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302B1 -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302B1
KR101150302B1 KR1020120025238A KR20120025238A KR101150302B1 KR 101150302 B1 KR101150302 B1 KR 101150302B1 KR 1020120025238 A KR1020120025238 A KR 1020120025238A KR 20120025238 A KR20120025238 A KR 20120025238A KR 101150302 B1 KR101150302 B1 KR 101150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ome
reverse
doubl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구
Original Assignee
최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구 filed Critical 최종구
Priority to KR102012002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30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H01H2205/024Means to facilitate positioning
    • H01H2205/026Adhesive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으로 사용되는 리버스 돔 시트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시트와 부착시트의 접착상태에서 돔 삽입부를 천공하고, 상기 성형시트의 저면에는 보호지를 부착하고 상기 부착시트의 상부에는 양면접착지에 의해 별도의 탈리지를 부착하며, 이어 상기의 적층물에 대하여 삽입부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에어 홀을 천공한 후, 제거되는 탈리지의 제거면에 대하여 별도의 표면시트를 추가로 부착 형성하여 제작함에 따라,
리버스 돔 시트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에어 홀의 내부 상측에 접착층이 전혀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에어 홀의 내부로 접착제에 의한 진이 누출되거나 누적 또는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메탈 돔에 대한 원활한 작동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므로 메탈 돔에 대한 경쾌한 클릭감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것이고, 메탈 돔에 대한 탄성 복원력에 지장을 주지 않아 버튼 스위치에 대한 단속오류 및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전자 기기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기기의 사후 품질관리의 측면에서도 유리하여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Description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reverse dome sheet}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으로 사용되는 리버스 돔 시트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탈 돔을 수용하기 위한 돔 삽입부와 상기 돔 삽입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에어 홀을 형성함에 있어 에어 홀의 상부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메탈 돔에 대한 반복적인 가압 사용시에도 접착제로 인한 진(津)이 돌출 및 유출되지 아니하므로 메탈 돔에 대한 경쾌한 클릭감의 유지는 물론 메탈 돔에 의한 버튼 스위치의 단속오류 및 오작동이 방지되게 한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나 PDA, 또는 전자사전 등의 각종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정보 또는 컨트롤 커멘드의 입력을 가능케 하는 하나 이상의 키를 갖는 키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로그램 구동 및 데이터 통신과 PC 연동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고기능 이동통신단말기인 스마트 폰으로 대체됨에 따라 상기의 키 버튼은 홈 버튼이나 전원버튼과 같은 싱글 스위치 혹은 볼륨이나 메뉴 선택을 위한 트윈 스위치의 형태로 극히 간소화된 형태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서 키의 작동은 접촉 종료에 의해 전기적으로 검출되는 것이고 이를 위해 최신의 키 패드는 키 돔 어레이 또는 스위칭 어레이라고도 불리는 메탈 돔 어레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메탈 돔 어레이는 다수의 메탈 돔을 포함하며 다수의 메탈 돔은 인쇄 회로 기판(PCB)에 접착된 리버스 돔 시트에 수용된다.
또한, 회로기판 상에 인쇄된 접점은 리버스 돔 시트의 메탈 돔에 의해 덮여져서 메탈 돔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메탈 돔이 눌려지면 회로기판 상의 내측 접점은 회로기판 상의 외측 접점과 접촉되면서 상호 간의 전류가 흘러 메탈 돔에 대한 작동이 검출되는 것이고, 메탈 돔에 대한 작동의 검출에 따라 기기의 다양한 기능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한 원리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리버스 돔 시트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져 적용되고 있는 것인데,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일층의 메탈 돔 어레이를 예로 들면, 합성수지 시트에 의한 단일층 막에 메탈 돔이 부착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막 또는 하부 회로 기판에 대하여 각 메탈 돔에 대한 에어 홀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의 메탈 돔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돔 아래의 공기가 에어 홀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으며 메탈 돔은 사용자에게 경쾌한 클릭감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낌으로써 해당 키를 작동시켰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일층의 리버스 돔 시트는 외부로부터 습기나 먼지가 에어 홀을 통해 유입되면 단일층으로 된 리버스 돔 시트의 수명이 극히 제한되는 것이고, 돔 시트의 수명을 일정 작동 횟수로 제한하는 메탈 돔 접점에 의해 단일층의 막이 손상될 수도 있어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다수의 적층형 시트를 사용하는 다층의 리버스 돔 시트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다층의 리버스 돔 시트는 2개 이상의 시트가 사용되므로 메탈 돔을 내장한 시트가 단단해지고, 단단한 이중층 시트를 회로기판에 부착하면 접착력이 떨어지고 먼지나 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이 생길 수 있을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함몰부 또는 오목부가 시트의 메탈 돔 위치에 프리포밍 된다.
