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016B1 -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16B1
KR101149016B1 KR1020100014846A KR20100014846A KR101149016B1 KR 101149016 B1 KR101149016 B1 KR 101149016B1 KR 1020100014846 A KR1020100014846 A KR 1020100014846A KR 20100014846 A KR20100014846 A KR 20100014846A KR 101149016 B1 KR101149016 B1 KR 101149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air
guide
elastic member
win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046A (ko
Inventor
임상채
이정남
Original Assignee
남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성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of elongated shape, e.g. between ceiling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Abstract

급기류 풍향 자동 조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공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는 급기류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 또는 상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급기류의 배출 각도를 조절하는 풍향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급기류 발생 장치, 상기 급기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급기류를 급기구로 유도하는 급기구 하우징, 일단이 상기 급기구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급기류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 또는 상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급기류의 배출 각도를 조절하는 풍향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Apparatus of auto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본 발명은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및 상기 풍향 자동조절 장치를 사용한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더 자세하게는, 급기류의 온도에 기반하여 풍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및 상기 풍향 자동조절 장치를 사용한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퓨져(Diffuser)는 실내 공간의 공기 상태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실내 공간에 냉난방 등을 위한 공기를 급기 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이다. 상기 디퓨져는 공조기 또는 공조 시스템으로도 불린다. 상기 디퓨져는 급기구의 형상에 따라 원형 디퓨져, 각형 디퓨져, 팬형 디퓨져, 라인 형 디퓨져 등으로 분류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라인 형 디퓨져는 풍량을 집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기되는 공기의 확산거리가 길어 에어커튼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상기 라인 형 디퓨져는, 집중된 풍량이 일방향으로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지만 풍향을 수동으로 조절해야 한다. 예를 들어, 건물 공사 현장에서는 시공자가 현장 여건에 맞춰서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가 취출 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를 수동으로 조정해 주어야 한다. 건물 공사 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풍향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블레이드를 조정하여 급기 각도를 조절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은 건물 내의 효율적인 급기 시스템 운용에 장애가 된다.
또한 급기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서 확산되는 기류의 특성이 틀려지는데 이 때 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공기를 일정한 풍량과 풍향으로 취출하게 될 경우 필요 이상의 과열이나 과냉이 발생하게 되어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해 급기 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서 풍량 및 풍향이 자동조절 되는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및 상기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를 사용한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냉방을 위한 차가운 공기가 급기 될 때는 천정 면을 따라 수평으로 흐르는 확산 기류가 취출 되고, 난방을 위한 뜨거운 공기가 급기 될 때에는 바닥을 향해 수직으로 흐르는 수직 기류가 취출되도록 급기류 풍향을 자동 조절하는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및 상기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를 사용한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는 급기류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 또는 상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급기류의 배출 각도를 조절하는 풍향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급기류 발생 장치, 상기 급기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급기류를 급기구로 유도하는 급기구 하우징, 일단이 상기 급기구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급기류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 또는 상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급기류의 배출 각도를 조절하는 풍향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구 하우징은 길이 방향이 폭 방향 보다 긴 라인 형 급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풍향 가이드는 상기 라인 형 급기구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인트에 체결되며 상기 조인트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플레어 형상으로 휘어지는 두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시스템은 상기 급기구 하우징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 된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풍향 가이드가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에 밀려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고, 상기 풍향 가이드가 상기 배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하중에 의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급기류의 기온에 따라 급기류 풍향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축 및 원상 회복 운동에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는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급기류의 풍향을 제어하므로 급기류 풍향 제어에 별도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기구가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 난방을 위한 급기류는 하방으로 수직 취출 되어 대류 현상으로 인해 공기가 전체적으로 데워지고, 냉방을 위한 급기류는 천정쪽의 수평 방향으로 취출 되어 천천히 가라앉게 되므로 공기가 전체적으로 차가워짐으로써, 냉난방에 있어서 에너지 측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가 설치된 급기구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가 설치된 급기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방을 위한 급기류가 취출 되는 상태의 제 1형태의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방을 위한 급기류가 취출 되는 상태의 제 1형태의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방을 위한 급기류가 취출 되는 상태의 제 2형태의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방을 위한 급기류가 취출 되는 상태의 제 2형태의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방을 위한 급기류가 취출 되는 상태의 제 3형태의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방을 위한 급기류가 취출 되는 상태의 제 3형태의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및 상기 풍향 자동조절 장치를 사용한 공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가 설치된 1 급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가 급기구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가 급기구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전체 공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는 하나의 급기구만으로 공조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둘 이상의 급기구로 구성되는 공조 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점이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에는 급기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구가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구가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급기구가 설치되는 장소에는 어떠한 제한도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급기구 하우징(100)은 급기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급기류를 급기구로 유도한다. 