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494B1 -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494B1
KR101149494B1 KR1020100130679A KR20100130679A KR101149494B1 KR 101149494 B1 KR101149494 B1 KR 101149494B1 KR 1020100130679 A KR1020100130679 A KR 1020100130679A KR 20100130679 A KR20100130679 A KR 20100130679A KR 101149494 B1 KR101149494 B1 KR 101149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der
base plate
coupling
spindle mo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이영원
손유진
Original Assignee
(주)옵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티스 filed Critical (주)옵티스
Priority to KR102010013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rus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중앙에 축홀더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구멍의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진입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진입구멍들 사이의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면에는 탄성돌부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축홀더에는, 둘레에 결합구멍의 상부면 둘레에 안착되도록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고, 플랜지부 하측의 축홀더 둘레에는 진입구멍에 진입된 후 결합구멍의 하부면 둘레에 지지되도록 체결돌기들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축홀더의 체결돌기들을 베이스플레이트의 진입구멍에 삽입시킨 후 축홀더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돌기들의 상부면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 지지되고 플랜지부의 저면이 탄성돌부의 상부면에 눌려 지지된다. 따라서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 측으로 밀어 끼운 후 회전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축홀더와 베이스플레이트가 결합되므로 이들의 결합작업이 간편하고, 탄성돌부들에 의해 축홀더 및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부위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므로 이들 사이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의 구동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Spindle motor for optical disk drive}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DP, CDP, CD-ROM, DVD, DVD-ROM 등과 같은 광디스크 플레이어는 로딩 메커니즘에 의해 디스크를 턴테이블 상에 로딩시키면서 디스크의 정중앙에 관통형성된 장착공을 클램핑 유닛인 척으로서 클램핑하여 끼워 고정하고, 척에 클램핑된 디스크를 구동수단인 스핀들모터의 구동원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시키면서 그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픽업 유닛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최근 들어 휴대형 노트북 등의 모바일 이동통신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와 함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당업계에서 주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바, 본원발명에서는 모바일 이동통신기기의 구성 중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조립성을 향상시켜서 전체 모바일 이동통신기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인 광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되는 스핀들모터는, 고정자부와 회전자부로 이루어진다.
고정자부는 스핀들모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축홀더와, 축홀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이 권선되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로 이루어진다.
회전자부는, 하부가 축홀더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케이스와, 로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어에 대향되어서 코어에서 발생된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을 행하여 로터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다.
회전축의 외주면 및 축홀더의 내주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어서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고, 로터케이스의 상부면에는 디스크가 안착되도록 턴테이블이 구비되어서 로터케이스와 함께 회전되며, 로터케이스에는 디스크척이 설치되어서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안착시킨다. 축홀더의 하부에는 트러스트베어링이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축의 하단을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는,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였다.
즉,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키기 위해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끼우고 축홀더의 하단부 둘레를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구멍의 하단 둘레로 절곡시켜서 결합시킨다.
따라서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키기 위해 축홀더의 하단부를 절곡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었다. 또한, 절곡된 하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축홀더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견고히 지지되지 못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는, 스핀들모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축홀더와, 축홀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이 권선되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로 이루어진 고정자부; 하부가 축홀더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케이스와, 로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어에 대향되어서 코어에서 발생된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을 행하여 로터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회전자부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중앙에 축홀더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구멍의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진입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진입구멍들 사이의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면에는 탄성돌부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축홀더에는, 둘레에 결합구멍의 상부면 둘레에 안착되도록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고, 플랜지부 하측의 축홀더 둘레에는 진입구멍에 진입된 후 결합구멍의 하부면 둘레에 지지되도록 체결돌기들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의 다른 특징은, 탄성돌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을 상측 방향으로 눌러서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엠보싱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의 또 다른 특징은, 체결돌기의 상부면부터 플랜지부의 저면까지의 수직폭은,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크고,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부터 탄성돌부의 상단부까지의 수직폭보다 