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339B1 -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339B1
KR101150339B1 KR1020110088386A KR20110088386A KR101150339B1 KR 101150339 B1 KR101150339 B1 KR 101150339B1 KR 1020110088386 A KR1020110088386 A KR 1020110088386A KR 20110088386 A KR20110088386 A KR 20110088386A KR 101150339 B1 KR101150339 B1 KR 10115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device
signal
storage devices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현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현디지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현디지털
Priority to KR102011008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2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k dr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기동하기 위한 최대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기동하기 위한 최대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메모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저장 장치의 용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컴퓨터, DVR(Disital Video Recorder) 기기의 처리 속도 및 용량 역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HDD 또는 ODD 등의 저장 장치를 복수 개 장착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장착되는 저장 장치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기본적으로 HDD 또는 ODD 등의 저장 장치는 전기 회로로 구현된 부분과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특성을 가지며, 전원 인가 시점에 장치의 초기화를 위하여 많은 전류를 소비하며, 특히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부분의 경우 초기 기동시 사용전류가 대기시나 일반적인 사용시의 수배에 이를 정도로 전류 소비가 크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장착한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점에는 장착된 모든 저장 장치가 동시에 최대 전류치를 가지고 동시에 구동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경우는 일반적인 상시 동작시 보다 적게는 수배에서 수십 배 많은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류 사용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에서 초기 구동 전류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일반 동작시 필요한 전류보다 큰 정격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채택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전원 제어 장치의 단가가 상승하여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는 경우 제 1 저장 장치로부터 제 N 저장 장치까지 전원을 순차적으로 인가함으로써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기동하기 위해 소모되는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해 순차적으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전원 제어부와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각 저장 장치에 대한 설정된 기동 시간(T1 ~ TN-1)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해 제 1 저장 장치(D1)부터 제 N 저장 장치(D2)까지 카운트된 기동시간(T1 ~ TN-1)마다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V1 ~ VN)를 생성하는 전원신호 생성모듈과 상기 생성된 전원 인가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하는 전원신호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신호 생성모듈은 시스템에 기본 저장 장치(D0)를 포함하는 경우 기본 저장 장치(D0)부터 복수개의 저장 장치(D1, D2, ... DN)까지 설정된 기동시간(T1 ~ TN-1)마다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V0 ~ VN)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동시간(T1 ~ TN-1)은 시스템 기동에 지연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기동시간(T1 ~ TN-1)은 이전 저장 장치가 기동시 최대 전류에 도달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서 대기 상태의 전류로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각 저장 장치마다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복수개의 저장 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되, 복수개의 저장 장치(N개)와 각 저장 장치의 사용 전원 종류 수(M개)에 따라 N×M개의 선로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된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모두 기동 시켰을 때 소모되는 최대 소비 전류(Isum)은 I1n + I2n + I3n + ... + INmax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I1n은 제 1 저장 장치의 대기 상태 전류, INmax는 제 N 저장 장치의 기동시 최대 전류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구비한 전원 제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으로서, 제 1 저장 장치로부터 제 N 저장 장치까지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전원 인가 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인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해 제 1 저장 장치(D1)부터 제 N 저장 장치(D2)까지 카운드된 기동시간(T1 ~ TN-1)마다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V1 ~ VN)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시스템이 기본 저장 장치(D0)를 포함하는 경우 기본 저장 장치(D0)부터 복수개의 저장 장치(D1, D2, ... DN)까지 카운트된 기동시간(T1 ~ TN-1)마다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V0 ~ VN)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동 시간(T1 ~ TN-1)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되거나, 이전 저장 장치가 기동시 최대 전류에 도달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서 대기 상태의 전류로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각 저장 장치마다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모든 저장 장치를 동시에 기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기동하기 위해 소모되는 소비 전류 최소화로 인해 낮은 정격 전류 용량의 전원 제어 장치로 제어가 가능하므로 시스템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저장 장치의 전원 인가 신호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에 따른 기동 시간별 소비 전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동 구간 최대 소비 전류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DVR 및 상기 장치들의 확장 저장 장치(HDD array, storage Extension Bay, Raid, NAS, RAID 등)와 같이 복수 개의 HDD 또는 ODD 등의 저장 장치를 장착하는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전원 제어부(10)와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에 AC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AC 아답터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0)는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와 선로가 연결되고, 상기 선로를 통해 저장 장치에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각 저장 장치는 다수 개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선로는 저장 장치의 수(N)와 각 저장 장치의 사용 종류의 수(N)를 곱한 만큼의 선로가 연결된다.