즉, 도 1의 도시와 같이 다층으로 된 기존의 리버스 돔 시트는 최하층에 탈리 가능한 보호지(100)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지(100)의 상부에는 성형시트(110)와 부착시트(120)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부착시트(120)의 상부에는 접착표피지(130)가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의 성형시트(110)와 부착시트(120)에는 프리포밍 또는 펀칭에 의해 메탈 돔(130)을 안치시키기 위한 돔 삽입부(131)와 에어 홀(1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리버스 돔 시트는 우선 성형시트(110)와 부착시트(120)를 서로 접착하여 중첩시킨 상태에서 이들 성형시트(110)와 부착시트(12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돔 삽입부(131)와 에어 홀(132)을 천공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성형시트(110)의 저면에는 보호지(100)를 부착하고 부착시트(120)의 상부에는 접착표피지(140)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리버스 돔 시트가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리버스 돔 시트가 완성되면 성형시트(110)와 부착시트(120)를 일시적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성형시트(110)의 돔 삽입부(131) 내에 별도의 메탈 돔(130)을 안치시켜 돔 삽입부(131)의 내측으로 노출된 접착표피지(140)를 이용하여 상기의 메탈 돔(130)이 접착 고정되게 한 후, 분리 상태인 성형시트(110)와 부착시트(120)를 다시 접착시켜 메탈 돔을 포함하고 있는 리버스 돔 시트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리버스 돔 시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과정에서 키 버튼이 위치하게 될 회로기판 상에 메탈 돔을 포함하고 있는 리버스 돔 시트를 부착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버튼 스위치가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 및 구조를 갖는 버튼 스위치는 과도한 접착면의 노출로 인해 촉각 및 작동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고 나아가 버튼 스위치의 단속오류 및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리버스 돔 시트는 메탈 돔 삽입부 및 에어 홀의 내측 상부 전체가 접착표피지의 저면에 형성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의 접착층에 의해 메탈 돔의 안정적인 접착 고정이 이루어지는 대신 버튼 스위치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상기의 접착층으로부터 진(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접착 진은 돔 삽입부 및 에어 홀의 내부로 침투하거나 누적 또는 돌출되면서 메탈 돔의 작용 및 복원력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접착 진으로 인해 메탈 돔의 클릭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은 물론 메탈 돔에 대한 복원력이 약화되면서 버튼 스위치에 대한 단속불량 또는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므로 제품 신뢰도 저하는 물론 잦은 수리와 교체를 반복함에 따라 경제적인 손실을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성형시트와 부착시트의 접착상태에서 돔 삽입부를 천공하고, 상기 성형시트의 저면에는 보호지를 부착하고 상기 부착시트의 상부에는 양면접착지에 의해 별도의 탈리지를 부착하며, 이어 상기의 적층물에 대하여 삽입부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에어 홀을 천공한 후, 제거되는 탈리지의 제거면에 대하여 별도의 표면시트를 추가로 부착 형성하여 제작함에 따라,
돔 삽입부의 내측 상부에만 메탈 돔을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접착지가 노출되고 에어 홀의 내측 상부에는 양면접착지가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여 메탈 돔에 대한 부착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에어 홀을 통해 양면접착지의 접착 진이 돌출 또는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메탈 돔에 대한 클릭감을 훼손하지 않는 것이고, 그로 인해 버튼 스위치에 대한 단속불량이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면에 접착층을 갖는 부착시트의 하부에 합성수지로 된 성형시트를 부착 형성하는 시트 접착공정과; 서로 접착된 부착시트와 성형시트 전체에 돔 삽입부를 반복적으로 나열 천공하는 돔 삽입부 천공공정과; 돔 삽입부가 반복적으로 나열 천공된 성형시트의 저면 전체에 점착층을 갖는 보호지를 부착하는 보호지 부착공정과; 돔 삽입부가 반복적으로 나열 천공된 부착시트의 상면 전체에는 상부에 탈리지가 부착된 별도의 양면접착지를 부착하는 양면접착지 부착공정과; 상부로부터 탈리지와 양면접착지 및 부착시트와 성형시트 및 최하층의 보호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도 상기 돔 삽입부의 측부와 연통되게 한 에어 홀을 천공 형성하는 에어 홀 천공공정과; 상기 양면접착지의 상부에 위치한 탈리지를 제거하는 탈리지 제거공정과; 탈리지가 제거된 양면접착지의 상면에 별도의 표면시트를 부착 형성하는 표면시트 부착공정과; 상기 표면시트와 양면접착지 및 부착시트 만이 성형시트의 상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반복 나열된 돔 삽입부 주변으로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선 형성공정;을 수행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버스 