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649B1 -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 - Google Patents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649B1
KR101147649B1 KR1020110091368A KR20110091368A KR101147649B1 KR 101147649 B1 KR101147649 B1 KR 101147649B1 KR 1020110091368 A KR1020110091368 A KR 1020110091368A KR 20110091368 A KR20110091368 A KR 20110091368A KR 101147649 B1 KR101147649 B1 KR 101147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teacher
compilation
topic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우
홍희진
전기남
정미남
장미선
양진선
정은희
Original Assignee
(주)안다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안다미로 filed Critical (주)안다미로
Priority to KR102011009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중고 학생들의 창의력, 이해력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선생님이 정해주신 수리영역 또는 과학영역의 주제에 대해 학생이 자유연상한 내용을 기록하며, 학생들이 각자 기록한 내용을 발표 및 기록하여 정리한 후, 학습 주제와 연관된 문제를 출제하여 학생들간에 서로 교환하여 풀어봄으로써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며, 정해진 주제에 대해 자유로운 생각의 가지를 뻗어 나갈 수 있는 마인드맵을 그려보며, 선생님이 정해준 한 주간 주제와 관련된 핵심 문제를 선별하여 풀어보게 할 수 있는 학습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도구는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 창의력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생들이 지루해 하지 않고 학습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TEACHING MATERIALS FOR MAHTEMATICS AND SCIENCE}
본 발명은 창의력, 이해력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중고 학생들의 창의력, 이해력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선생님이 정해주신 수리영역 또는 과학영역의 주제에 대해 학생이 자유연상한 내용을 기록하며, 학생들이 각자 기록한 내용을 발표 및 기록하여 정리한 후, 자유연상 주제와 연관된 문제를 출제하여 학생들간에 서로 교환하여 풀어봄으로써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며, 정해진 주제에 대해 자유로운 생각의 가지를 뻗어 나갈 수 있는 마인드맵을 그려보며, 선생님이 정해준 한 주간 주제와 관련된 핵심 문제를 선별하여 풀어보게 할 수 있는 학습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리영역 및 과학영역의 학문은 이해력과 논리력 및 응용력 등이 총 망라되는 분야로서 학습을 위해 이론이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서 이외에도, 실질적인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제풀이를 경험할 수 있는 문제집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에 알려진 수학 학습문제는 단순 문제형, 단문장형, 상황제시형 등의 방식이 알려져 있다.
단순 문제형은 숫자와 연산기호만으로 이루어진 문제를 직접 풀게 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학습자의 호기심을 전혀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순 계산형이며, 단문장형은 계산식 구성을 학습자에게 맡긴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단순 문제형과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 역시 학습자의 관심을 유발하기 어려워 지루해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황제시형은 간단한 상황하에서 수학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추적하여 답을 내도록 하는 문제형식이다. 이는 위의 두 가지 유형보다는 학습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점이 있지만, 수학문제 출제를 위해 의도적으로 단순한 상황을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문제가 많이 제시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상황의 반복이어서 학습자가 지루해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종래 학습지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이해력, 창의력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고, 그 결과 선생님이 정해주신 수리영역 또는 과학영역의 주제에 대해 학생이 자유연상한 내용을 기록하며, 학생들이 각자 기록한 내용을 발표 및 기록하여 정리한 후, 학습 주제와 연관된 문제를 출제하여 학생들간에 서로 교환하여 풀어봄으로써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며, 정해진 주제에 대해 자유로운 생각의 가지를 뻗어 나갈 수 있는 마인드맵을 그려볼 수 있는 학습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학습에 대한 창의력, 이해력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 창의력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생들이 지루해 하지 않고 수리 및 과학 영역에 있어서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학습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일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핵심 내용을 정리하는 제1 편저부;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하여 발표하고, 주제와 관련된 문제를 출제하여 다른 학생들과 교환하여 풀어보는 제2 편저부;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하여 그림으로 그리는 제3 편저부; 및
선생님이 주제와 관련된 핵심 문제를 출제하는 제4 편저부를 포함하는 창의력, 이해력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내용 및 자료를 정리하는 제1 편저부;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 학생이 기재하는 제2 편저부;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각자의 생각 및 다른 학생들과 토론한 내용을 기재하는 제3 편저부;
