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611B1 - 염전 - Google Patents

염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611B1
KR101149611B1 KR1020090099472A KR20090099472A KR101149611B1 KR 101149611 B1 KR101149611 B1 KR 101149611B1 KR 1020090099472 A KR1020090099472 A KR 1020090099472A KR 20090099472 A KR20090099472 A KR 20090099472A KR 101149611 B1 KR101149611 B1 KR 10114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on
stage
stages
sal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686A (ko
Inventor
최신일
Original Assignee
최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일 filed Critical 최신일
Priority to KR102009009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6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로 증발이 많이 이루어지는 단계인 증발지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단의 면적을 가장 크게 하고 그 양쪽으로 진행하면서 단의 면적이 감소하게 배열함으로써 증발효율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증발지 대비 결정지의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염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은, 다단으로 분할된 증발지와, 상기 증발지의 하단에 위치하여 다단으로 분할된 결정지가 구비된 염전에 있어서, 상기 증발지는 상단에서 하단 사이에 위치한 기준단을 기준으로 기준단의 양측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면적이 감소하도록 다단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염전, 증발지, 결정지, 배열

Description

염전{SALTPAN}
본 발명은 염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로 증발이 많이 이루어지는 단계인 증발지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단의 면적을 가장 크게 하고 그 양쪽으로 진행하면서 단의 면적이 감소하게 배열함으로써 증발효율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증발지 대비 결정지의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염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salt)은 식염(食鹽)이라고도 지칭되며, 화학명은 염화나트륨(NaCl)으로서, 조미나 염장 등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외에 소다(탄산나트륨)의 제조 등과 같은 공업 분야에서도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소금은 미네랄이 풍부하여 모든 생명체가 생존과 번성함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알려져 왔다. 소금은 사람의 세포외액의 중요한 양이온으로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산염기 평형에 관여하며 신경자극 전달물질 뿐만 아니라, 위산의 생성을 도와 소화액을 구성하, 효소활동에 관여하며, 가장 순수한 짠맛을 내기 때문에 식품의 맛을 내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미료로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소금은 천일염, 암염, 기계염, 재제염, 가공염 등으로 분류할 수 있 으며, 세계 소금 생산량의 2/3 정도는 암염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나, 전통적으로 선호되는 것은 우리의 입맛에 잘 부합하는 천일염이다.
천일염의 순도는 80~88%이상이며 염도는 낮으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정제염은 95~99%이상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은 거의 없으나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도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우리나라의 천일염의 특징은 세계 5대(캐나다의 동부해안, 미국의 동부해안, 독일의 북해연안, 브라질의 아마존 강 유역, 한국의 서해안)갯벌 중의 하나로서 미네랄이 풍부한 갯벌염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생산기반으로 천일염은 몸에 좋은 알칼리성 소금으로 산화가 낮고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등 다양한 양이온들을 함유하고 있어 연화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우리의 전통식품 김치, 장류, 젓갈류 등 그 고유의 맛과 풍미를 유지 시켜왔다.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은 크게 저수지 ?증발지(蒸發池) ?결정지(結晶池)의 셋으로 이루 어지며, 이 밖에 염퇴장(鹽堆場)?도로 등이 부설되어 있고, 이 모든 시설은 방조제방과 육수침입 방지용 내제방(內堤防)에 의하여 외수(外水)와 단절되어 있다.
상기에서, 저수지는 바닷물을 가두는 곳이고, 증발지는 저수지로부터 유입된 염수를 햇볕과 바람으로 물을 증발시키는 곳이며, 결정지는 증발지에서 농축된 포화함수(飽和鹹水)를 엷게 펴서 농축시키고 소금을 결정석출시켜서 채염(採鹽)하는 곳을 말하며, 증발지 하단에 위치한다.
통상 상단에 증발지를 하단에 결정지를 배열하고, 증발지와 결정지는 각각 다단으로 분할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염전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염전은 하단의 1 내지 4단은 소금을 결정석출하는 결정지로 배열하고, 상단의 5 내지 15단은 바닷물을 농축하는 증발지로 배열하여 전체적으로 15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증발지는 가장 높은 15단이 가장 넓으며 5단으로 내려갈수록 바닷물이 증발되는 양을 감안하여 면적이 작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결정지는 증발지 대비 5분의1 정도의 비율을 갖도록 배분된다. 증발지의 5 내지 10단 사이와 결정지의 4단에는 우천과 같은 상황에 따라 농축된 포화함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해주가 구비된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염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염전은 하단의 1 내지 4단은 소금을 결정석출하는 결정지로 배열하고, 상단의 5 내지 12단은 바닷물을 농축하는 증발지로 배열하여 전체적으로 12단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염전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염전에서도 상기 증발지는 가장 높은 12단이 가장 넓으며 5단으로 내려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염전의 경우에도 결정지는 증발지 대비 5분의1 내지 4분의1 미만의 비율을 갖도록 배분된다. 증발지의 5 내지 9단 사이와 결정지의 4단에는 해주가 구비된다.
