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027B1 -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27B1
KR101149027B1 KR1020090060103A KR20090060103A KR101149027B1 KR 101149027 B1 KR101149027 B1 KR 101149027B1 KR 1020090060103 A KR1020090060103 A KR 1020090060103A KR 20090060103 A KR20090060103 A KR 20090060103A KR 101149027 B1 KR101149027 B1 KR 101149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holes
fitting
fitting hol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575A (ko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09006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4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공(12)을 갖도록 대나무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12)을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그 둘레방향(화살표 B)을 따라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이 형성된 대나무 부재(10); 상기 대나무 부재(10)의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을 통해 상기 대나무 부재(10)에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통해 상기 대나무 부재(10)로부터 돌출되어 또 다른 부재(2)와 결합되는 이음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시한다.
대나무, 구조물, 이음, 관통홀

Description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STRUCTURE USING BAMBOO}
본 발명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토목분야 등에서는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자재로서, 콘크리트나 철근 등의 금속, 목재를 이용한 기둥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그런데, 건물이나 교량은 물론, 정자나 교통/생활 게시판, 자전거 보관대 등과 같이 생활 주변의 소형의 구조물까지 콘크리트나 철근 등으로 설치됨에 따라서, 친환경적인 요소는 배제되고 인위적이고 삭막한 분위기만 조성되고 있는 것이 현대문명사회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나 금속, 목재를 이용하는 경우,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제조비가 비싸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나무를 이용하여 정자(파고라), 울타리, 자전거 보관대, 게시대 등의 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공(12)을 갖도록 대나무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12)을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그 둘레방향(화살표 B)을 따라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이 형성된 대나무 부재(10); 상기 대나무 부재(10)의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을 통해 상기 대나무 부재(10)에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통해 상기 대나무 부재(10)로부터 돌출되어 또 다른 부재(2)와 결합되는 이음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이음부재(20)는 적어도 상기 관통홀(14,15)에 위치되는 부분이 상기 관통홀(14,15)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20)는 상기 대나무 부재(10)의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의 어느 한 쪽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1이음구(30); 상기 대나무 부재(10)의 쌍을 이루는 나머지 한쪽의 관통홀(14,15)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이음구(3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음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음구(30)와 상기 제2이음구(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관 통홀(14,15)을 통해 상기 대나무 부재(10)의 중공(12)에 삽입되는 삽입부(32,42) 및, 상기 관통홀(14,15)에 걸림되도록 상기 삽입부(32,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대나무 부재(10)의 외측에 돌출되는 돌출부(34,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44)는 적어도 상기 삽입부(32,42) 반대쪽 면이 개방된 중공(1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44)는 상기 삽입부(32,42) 측 끝단의 외경이, 상기 삽입부(32,42)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음구(30)와 상기 제2이음구(40) 중 어느 하나는 상대 이음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음구(30)와 상기 제2이음구(40)는 각각, 서로 합치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재(5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32A,42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20)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나무 부재(10)는 통째 대나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연친환경적인 대나무를 이용하여 정자(파고라), 울타리, 자전거 보관대, 게시대 등의 구조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이음부재에 의해 대나무 부재와 또 다른 부재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대나무 부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은, 친환경적이고 친숙하고 편안한 소재인 대나무를 이용하여 정자, 울타리, 자전거 보관대, 게시대 등의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대나무로 형성된 대나무 부재(10)와, 대나무 부재(10)를 또 다른 부재(2)(즉, 또 다른 대나무 부재나 PVC 등 대나무 이외 소재로 형성된 부재)와 연결하기 위한 이음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대나무 부재(10)는 대나무를 여러 조각으로 쪼개고 그 조각들을 붙여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정자나 울타리, 자전거 보관대, 게시대 등의 기둥으로 이용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통째 대나무 그대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대나무 부재(10)는 통째 대나무로 형성됨으로써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개구된 중공(12)을 갖게 된다. 이러한 통째 대나무로 형성되는 대나무 부재(10)는 통째 대나무를 적정 길이로 절단하는 최소한의 과정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음부분이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하다는 이점 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 부재(10)는 이음부재(20)와 결합을 위해, 대나무 부재(10)의 중공(12)과 연통되는 관통홀(14,1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대나무 부재(10)의 관통홀(14,1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음부재(20)가 대나무 부재(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대나무 부재(10)의 중공(12)을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대나무 부재(10)의 둘레방향(화살표 B)을 따라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쌍을 이루는 2개의 관통홀(14,15)은, 쌍을 이루는 2개의 관통홀(14,15)의 중심을 잇는 선(L)이 대나무 부재(10)의 중공(12)의 개구방향, 즉 상술한 길이방향(화살표 A)과 수직을 이루도록 대나무 부재(10)의 중공(12)을 따라서 동일한 길이 위치선 상에 형성되며, 쌍을 이루는 2개의 관통홀(14,15)의 중심이 대나무 부재(10)의 둘레방향(화살표 B)을 따라서 서로 180도 이격된다.