작으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면부터 탄성돌부의 상단부까지의 돌출 높이는 0.2mm ~ 0.8mm이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는, 스핀들모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축홀더와, 축홀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이 권선되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로 이루어진 고정자부; 하부가 축홀더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케이스와, 로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어에 대향되어서 코어에서 발생된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을 행하여 로터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회전자부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축홀더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축홀더의 둘레에는 축홀더의 하부가 결합구멍에 삽입되면 결합구멍의 상부면 둘레에 안착되도록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플랜지부의 하부에는 축홀더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 결합구멍 상부측에 위치시킨 후 하측으로 눌러 끼우면 축홀더와 베이스플레이트가 한번에 결합되도록 원터치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의 또 다른 특징은, 원터치결합돌부는, 하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구멍 측으로 삽입될 때에는 내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다가 결합구멍을 통과하면 복원되면서 상부의 턱이 결합구멍의 저면 둘레에 지지되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훅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의 또 다른 특징은, 원터치결합돌부는, 축홀더의 플랜지부 하측 둘레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결합구멍의 내주면 둘레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의 상측에는 결합구멍의 상단부에서 내측 하단으로 볼록한 곡면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원터치결합돌부를 결합구멍의 내측으로 눌러 끼우면 원터치결합돌부가 안내면을 따라 하강되면서 절곡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고 원터치결합돌부가 결합구멍을 완전히 통과하면 탄성변형된 절곡부가 복원되면서 절곡부의 내측 하단 모서리가 원터치결합돌부의 상단부에 눌려 지지되도록 된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의 또 다른 특징은, 원터치결합돌부는, 축홀더의 플랜지부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결합구멍 둘레의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원터치결합돌부가 억지끼워맞춤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원터치결합돌부를 체결구멍에 대향시킨 후 서로 밀어 끼우면 원터치결합돌부가 체결구멍에 억지끼워맞춤되면서 결합되도록 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는, 스핀들모터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중앙에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구멍의 상부면 둘레에 안착되도록 둘레에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는 축홀더와, 축홀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이 권선되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로 이루어진 고정자부; 하부가 축홀더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케이스와, 로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어에 대향되어서 코어에서 발생된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을 행하여 로터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회전자부; 축홀더의 하부에 결합되어서 축홀더의 내부에 설치된 트러스트베어링이 축홀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마감판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에 있어서, 축홀더의 하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축홀더의 결합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축홀더의 플랜지부에 눌러 지지하고 마감판을 축홀더에 눌러서 지지하도록 마감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의 또 다른 특징은, 결합부는, 축홀더의 하단부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부로 이루어지며; 마감캡은, 둘레에 베이스플레이트를 축홀더의 플랜지부에 눌러 지지하도록 주변가압부가 돌출되어 있고, 내주면 둘레에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결합부에 체결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마감판을 상측으로 눌러 지지하도록 중앙가압부가 돌출된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의 또 다른 특징은, 결합부는, 축홀더의 하단부에 형성된 진입홈과, 진입홈의 상부에 진입홈의 수평폭보다 더 큰 수평폭의 체결홈으로 이루어지며; 마감캡은, 둘레에 베이스플레이트를 축홀더의 플랜지부에 눌러 지지하도록 주변가압부가 돌출되어 있고, 중앙부분에 마감판을 상측으로 눌러 지지하도록 중앙가압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주변가압부 및 중앙가압부 사이에 진입홈에 진입된 후 체결홈에 안착되도록 하측의 수평폭보다 상측의 수평폭이 더 큰 체결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축홀더의 체결돌기들을 베이스플레이트의 진입구멍에 삽입시킨 후 축홀더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돌기들의 상부면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 지지되고 플랜지부의 저면이 탄성돌부의 상부면에 눌려 지지된다. 따라서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 측으로 밀어 끼운 후 회전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축홀더와 베이스플레이트가 결합되므로 이들의 결합작업이 간편하고, 탄성돌부들에 의해 축홀더 및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부위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므로 이들 사이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의 구동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축홀더의 원터치결합돌부를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구멍 상부면에 위치시키고 하측으로 밀어 끼우면 축홀더와 베이스플레이트가 한번에 결합된다. 따라서 축홀더와 베이스플레이트가 한번의 동작으로 간단히 결합되므로 결합작업 및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마감캡을 축홀더 하부의 결합부에 결합시키면 마감캡의 주변가압부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 및 축홀더의 플랜지부가 서로 밀착되고 마감캡의 중앙가압부에 의해 마감판이 축홀더의 하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마감캡을 축홀더에 결합시키는 작업으로 베이스플레이트 및 마감판이 축홀더에 함께 지지되며, 이에 따라 한번의 조립작업으로 세 부품이 서로 결합되므로 스핀들모터의 조립성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축홀더 및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보인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발췌 단면도들
도 4 내지 도 6은 축홀더 및 베이스플레이트가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터치결합부들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들
도 7 및 도 8은 축홀더 및 베이스플레이트가 마감캡 및 결합부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는 축홀더 및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보인 발췌 분리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축홀더를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발췌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는, 고정자부(10)와 회전자부(14)로 이루어진다.