선생님이 설명한 학습 주제와 관련된 예제와 정답을 기재하고 학생이 정답에 대한 이유를 기재하는 제4 편저부;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하여 그림으로 그리는 제5 편저부; 및
상기 학습 주제와 관련된 문제를 학생 스스로 출제하여 다른 학생들과 교환하여 풀어보는 제6 편저부를 포함하는 창의력, 이해력 및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생님이 정해준 수리영역 또는 과학영역의 주제에 대해 학생이 자유연상한 내용을 기록하며, 학생들이 각자 기록한 내용을 발표 및 기록하여 정리한 후, 학습 주제와 연관된 문제를 출제하여 학생들간에 서로 교환하여 풀어봄으로써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며, 정해진 주제에 대해 자유로운 생각의 가지를 뻗어 나갈 수 있는 마인드맵을 그려볼 수 있는 학습도구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 창의력, 학습능률, 학습의욕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1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2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3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4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1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2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3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4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5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의 제6 편저부의 편성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핵심 내용을 정리하는 제1 편저부(100 및 110);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하여 발표하고, 주제와 관련된 문제를 출제하여 다른 학생들과 교환하여 풀어보는 제2 편저부(120 및 130);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하여 그림으로 그리는 제3 편저부(140 및 150) ; 및 선생님이 주제와 관련된 핵심 문제를 출제하는 제4 편저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1 편저부(100 및 110)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내용 및 느낀점을 기재할 수 있는 공란(101 및 102) 및 상기 주제에 대한 다른 학생들과 자유롭게 토론한 핵심내용 및 문제풀이를 기재할 수 있는 공란(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편저부(100 및 110)에는 선생님께서 매주 정해준 학습 주제의 내용을 학생이 정리하고 느낀 점을 기재할 수 있으며, 선생님께서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하여 다른 학생들과 자유롭게 토론하며 정리한 핵심 내용을 다시 한번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문제풀이 등을 기록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2 편저부(120 및 130)는 선생님이 설명한 주제에 대한 자유연상의 예제, 주제 및 원칙을 기재할 수 있는 공란(121), 학생들이 주제에 대하여 자유롭게 발표한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공란(122), 자유롭게 기록한 내용을 분류 및 정리한 후 새로운 착상을 기재하는 공란(123), 학생이 주제와 연관된 문제를 스스로 출제할 수 있는 공란(131), 학생들간에 서로 출제한 문제를 교환하여 풀어볼 수 있는 공란(132) 및 기록한 내용을 정리 및 분류하여 새로운 착상을 기재할 수 있는 공란(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편저부(120 및 130)는 선생님이 정해준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을 통해 학생들의 두뇌를 트레이닝하여 학습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학생들이 발표한 내용을 기록 및 정리함으로써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학생들간에 서로 출제한 문제를 교환하여 풀어봄으로써 학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3 편저부(140 및 150)는 선생님이 정해준 주제에 대한 자유연상 예제 및 주제를 기록할 수 있는 공란(141), 주제에 대한 마인드맵을 그리기 위해 주가지 및 부가지를 구상하고 기록할 수 있는 공란(142) 및 주제에 대한 자유연상의 결과로 뻗어 나간 생각의 가지들을 마인드맵으로 그릴 수 있는 공란(1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편저부(140 및 150)는 선생님이 정해준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을 통해 마인드 맵으로 표현함으로써 학습 주제에 대한 창의력 및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저부(140 및 150)에는 학생이 그린 마인드맵에 대하여 선생님이 부가적인 설명 및 평가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공란(15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4 편저부(160)는 선생님이 주제와 관련된 핵심 문제를 출제한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공란(161) 및 상기 핵심 문제에 대해 풀이과정 및 정답을 기재할 수 있는 공란(1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 편저부(160)에서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하여 두뇌 트레이닝 및 마인드맵을 통해 학습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체크하기 위하여 선생님이 학습 주제와 관련하여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문제를 출제하여 학생들에게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는 수리영역 학습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제1 편저부 내지 제4 편저부를 주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적절한 분량으로 편집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내용 및 자료를 정리하는 제1 편저부(200);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 학생이 기재하는 제2 편저부(210);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각자의 생각 및 다른 학생들과 토론한 내용을 기재하는 제3 편저부(220); 선생님이 설명한 학습 주제와 관련된 예제와 정답을 