돔 시트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에어 홀의 내부 상측에 접착층이 전혀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에어 홀의 내부로 접착제에 의한 진이 누출되거나 누적 또는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메탈 돔에 대한 원활한 작동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므로 메탈 돔에 대한 경쾌한 클릭감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것이고, 메탈 돔에 대한 탄성 복원력에 지장을 주지 않아 버튼 스위치에 대한 단속오류 및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전자 기기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기기의 사후 품질관리의 측면에서도 유리하여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버스 돔 시트에 대한 단면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 중 성형시트 부착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 중 삽입부 천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 중 탈리지 부착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 중 에어 홀 천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 중 표면시트 부착과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 중 절취선 형성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 중 메탈 돔 삽입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공정은 다양한 시트의 적층 및 타공과 접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들 각각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의 도시와 같이 비교적 넓은 면적의 합성수지재 성형시트(20)와 부착시트(30)를 구비하되, 상기 부착시트(30)의 저면에는 접착층(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성형시트(20)는 두께 0.1mm 내,외의 PET 수지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극히 얇은 박막의 시트에 의해 만들어지는 본 발명의 리버스 돔 시트를 가공 성형하기 위한 기초시트 또는 받침시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부착시트(30)는 인쇄 회로기판 상에 직접 부착 사용되는 것이므로 0.05mm 내,외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통상적으로 백색의 불투명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부착시트(30)의 저면 전체에는 접착층(31)이 도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접착층(31)은 성형시트(20)와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의 부착시트(30)가 인쇄 회로기판 상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부착시트(30)의 저면에 형성된 접착층(31)을 이용하여 부착시트(30)의 하측에 성형시트(20)를 밀착하여 부착시키는 시트 접착공정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성형시트(20)와 부착시트(30)가 서로 중첩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이들 접착시트에 대하여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배열 형태로 돔 삽입부(P)에 대한 천공을 수행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의 돔 삽입부(P)는 리버스 돔 시트에 의한 버튼 스위치의 실질적 작동 기능을 수행하는 메탈 돔(D)을 삽입하여 안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돔 삽입부(P)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넓은 크기의 접착시트에 대하여 별도의 펀칭 장비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배열 형태로 천공하는 돔 삽입부 천공공정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돔 삽입부 천공공정이 종료되면 하부에 위치하는 성형시트(20)의 저면 전체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부에 점착층(11)을 갖는 보호지(10)를 부착하는 보호지 부착공정을 수행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의 보호지(10)는 성형시트(20)의 저면에 대한 표면 보호 및 천공된 돔 삽입부(P)에 대한 하부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호지(10)에 대한 부착이 이루어지면 부착시트(30)의 상부에는 상측에 탈리지(50)가 부착된 상태의 양면접착지(40)를 부착하는 양면접착지 부착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의 탈리지(50)는 양면접착지(50)의 상부 접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를 갖는 것이고 양면접착지(40)의 하부 접착면은 돔 삽입부(P)의 내측으로 추후 삽입될 메탈 돔(D)에 대한 접착 고정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탈리지(50)는 추후에 제거될 것이므로 제작공정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두께의 제한이 없을 것이고 양면접착지(40)는 리버스 돔 시트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대략 