고정자부(10)는, 스핀들모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와, 베이스플레이트(11)에 결합되어 있는 축홀더(12)와, 축홀더(12)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이 권선되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13)로 이루어진다.
회전자부(14)는, 하부가 축홀더(12)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15)과, 회전축(15)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회전축(15)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케이스(16)와, 로터케이스(16)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어(13)에 대향되어서 코어(13)에서 발생된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을 행하여 로터케이스(16)를 회전시키는 마그네트(17)로 이루어진다.
회전축(15)의 외주면 및 축홀더(12)의 내주면에는 베어링(18)이 결합되어서 회전축(15)의 회전을 지지하고, 로터케이스(16)의 상부면에는 디스크(19)가 안착되도록 턴테이블(21)이 구비되어서 로터케이스(16)와 함께 회전되며, 로터케이스(16)에는 디스크척(22)이 설치되어서 디스크(19)를 턴테이블(21)에 안착시킨다.
축홀더(12)의 하부에는 트러스트베어링(23)이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축(15)의 하단을 지지한다. 축홀더(12)의 하부에는 마감판(24)이 결합되어서 트러스트베어링(23)이 축홀더(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중앙에 축홀더(12)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구멍(11a)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구멍(11a)의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진입구멍(11b)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진입구멍(11b)들 사이의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면에는 탄성돌부(11c)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축홀더(12)에는, 둘레에 결합구멍(11a)의 상부면 둘레에 안착되도록 플랜지부(12a)가 돌출되어 있고, 플랜지부(12a) 하측의 축홀더(12) 둘레에는 진입구멍(11b)에 진입된 후 결합구멍(11a)의 하부면 둘레에 지지되도록 체결돌기(12b)들이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탄성돌부(11c)는, 베이스플레이트(11)의 저면을 상측 방향으로 눌러서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엠보싱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돌기(12b)의 상부면부터 플랜지부(12a)의 저면까지의 수직폭은, 베이스플레이트(11)의 두께보다 크고 베이스플레이트(11)의 저면부터 탄성돌부(11c)의 상단부까지의 수직폭보다 작다.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면부터 탄성돌부(11c)의 상단부까지의 돌출 높이는 0.2mm ~ 0.8mm이다.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면부터 탄성돌부(11c)의 상단부까지의 돌출 높이 즉, 탄성돌부(11c)의 돌출 높이가 0.2mm 미만이면 축홀더(12) 및 베이스플레이트(11)가 결합되어도 탄성돌부(11c)가 그다지 크게 압착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탄성돌부(11c)의 탄성 변형이 그다지 크지 않아서 축홀더(12) 및 베이스플레이트(1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면부터 탄성돌부(11c)의 상단부까지의 돌출 높이 즉, 탄성돌부(11c)의 돌출 높이가 0.8mm를 초과하면 탄성돌부(11c)의 돌출 높이가 불필요하게 크며, 이에 따라 축홀더(12) 및 베이스플레이트(11)를 결합시키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너무 돌출된 탄성돌부(11c)가 축홀더(12) 및 베이스플레이트(11)의 압착력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면부터 탄성돌부(11c)의 상단부까지의 돌출 높이는 0.2mm ~ 0.8mm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축홀더(12)의 체결돌기(12b)들을 베이스플레이트(11)의 진입구멍(11b)에 삽입시킨 후 축홀더(1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돌기(12b)들의 상부면이 베이스플레이트(11)의 저면에 지지되고 플랜지부(12a)의 저면이 탄성돌부(11c)의 상부면에 눌려 지지된다.
따라서 축홀더(12)를 베이스플레이트(11) 측으로 밀어 끼운 후 회전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축홀더(12)와 베이스플레이트(11)가 결합되므로 이들의 결합작업이 간편하다.
