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326B1 - 습식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326B1
KR101149326B1 KR1020100090047A KR20100090047A KR101149326B1 KR 101149326 B1 KR101149326 B1 KR 101149326B1 KR 1020100090047 A KR1020100090047 A KR 1020100090047A KR 20100090047 A KR20100090047 A KR 20100090047A KR 101149326 B1 KR101149326 B1 KR 10114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lit
cage
housing
slit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068A (ko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티
이엔비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티, 이엔비나노텍(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티
Priority to KR102010009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3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Abstract

습식 집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습식 집진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 및 상부 영역에는 각각 가스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가스 유입구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액체층이 마련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하나 또는 서로 인접하게 복수로 설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복수의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슬릿 케이지; 및 슬릿 케이지가 관통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상면에는 액체층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진 가스에 포함된 먼지 등을 제거하고자 다수의 먼지 포집 또는 용해과정을 거침으로써 종래보다 한층 더 청정화된 청정 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집진장치{WET TYP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습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진 가스에 포함된 먼지 등을 제거하고자 다수의 먼지 포집 또는 용해과정을 거침으로써 종래보다 한층 더 청정화된 청정 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는 습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 장치는 집진 효율이 90%, 95%, 98%, 99%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나노 테크놀러지(Nano technology)에 대한 관심이 점차적으로 증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러한 집진 효율로는 만족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집진 장치의 집진 효율을 대략 100% 또는 허용한계치 이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집진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함진 가스에 포함된 먼지 등을 제거하고자 다수의 먼지 포집 또는 용해과정을 거침으로써 종래보다 한층 더 청정화된 청정 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는 습식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 및 상부 영역에는 각각 가스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가스 유입구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액체층이 마련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하나 또는 서로 인접하게 복수로 설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복수의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슬릿 케이지; 및 슬릿 케이지가 관통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상면에는 액체층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슬릿 케이지는,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슬릿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하는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 및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에 일체로 연결되되,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 내부에서 선회된 가스가 유입된 후 내부에서 재선회한 후 배출되도록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슬릿이 형성되는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 케이지는,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가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섹션 플레이트는,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는, 복수의 제1 슬릿을 형성하도록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슬릿편이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의 외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며,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는, 복수의 제2 슬릿을 형성하도록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슬릿편이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의 외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슬릿편과 복수의 제2 슬릿편의 기울어진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슬릿편과 복수의 제2 슬릿편은 각각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의 외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하부에는 드레인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벽에는, 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 및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의 내부를 선회한 후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상측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도록 나선형의 가이드 베인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의 내측 상면에는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는 기액분리 튜브가 더 마련되며, 슬릿 케이지의 상측으로 이동된 가스는 가이드 베인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후 기액분리 튜브에 접촉될 수 있다.
기액분리 튜브의 하단에는 하우징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은 하우징의 내벽에서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의 단부에는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절곡되는 차단벽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진 가스에 포함된 먼지 등을 제거하고자 다수의 먼지 포집 또는 용해과정을 거침으로써 종래보다 한층 더 청정화된 청정 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에서 가이드 베인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에서 가이드 베인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 및 상부 영역에는 각각 가스가 유입 및 배출되는 가스 유입구(111) 및 가스 배출구(112)가 형성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하나 또는 서로 인접하게 복수로 설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복수의 슬릿(121)이 관통 형성되는 슬릿 케이지(SLIT CAGE, 120)와, 슬릿 케이지(120)가 관통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 플레이트(SECTION PLATE, 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는 액체층(113)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수용되는 액체층(113)은 물로 적용된다.
하우징(110)에는 상기 바닥면 및 후술하는 섹션 플레이트(130)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여 하우징(110) 내에 수용시키기 위한 복수의 급수관(114)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함진(含塵) 가스 즉, 함진 유기체를 포함하는 가스가 유입되도록 가스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에는 후술하는 슬릿 케이지(120) 및 가이드 베인(140) 등을 통해 먼지 등이 제거된 청정 가스가 배출되도록 가스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함진 유기체라 함은, 분진(먼지), 수용성 유해/무해 가스, 수용성 액체 등을 포함하며, 이하 설명에서는 대표적으로 먼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수용된 물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섹션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위치하는 물 등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드레인 밸브(115)가 설치되어 있다.
슬릿 케이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하나 또는 서로 인접하게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2개가 설치된다.
