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914B1 - 용강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용강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914B1
KR101148914B1 KR1020090036772A KR20090036772A KR101148914B1 KR 101148914 B1 KR101148914 B1 KR 101148914B1 KR 1020090036772 A KR1020090036772 A KR 1020090036772A KR 20090036772 A KR20090036772 A KR 20090036772A KR 101148914 B1 KR101148914 B1 KR 101148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molten steel
cover
catch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003A (ko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9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1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4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36Devices for plugging tap holes, e.g. plugs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강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의 측부에 연통되며 상측에는 개방홀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부; 및 개방홀을 커버하는 폐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강 배출장치는 배출부의 개방홀을 커버하는 폐쇄부에 의해 열변형으로 인한 교체나 수리가 신속히 이루어진다.
용강, 전기로, 철판, 내화벽돌

Description

용강 배출장치{EXHAUST DEVICE OF HOT METAL}
본 발명은 용강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로에 형성되는 배출부에서 내화벽돌이 부착되지 못하는 상측면에 대한 수리나 교체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강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는 전기를 인가하여 용해하는 노를 말하는 것으로, 노내에 장입된 원료를 용해하기 위하여 전기로의 상부 암에 전극이 수직 설치되고, 이 전극에 고전압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아크열로 원료를 용해하게 된다.
전기로는 외관을 형성하는 철피 내측면에 내화벽돌 또는 스틸이 부착된다. 내화벽돌은 용강과 접촉되는 부분, 보다 구체적으로 스크랩과 같은 원료가 용강이 되어 저장되는 전기로의 내측면 하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스틸은 내화벽돌 상부에 위치된다.
전기로의 하부 측방향에는 용강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배출부의 내측 저면에도 내화벽돌이 적층된다.
따라서, 전기로를 배출부 방향으로 기울이면, 전기로에 저장되어 있는 용강이 배출부로 이동되고, 배출부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전기로의 배출부 내측 저면에는 용강에 의한 변형 방지를 위해 내화벽돌이 부착되지만, 배출부 상면에는 낙하 우려로 인해 내화벽돌을 부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배출부 상면에는 철판이 구비되지만, 용강에 의한 열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철판을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기로를 일정시간 냉각시킨 다음 작업자가 투입되므로, 철판에 대한 수리나 교체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전기로 내부에서 작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강을 측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부분에 대한 수리나 교체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열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는 용강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의 측부에 연통되며 상측에는 개방홀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는 폐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폐쇄부는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는 덮개부; 상기 배출부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하단부가 걸리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관통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며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를 안내하도록 경사를 갖는 제1걸림체; 및 상기 제1걸림체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걸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압체; 및 상기 제1가압체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걸림체에 걸리는 제2가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강 배출장치는 덮개부가 배출부의 상측에 탈부착됨으로써, 열의 의한 덮개부 변형시 교체나 수리가 신속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강 배출장치는 제1걸림체가 경사를 가져 덮개부를 안내함으로써, 덮개부가 개방홀을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강 배출장치는 덮개부에 냉각수가 순환됨으로써, 덮개부의 열변형을 억제하여 덮개부의 교체주기를 늘리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강 배출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배출장치가 구비되는 전기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부가 배출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배출장치(100)에는 로(10)에 저장된 용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20) 및 폐쇄부(30)가 구비된다.
로(10)에는 스크랩과 같은 고철이 투입되고, 아크열에 의해 녹아 용강이 되는 영역이며, 용강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로(10)는 철피(11)에 의해 외관을 형성하고, 철피(11)의 내측면에는 내화벽돌(12)이나 철판(13)이 부착된다. 내화벽돌(12)은 주로 철피(11)의 내측면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강이 저장되는 영역에 위치되고, 철판(13)은 내화벽돌(12)의 상부에 위치된다.