또한, 탄성돌부(11c)들에 의해 축홀더(12) 및 베이스플레이트(11)의 결합부위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므로 이들 사이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의 구동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4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고정자부(10)는, 스핀들모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와, 베이스플레이트(11)에 결합되어 있는 축홀더(12)와, 축홀더(12)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이 권선되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13)로 이루어진다.
회전자부(14)는, 하부가 축홀더(12)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15)과, 회전축(15)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회전축(15)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케이스(16)와, 로터케이스(16)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어(13)에 대향되어서 코어(13)에서 발생된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을 행하여 로터케이스(16)를 회전시키는 마그네트(17)로 이루어진다.
회전축(15)의 외주면 및 축홀더(12)의 내주면에는 베어링(18)이 결합되어서 회전축(15)의 회전을 지지하고, 로터케이스(16)의 상부면에는 디스크(19)가 안착되도록 턴테이블(21)이 구비되어서 로터케이스(16)와 함께 회전되며, 로터케이스(16)에는 디스크척(22)이 설치되어서 디스크(19)를 턴테이블(21)에 안착시킨다.
축홀더(12)의 하부에는 트러스트베어링(23)이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축(15)의 하단을 지지한다. 축홀더(12)의 하부에는 마감판(24)이 결합되어서 트러스트베어링(23)이 축홀더(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의 중앙에는 축홀더(12)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축홀더(12)의 둘레에는 축홀더(12)의 하부가 결합구멍(11a)에 삽입되면 결합구멍(11a)의 상부면 둘레에 안착되도록 플랜지부(12a)가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부(12a)의 하부에는 축홀더(12)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11)의 결합구멍(11a) 상부측에 위치시킨 후 하측으로 눌러 끼우면 축홀더(12)와 베이스플레이트(11)가 한번에 결합되도록 원터치결합돌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터치결합돌부(12c)는, 하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의 결합구멍(11a) 측으로 삽입될 때에는 내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다가 결합구멍(11a)을 통과하면 복원되면서 상부의 턱(12d)이 결합구멍(11a)의 저면(11d) 둘레에 지지되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훅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축홀더(12)의 원터치결합돌부(12c)를 베이스플레이트(11)의 결합구멍(11a) 상부면에 위치시키고 하측으로 밀어 끼우면 축홀더(12)와 베이스플레이트(11)가 한번에 결합된다.
따라서 축홀더(12)와 베이스플레이트(11)가 한번의 동작으로 간단히 결합되므로 결합작업 및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고정자부(10) 및 회전자부(14)의 구성은 도 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축홀더(12)의 원터치결합돌부(12e) 및 원터치결합돌부(12e)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의 절곡부(11e)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원터치결합돌부(12e)는,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 하측 둘레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의 결합구멍(11a) 내주면 둘레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절곡부(11e)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11e)의 상측에는 결합구멍(11a)의 상단부에서 내측 하단으로 볼록한 곡면의 안내면(11f)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터치결합돌부(12e)를 결합구멍(11a)의 내측으로 눌러 끼우면 원터치결합돌부(12e)가 안내면(11f)을 따라 하강되면서 절곡부(11e)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고, 원터치결합돌부(12e)가 결합구멍(11a)을 완전히 통과하면 탄성변형된 절곡부(11e)가 복원되면서 절곡부(11e)의 내측 하단 모서리(11g)가 원터치결합돌부(12e)의 상단부에 눌려 지지된다.