도 1 이하에는 대나무 부재(10)의 중공(12)을 따라서 어느 한 길이 위치선 상에만 상술한 관통홀(14,15)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써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나무 부재(10)의 중공(12)을 따라서 복수개소에 관통홀(14,15)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 이하에는 대나무 부재(10)의 동일한 길이 위치선 상에 쌍을 이루는 2개의 관통홀(14,15), 즉 한 쌍의 관통홀(14,15)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도시하지 않았지만 동일한 길이 위치선 상에 2쌍 이상의 관통홀(14,15)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음부재(20)는 대나무 부재(10)와 또 다른 부재(2)를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다만 이음부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부재(10)의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을 통해 대나무 부재(10)에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통해 대나무 부재(10)로부터 돌출되어 또 다른 부재(2)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대나무 부재(10)는 소재 특성 상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철근 등의 부재보다는 파손되기 쉬우며, 특히 관통홀(14,15)이 형성됨에 따라서 관통홀(14,15) 측 부분이 취약하다.
이와 같은 대나무 부재(10)의 구조적 취약점은, 이음부재(20)에 의해 다음과 같이 해소될 수 있다. 이음부재(20)가 대나무 부재(10)의 관통홀(14,15)에 관통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대나무 부재(10)의 관통홀(14,15)이 이음부재(20)에 의해 지지되어, 대나무 부재(10)가 이음부재(20)에 의해 견고하게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대나무 부재(10)에 관통홀(14,15)을 형성하더라도 대나무 부재(10)가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또한, 이음부재(20)에 의해 대나무 부재(10)가 또 다른 부재(2)와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음될 수 있다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부재(2)가 이음부재(20)와 결합되어 이음부재(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대나무 부재(10)가 또 다른 부재(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효과들에 의해서 대나무 부재(10)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물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음부재(20)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재(20)는 대나무 부재(10)의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의 어느 한 쪽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1이음구(30)와, 대나무 부재(10)의 쌍을 이루는 나머지 한쪽의 관통홀(14,15)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제1이음구(30) 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음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재(20)는 제1이음구(30) 및 제2이음구(40)로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대나무 부재(10)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는 효과가 더 창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나무 부재(10)가 대나무 통째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대나무 부재(10)의 직경이 완전히 동일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이음부재(20)가 제1이음구(30) 및 제2이음구(40)로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대나무 부재(10)의 직경 차이에 능동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하여, 대나무 부재(10)의 직경 별로 이음부재(20)를 여러 종 만들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더 창출될 수 있다. 더불어 대나무 부재(10)의 직경 등에 상관없이 이음부재(20)가 항상 대나무 부재(10)와 꽉 결합될 수 있어서 결합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더 창출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이음구(30)와 제2이음구(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대나무 부재(10)의 관통홀(14,15)을 통해 대나무 부재(10)의 중공(12)에 삽입되는 삽입부(32,42)와, 대나무 부재(10)의 관통홀(14,15)에 걸림되도록 삽입부(32,42)와 일체로 형성되어 대나무 부재(10)의 외측에 돌출되는 돌출부(34,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 이하에서는 제1이음구(30)와 제2이음구(40) 모두 삽입부(32,42) 및 돌출부(34,44)를 갖도록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또 다른 부재(2)가 제1이음구(30) 및 제2이음구(40) 모두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이음구(30)와 제2이음구(40) 중 어느 하나만 삽입 부(32,42) 및 돌출부(34,44)를 갖도록 구성되고 그 나머지는 돌출부(34,44) 없이 삽입부(32,42)만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또 다른 부재(2)가 제1이음구(30)와 제2이음구(40) 중 돌출부(34,44)를 갖는 이음구하고만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32,42)만 대나무 부재(10)에 삽입되고 돌출부(34,44)는 대나무 부재(10)의 외측에서 걸림됨으로써, 제1이음구(30) 및/또는 제2이음구(40)가 대나무 부재(10)에 관통되는 정도가 용이하고 항상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바, 이음부재(20)에 의한 이음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다 할 수 있다.