0.02~0.04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상부로부터 탈리지(50)와 양면접착지(40) 및 부착시트(30)와 성형시트(20) 및 보호지(10)가 순차적으로 부착된 상태의 시트적층물에 대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에어 홀 천공공정을 수행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의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 홀(H)(H')은 탈리지(50)와 양면접착지(40) 및 부착시트(30)와 성형시트(20) 및 보호지(10)를 수직으로 관통되는 것이고, 에어 홀(H)(H')의 위치는 돔 삽입부(P)의 장방향 측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어 홀(H)(H')은 돔 삽입부(P) 내에 위치한 메탈 돔(D)이 사용자에 의해 하향 가압력을 받게 되는 경우 메탈 돔(D)의 하측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에어 홀(H)(H')을 통해 이동하면서 메탈 돔(D)에 대한 자연스러운 작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하향 가압 상태의 메탈 돔(D)이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도 공기의 소통 및 자연스러운 이동을 유도하여 상기의 메탈 돔(D)에 대한 경쾌한 클릭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에어 홀 천공공정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최상측의 탈리지(50)를 제거하여 양면접착지(40)의 상부 접착면이 노출되게 하고 노출 상태인 양면접착지(40)의 상부 접착면에 도 8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표면시트(60)를 부착하는 표면시트 접착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표면시트(60)는 에어 홀(H)(H')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역할과 동시에 노출 상태인 양면접착지(40)의 상부면을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두께는 0.01~0.015mm의 합성수지재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표면시트(60)에 대한 접착 공정이 이루어지면 넓은 면적의 시트 전체에 반복 배열된 형태의 돔 삽입부(P) 주변으로 도 9의 도시와 같이 절취선(C)을 형성하여 각기 개별적인 분리 사용을 가능케 한 리버스 돔 시트로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리버스 돔 시트가 단독 버튼 스위치와 같이 싱글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돔 삽입부(P)의 주변으로 인쇄 회로기판 상에 부착될 크기 및 면적을 갖도록 절취선(C)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의 절취선(C)은 표면시트(60)와 양면접착지(40) 및 부착시트(30)에 대해서만 형성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인쇄 회로기판 상에 부착되는 것은 위의 표면시트(60)와 양면접착지(40) 및 부착시트(30)가 전부일 것이므로 이들을 하측의 성형시트(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의 3개층에 대한 절취선(C)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성형시트(20)의 상부로부터 절취선(C)에 의해 각기 분리가 이루어지는 리버스 돔 시트를 핀셋 등을 통해 성형시트(20)의 상부로부터 떼어내어 이를 인쇄 회로기판 상의 버튼 스위치 부분에 접착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상기 성형시트(20)로부터 분리된 부착시트(30)는 저면에 접착층(31)을 갖고 있으므로 인쇄 회로기판에 용이한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절취선(C)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돔 삽입부(P)의 주변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을 함께 형성함에 따라 이들 연장 돌출부(E)를 이용하여 인쇄 회로기판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 사용하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부착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리버스 돔 시트를 인쇄 회로기판에 접착하여 버튼 스위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리버스 돔 시트의 내부에 별도로 제작되어진 메탈 돔(D)을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의 메탈 돔(D)에 대한 투입 작업은 리버스 돔 시트의 제작 과정에서도 삽입될 수 있고 리버스 돔 시트가 완전히 제작된 상태에서 인쇄 회로기판에 부착시키는 단계에서도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리버스 돔 시트의 제작 과정에서 상기의 메탈 돔(D)에 대한 투입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에어 홀(H)(H')에 대한 천공과 표면시트(60)에 대한 부착공정을 종료한 후, 하측의 성형시트(20)를 부착시트(30)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하부가 개방된 부착시트(30) 내의 돔 삽입부(P) 내에 별도로 구비된 메탈 돔(D)을 삽입시킨 후 일시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성형시트(20)를 부착시트(30)에 다시 부착시켜 상기의 메탈 돔(D)이 내재된 상태의 리버스 돔 시트를 완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작업에 의한 메탈 돔 투입공정을 마친 상태의 리버스 돔 시트는 도 10의 도시와 같을 것이다.