슬릿 케이지(120)는, 길이 방향의 양단이 폐쇄되어 있으며, 내측에 함진 가스가 선회 이동 가능하도록 선회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 케이지(12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고 있으며, 측면 또는 원주면에는 외측으로부터 내부의 선회 공간으로 함진 가스가 유입되고 선회 공간에서 선회된 함진 가스가 슬릿 케이지(120)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슬릿(1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 케이지(120)는,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슬릿(122)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가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함진 가스가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하는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에 일체로 연결되되,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 내부에서 선회된 함진 가스가 유입된 후 내측에서 재선회한 후 배출되도록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슬릿(123)이 형성되는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 케이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2개가 설치되는데, 각각의 슬릿 케이지(120)는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내측 공간과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측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는, 복수의 제1 슬릿(122)을 형성하도록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슬릿편(126)이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외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는, 복수의 제2 슬릿(123)을 형성하도록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슬릿편(127)이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외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슬릿 케이지(120)의 길이 방향을 향해 바라보았을 때, 복수의 제1 슬릿편(126)과 복수의 제2 슬릿편(127)의 기울어진 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복수의 제1 슬릿편(126)과 복수의 제2 슬릿편(127)은 각각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외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함진 가스는 제1 슬릿(122)을 통해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 외면의 대략 접선 방향으로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한 후,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내측 공간에서 고속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후,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내측 공간에서 고속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한 함진 가스는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후, 마찬가지로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측 공간에서 고속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어서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 외면의 대략 접선 방향으로 제2 슬릿(123)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내측 공간에서 일측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한 함진 가스는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측 공간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측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슬릿편(126)과 복수의 제2 슬릿편(127)의 기울어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제1 슬릿(122)을 통해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함진 가스는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제2 슬릿(123)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측 공간에서는 함진 가스에 포함된 먼지 등의 포집 또는 용해 현상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포집 또는 용해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션 플레이트(130)는, 슬릿 케이지(120)가 관통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섹션 플레이트(130)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하우징(110)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섹션 플레이트(130)는 하우징(110)의 내벽에 접합되는데 구체적으로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덧붙여, 섹션 플레이트(130)와 하우징(110) 내벽의 상호 접촉 부위에는 급수관(114)을 통해 급수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별도의 누수방지재(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섹션 플레이트(130)는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가 각각 2개씩 마련되므로 섹션 플레이트(130) 또한 2개가 마련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114)으로부터 하우징(110) 내측으로 공급된 물은 섹션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수용되며, 이에 따라 섹션 플레이트(130) 상에는 액체층(113), 즉 물이 수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는, 하우징(110)의 내벽에 마련되어 가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함진 가스가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 및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부를 선회한 후 하우징(110)의 내벽을 따라 상측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GUIDE VANE, 1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 베인(140)은 하우징(110)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며 가스의 회전 배출 시간 및 회전 배출 경로를 보다 증가시켜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액적의 분리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40)은 슬릿 케이지(120)의 상측에서 하우징(110)의 내벽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는, 슬릿 케이지(120) 내에서의 함진 가스 선회에 의해 1차적으로 함진 가스에 포함된 먼지 등을 포집하거나 용해시킬 수 있다.
이후,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제2 슬릿(123)으로부터 고속으로 토출된 함진 가스와, 함진 가스의 고속 유동에 의해 함진 가스와 더불어 가이드 베인(140)에 인접하게 배치된 섹션 플레이트(130) 상의 물은 함께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선회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함진 가스에 포함된 먼지 등은 2차적으로 포집 또는 용해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가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함진 가스는 전술한 1차, 2차의 포집 또는 용해과정을 거치면서 점차적으로 내부에 포함된 먼지 등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슬릿 케이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2개가 마련되는데, 슬릿 케이지(120)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먼지 등의 포집 또는 용해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먼지 등의 포집 및 용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의 작용을 설명할 때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베인(140)은 하우징(110)의 내벽에서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가스가 선회 상승하는 동안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액적도 가스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즉, 선회하며 상승하는 가스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액적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다시 말해, 원심분리에 의해 기액분리된 상태의 분리된 액적은 경사진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보다 쉽게 하우징(110)의 바닥면으로 낙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베인(140)의 단부에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을 향해 절곡되는 차단벽(14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가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선회 상승하는 동안 가이드 베인(140)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분산되는 것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스의 최종적인 외부 배출 시간 또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는,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가스 배출구(112)와 연통되도록 하우징(110)의 내측 상면에 마련되는 기액분리 튜브(150)를 더 포함한다.