급기구 하우징(100)은 급기구를 하나 이상 형성한다. 상기 급기구는 급기구 설치 면과 수직방향에서 바라볼 때의 형상에 따라 원 형 급기구, 각 형 급기구, 팬 형 급기구, 라인 형 급기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급기구는 길이 방향이 폭 방향 보다 긴 라인 형 급기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급기구 하우징(100) 중 급기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급기구는 상기 라인 형 급기구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는 급기류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탄성부재(204)를 포함하며, 탄성부재(204)의 상기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풍향 가이드(210)에 의해 급기류의 배출 각도를 조절한다. 풍향 가이드(210)는 회동 가능하도록 직접적으로 탄성부재(204)에 체결되거나 조인트(206)를 통해 탄성부재(204)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는 급기구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04)의 하단에 급기구 하우징(100)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 된 고정판(3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204)의 상단이 급기구 하우징(100)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 된 고정판(300)에 의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고정판(300)은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의 실시 형태에 따라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204)가 급기구 하우징(100)에 바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체결부를 통해서 급기구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의 탄성부재(204)는 하나의 급기구에 대하여 하나 이상 설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형 급기구의 길이 방향 양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에 설치 된 각각의 탄성부재(204)에 체결되는 한 쌍의 조인트(206)를 통해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풍향 가이드(210)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의 탄성부재(204)는 급기류의 온도를 신속하게 반영하기 위하여 라인 형 급기구의 길이 방향 정 중앙에 설치 될 수도 있다.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가 하나의 급기구에 설치될 때, 풍향 가이드(210)의 회동 운동을 돕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가 급기구 하우징(100)에 더 설치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는 풍향 가이드(210)보다 급기구에 더 가까운 곳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는 풍향 가이드(210)가 각각 회동 운동 가능하도록 조인트(206)에 체결되는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될 때 급기구 하우징(100)에 설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구가 라인 형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블레이드는 급기구의 길이 방향 가운데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조인트(206)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는 탄성부재(204), 조인트(206), 풍향 가이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04)는 급기류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한다. 탄성부재(204)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탄성부재(204)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스프링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탄성부재(204)는 가공시 임의로 기억된 형상회복 온도에 이르면 형상이 회복되는 일방향성(One-Through Way) 합금소재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탄성부재(204)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 탄성력을 상실하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 형상 회복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204)는 온도가 17°C 이상 25°C에 이르기까지 상승함에 따라 형상이 점차 회복되어 길이의 신장이 이루어지며, 25°C 이하로 점차 하강함에 따라 형상 회복력이 상실되어 길이의 축소가 이뤄지는 일방향성 형상합금소재의 스프링일 수 있다.
조인트(206)는 탄성부재(204)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 또는 상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한다. 조인트(206)는 탄성부재(204)의 상단부가 고정판(300)에 체결 되는 경우, 탄성부재(204)에 직접 체결 될 수 있다. 조인트(206)는 풍향 가이드(2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 되므로, 힌지(20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204)의 탄성에 의한 직선 운동의 틀어짐을 막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는 지지볼트(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가 지지볼트(20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204)는 급기구 하우징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 된 고정판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 볼트(202)는 볼트 머리가 탄성부재(204)에 의하여 지지되고, 볼트 기둥은 고정판(300)에 구비된 중공을 관통하며, 볼트 꼬리는 조인트(206)와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204)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 탄성력을 상실하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 형상 회복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204)는 급기구 하우징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 된 고정판에 의하여 상단부가 체결 되고, 탄성부재(204)의 하단부에 조인트(206)가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204)는 이방향성(Two-Through way)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으로, 스프링 가공 시 임의로 기억된 형상회복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형상회복력을 갖게되어 최초의 형상으로 회복되며, 온도가 이에 미치지 못하면 형상회복력이 상실되어 탄성력이 약해짐으로써 늘어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풍향 가이드(210)는 상기 조인트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급기류의 배출 각도를 조절한다. 풍향 가이드(210)는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플레어 형상으로 휘어지는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어 형상은 두 개의 블레이드가 조인트(206)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거리가 멀어지도록 휘어지는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풍향 가이드(210)가 플레어 형상의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경우의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를 나타낸다.