이어, 상기의 메탈 돔 투입공정이 종료되면 계속하여 절취선 형성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메탈 돔(D)이 내재된 상태의 리버스 돔 시트를 개별적으로 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작업방법으로서, 상기의 절취선 형성공정이 종료된 상태에서 보호지(10)를 성형시트(20)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성형시트(20)의 하측으로 개구된 돔 삽입부(P)의 내측으로 별도로 구비된 메탈 돔(D)을 투입시켜 돔 삽입부(P)의 내측 선단에 위치하고 있는 양면접착지(40)의 하부 접착층을 이용하여 상기의 메탈 돔(D)을 부착 고정시키고, 일시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보호지(10)를 성형시트(20)의 하부에 다시 접착시킴에 따라 상기의 메탈 돔(D)이 내재된 상태의 리버스 돔 시트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메탈 돔(D)이 내재된 상태의 리버스 돔 시트는 각종 전자기기의 조립 및 생산과정에서 버튼 스위치 부분에 상기의 리버스 돔 시트를 각기 부착시켜 버튼 스위치가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리버스 돔 시트는 메탈 돔(D)의 원활한 클릭감과 작동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에어 홀(H)(H')의 상부에 양면접착지(40)에 의한 접착부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접착부 및 접착제 진에 의한 메탈 돔(D)의 작동력 및 클릭감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리버스 돔 시트의 경우 메탈 돔(D)이 안치되는 돔 삽입부(P)는 물론 에어 홀(H)(H')의 상부까지 필연적으로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 스위치의 반복적인 사용 및 가압력에 의해 접착제의 진이 에어 홀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누적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그로 인한 메탈 돔(D)의 클릭감 저하 및 버튼 스위치의 오작동이 문제시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리버스 돔 시트의 경우 작업 공정의 개선을 통해 에어 홀(H)(H')의 상부에는 접착층이 전혀 형성되지 않고 표면시트(60)의 하부면 만이 위치하게 되므로 에어 홀(H)(H')의 내부로 돌출 및 유입되는 접착제 진에 의한 기존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메탈 돔(D)이 갖는 경쾌한 클릭감을 거의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에 의한 버튼 스위치의 오류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해당 부분의 수리 및 교체에 따른 경제적인 지출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리버스 돔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 내재되는 메탈 돔(D)의 경쾌한 클릭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에어 홀(H)(H')의 상부에 해당하는 표면시트(60)에 절개선(61)을 형성하는 통기부 형성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리버스 돔 시트는 인쇄 회로기판 상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돔 삽입부(P) 및 에어 홀(H)(H')은 밀폐된 상태를 갖게 될 것이고, 상기와 같은 밀폐된 공간 내에서 하향 가압 및 탄력 복원되어야 하는 메탈 돔(D)은 밀폐된 공간으로 인해 내부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상기와 같이 내,외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에어 홀(H)(H')의 상부에 해당하는 표면시트(60)에 절개선(61)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절개선(61)을 통해 돔 삽입부(P) 및 에어 홀(H)(H')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에 따라 외기의 유입과 배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메탈 돔(D)은 더욱 경쾌한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돔 삽입부(P)는 통상적으로 장방향 타원 구조의 메탈 돔(D)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형태의 돔 삽입부(P)에 대하여 장방향 양측단에 각기 에어 홀(H)(H')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의 도시와 같이 장방향 돔 삽입부(P)에 대하여 일측에만 단수 혹은 복수의 에어 홀(H)(H')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에어 홀(H)(H')의 위치와 개체 수의 가변은 메탈 돔(D)의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쇄 회로기판의 시트 부착 위치나 실장되는 부품 간의 