기액분리 튜브(150)는, 가스 배출구(112)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하우징(11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제2 슬릿(123)으로부터 배출된 함진 가스와 섹션 플레이트(130) 상에 수용된 물은 함께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1차, 2차의 포집 또는 용해 과정을 거친 함진 가스는 먼지 등이 제거된 청정한 상태로 가스 배출구(112)을 통해 최종 배출된다. 덧붙여,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상승된 물은 기액분리 튜브(150)에 부딪히면서 섹션 플레이트(130) 상으로 낙하하게 된다. 즉, 기액분리 튜브(150)는,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동시에 상승하는 함진 가스와 물로 구성되는 유기체에서 기액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액분리 튜브(150)의 하단에는 하우징(110)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151)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부(151)는 기액분리 튜브(150)의 하단에서 하우징(110)의 내벽을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부(151)를 더 구비함으로 인해, 하우징(110) 내부의 상부 공간과 가스 배출구(112) 주변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승한 후 하우징(110)의 내측 상면 및 기액분리 튜브(150)에 부딪힌 가스는 절곡부(151)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가스 배출구(112)로 토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장치에서 집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먼지 등을 포함하지 않는 청정 가스를 가스 유입구(111)를 통해 슬릿 케이지(120) 내측으로 유입시킨다. 이때, 하우징(110)의 바닥면 및 섹션 플레이트(130) 상에는 급수관(114)을 통해 이미 일정량 이상의 물이 수용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청정 가스는 제1 슬릿(122)을 통해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후 선회하면서 상승하게 되며, 연속적으로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후 일정 이상 선회하면서 상승한 후 제2 슬릿(123)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은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설치 개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수용된 물과 섹션 플레이트(130) 상의 물은, 고속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청정 가스의 견인력에 의해 마찬가지로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측 공간을 선회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면, 구체적으로 제1 슬릿(122)과 제2 슬릿(123)을 포함하는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면에는 수막이 형성된다.
다음, 외부로부터 가스 유입구(111)를 통해 먼지 등이 포함된 함진 가스를 유입시킨다. 이러한 함진 가스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슬릿(122)을 통해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후 선회하면서 상승하게 되며, 연속적으로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후 일정 이상 선회하면서 상승한 후 제2 슬릿(123)을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함진 가스는 대략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 외면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제1 슬릿(122)을 통해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며, 마찬가지로 함진 가스는 대략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 외면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제2 슬릿(123)을 통해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함진 가스는 이미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124)와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125)에 형성되어 있는 수막과 접촉하게 되며, 함진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은 수막에 의해 1차적으로 포집 또는 용해된다.
한편, 제1 슬릿(122) 및 제2 슬릿(123)은 일정 이하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함진 가스가 제1 슬릿(122)을 통해 유입되거나 제2 슬릿(123)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 제1 슬릿(122) 및 제2 슬릿(123)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수막은 복수의 액적으로 나누어지도록 분무화된다.
이러한 분무 액적은 슬릿 케이지(120) 내부에서 형성되는 함진 가스의 고속 선회 기류에 의해 원심력을 전달받아 마찬가지로 슬릿 케이지(120)의 내측 공간을 선회하게 되며, 결국에는 다시 제1 슬릿(122) 및 제2 슬릿(123)에 수막을 형성하게 되며, 함진 가스가 유입 및 배출되는 동안 이러한 현상으로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함진 가스가 슬릿 케이지(120)의 내측 공간을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동안 함진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은 원심력에 의해 슬릿 케이지(120)에 형성되는 수막에 포집 또는 용해될 수 있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먼지 등이 제거된 함진 가스는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상측으로 선회하며 고속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복수의 섹션 플레이트(130)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섹션 플레이트(130) 상의 물도 함진 가스의 고속 이동에 영향을 받아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상측으로 선회하며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1차의 포집 또는 용해 과정을 거친 함진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은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마찬가지로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원심력에 의해 고속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물과 접촉한 후 2차적으로 물에 포집 또는 용해된다.