따라서, 축홀더(12)의 원터치결합돌부(12e)를 베이스플레이트(11)의 결합구멍(11a) 상부면에 위치시키고 하측으로 밀어 끼우면 원터치결합돌부(12e)가 안내면(11f)을 따라 하측으로 눌리면서 절곡부(11e)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진입되며, 원터치결합돌부(12e)가 결합구멍(11a)을 완전히 통과하면 절곡부(11e)가 복원되면서 절곡부(11e)의 모서리(11g) 부분이 원터치결합돌부(12e)의 상측 둘레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축홀더(12)와 베이스플레이트(11)가 한번의 동작으로 간단히 결합되므로 결합작업 및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고정자부(10) 및 회전자부(14)의 구성은 도 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축홀더(12)의 원터치결합돌부(12f) 및 원터치결합돌부(12f)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의 체결구멍(11h)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원터치결합돌부(12f)는,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결합구멍(11a) 둘레의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원터치결합돌부(12f)가 억지끼워맞춤되도록 체결구멍(11h)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터치결합돌부(12f)를 체결구멍(11h)에 대향시킨 후 서로 밀어 끼우면 원터치결합돌부(12f)가 체결구멍(11h)에 억지끼워맞춤되면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축홀더(12)의 원터치결합돌부(12f)를 베이스플레이트(11)의 체결구멍(11h) 상부면에 위치시키고 하측으로 밀어 끼우면 축홀더(12)와 베이스플레이트(11)가 한번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축홀더(12)와 베이스플레이트(11)가 한번의 동작으로 간단히 결합되므로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7은 축홀더(12) 및 베이스플레이트(11)가 마감캡(25) 및 결합부(12g)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고정자부(10) 및 회전자부(14)의 구성은 도 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축홀더(12)의 결합부(12g) 및 결합부(12g)에 결합되는 마감캡(25)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축홀더(12)의 하단부에는 결합부(12g)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12g)는 축홀더(12)의 하단부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부로 이루어진다.
축홀더(12)의 결합부(12g)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를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에 눌러 지지하고 마감판(24)을 축홀더(12)에 눌러서 지지하도록 마감캡(25)이 결합되어 있다. 이 마감캡(25)은, 둘레에 베이스플레이트(11)를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에 눌러 지지하도록 주변가압부(25a)가 돌출되어 있고, 내주면 둘레에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결합부(12g)에 체결되도록 암나사부(25c)가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마감판(24)을 상측으로 눌러 지지하도록 중앙가압부(25b)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마감캡(25)의 암나사부(25c)를 축홀더(12)의 결합부(12g)에 체결시키면 마감캡(25)의 주변가압부(25a)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 및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가 서로 밀착되고 마감캡(25)의 중앙가압부(25b)에 의해 마감판(24)이 축홀더(12)의 하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마감캡(25)을 축홀더(12)에 결합시키는 작업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 및 마감판(24)이 축홀더(12)에 함께 지지되며, 이에 따라 한번의 조립작업으로 세개의 부품인 축홀더(12), 마감판(24), 베이스플레이트(11)가 서로 결합되므로 스핀들모터의 조립성이 개선된다.
도 8은 축홀더(12) 및 베이스플레이트(11)가 마감캡(25) 및 결합부(12h)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다른 개략적 단면도로써, 고정자부(10) 및 회전자부(14)의 구성은 도 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축홀더(12)의 결합부(12h) 및 결합부(12h)에 결합되는 마감캡(25)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축홀더(12)의 하단부에는 결합부(12h)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부(12h)는, 축홀더(12)의 하단부에 형성된 진입홈(12i)과, 진입홈(12i)의 상부에 진입홈(12i)의 수평폭보다 더 큰 수평폭의 체결홈(12j)으로 이루어진다.
축홀더(12)의 결합부(12h)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를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에 눌러 지지하고 마감판(24)을 축홀더(12)에 눌러서 지지하도록 마감캡(25)이 결합된다.
이 마감캡(25)은, 둘레에 베이스플레이트(11)를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에 눌러 지지하도록 주변가압부(25a)가 돌출되어 있고, 중앙부분에 마감판(24)을 상측으로 눌러 지지하도록 중앙가압부(25b)가 돌출되어 있으며, 주변가압부(25a) 및 중앙가압부(25b) 사이에 진입홈(12i)에 진입된 후 체결홈(12j)에 안착되도록 하측의 수평폭보다 상측의 수평폭이 더 큰 체결돌부(25d)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마감캡(25)의 체결돌부(25d)를 축홀더(12) 하부의 결합부(12h)에 대향시킨 후 마감캡(25)을 축홀더(12) 측으로 밀어 끼우면 체결돌부(25d)의 상단부가 결합부(12h)의 진입홈(12i)을 통과한 후 체결홈(12j)에 끼워진다. 따라서 마감캡(25)의 주변가압부(25a)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 및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가 서로 밀착되고 마감캡(25)의 중앙가압부(25b)에 의해 마감판(24)이 축홀더(12)의 하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마감캡(25)을 축홀더(12)에 밀어 끼우는 간단한 작업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 및 마감판(24)이 축홀더(12)에 함께 지지되며, 이에 따라 한번의 조립작업으로 세개의 부품인 축홀더(12), 마감판(24), 베이스플레이트(11)가 서로 결합되므로 스핀들모터의 조립성이 개선된다.