간섭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예시에서는 싱글 형태의 리버스 돔 시트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볼륨 스위치와 같이 트윈 형태의 버튼 스위치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돔 삽입부(P)를 서로 연결하는 에어 홀(H)(H')을 형성하고, 이들 두 개의 돔 삽입부(P) 주변에 대하여 절취선(C)을 형성함에 따라 두 개의 버튼 스위치가 연속하는 형태의 인쇄 회로기판에 부착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에어 홀(H)(H')은 서로 이웃하는 돔 삽입부(P) 만을 단수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 각각의 돔 삽입부(P)에 대하여 양측 끝단에 각기 개별적인 에어 홀(H)(H')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트윈형 리버스 돔 시트는 하나의 성형시트(20)로부터 하나의 개체만을 절취하여 분리시키면 두 개의 돔 삽입부(P) 내에 각기 메탈 돔(D)이 내재되어 있는 형태를 갖게 될 것이므로, 볼륨 스위치와 같이 두 개의 버튼 스위치가 형성되는 기기에서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고, 보다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어 제품 안정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보호지 11 : 점착층
20 : 성형시트
30 : 부착시트 31 : 접착층
40 : 양면접착지
50 : 탈리지
60 : 표면시트 61 : 절개선
P : 돔 삽입부
H,H' : 에어 홀
C : 절취선
D : 메탈 돔
E : 연장 돌출부

Claims (7)

  1. 저면에 접착층을 갖는 부착시트의 하부에 합성수지로 된 성형시트를 부착 형성하는 시트 접착공정과;
    서로 접착된 부착시트와 성형시트 전체에 돔 삽입부를 반복적으로 나열 천공하는 돔 삽입부 천공공정과;
    돔 삽입부가 반복적으로 나열 천공된 성형시트의 저면 전체에 점착층을 갖는 보호지를 부착하는 보호지 부착공정과;
    돔 삽입부가 반복적으로 나열 천공된 부착시트의 상면 전체에는 상부에 탈리지가 부착된 별도의 양면접착지를 부착하는 양면접착지 부착공정과;
    상부로부터 탈리지와 양면접착지 및 부착시트와 성형시트 및 최하층의 보호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도 상기 돔 삽입부의 측부와 연통되게 한 에어 홀을 천공 형성하는 에어 홀 천공공정과;
    상기 양면접착지의 상부에 위치한 탈리지를 제거하는 탈리지 제거공정과;
    탈리지가 제거된 양면접착지의 상면에 별도의 표면시트를 부착 형성하는 표면시트 부착공정과;
    상기 표면시트와 양면접착지 및 부착시트 만이 성형시트의 상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반복 나열된 돔 삽입부 주변으로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선 형성공정;을 수행하여 완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표면시트 부착공정 후, 성형시트를 부착시트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부착시트의 하측으로 개구되어 노출되는 돔 삽입부의 내측으로 별도의 메탈 돔을 삽입하여 부착시트 상측의 양면접착지에 의해 메탈 돔이 부착 고정되게 하고 전개된 성형시트를 부착시트에 다시 접착시키는 메탈 돔 투입공정을 더 수행하여 완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절취선 형성공정 후, 보호지를 성형시트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성형시트의 하측으로 개구되어 노출되는 돔 삽입부의 내측으로 별도의 메탈 돔을 삽입하여 부착시트 상측의 양면접착지에 의해 메탈 돔이 부착 고정되게 하고 전개된 보호지를 성형시트에 다시 접착시키는 메탈 돔 투입공정을 더 수행하여 완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절취선 성형공정 후, 에어 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표면시트에 에어 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절개선을 형성하는 통기부 형성공정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절취선 형성공정은, 표면시트와 양면접착지 및 부착시트 만이 성형시트의 상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반복 나열된 각각의 돔 삽입부 주변으로 절취선을 형성하는 동시에 에어 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표면시트에 에어 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절개선을 함께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에어 홀 천공공정에 의한 에어 홀은 장방향으로 된 돔 삽입부의 길이방향 측부에 형성되게 하되, 상기의 에어 홀은 돔 삽입부의 양측에 각기 형성되거나 일측에 복수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에어 홀 천공공정은 서로 이웃하고 있는 두 개의 돔 삽입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절취선 