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903B1 -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903B1
KR101148903B1 KR1020100105592A KR20100105592A KR101148903B1 KR 101148903 B1 KR101148903 B1 KR 101148903B1 KR 1020100105592 A KR1020100105592 A KR 1020100105592A KR 20100105592 A KR20100105592 A KR 20100105592A KR 101148903 B1 KR101148903 B1 KR 101148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ed steel
thickness
radiation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169A (ko
Inventor
배진운
강기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9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90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Devices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공정에서 비평탄한 압연강판의 경우에도 두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연강판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방사선을 투과시켜 상기 압연강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투과 각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선의 투과각도를 방사선을 투과시켜 측정한 상기 압연강판의 두께에 보상하여 상기 압연강판의 실제 두께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METHOD FOR MEASURING THICKNESS OF ROLLING PLATE}
본 발명은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압연공정에서 비평탄한 압연강판의 경우에도 두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에서 압연강판의 두께 제어는 제품 품질에 큰 영향을 준다. 이는 실수율과 생산성 향상과도 밀접하다.
압연강판의 두께는 열간 상태일 때 사상압연 공정에서 마무리되고, 이 공정에서는 압연의 모든 패스 동안 압연강판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 값이 매번 압연공정의 두께 제어 요소로 사용된다.
따라서, 압연공정 중의 정확한 두께 측정은 제품 품질과 생산성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압연강판에 방사선을 투과시켜 그 두께를 측정하되, 측정한 압연강판의 두께를 방사선 투과 각도에 따른 두께 보상을 수행하여 비평탄한 압연강판의 경우에도 압연강판의 두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은, 압연강판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방사선을 투과시켜 상기 압연강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투과 각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선의 투과 각도를 방사선을 투과시켜 측정한 상기 압연강판의 두께에 보상하여 상기 압연강판의 실제 두께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압연강판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압연강판의 단위 시간당 이동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판의 상부에서 상기 압연강판과의 거리 측정을 통해 상기 압연강판의 단위 시간당 높이 변화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강판의 단위 시간당 이동거리와 상기 압연강판의 단위 시간당 높이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연강판의 두께를 방사선 투과 각도에 따라 두께 보상을 수행하여 비평탄한 압연강판의 경우에도 두께를 정확히 측정하므로 제품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장치는 방사선 송출부(1)와 레이져 거리 측정부(2)와 두께 측정 제어부(3)를 포함한다.
방사선 송출부(1)는 압연강판(4)에 방사선이 투과되도록 압연강판(4)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방사선을 송출시킨다.
압연강판(4)에 투과되는 방사선의 투과량은 압연강판(4)의 두께 측정에 이용된다.
여기서, 방사선의 투과량은 온도와 조성 성분에 영향을 받으므로 압연강판(4)의 온도와 조성 성분에 따라 방사선의 투과량을 보상하여 압연강판(4)의 두께를 측정한다.
한편, 열간 압연중 평탄하지 않은 압연강판(4)의 경우 수직으로 송출되는 방사선의 투과량이 평탄할 때와는 차이를 갖기 때문에, 이는 정밀한 두께 측정이 요구되는 공정에서 오차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평탄하지 않은 압연강판(4)의 경우 압연강판(4)의 순간 기울기 검출을 통해 이를 보상하도록 한다.
레이져 거리 측정부(2)는 압연강판(4)의 상부에서 압연강판(4)과의 거리 측정을 통해 압연 패스 라인(pass line)으로부터 압연강판(4)의 높이를 검출하여 두께 측정 제어부(3)로 제공한다.
두께 측정 제어부(3)는 레이져 거리 측정부(2)로부터 제공되는 압연강판(4)의 높이를 입력받아 단위 시간당 압연강판(4)의 높이 변화량(H)을 연산한다.
또한, 두께 측정 제어부(3)는 압연강판(4)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압연강판(4)의 이동거리(L)를 연산한다.
또한, 두께 측정 제어부(3)는 단위 시간당 움직이는 압연강판(4)의 높이 변화량(H)과 압연강판(4)의 이동거리(L)를 이용하여 압연강판(4)의 순간 기울기(H/L)를 연산한다.
이러한 두께 측정 제어부(3)는 압연강판(4)의 순간 기울기(H/L)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투과 각도(
Figure 112010069879149-pat00001
)를 연산한다.
도 2를 참고하면, 투과 각도 연산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다.
Figure 112010069879149-pat00002
Figure 112010069879149-pat00003
즉, 압연강판(4)의 순간 기울기(H/L)를 통해 연산되는 각도가 압연강판(4)의 실제두께(T)를 기준으로 방사선이 압연강판(4)에 투과되는 각도(
Figure 112010069879149-pat00004
)가 된다.
두께 측정 제어부(3)는 방사능 투과 각도(
Figure 112010069879149-pat00005
)와 방사능을 투과시켜 일차적으로 측정한 압연강판(4)의 두께(T')를 이용하여 압연강판(4)의 실제 두께(T)를 연산한다.
압연강판(4)의 실제 두께 연산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다.
Figure 112010069879149-pat00006
Figure 112010069879149-pat00007
이와 같이 투과 각도(
Figure 112010069879149-pat00008
)를 압연강판(4)의 두께(T')에 보상하여 압연강판(4)의 실제 두께(T)를 연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방사선을 압연강판(4)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투과시키고, 방사선의 투과량을 검출하여 압연강판(4)의 두께(T')를 측정한다(S1). 여기서, 압연강판(4)의 온도와 조성 성분값을 입력받아 투과량을 보상하여 압연강판의 두께(T')를 측정한다.
이어서, 압연강판(4)의 상부에서 압연강판(4)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압연 패스 라인(pass line)으로부터의 압연강판(4)의 높이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압연강판(4)의 높이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압연강판(4)의 높이 변화량(H)을 연산한다.
또한, 압연강판(4)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압연강판(4)의 이동거리(L)를 연산한다.
다음으로, 연산한 단위 시간당 움직이는 압연강판(4)의 높이 변화량(H)과 단위 시간당 움직이는 압연강판(4)의 이동거리(L)를 이용하여 압연강판(4)의 순간 기울기(H/L)를 연산한다(S2).
이어서, 압연강판(4)의 순간 기울기(H/L)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투과 각도(
Figure 112010069879149-pat00009
)를 연산한다(S3).
그리고, 방사선의 투과 각도(
Figure 112010069879149-pat00010
)에 따른 압연강판(4)의 두께(T')를 보상하여 실제 압연강판(4)의 두께(T)를 연산한다(S4).
정리하면, 본 발명은 압연강판(4)에 방사선을 투과시켜 일차적으로 압연강판(4)의 두께(T')를 측정하고, 압연강판(4)의 높이 변화량(H)과 압연강판(4)의 이동거리(L)를 이용하여 압연강판(4)의 순간 기울기(H/L)를 연산한다.
그리고, 압연강판(4)의 순간 기울기(H/L)를 통해 방사선 투과 각도(
Figure 112010069879149-pat00011
)를 연산하고, 방사선 투과 각도(
Figure 112010069879149-pat00012
)에 따라 방사선 투과량을 통해 일차적으로 측정한 두께(T')를 보상하여 압연강판(4)의 실제 두께(T)를 연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압연강판(4)의 두께를 방사선 투과 각도에 따라 두께 보상을 수행하여 비평탄한 압연강판(4)의 경우에도 두께를 정확히 측정하므로 제품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방사선 송출부 2 : 레이져 거리 측정부
3 : 두께 측정 제어부