종래의 염전은 증발지가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진행할수록 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배열 형성된다. 이는 저수지에서 증발지의 최상단으로 유입된 바닷물의 표면적을 가장 크게하여 증발이 초기에 많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바닷물의 증발로 바닷물이 줄어드는 것을 고려하여 하단으로 진행할수록 면적이 줄어들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저수지에서 최상단(도 1의 15단, 도 2의 12단)으로 유입된 바닷물은 초기의 최상단에서 증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최상단을 거쳐 다음 단으로 유입된 이후에 증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저수지에서 최상단으로 유입된 바닷물은 충분히 가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닷물의 물분자가 증발을 위한 상태에 도달되지 않아 최상단의 면적을 크게 하더라도 증발효율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로 증발이 많이 이루어지는 단계인 증발지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단의 면적을 가장 크게 하고 그 양쪽으로 진행하면서 단의 면적이 감소하게 배열함으로써 증발효율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증발지 대비 결정지의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염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전은, 다단으로 분할된 증발지와, 상기 증발지의 하단에 위치하여 다단으로 분할된 결정지가 구비된 염전에 있어서, 상기 증발지는 상단에서 하단 사이에 위치한 기준단을 기준으로 기준단의 양측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면적이 감소하도록 다단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전은, 상기 결정지는 하단의 1단에서 상단의 5단으로 분할되어 5개의 단으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증발지는, 하단의 6단에서 상단의 10단으로 5개의 단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증발지는 8단이 기준단이 되어 8단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면적이 감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전은, 상기 결정지의 면적은 증발지 면적에 대하여 4분의 1 내지 5분의 2의 비율이 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전은 실제로 증발이 많이 이루어지는 단계인 증발지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단의 면적을 가장 크게 하고 그 양쪽으로 진행하면서 단의 면적이 감소하게 배열함으로써 증발효율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증발지 대비 결정지의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전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은 다단으로 분할된 증발지와, 상기 증발지의 하단에 위치하여 다단으로 분할된 결정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도면에는 증발지와 결정지가 각각 5개의 단으로 나뉘어 4개의 열로 종방향으로 분할된 구조를 갖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증발지는 최상단의 10단에서 하단의 6단까지 5개의 단으로 분할되며, 결정지는 상단의 5단에서 최하단의 1단까지 5개의 단으로 분할되어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또한, 각 단은 4개의 열로 분할 형성된다.
상기 증발지와 결정지는 염수가 지나기 위한 수로(도면에 미도시)의 양측에 둑(도면에 미도시)을 형성하여 서로 분할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증발지와 결정지에는 임시로 염수를 저장할 수 있는 해주가 구비되는데, 그 해주는 결정지의 4단에서 증발지의 8단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증발지에서 실제로 증발이 많이 이루어질 수 있는 중간 부분에 위치한 단의 면적을 최대로 하고 그 양측에 위치한 단의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실제로 증발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증발지는 상단에서 하단 사이에 위치한 기준단(도면에서 8단)을 기준으로 기준단의 양측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면적이 감소하도록 다단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폭이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 8단의 높이를 55m하는 경우 그 8단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진행할수록 5m씩 높이를 줄여 면적을 감소시켰다. 즉, 8단에 인접한 9단과 7단을 50m의 높이가 되도록 하여 8단에 비하여 그 양측에 위치한 9단과 7단의 면적을 감소시켰고, 7단의 하단에 인접한 6단은 높이를 45m로 감소시켰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지는 8단이 기준단이 되어 그 8단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면적이 감소하게 형성되는데, 저수지(도면에 미도시)에서 증발지의 최상단인 10단으로 유입된 바닷물은 순차적으로 9단을 거쳐 8단으로 유입되면서 증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10단으로 유입되어 9단을 거치면서 10단보다는 9단에서 증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10단과 9단을 거치는 과정에서 충분히 가열되어 바닷물의 증발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에 도달된 바닷물은 면적이 가장 크게 형성된 8단으로 유입되어 그 8단에서 증발이 많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8단 이전의 과정인 10단과 9단의 면적과 8단에서 충분히 증발되어 점차 증발량이 감소되는 8단 이후의 7단과 6단의 면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증발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8단의 면적으로 극대화시킴으로써 적은 증발지의 면적으로도 결정에 충분한 농도로 염수를 농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증발지의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실제 소금을 결정석출시키는 결정지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지와 결정지를 각각 5개의 단으로 분할 형성시키고 증발지의 8단을 기준단으로 하여 그 8단의 면적을 가장 크게 형성함으로써 결정지의 면적을 증발지 면적에 대하여 4분의 1 내지 5분의 2의 비율이 되게 확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실제 소금의 결정에 필요한 결정지의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염전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염전의 일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염전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3)