도 7 및 도 8의 방법은 모두 마감캡(25)을 축홀더(12)에 결합시켜서 세 개의 부품이 동시에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지만, 도 7의 마감캡(25)은 축홀더(12)의 결합부(12g)에 여러번 회전시켜서 나사결합해야 하는 반면에, 도 8의 마감캡(25)은 축홀더(12)에 한번에 밀어 끼울 수 있으므로 도 7에 비해 조립성이 향상된다.
10 : 고정자부 11 : 베이스플레이트
11a : 결합구멍 11b : 진입구멍
11c : 탄성돌부 11d : 저면
11e : 절곡부 11f : 안내면
11g : 모서리 11h : 체결구멍
12 : 축홀더 12a : 플랜지부
12b : 체결돌기 12c,12e,12f : 원터치결합돌부
12d : 턱 12g,12h : 결합부
12i : 진입홈 12j : 체결홈
13 : 코어 14 : 회전자부
15 : 회전축 16 : 로터케이스
17 : 마그네트 18 : 베어링
19 : 디스크 21 : 턴테이블
22 : 디스크척 23 : 트러스트베어링
24 : 마감판 25 : 마감캡
25a : 주변가압부 25b : 중앙가압부
25c : 암나사부 25d : 체결돌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스핀들모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축홀더와, 축홀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이 권선되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로 이루어진 고정자부; 하부가 축홀더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케이스와, 로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어에 대향되어서 코어에서 발생된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을 행하여 로터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회전자부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1)의 중앙에는 축홀더(12)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구멍(11a)이 형성되어 있고,
    축홀더(12)의 둘레에는 축홀더(12)의 하부가 결합구멍(11a)에 삽입되면 결합구멍(11a)의 상부면 둘레에 안착되도록 플랜지부(12a)가 돌출되어 있으며,
    플랜지부(12a)의 하부에는 축홀더(12)의 하부를 베이스플레이트(11)의 결합구멍(11a) 상부측에 위치시킨 후 하측으로 눌러 끼우면 축홀더(12)와 베이스플레이트(11)가 한번에 결합되도록 원터치결합돌부(12c)(12e)(12f)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원터치결합돌부(12c)는,
    하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의 결합구멍(11a) 측으로 삽입될 때에는 내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다가 결합구멍(11a)을 통과하면 복원되면서 상부의 턱(12d)이 결합구멍(11a)의 저면(11d) 둘레에 지지되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훅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원터치결합돌부(12e)는,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 하측 둘레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결합구멍(11a)의 내주면 둘레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절곡부(11e)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11e)의 상측에는 결합구멍(11a)의 상단부에서 내측 하단으로 볼록한 곡면의 안내면(11f)이 형성되어 있어서,
    원터치결합돌부(12e)를 결합구멍(11a)의 내측으로 눌러 끼우면 원터치결합돌부(12e)가 안내면(11f)을 따라 하강되면서 절곡부(11e)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고 원터치결합돌부(12e)가 결합구멍(11a)을 완전히 통과하면 탄성변형된 절곡부(11e)가 복원되면서 절곡부(11e)의 내측 하단 모서리(11g)가 원터치결합돌부(12e)의 상단부에 눌려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원터치결합돌부(12f)는,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결합구멍(11a) 둘레의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원터치결합돌부(12f)가 억지끼워맞춤되도록 체결구멍(11h)이 형성되어 있어서,
    원터치결합돌부(12f)를 체결구멍(11h)에 대향시킨 후 서로 밀어 끼우면 원터치결합돌부(12f)가 체결구멍(11h)에 억지끼워맞춤되면서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8. 삭제
  9. 스핀들모터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중앙에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구멍의 상부면 둘레에 안착되도록 둘레에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는 축홀더와, 축홀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이 권선되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로 이루어진 고정자부; 하부가 축홀더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케이스와, 로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어에 대향되어서 코어에서 발생된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을 행하여 로터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회전자부; 축홀더의 하부에 결합되어서 축홀더의 내부에 설치된 트러스트베어링이 축홀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마감판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에 있어서,
    축홀더(12)의 하단부에는 결합부(12g)가 형성되되, 이 결합부(12g)는, 축홀더(12)의 하단부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부로 이루어지며;