상기 전원 제어부(10)는 각 저장 장치에 대한 설정된 기동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모듈과 상기 카운트 모듈(110)에 의해 측정된 기동 시간에 따라 제 1 저장 장치로부터 제 N 저장 장치까지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신호 생성모듈(120)과 상기 전원신호 발생모듈로부터 발생된 전원 인가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하는 전원신호 전송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저장 장치의 전원 인가 신호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도 2a는 시스템이 기본 저장 장치(D0)를 구비한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신호 발생모듈은 모든 저장 장치에 동시에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기본 저장 장치(D0)으로부터 제 N 저장 장치까지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 기본 저장 장치로부터 제 N 저장 장치까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전원 인가 신호를 총칭하여 전원 제어 신호라 정의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초 기본 저장 장치에 대한 전원 인가 신호(V0)가 발생하고, 제 1 기동시간(T1) 후에 제 1 저장 장치에 대한 전원 인가 신호(V1)가 발생하고, 제 2 기동시간(T2) 후에 제 2 저장 장치에 대한 전원 인가 신호(V2)가 발생하고, 제 3 기동시간(T3) 후에 제 3 저장 장치에 대한 전원 인가 신호(V3)가 발생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최종적으로 제 N 기동시간(TN) 후에 제 N 저장 장치에 대한 전원 인가 신호(VN)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동시간(T1, T2,....,TN)은 각 저장 장치에 전원 인가 신호가 발생되는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저장 장치에 전원 인가 신호가 공급되면 기동시 많은 전류가 소모되기 때문에 급격하게 전류가 증가하게 되지만, 일정시간 경과후 저장 장치가 대기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증가된 전류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1 기동시간 내지 제 N 기동시간(T1, T2, .... , TN)은 이전 저장 장치에 전원 인가 신호가 발생하여 전원이 공급된 경우 전류가 급격하기 증가였다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시점까지의 시간, 즉 각 저장 장치가 최대 기동 전류를 소모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동시간 내지 제 N 기동시간(T1, T2, .... , TN) 모두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각 저장 장치의 전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저장 장치의 기동을 위해 필요한 기동시간(T1, T2, .... , TN)은 시스템의 기동 시간을 일정 기준 이상 지연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저장 장치는 도 2a의 실시예 처럼 개별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가 공급되는 개별 제어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장치가 10개가 장착되고, 각 저장 장치의 기동시간이 5초라면, 총 기동시간은 50초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2개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5개의 그룹으로 제어한다면 소비 전류는 개별 제어 방식보다는 증가하지만 기동시간은 1/2로 단축된다.
따라서, 저장 장치의 수가 지나치게 많고, 저장장치가 개별적인 순차적인 기동으로 인해 시스템 기동시간이 지나치게 지연될 수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기동시간이 기준 이상으로 지연되지 않도록 그룹 제어 방식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제어되는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수 개의 저장 장치를 하나의 그룹(G)으로 묶어서 제어할 수 있으며, 저장 장치가 N개이고, 3개의 저장 장치가 하나의 그룹(G)을 이룰 경우 총 그룹의 수(NG)는 N/3=M개가 된다.
예를 들어, 저장 장치가 12개(N=12)이고, 하나의 그룹이 3개의 저장 장치로 구성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총 그룹의 수(M)는 12/3=4개가 된다. 이 경우 각 그룹은 총 4개의 그룹(G1, G2, G3, G4)로 구성되고, 각 그룹(G1,G2,G3,G4)은 시스템의 기동 시간을 지연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각 그룹에 설정된 기동기간(TG1, TG2, TG3)마다 순차적으로 전원인가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각 그룹별로는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가 카운터된 기동시간마다 인가되지만, 각 그룹에 속해있는 저장 장치에는 동시에 전원 인가 신호가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그룹별 기동시간(TG1, TG2, TG3)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개별 제어와 마찬가지로 저장 장치의 전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하나의 그룹에 동일한 수의 저장 장치가 속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저장 장치의 전류 특성에 따라 다른 개수의 저장 장치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장치가 10개인 경우 제 1 그룹(G1)은 2개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제 2 그룹(G2)는 4개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제 3 그룹(G3)3개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제 4 그룹(G4)는 1개의 저장 장치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원 제어 신호가 발생되면, 전원 신호 전송모듈이 상기 발생된 전원 제어 신호를 전원 공급부에 전송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송된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저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에 따른 기동 시간별 소비 전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3개의 저장 장치로 구성된 경에 대한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와 같이 모든 저장 장치에 동시에 전원 제어 신호가 인가될 경우(A) 최초 기동시 모든 저장 장치가 동시에 기동하기 위한 소비 전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소비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든 저장 장치에 동시에 전원 제어 신호가 인가될 경우(A) 저장 장치가 N개인 경우 하기와 같은 식에 의해 최대 소비 전류(Isum)가 산출될 수 있다.