  1. 다단으로 분할된 증발지와, 상기 증발지의 하단에 위치하여 다단으로 분할된 결정지가 구비된 염전에 있어서,
    상기 증발지는 상단에서 하단 사이에 위치한 기준단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면적이 감소하도록 다단이 배열 형성되되,
    상기 결정지는 하단의 1단에서 상단의 5단으로 분할되어 5개의 단으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증발지는, 하단의 6단에서 상단의 10단으로 5개의 단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증발지는 8단이 기준단이 되어 8단을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 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면적이 감소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정지의 면적은 증발지 면적에 대하여 4분의 1 내지 5분의 2의 비율이 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2. 삭제
  3. 삭제
KR1020090099472A 2009-10-19 2009-10-19 염전 KR10114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472A KR101149611B1 (ko) 2009-10-19 2009-10-19 염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472A KR101149611B1 (ko) 2009-10-19 2009-10-19 염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686A KR20110042686A (ko) 2011-04-27
KR101149611B1 true KR101149611B1 (ko) 2012-05-29

Family

ID=4404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472A KR101149611B1 (ko) 2009-10-19 2009-10-19 염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11B1 (ko) * 2017-12-29 2021-04-16 주식회사 도초 농업회사법인 신간수 천일염의 제조방법 및 그의 항비만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 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blog.daum.net/gijuzzang/851488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686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5160U (ko) 천일염 생산 염전
CN104030320B (zh) 双向循环法海水淡化并提取溴素后浓盐水浓缩制盐工艺
KR101149611B1 (ko) 염전
KR101325135B1 (ko) 천일염 채염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호성 천일염 제조방법그리고 이것을 얻기 위한 염전구조
Zarzo Beneficial uses and valorization of reverse osmosis brines
KR101018422B1 (ko) 하우스형 결정지와 이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CN106830490A (zh) 一种用于盐藻养殖的硫酸钠型盐湖湖水的处理方法
KR20110113400A (ko) 전통간장을 이용한 소금 추출
KR20140112493A (ko) 해수 대체용 및 무기질 강화용 천일염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30003270A (ko) 염전의 해주
KR101253323B1 (ko) 미네랄이 강화된 천일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일염
KR20110052849A (ko) 염전의 해주
JP2005126278A (ja) 海洋深層水由来の苦汁を配合した肥料および苦汁を有効成分とする肥料用添加剤
CN105600808B (zh) 一种多能源驱动的海水制盐塔及制盐工艺
GB2440138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glycine enriched sodium chloride crystals with improved flow
Schuchert The conditions of black shale deposition as illustrated by the Kupferschiefer and Lias of Germany
Gorjian et al. Solar desalination technology to supply water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KR20040092780A (ko) 해양성 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염의 제조방법
KR101888182B1 (ko) 해수 또는 염수에 용해된 염의 농축 방법
Coleman et al. The role of biological disturbances in the production of solar salt
CN111302449A (zh) 一种富含深海矿物元素的碱性小分子饮用水及其制备方法
Alberti et al. Salt production from brine of desalination plant discharge
KR20100016685A (ko) 해양심층수로부터 분리된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네랄 소금의제조 방법
KR100799880B1 (ko) 갯벌로부터 소금 및 간수의 생산방법
KR20140093298A (ko) 미네랄이 풍부한 천일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천일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