배출부(20)는 로(10)의 하부 측방향으로 연통되어 용강이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부(20)에는 저면배출부(21), 측면배출부(22) 및 상면배출부(23)가 구비된다. 저면배출부(21)의 상방에 상면배출부(23)가 위치되고, 저면배출부(21)와 상면배출부(23)를 연결시키는 측면배출부(22)에 의해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저면배출부(21)에는 용강이 배출되는 배출구(21a)가 형성된다. 배출구(21a)는 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어 평상시 용강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로(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외부장치에 의해 로(10)를 기울이면, 로(10)에 저장되어 있던 용강은 배출부(20)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배출구(2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고온의 용강에 의해 배출부(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배출부(21)와 측면배출부(22)의 내측면에는 내화벽돌(12)이 부착된다.
그러나, 내화벽돌(12)은 자체 하중과 접촉 불량으로 인해 상면배출부(23)에 부착될 경우 낙하되기 쉬우므로, 상면배출부(23)에는 개방홀(23a)이 형성되고, 개방홀(23a)을 개폐하는 별도의 폐쇄부(30)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부(30)에는 덮개부(31), 걸림부(32), 연결부(33), 가압부(34) 및 고정부(35)가 구비된다.
덮개부(31)는 상면배출부(23)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개방홀(23a)을 폐쇄한다. 이러한 덮개부(31)는 내화물로 제조됨으로써, 고온의 용강에 의한 손상이 억제된 다.
고온으로 인한 손상 방지를 위해 덮개부(31)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31)에는 유로(311)가 구비된다. 유로(311)는 덮개부(31) 내부에 형성되며 냉각수가 골고루 이동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냉각수 순환을 위해 덮개부(31)에는 유로(311)와 연통되는 급수관(312)과 배수관(313)이 구비된다. 따라서, 급수관(312)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유로(311)를 통해 이동되면서 덮개부(31)를 냉각시킨 다음, 배수관(3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걸림부(32)는 상면배출부(23)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32)에는 제1걸림체(321)와 제2걸림체(322)가 구비된다. 제1걸림체(321)는 상면배출부(23)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덮개부(31)를 안내하도록 경사를 갖는다. 제2걸림체(322)는 제1걸림체(321)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삽입홈(323)이 형성된다. 삽입홈(323)을 갖도록 제2걸림체(322)는 한 쌍이 분기되거나, 일측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3)는 걸림부(32)에 하단부가 걸리고 가압부(34)를 관통하며, 가압부(34)는 덮개부(31)의 상측면에 안착되고, 고정부(35)는 가압부(34)를 누르면서 연결부(33)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연결부(33)에는 제1가압체(331)와 제2가압체(332)가 구비된다. 제1가압체(331)는 삽입홈(323)에 삽입되고, 관통홀(33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가압체(332)는 제1가압체(331)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다. 따라서, 제1가압체(331)가 삽입홈(3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면, 제2가압체(332)는 제2걸림체(322)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4)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제1가압체(331)가 관통되는 통과홀(34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5)는 관통홀(333)을 관통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부에 경사면(351)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35)가 관통홀(333)을 통과하면 고정부(35)의 하방에 위치되는 가압부(34)는 덮개부(31)를 가압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배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10)를 기울여 용강을 배출부(20)로 이동시키면, 용강은 배출구(2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용강으로 인한 열변형 방지를 위해 내화벽돌(12)이 로(10)의 내측 하부와 저면배출부(21) 및 측면배출부(22)에 부착된다.
상측배출부(23)에는 내화벽돌(12)이 부착되기 어려우므로, 상측배출부(23)에는 개방홀(23a)이 형성되고, 교체 가능한 덮개부(31)가 개방홀(23a)을 개폐한다.
이러한 덮개부(31)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덮개부(31)를 상면배출부(23)에 안착시킨다. 이때, 제1걸림체(321)가 경사를 가지므로, 덮개부(31)는 제1걸림체(321)에 의해 안내되어 개방홀(23a)을 덮는다.
상기한 상태에서, 연결부(33)의 제1가압체(331)를 제2걸림체(322)의 삽입 홈(323)에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가압부(34)가 덮개부(31)의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제1가압체(331)는 가압부(34)의 통과홀(341)을 관통한다.
마지막으로 고정부(35)를 관통홀(333)로 통과시킨다. 그리하면, 고정부(35)의 경사면(351)에 의해 고정부(35)의 저면은 가압부(34)를 가압하고, 가압부(34)는 덮개부(31)를 가압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고정부(35)가 이동되면 제1가압체(331)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1가압체(331)가 상방으로 이동되다가 제2걸림체(322)에 제2가압체(332)가 걸리면, 타격수단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35)를 타격한다.
그리하면, 고정부(35)의 경사면(351)은 관통홀(333)의 상단부에 압입되고, 고정부(35)의 저면은 가압부(34)를 가압함으로써, 고정부(35)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가압부(34)는 덮개부(31)를 가압하고, 제2가압체(332)는 제2걸림체(322)에 걸림 상태를 유지한다.
가압부(34)가 덮개부(31)를 가압하도록, 제2걸림체(322)의 높이는 덮개부(31)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덮개부(31)에는 유로(311)가 형성되어 냉각수가 순환함으로써, 덮개부(31)에 대한 냉각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열화현상이 억제되어 덮개부(31)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배출장치가 구비되는 전기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쇄부가 배출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 20 : 배출부
30 : 폐쇄부 31 : 덮개부
32 : 걸림부 33 : 연결부
34 : 가압부 35 : 고정부