Isum A = I1max + I2max + I3max + .... + INmax
여기서, I1max는 제 1 저장 장치의 기동시 최대 전류를 의미하고, INmax는 제 n 저장 장치의 기동시 최대 전류를 의미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전원 인가 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경우(B) 모든 저장 장치에 동시에 전원 제어 신호가 인가될 경우(A)에 비해 기동시 최대 소비 전류가 크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 장치가 N개인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제 1 저장 장치로부터 제 N 저장 장치까지 전원 제어 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경우(B) 하기와 같은 식에 의해 최대 소비 전류(Isum B)가 산출될 수 있다.
Isum B = I1n + I2n + I3n + ... + INmax
여기서, I1n은 제 1 저장 장치의 대기 또는 사용 상태의 전류를 의미한다. 따라서, A의 경우에 비해 기동시 최대 소비 전류가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동 구간 최대 소비 전류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 전원이 인가되면 먼저 시스템에 기본적으로 저장된 기본 저장 장치(D0)에 대한 전원 인가 신호(V0)가 인가되고, 제 1 기동시간(T1)에 대한 카운터가 개시된다. 상기 기본 저장 장치(D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최대 전류(I0max)에 도달하게 되어 기동이 완료되고, 대기상태로 전환되면서 소비 전류가 대기 상태의 전류(I0n)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 1 기동시간(T1)이 도래한 경우 제 1 저장 장치(D1)에 전원 인가 신호(V1)가 인가되고, 제 2 기동시간(T2)에 대한 카운터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제 1 저장 장치의 최대 전류(I1max)에 도달하게 되어 기동이 완료되고, 대기상태로 전환되면서 소비 전류가 대기 상태의 전류(I1n)으로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기본 저장 장치(D0)와 제 1 저장 장치(D1)가 기동된 상태에서 최대 소비 전류는 I0n + I1max가 된다.
상기 개시된 카운터에 의해 상기 제 2 기동시간(T2)이 도래하면 제 2 저장 장치(D2)에 전원 인가 신호(V2)가 인가되고, 제 3 기동시간(T3)에 대한 카운터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저장 장치(D2)가 최대 전류(I2max)에 도달하여 기동이 완료되면, 대기 상태의 전류(I2n)로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기동시간(T3)이 도래하면, 상기 제 3 저장 장치(D3)에 전원 인가 신호(V3)가 인가되어 제 3 저장 장치의 최대 전류(I3max)에 도달하여 기동이 완료되면, 대기 상태의 전류(I3n)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 저장 장치(D0) 내지 제 3 저장 장치(D3)가 기동된 상태에서 최대 소비 전류는 I0n + I1n + I2n + I3max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 N 저장 장치(DN)까지 전원이 인가되어 모든 저장 장치(D1 ~ DN)가 기동하게 되면 최대 소비 전류(Isum)은 I1n + I2n + I3n + ... + INmax 가 된다.
결국, 동시에 모든 저장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보다 본 발명은 (I0max - I0n) + (I1max - I1n) + (I2max - I2n) + (I3max - I3n) + ... + (IN-1max - IN-1n)만틈 최대 소비 전류가 감소된다.
예를 들어, 모든 저장 장치에 동시에 전원 제어 신호가 인가될 경우(A) 12V, 10A이상의 전원 제어 장치가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경우 12V, 5A의 전원 제어 장치만으로 정상적인 기동이 가능하므로 전원 제어 장치에 소요되는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원 제어부 20 : 전원 공급부

Claims (14)

  1.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N개)에 대해 제 1 저장 장치부터 제 N 저장 장치까지 이전 저장 장치가 기동시 최대 전류에 도달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서 대기 상태의 전류로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기동시간 단위로 순차적으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전원 제어부와;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각 저장 장치에 대한 설정된 기동 시간(T1 ~ TN-1)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해 제 1 저장 장치(D1)부터 제 N 저장 장치(D2)까지 카운트된 기동시간(T1 ~ TN-1)마다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V1 ~ VN)를 생성하는 전원신호 생성모듈과;
    상기 생성된 전원 인가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하는 전원신호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신호 생성모듈은
    시스템에 기본 저장 장치(D0)를 포함하는 경우
    기본 저장 장치(D0)부터 복수개의 저장 장치(D1, D2, ... DN)까지 설정된 기동시간(T1 ~ TN-1)마다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V0 ~ VN)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시간(T1 ~ TN-1)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복수개의 저장 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되;
    복수개의 저장 장치(N개)와 각 저장 장치의 사용 전원 종류 수(M개)에 따라 N×M개의 선로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된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그룹화된 각 저장 장치에 대해 설정된 그룹 기동 시간(TG1 ~ TGM-1)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모듈과:
    상기 다수 개로 그룹화된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해 제 1 그룹(G1)부터 제 M 그룹(GM)까지 카운트된 그룹 기동시간(TG1 ~ TGM-1)마다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를 생성하되, 각 그룹에 대한 전원 인가 신호 발생시 각 그룹에 포함된 저장 장치에 동시에 전원 인가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신호 생성모듈과;
    상기 생성된 전원 인가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하는 전원신호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그룹(GM) 각각은
    동일한 개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거나, 각 그룹 별로 다른 개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원 제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기동시간(TG1 ~ TGM-1)은
    동일한 시간 간격 또는 서로 다른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전원 제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모두 기동 시켰을 때 소모되는 최대 소비 전류(Isum)은 I1n + I2n + I3n + ... + INmax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여기서, I1n은 제 1 저장 장치의 대기 상태 전류, INmax는 제 N 저장 장치의 기동시 최대 전류이다.