이 때, 풍향 가이드(210)가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고, 상기 풍향 가이드가 상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회동 운동은 급기구 하우징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 된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에 의하여 가이드 될 수 있다. 즉, 풍향 가이드(210)가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에 밀려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고, 상기 풍향 가이드가 배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하중에 의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 할 수 있다.
또한, 풍향 가이드(210)는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종 형상으로 휘어지는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종 형상은 두 개의 블레이드가 조인트(206)의 반대 방향으로 감에 따라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휘어지는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풍향 가이드(210)가 종 형상의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경우의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를 나타낸다.
또한, 풍향 가이드(21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볼록한 관 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탄성부재(204)의 하단부가 고정판(300)에 의하여 지지되는 설치 상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에 포함된 탄성부재(204)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형상이 점차 회복되어 길이의 신장이 이루어지며,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형상 회복력이 상실되어 길이의 축소가 이뤄지는 일방향성 형상기억합금소재의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급기류가 온도를 높이기 위한 온풍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급기류가 온풍인 경우는 도 4, 도 6, 도 8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급기류 발생장치가 온풍을 발생하고, 급기구 하우징(100)이 상기 온풍을 급기구 쪽으로 유도하는 경우, 상기 온풍에 의하여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에 포함된 탄성부재(204) 역시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탄성부재(204)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형상이 점차 회복되어 길이의 신장이 이루어지며, 지지 볼트(202)의 볼트 머리를 밀어 올리게 된다.
그에 따라, 지지 볼트(202)의 볼트 꼬리에 체결된 조인트(206) 및 풍향 가이드(210) 역시 급기류 배출 반대 방향으로 이동 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풍향 가이드(2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블레이드는 급기류 배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와 점점 멀어지게 된다. 특히, 급기구가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는 급기류 배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와 멀어지면서, 블레이드 자체의 하중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게 된다.
그 결과, 풍향 가이드(210)가 급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급기구를 완전 개방하게 되어, 급기류는 급기구와 수직 방향으로 직선 취출 된다. 예를 들어, 급기구가 천장에 설치된 경우, 난방을 위한 급기류가 하방으로 수직 취출 되어 대류 현상으로 인해 공기가 전체적으로 데워지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급기류가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풍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급기류가 냉풍인 경우는 도 5, 도 7, 도 9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급기류 발생장치가 냉풍을 발생하고, 급기구 하우징(100)이 상기 냉풍을 급기구 쪽으로 유도하는 경우, 상기 냉풍에 의하여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200)에 포함된 탄성부재(204) 역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탄성부재(204)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탄성력을 상실하게 되어 길이가 축소되며, 탄성부재(204)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볼트(202)의 볼트 머리가 내려가게 된다.