    축홀더(12)의 결합부(12g)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를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에 눌러 지지하고 마감판(24)을 축홀더(12)에 눌러서 지지하도록 마감캡(25)이 결합되되, 이 마감캡(25)은, 둘레에 베이스플레이트(11)를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에 눌러 지지하도록 주변가압부(25a)가 돌출되어 있고, 내주면 둘레에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결합부(12g)에 체결되도록 암나사부(25c)가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마감판(24)을 상측으로 눌러 지지하도록 중앙가압부(25b)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10. 스핀들모터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중앙에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구멍의 상부면 둘레에 안착되도록 둘레에 플랜지부가 돌출되어 있는 축홀더와, 축홀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이 권선되어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로 이루어진 고정자부; 하부가 축홀더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케이스와, 로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어에 대향되어서 코어에서 발생된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을 행하여 로터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회전자부; 축홀더의 하부에 결합되어서 축홀더의 내부에 설치된 트러스트베어링이 축홀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마감판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에 있어서,
    축홀더(12)의 하단부에는 결합부(12h)가 형성되되, 이 결합부(12h)는, 축홀더(12)의 하단부에 형성된 진입홈(12i)과, 진입홈(12i)의 상부에 진입홈(12i)의 수평폭보다 더 큰 수평폭의 체결홈(12j)으로 이루어지며;
    축홀더(12)의 결합부(12h)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를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에 눌러 지지하고 마감판(24)을 축홀더(12)에 눌러서 지지하도록 마감캡(25)이 결합되되, 이 마감캡(25)은, 둘레에 베이스플레이트(11)를 축홀더(12)의 플랜지부(12a)에 눌러 지지하도록 주변가압부(25a)가 돌출되어 있고, 중앙부분에 마감판(24)을 상측으로 눌러 지지하도록 중앙가압부(25b)가 돌출되어 있으며, 주변가압부(25a) 및 중앙가압부(25b) 사이에 진입홈(12i)에 진입된 후 체결홈(12j)에 안착되도록 하측의 수평폭보다 상측의 수평폭이 더 큰 체결돌부(25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KR1020100130679A 2010-12-20 2010-12-20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KR101149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679A KR101149494B1 (ko) 2010-12-20 2010-12-20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679A KR101149494B1 (ko) 2010-12-20 2010-12-20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494B1 true KR101149494B1 (ko) 2012-05-24

Family

ID=4627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679A KR101149494B1 (ko) 2010-12-20 2010-12-20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4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147A (ja) 2006-03-02 2007-09-13 Funai Electric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KR20100068959A (ko) * 2008-12-15 2010-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KR20100068960A (ko) * 2008-12-15 2010-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147A (ja) 2006-03-02 2007-09-13 Funai Electric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KR20100068959A (ko) * 2008-12-15 2010-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KR20100068960A (ko) * 2008-12-15 2010-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855B1 (ko) 브러시리스 모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장치
JP509242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101606B1 (ko) 모터 및 이를 이용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US8089186B2 (en) Spindle motor having bushing
KR20110039635A (ko) 스핀들 모터
US8024751B2 (en) Turntable having claws
KR101149494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스핀들모터
KR101020798B1 (ko) 스핀들 모터
JP5544038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のクランピング装置
KR20110018541A (ko) 척 부재를 포함한 스핀들 모터
KR101571895B1 (ko) 스핀들 모터
KR100641679B1 (ko) 스핀들 모터
JP2014013643A5 (ko)
US8332882B2 (en) Spindle motor having a chuck clip
US9577490B2 (en) Spindle motor
US8243384B2 (en)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US20070033600A1 (en) Spindle motor and clamper
KR20030010883A (ko) 광 디스크 턴테이블
JP5575389B2 (ja) ディスク回転用モータ
KR101518738B1 (ko) 스핀들 모터
KR200277346Y1 (ko) 디스크 플레이어용 모터일체형 턴테이블
US8710706B2 (en) Mo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0251361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KR20130068055A (ko)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JP2008112502A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