  11. 복수 개의 저장 장치를 구비한 전원 제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으로서;
    제 1 저장 장치로부터 제 N 저장 장치까지 이전 저장 장치가 기동시 최대 전류에 도달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서 대기 상태의 전류로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기동시간 단위로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전원 인가 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저장 장치에 대해 제 1 저장 장치(D1)부터 제 N 저장 장치(D2)까지 카운트된 기동시간(T1 ~ TN-1)마다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V1 ~ VN)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시스템이 기본 저장 장치(D0)를 포함하는 경우
    기본 저장 장치(D0)부터 복수개의 저장 장치(D1, D2, ... DN)까지 카운트된 기동시간(T1 ~ TN-1)마다 순차적으로 전원 인가 신호(V0 ~ VN)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4. 삭제
KR1020110088386A 2011-09-01 2011-09-01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5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86A KR101150339B1 (ko) 2011-09-01 2011-09-01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86A KR101150339B1 (ko) 2011-09-01 2011-09-01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339B1 true KR101150339B1 (ko) 2012-06-26

Family

ID=4668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386A KR101150339B1 (ko) 2011-09-01 2011-09-01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367A (ko) * 2014-10-07 2016-04-18 코렐테크놀로지(주) 전원 절전을 위한 통신모듈의 웨이크업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418A (ko) * 1995-08-07 1997-03-29 김광호 교환시스템에서 순차적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0312229A (ja) * 1997-05-13 1998-11-24 Kofu Nippon Denki Kk 電源制御装置
KR20100033274A (ko) * 2008-09-19 2010-03-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기억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력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418A (ko) * 1995-08-07 1997-03-29 김광호 교환시스템에서 순차적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0312229A (ja) * 1997-05-13 1998-11-24 Kofu Nippon Denki Kk 電源制御装置
KR20100033274A (ko) * 2008-09-19 2010-03-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기억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력관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367A (ko) * 2014-10-07 2016-04-18 코렐테크놀로지(주) 전원 절전을 위한 통신모듈의 웨이크업 제어장치
KR101692449B1 (ko) * 2014-10-07 2017-01-03 코렐테크놀로지(주) 전원 절전을 위한 통신모듈의 웨이크업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5442B2 (en) Node card management in a modular and large scalable server system
US7305572B1 (en) Disk drive input sequencing for staggered drive spin-up
US8316252B2 (en) Distributed clock gating with centralized state machine control
US200902490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ower management control using serial bus management protocols
TWI519100B (zh) 機櫃伺服器系統及其自動定址方法
KR20050091777A (ko) 프로세서 전력 상태들을 고려하는 메모리 제어기
US200402103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CN103677205A (zh) 控制运算处理电路中的电源
US10303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ne-grained power control management in a high capacity computer cluster
US20150006814A1 (en) Dynamic raid controller power management
US10401900B2 (en) Using a stuttered clock signal to reduce self-induced voltage noise
WO2018215750A1 (en) Efficient power distribution
KR20190127310A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1299165B (zh) 用于实施通用系统停顿的方法和系统
KR101150339B1 (ko)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8806233B2 (en) Power delivery noise reduction on a memory channel
US83358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sochronous data buffering
TWI756769B (zh) 用於乙太網路供電之供電系統及其供電方法
CN103440018B (zh) 一种功率控制方法、功率控制电路和节能系统
JP2008065973A (ja) 複数のメモリ・エレメントのリフレッシュ・シーケンス制御
US113275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ower management by controlling operations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 a data center
US20140006810A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hard disk drive
CN1295582C (zh) 中央处理器的供应电压的控制电路
JP2008033896A (ja) バスシステム
US7447102B2 (en) Memor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