형성공정은 상기와 같은 에어 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돔 삽입부 주변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두 개의 돔 삽입부를 갖는 트윈 구조의 리버스 돔 시트로 절취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20025238A 2012-03-12 2012-03-12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KR101150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238A KR101150302B1 (ko) 2012-03-12 2012-03-12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238A KR101150302B1 (ko) 2012-03-12 2012-03-12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302B1 true KR101150302B1 (ko) 2012-06-08

Family

ID=4668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238A KR101150302B1 (ko) 2012-03-12 2012-03-12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3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80B1 (ko) 2004-06-04 2005-03-17 한울정보기술(주) 안정성과 클릭감이 향상된 el 방식 메탈 돔 키패드
KR200386700Y1 (ko) 2005-03-25 2005-06-16 주식회사 두성테크 이엘램프시트 돔스위치
JP2009238679A (ja) 2008-03-28 2009-10-15 Omron Corp キースイッチ用シート及びキー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10129502A (ja) 2008-12-01 2010-06-10 Panasonic Corp 可動接点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80B1 (ko) 2004-06-04 2005-03-17 한울정보기술(주) 안정성과 클릭감이 향상된 el 방식 메탈 돔 키패드
KR200386700Y1 (ko) 2005-03-25 2005-06-16 주식회사 두성테크 이엘램프시트 돔스위치
JP2009238679A (ja) 2008-03-28 2009-10-15 Omron Corp キースイッチ用シート及びキー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10129502A (ja) 2008-12-01 2010-06-10 Panasonic Corp 可動接点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3052B2 (en) Keyboard dome stiffener assembly
CA2732051C (en) Keyboard dome stiffener assembly
US8446713B2 (en) Waterproof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258418B2 (en) Keyboard dome overlay structure
JP6529561B2 (ja) キーボード構造
CN106415763A (zh) 防水用基板开关以及防水用基板开关制造方法
KR101150302B1 (ko) 리버스 돔 시트의 제조방법
KR101150305B1 (ko) 싱글형 리버스 돔 시트
KR101150306B1 (ko) 트윈형 리버스 돔 시트
JP4457918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01095547B1 (ko) 돔스위치 커버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패드
CN103117183A (zh) 薄型按键开关
KR101388589B1 (ko)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601289B1 (ko) 휴대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휴대폰용 키패드
KR101199304B1 (ko) 휴대단말기 버튼스위치용 메탈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14557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용의 평상시 폐쇄형 전기 스위치
JP6399706B2 (ja) 可動接点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可動接点部材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KR101348714B1 (ko) 휴대 단말기
KR20130123057A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1412659B1 (ko) 에스엠디용 밀폐형 돔 스위치
JP4486012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804218B1 (ko) 분리된 키를 갖는 서스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A2725166C (en) Keyboard dome overlay structure
KR200368751Y1 (ko) 이동통신기기용 돔 스위치 조립체
JP2006173025A (ja) キー入力装置及びキー入力装置の操作圧の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