Claims (5)

  1. 삭제
  2. 로의 측부에 연통되며 상측에는 개방홀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는 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는 덮개부;
    상기 배출부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하단부가 걸리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관통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부;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며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배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는 용강 배출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를 안내하도록 경사를 갖는 제1걸림체; 및
    상기 제1걸림체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걸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배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압체; 및
    상기 제1가압체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걸림체에 걸리는 제2가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배출장치.
KR1020090036772A 2009-04-27 2009-04-27 용강 배출장치 KR101148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72A KR101148914B1 (ko) 2009-04-27 2009-04-27 용강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72A KR101148914B1 (ko) 2009-04-27 2009-04-27 용강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03A KR20100118003A (ko) 2010-11-04
KR101148914B1 true KR101148914B1 (ko) 2012-05-29

Family

ID=4340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772A KR101148914B1 (ko) 2009-04-27 2009-04-27 용강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3927A1 (de) * 2013-05-17 2014-11-19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Metallurgisches Ofengefäß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7094U (ko) 1985-09-30 1987-04-09
JPH0614889U (ja) * 1992-07-15 1994-02-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ガス吹きノズル付き炉底出湯式アーク炉
JPH0712892U (ja) * 1993-07-26 1995-03-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電気炉の偏心炉底出鋼口詰まり物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7094U (ko) 1985-09-30 1987-04-09
JPH0614889U (ja) * 1992-07-15 1994-02-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ガス吹きノズル付き炉底出湯式アーク炉
JPH0712892U (ja) * 1993-07-26 1995-03-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電気炉の偏心炉底出鋼口詰まり物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03A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914B1 (ko) 용강 배출장치
US996436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lag discharge door
CN103328913B (zh) 用于电炉的排渣门设备
US9376739B2 (en)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to an extended article
RU2639078C2 (ru) Способ пла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плавильной установке и плав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1205054B1 (ko) 전기로
JP5764015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に金属溶湯を供給する供給装置
KR101848432B1 (ko) 알루미늄 연속 용해로
KR101035508B1 (ko) 전기로 도어
KR20120132205A (ko) 스토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KR101225260B1 (ko) 전기로의 슬래그 배출 도어 구조체
KR20100026973A (ko) 턴디쉬 폐열을 이용한 몰드 파우더 공급장치
JPH11223463A (ja) 金属溶解保持炉
KR101087125B1 (ko) 전기로 버너장치
KR101159975B1 (ko) 전기로의 샌드 투입 안내구
KR101225325B1 (ko) 전기로의 슬래그 배출 도어 장치
KR102032655B1 (ko) 전기로용 전극봉 냉각장치
KR20110006308A (ko) 용탕 보온로의 주탕구 커버 장치
KR200451930Y1 (ko) 전기로의 산소 공급 장치
JP4610529B2 (ja) 鋳造装置
KR101076459B1 (ko) 스폰지 티타늄 제조장치
JP3108901B2 (ja) 直流電気炉
KR20110098060A (ko) 전기로
KR20130024184A (ko) 전기로 탭홀용 충진재 투입구 커버장치
KR20110022409A (ko) 전기로용 냉각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