그에 따라, 지지 볼트(202)의 볼트 꼬리에 체결된 조인트(206) 및 풍향 가이드(210) 역시 급기류 배출 방향으로 이동 하게 된다. 도 5와 같이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풍향 가이드(2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블레이드는 급기류 배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와 점점 가까워져서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와 접촉하게 되고, 결국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에 밀려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게 된다. 풍향 가이드(2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블레이드가 플레어 형상으로 서로 휘어진 구조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에 밀리는 동작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그 결과, 풍향 가이드(210)가 급기류의 흐름을 급기구의 수평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급기구가 천장에 설치된 경우, 냉방을 위한 급기류가 수평 방향으로 취출 된 후, 천천히 하강하게 되어, 공기가 전체적으로 차가워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급기구 하우징
200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202 지지볼트
204 탄성부재
206 조인트
208 힌지
210 풍향 가이드
300 고정판
400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

Claims (10)

  1. 급기류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탄성부재(204);
    급기구 하우징(100)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204)를 지하는 고정판(300);
    상기 탄성부재(204)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 또는 상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조인트(206);
    머리가 상기 탄성부재(204)에 의해 지지되며, 기둥은 상기 고정판(300)에 구비된 중공을 관통하고, 꼬리는 상기 조인트(206)와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204)의 직선 운동의 틀어짐을 방지하는 지지볼트(202);
    상기 조인트(206)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급기류의 배출 각도를 조절하는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풍향 가이드(210); 및
    상기 급기구 하우징(100)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풍향 가이드(210)에 구성된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 간 각도를 조절하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는 상기 풍향 가이드(210)보다 급기구에 더 가까운 위치에 고정되는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4)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4)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 탄성력을 상실하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 형상 회복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 스프링인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이드(210)는,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플레어 형상으로 휘어지는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이드(210)가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고, 상기 풍향 가이드(210)가 상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는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이드(210)가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에 밀려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고, 상기 풍향 가이드(210)가 배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하중에 의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는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8. 급기류 발생 장치;
    상기 급기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급기류를 급기구로 유도하는 급기구 하우징(100);
    일단이 상기 급기구 하우징(100)에 고정되며 상기 급기류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탄성부재(204);
    상기 급기구 하우징(100)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204)를 지지하는 고정판(300);
    상기 탄성부재(204)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 또는 상기 배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조인트(206);
    머리가 상기 탄성부재(204)에 의해 지지되며, 기둥은 상기 고정판(300)에 구비된 중공을 관통하고, 꼬리는 상기 조인트(206)와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204)의 직선 운동의 틀어짐을 방지하는 지지볼트;
    상기 조인트(206)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기 급기류의 배출 각도를 조절하는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풍향 가이드(210); 및
    상기 급기구 하우징(100)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풍향 가이드(210)에 구성된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 간 각도를 조절하는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는 상기 풍향 가이드(210)보다 급기구에 더 가까운 위치에 고정되는 공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 하우징(100)은 길이 방향이 폭 방향 보다 긴 라인 형 급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풍향 가이드(210)는 상기 라인 형 급기구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인트(206)에 체결되며 상기 조인트(206)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플레어 형상으로 휘어지는 두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공조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이드(210)가 상기 급기류의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각도 조절 가이드(400)에 밀려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고, 상기 풍향 가이드(210)가 상기 배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하중에 의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 운동하는 공조 시스템.
KR1020100014846A 2010-02-18 2010-02-18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KR101149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846A KR101149016B1 (ko) 2010-02-18 2010-02-18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846A KR101149016B1 (ko) 2010-02-18 2010-02-18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046A KR20110095046A (ko) 2011-08-24
KR101149016B1 true KR101149016B1 (ko) 2012-05-24

Family

ID=4493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846A KR101149016B1 (ko) 2010-02-18 2010-02-18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979B1 (ko) * 2019-10-29 2024-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디퓨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0649U (ko) * 1989-03-14 1990-09-28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0649U (ko) * 1989-03-14 1990-09-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046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6381B (zh) 分体挂壁式空调器导风板及控制方法以及空调器
CN104879833B (zh) 室内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1149016B1 (ko) 급기류 풍향 자동조절 장치
JP2009192137A (ja) 風向変更装置
KR102032532B1 (ko) 공기 토출관 설치용 디퓨저
KR100815484B1 (ko) 풍향 및 풍량 조절 라인 디퓨져
JP4835173B2 (ja) 天井扇
CN106679108B (zh) 空调室外机的控制方法
US9696060B2 (en) Temperature sensing air diffuser
CN209131113U (zh) 送风功能调节装置及具有该装置的冷热风发送设备、空调
JP2007185147A (ja) 作物栽培用空調装置
KR101881642B1 (ko) 가변 날개부를 구비한 디퓨져
JP2004020047A (ja) 空気調和装置
KR100931749B1 (ko)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KR20060016067A (ko) 가변풍량방식용 디퓨져
JP3088709U (ja) 空気調和機の補助フラップ
JP6116284B2 (ja) 風力発電装置の風力発電機
CN209371385U (zh) 一种空调器室内机导风板及其空调器
CN203432043U (zh) 中央空调出风口调节装置
JP7141656B2 (ja) 吹出口装置
CN101283227B (zh) 用于蒸发器单元的封闭组件
JP2017180904A (ja) 放射冷暖房システム
KR20020011828A (ko) 풍향조절 디퓨져
JPH10332190A (ja) 冷気吹き出し口
KR101822396B1 (ko) 압력센서와 인버터 팬을 이용한 실내 압력 유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