부(240)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2개의 축 양쪽에 모두 형성시키며, 여기에는 모판이 논에 형성되어, 이를 분리하는 작업과 이송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이 강선고정부에 모판을 분리할 수 있는 강선(250)을 결합시켜, 모판 탈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모판을 탈착하는 방법은 상술한 도 1b에 설명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나, 다만 이를 사람의 팔로 줄을 잡아당기는 방식이 아닌, 본 모판이송기의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결합된 길이를 축으로 하여 잡아당기게 되는바, 허리를 숙이거나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탈착이 가능하게 되며, 탈착 후에도 곧바로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게 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와 메인프레임의 결합으로 메인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즉 메인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모판의 크기에 따라 본 모판이송기를 넓히거나 줄일 수 있어, 그 적용대상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100)의 최외각의 결합홈(101)에 삽입결합되는 구조로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이를 내부의 가이드 홈에 형성된 내부 결합홈(102)에 결합시 키는 경우에는 그 폭이 줄어드는 효과를 구현시킨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스테인리스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는 상기 제1지지부로 일단이 결합되어, 다른 말단에는 그 길이에 있어서 소정의 좌우 탄성을 구비하는바,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결합 후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외부에서 덮어 이중으로 고정하여 결합된 메인프레임이 빠지거나 탈착되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호덮개(C)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덮개(C)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2개의 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홈(110a,110b)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모판의 탈착 및 이송수단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이송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이송기의 손잡이부와 길이조정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이송기의 작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4)

  1. 내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손잡이부(100); 상기 손잡이부의 가이드 홈에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2개의 평행한 축을 이루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격시키는 제 1 지지대(120); 상기 지지대의 상측의 메인프레임부위에 형성되는 서브프레임 고정부(130);
    상기 메인프레임의 2개의 평행한 축의 내부로 각각 삽입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30)의 말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서브프레임(200);상기 서브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 2지지대(210);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말단에 형성되는 모판 그립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100)에 결합고정되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말단부는 가이드 홈 내부에서 메임프레임의 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지지대는 중앙부에 길이조절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2개의 축의 간격을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판그립부(220)는 제1곡부와 제2곡부의 2단 굴곡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곡부(X)는 서브프레임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이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곡부(Y)는 제1곡부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이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곡부의 말단부는 첨점으로 갈수록 예리한 각을 형성하는 원추형 첨부(Z)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곡부 내측변의 길이(x)는 2~4cm, 제2곡부의 내측변의 길이(y)는 1.5~2.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그립홈(H)이 적어도 1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200)상에는 적어도 1 이상의 보조그립부(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200)의 말단에는 2개의 강선고정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강선고정부(240)에는 모판절취를 위한 강선(25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판 그립부(220)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되,
    이격된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판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11. 내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손잡이부(100); 상기 손잡이부의 가이드 홈에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2개의 평행한 축을 이루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격시키는 제 1 지지대(120); 상기 지지대의 상측의 메인프레임부위에 형성되는 서브프레임 고정부(130);
    상기 메인프레임의 2개의 평행한 축의 내부로 각각 삽입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30)의 말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서브프레임(200);상기 서브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 2지지대(210);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말단에 형성되는 모판 그립부(220);를 포함하는 한쌍의 모판 이송장비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모판 이송장비 중 하나는 모판의 일측 바닥에 형성되는 곡부에 모판그립부가 삽입되고,
    상기 한쌍의 모판 이송장비 중 다른 하나는 모판의 타측 바닥에 형성되는 곡부에 모판그립부가 삽입되어,
    상기 모판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한쌍의 모판이송장비의 모판그립부가 모판을 4 지점에서 지지하여 모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이송장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모판 이송장비는,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메인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이송장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모판그립부(220)는 제1곡부와 제2곡부의 2단 굴곡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이송장비.
  14. 삭제
KR1020090024973A 2009-03-24 2009-03-24 모판 이송장비 KR101150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73A KR101150429B1 (ko) 2009-03-24 2009-03-24 모판 이송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73A KR101150429B1 (ko) 2009-03-24 2009-03-24 모판 이송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87A KR20100106787A (ko) 2010-10-04
KR101150429B1 true KR101150429B1 (ko) 2012-06-01

Family

ID=4312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973A KR101150429B1 (ko) 2009-03-24 2009-03-24 모판 이송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85B1 (ko) 2021-01-15 2021-06-29 권기원 모판 이송 하역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0737A (ja) * 1998-08-12 2000-02-22 Yoshitoku Noki Kk 育苗箱の運搬用保持具
KR100276594B1 (ko) 1998-04-14 2000-12-15 왕희지 트레이 집게
JP2001008554A (ja) * 1999-06-28 2001-01-16 Chie Kimura 苗箱持上げ具
JP2003204725A (ja) 2002-01-11 2003-07-22 Kohei Fukui 片手でホ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594B1 (ko) 1998-04-14 2000-12-15 왕희지 트레이 집게
JP2000050737A (ja) * 1998-08-12 2000-02-22 Yoshitoku Noki Kk 育苗箱の運搬用保持具
JP2001008554A (ja) * 1999-06-28 2001-01-16 Chie Kimura 苗箱持上げ具
JP2003204725A (ja) 2002-01-11 2003-07-22 Kohei Fukui 片手でホ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85B1 (ko) 2021-01-15 2021-06-29 권기원 모판 이송 하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87A (ko)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965177A (en) Lawn cultivating tool
KR20130005094A (ko) 모종기
US20140338578A1 (en) Planting Grid Device
KR101150429B1 (ko) 모판 이송장비
KR20160085135A (ko) 수박 수확기
US6892823B2 (en) Pogo planter
US5438940A (en) Manual plant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plants
KR102129109B1 (ko) 조립형 재배장치
CN108834660A (zh) 一种农业用育苗盘
US20220007566A1 (en) Handheld planting apparatus
KR20180119784A (ko) 수동식 이중 비닐피복장치
CN211557881U (zh) 一种开沟碾压工具
CN218526933U (zh) 一种玉米幼苗的便捷式培育装置
CN201639923U (zh) 玉米间苗器
RU2353079C1 (ru) Ручно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CN212413769U (zh) 一种减少元胡病害的手持打穴器
CN218125431U (zh) 一种幼苗移植装置
US20130000931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US20180279562A1 (en) Planting cup and planting device
CN207939993U (zh) 一种幼苗移栽器
CN211671598U (zh) 一种辣椒育种用固定装置
KR100794577B1 (ko)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
CN212588862U (zh) 一种农用烟苗移栽装置
CN210579998U (zh) 一种红薯苗平栽器
CN211378949U (zh) 一种方便松土的蔬菜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