상술한 돌출부(34,44)는 또 다른 부재(2)와 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를 취하든 무방하다.
다만 상술한 돌출부(34,44)는 적어도 삽입부(32,42) 반대쪽 면이 개방된 중공(12)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 즉, 또 다른 부재(2)가 돌출부(34,44)의 외측에 끼워지는 방법은 물론 돌출부(34,44)의 중공(12)에 삽입되는 방법에 의해서도 이음부재(20)와 또 다른 부재(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음부재(20)를 가능한 가볍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부재(20)의 무게로 인한 대나무 부재(10)의 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재(20)의 재료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4,44)는 삽입부 측 끝단(34A,44A)의 외경이, 삽입부(32,42)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 즉 스커트 형상을 취함으로써 돌출부(34,44)가 보다 견고하게 대나무 부재(1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제1이음구(30)와 제2이음구(40) 중 어느 하나는, 상대 이음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이음구(30)와 제2이음구(4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서로를 지지해주기 때문에, 이음부재(20)에 의해 대나무 부재(10) 및 또 다른 부재(2)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 이하에서는 제1이음구(30), 보다 정확하게는 제1이음구(30)의 삽입부(32,42)에 삽입홈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이음구(30)의 삽입홈(32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이음구(30)가 체결홀을 갖는 경우, 체결홀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와 반대로 제2이음구(40)에 삽입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이음구(30)와 상기 제2이음구(40)는 각각, 서로 합치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재(5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42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이음구(30)와 제2이음구(40)가 볼트(52)&너트(54) 등의 체결부재(50)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으며, 서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대나무 부재(10) 및 또 다른 부재(2)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이음구(30) 및 제2이음구(40)는 적어도 대나무 부재(10)의 관통홀(14,15)에 위치되는 부분, 즉 삽입부(32,42)의 직경이 대나무 부재(10)의 관통홀(14,15)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제1이음구(30) 및 제2이음구(40)가 대나무 부재(10)의 관통홀(14,15)에 꽉 끼워져 서 대나무 부재(1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음부재(20)는 대나무 부재(10)와 마찬가지로 대나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대나무로 가공되는 것보다는 PVC 등의 합성수지나 금속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나무 부재(10)의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 중 어느 한쪽에 제1이음구(30)와 제2이음구(40) 중 어느 하나를 관통되게 설치한다.