Claims (2)

  1. 압연강판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방사선을 투과시켜 상기 압연강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투과 각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선의 투과 각도를 방사선을 투과시켜 측정한 상기 압연강판의 두께에 보상하여 상기 압연강판의 실제 두께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압연강판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압연강판의 단위 시간당 이동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판의 상부에서 상기 압연강판과의 거리 측정을 통해 상기 압연강판의 단위 시간당 높이 변화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강판의 단위 시간당 이동거리와 상기 압연강판의 단위 시간당 높이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압연강판의 순간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KR1020100105592A 2010-10-27 2010-10-27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KR101148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92A KR101148903B1 (ko) 2010-10-27 2010-10-27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92A KR101148903B1 (ko) 2010-10-27 2010-10-27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169A KR20120044169A (ko) 2012-05-07
KR101148903B1 true KR101148903B1 (ko) 2012-05-29

Family

ID=4626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592A KR101148903B1 (ko) 2010-10-27 2010-10-27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263A (ko) * 1994-12-31 1996-07-20 김만제 강판의 판 변형 측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35918A (ko) * 2000-11-07 2002-05-16 이구택 방사선을 이용한 강판의 두께 측정방법
KR20040042544A (ko) * 2002-11-14 2004-05-20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의 반곡 측정장치
KR100856276B1 (ko) 2007-05-15 2008-09-0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소재 두께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263A (ko) * 1994-12-31 1996-07-20 김만제 강판의 판 변형 측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35918A (ko) * 2000-11-07 2002-05-16 이구택 방사선을 이용한 강판의 두께 측정방법
KR20040042544A (ko) * 2002-11-14 2004-05-20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의 반곡 측정장치
KR100856276B1 (ko) 2007-05-15 2008-09-0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소재 두께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169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2963B2 (en)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and thickness measurement method
SG148963A1 (en) Control system, lithographic projec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a support structur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2825072A (zh) 侧导板对中测宽修正立辊辊缝设定的方法
GB2484917A (en) Method of cooling a longitudinally profiled plate
KR101298763B1 (ko) 슬라브 사이즈 측정 시스템
JP5734112B2 (ja) 圧延機での板厚制御方法
KR101167126B1 (ko) 슬라브 크기 측정 방법
KR101148903B1 (ko)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KR101204838B1 (ko) 슬라브 크기 측정 방법
JP5261573B2 (ja) 基準位置調整監視装置
JP5598583B2 (ja) 差厚鋼板の自動矯正制御装置
KR101225799B1 (ko) 슬라브 크기 측정 방법
CN102519412A (zh) 一种镀锌板锌层质量标准板的制备方法
KR101704519B1 (ko) 용탕 레벨 센서 위치 확인 장치
KR20130002405A (ko) 열간압연설비의 슬라브 형상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79339B1 (ko) 선형 위치 결정 장치 및 이의 오차 보상 방법
CN101648177A (zh) 一种彩涂带钢涂机的标定方法
KR101421784B1 (ko)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JP7311776B2 (ja) 冷間圧延における材料特性の推定方法および計算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冷間圧延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KR20240030629A (ko) 전기강판용 열연소재의 온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강판용 열연소재의 온도 측정방법
KR101466177B1 (ko) 후판 압연 제어 방법
KR101246313B1 (ko) 온도보상을 통한 압연 제어방법
JPH0413413A (ja) 熱間連続圧延機における通板時の板厚制御方法
CN210036608U (zh) 一种覆胶帘线自动测厚量长装置
JP2013022615A (ja) タンデム圧延機の板厚制御装置及び板厚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