이어서, 전술한 다수의 먼지 포집 또는 용해과정을 거쳐 청정화된 청정 가스는 최종적으로 하우징(110)의 가스 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가이드 베인(140)을 따라 상승한 물은 기액분리 튜브(150)에 접촉한 후 하우징(110)의 바닥 또는 섹션 플레이트(130) 상으로 낙하하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3: 액체층
114: 급수관 115: 드레인 밸브
120: 슬릿 케이지 121: 슬릿
124: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 125: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
126: 제1 슬릿편 127: 제2 슬릿편
130: 섹션 플레이트 140: 가이드 베인
150: 기액분리 튜브 151: 절곡부

Claims (12)

  1.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 및 상부 영역에는 각각 가스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가스 유입구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액체층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나 또는 서로 인접하게 복수로 설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복수의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슬릿 케이지; 및
    상기 슬릿 케이지가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상면에는 액체층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케이지는,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슬릿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하는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 및
    상기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 내부에서 선회된 가스가 유입된 후 내부에서 재선회한 후 배출되도록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슬릿이 형성되는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케이지는, 상기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가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섹션 플레이트는, 상기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와 상기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 사이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는, 상기 복수의 제1 슬릿을 형성하도록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슬릿편이 상기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의 외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는, 상기 복수의 제2 슬릿을 형성하도록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슬릿편이 상기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의 외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슬릿편과 상기 복수의 제2 슬릿편의 기울어진 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슬릿편과 상기 복수의 제2 슬릿편은 각각 상기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와 상기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의 외면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드레인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는,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가스침입 슬릿 케이지 및 상기 가스배출 슬릿 케이지의 내부를 선회한 후 상기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상측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도록 나선형의 가이드 베인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는 기액분리 튜브가 더 마련되며,
    상기 슬릿 케이지의 상측으로 이동된 가스는 상기 가이드 베인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기액분리 튜브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 튜브의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의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절곡되는 차단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장치.
KR1020100090047A 2010-09-14 2010-09-14 습식 집진장치 KR101149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047A KR101149326B1 (ko) 2010-09-14 2010-09-14 습식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047A KR101149326B1 (ko) 2010-09-14 2010-09-14 습식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068A KR20120028068A (ko) 2012-03-22
KR101149326B1 true KR101149326B1 (ko) 2012-05-23

Family

ID=4613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047A KR101149326B1 (ko) 2010-09-14 2010-09-14 습식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3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724A (ja) 1998-04-09 1999-10-26 Yoji Nagano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同装置用ストレーナ
JP2008018334A (ja) 2006-07-12 2008-01-31 Japan Cooperation Center Petroleum 気固分離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724A (ja) 1998-04-09 1999-10-26 Yoji Nagano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同装置用ストレーナ
JP2008018334A (ja) 2006-07-12 2008-01-31 Japan Cooperation Center Petroleum 気固分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068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893B1 (ko) 습식 집진장치
JP4702666B2 (ja) ドレンセパレータ
JPS6024405Y2 (ja) 分離装置を具えた蒸気発生器
CN105597460B (zh) 用于除尘设备的过滤液箱及具有其的除尘设备
CN201179364Y (zh) 带有内置螺旋整流装置的立式气(汽)液旋流分离器
US9101869B2 (en) Swirl helical elements for a viscous impingement particle collection and hydraulic removal system
WO2007094724A1 (en) Centrifugal separator
CN109806673A (zh) 一种用于气体消泡的气液分离装置
WO2009029022A9 (en) Centrifugal separator and a method for cleaning of a gas
KR101314181B1 (ko) 더스트 포집장치
KR200388418Y1 (ko) 싸이클론 세정집진장치
US8663483B2 (en) Radial vane pack for rotary separators
US9931642B2 (en) Separator fluid collector having a plurality of cutouts
RU2597113C1 (ru) Двухсекционный поточный сепаратор
KR101149326B1 (ko) 습식 집진장치
JPH11151426A (ja) 煙突一体型排煙脱硫装置
JP2009167812A (ja) 遠心分離式オイルフィルタ
KR20150003733U (ko) 회전식 기포 제거 장치
BR112012005113A2 (pt) montagem de leito de fibra para um eliminador de névoa de leito de fibra
JPH11151425A (ja) 煙突一体型排煙脱硫装置
CN103566664B (zh) 烧结机烟气脱硫除雾装置
CN107606831A (zh) 一种立式油分离器
KR20150122310A (ko) 수직형 유체 이송관을 구비한 삼상 분리기
JP2014188409A (ja) 湿分分離器
KR102226737B1 (ko) 공기 청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