다음, 대나무 부재(10)의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의 나머지 한쪽에 나머지 이음구를 관통되게 설치한다. 이때, 제1이음구(30)의 삽입홈에 제2이음구(40), 보다 정확하게는 제2이음구(40)의 삽입부(32,42)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대나무 부재(10)에 관통되게 설치된 제1이음구(30) 및 제2이음구(40)에 체결부재(50)를 체결하면, 대나무 부재(10)와 이음부재(20)의 결합작업이 완료되며, 대나무 부재(10)에 결합된 이음부재(20), 보다 정확하게는 돌출부(34,44)에 또 다른 부재(2)를 결합시키면 대나무 부재(10)와 또 다른 부재(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주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또 다른 부재 10; 대나무 부재
12; 중공 14,15; 관통홀
20; 이음부재 30; 제1이음구
40; 제2이음구 32,42; 삽입부
34,44; 돌출부

Claims (10)

  1. 중공(12)을 갖도록 대나무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12)을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그 둘레방향(화살표 B)을 따라 서로 대향되어 쌍을 이루는 관통홀(14,15)이 형성된 대나무 부재(10) 및, 제1이음구(30), 제2이음구(40), 체결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음구(30)와 상기 제2이음구(40)는 각각, 상기 대나무 부재(10)의 관통홀(14,15)을 통해 상기 대나무 부재(10)의 중공(12)에 삽입되는 삽입부(32,42) 및, 상기 관통홀(14,15)에 걸림되도록 상기 삽입부(32,4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대나무 부재(10)의 외측에 돌출되어 또 다른 부재(2)와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34,44)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50)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서로 합치될 수 있는 체결홀(32a,4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이음구(30)와 상기 제2이음구(40)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홀(32a,42a)은 상대 이음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구(30)와 상기 제2이음구(40)는 적어도 상기 관통홀(14,15)에 위치되는 부분이 상기 관통홀(14,15)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44)는 적어도 상기 삽입부(32,42) 반대쪽 면이 개방된 중공(12)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44)는 상기 삽입부(32,42) 측 끝단의 외경이, 상기 삽입부(32,42)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2,5,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구(30)와 상기 제2이음구(40)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10. 청구항 1,2,5,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부재(10)는 통째 대나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0090060103A 2009-07-02 2009-07-02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14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103A KR101149027B1 (ko) 2009-07-02 2009-07-02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103A KR101149027B1 (ko) 2009-07-02 2009-07-02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5A KR20110002575A (ko) 2011-01-10
KR101149027B1 true KR101149027B1 (ko) 2012-05-24

Family

ID=4361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103A KR101149027B1 (ko) 2009-07-02 2009-07-02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150A (ja) * 1997-03-27 1998-10-06 Sekisui Jushi Co Ltd 防護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150A (ja) * 1997-03-27 1998-10-06 Sekisui Jushi Co Ltd 防護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5A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690B1 (ko) 벽돌 조적용 연결구
CN108396865B (zh) 一种装配式建筑的立柱模块及装配式笼式结构建筑
KR20080022307A (ko) 건축용 조립식 블록
ES2574330B1 (es) Sistema y método constructivo prefabricado con nudos estructurales tridimensionales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101149027B1 (ko) 대나무를 이용한 구조물
JP2012011992A (ja) アルミ構造柱による浮島造成工法
KR20120124623A (ko) 조립식 거푸집패널
KR100798390B1 (ko) 목재 결합구조
JP2006348464A (ja) 木軸材の接手
KR200398008Y1 (ko) 철근 연결 장치
KR200317115Y1 (ko) 건축용 경량 블록
KR101963665B1 (ko) 메쉬와 모르타르를 이용한 구조물 공사 방법
KR200178991Y1 (ko) 구조물용 조립부재
KR102342256B1 (ko) 석재블럭의 상호 조립을 위한 결합유닛
JP3989497B2 (ja) 木軸材の接手並びに同接手を用いた木軸材の接合方法
US20100101163A1 (en) Modular elements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KR200367415Y1 (ko) 수로관
KR102195114B1 (ko)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KR200178318Y1 (ko) 온실 구조물용 조립부재
CN212984273U (zh) 装配式剪力墙板和装配式剪力墙结构
JP2018162590A (ja) 木製筒状部材、及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構造物
JPH0791863B2 (ja) 建築物の木造骨組構造
KR200301434Y1 (ko) 조립식 목재형틀
RU2323312C1 (ru) Штакети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