기재하고 학생이 정답에 대한 이유를 기재하는 제4 편저부(230);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하여 그림으로 그리는 제5 편저부(240); 및 상기 학습 주제와 관련된 문제를 학생 스스로 출제하여 다른 학생들과 교환하여 풀어보는 제6 편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1 편저부(200)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내용 및 자료를 정리할 수 있는 공란(201 내지 20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학습 주제에 대한 부모님의 전달 사항을 기재할 수 있는 공란(20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편저부(200)에는 수업이 진행되기 전 주에 선생님이 학생들과 주제를 정한 후 학생들은 주제와 관련된 자료들을 조사하여 기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2 편저부(210)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기재하는 공란(2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편저부(210)에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조사일시, 조사방법, 자료의 출처 등을 기재할 수 있고, 혹은 선생님이 준비한 자료, 학습 주제와 관련된 기사 등의 자료들을 기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3 편저부(220)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학생의 생각 및 핵심 단어를 기재할 수 있는 공란(221 및 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편저부(220)는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떠오르는 생각을 기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토론하며 토론 과정에서 떠오르는 의문점 등을 간략한 단어로 기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4 편저부(230)는 학습 주제에 관련하여 선생님이 제시한 서술형 문제 및 정답을 기재할 수 있는 공란(231 및 232) 및 학생이 정답에 대한 이유를 기재할 수 있는 공란(2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 편저부(230)에 선생님이 학습 주제와 관련된 예제와 정답을 제시하여 학생이 이를 기재하고, 학생들은 그 정답에 대한 이유를 기재함으로써 학습 주제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5 편저부(240)는 학습 주제에 대한 자유연상의 결과로 뻗어 나간 생각의 가지들을 마인드맵으로 그릴 수 있는 공란(2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5 편저부(240)는 선생님이 정해준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을 통해 마인드맵으로 표현함으로써 학습 주제에 대한 창의력 및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에서 제6 편저부(250)는 학습 주제와 관련하여 학생이 출제한 문제 및 정답을 기재할 수 있는 공란(251) 및 다른 학생이 출제한 문제 및 정답을 기재할 수 있는 공란(2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6 편저부(250)에는 수업 시간 동안 이야기 했던 주제와 관련하여 자유롭게 문제를 출제한 후 친구들과 공유하고 친구들에게 자신이 생각한 문제의 답을 기재한 후 토론함으로써 창의력 및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는 과학영역 학습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는 주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제1 편저부 내지 제6 편저부를 적절한 분량으로 편집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및 110: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1 편저부
120 및 130: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2 편저부
140 및 150: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3 편저부
160: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4 편저부
200: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1 편저부
210: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2 편저부
220: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3 편저부
230: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4 편저부
240: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5 편저부
250: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학습도구의 제6 편저부

Claims (11)

  1.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핵심 내용을 정리하는 제1 편저부재;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하여 발표하고, 주제와 관련된 문제를 출제하여 다른 학생들과 교환하여 풀어보는 제2 편저부재;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하여 그림으로 그리는 제3 편저부재; 및
    선생님이 주제와 관련된 핵심 문제를 출제하는 제4 편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편저부재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내용 및 느낀점을 기재할 수 있는 감상표현란 및 상기 주제에 대한 다른 학생들과 자유롭게 토론한 핵심내용 및 문제풀이를 기재할 수 있는 토론기재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편저부재는, 선생님이 설명한 주제에 대한 자유연상의 예제, 주제 및 원칙을 기재할 수 있는 주제기재란, 학생들이 주제에 대하여 자유롭게 발표한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발표기재란, 자유롭게 기록한 내용을 분류 및 정리한 후 새로운 착상을 기재하는 착상기재란, 학생이 주제와 연관된 문제를 스스로 출제할 수 있는 출제기재란, 학생들간에 서로 출제한 문제를 교환하여 풀어볼 수 있는 문제교환기재란 및 기록한 내용을 정리 및 분류하여 새로운 착상을 기재할 수 있는 착상기재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편저부재는, 선생님이 정해준 주제에 대한 자유연상 예제 및 주제를 기록할 수 있는 연상과주제 기재란, 학습 주제에 대한 마인드맵을 그리기 위해 주가지 및 부가지를 구상하고 기록할 수 있는 가지형태 기재란 및 주제에 대한 자유연상의 결과로 뻗어 나간 생각의 가지들을 마인드맵으로 그릴 수 있는 마인드맵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4 편저부재는, 선생님이 주제와 관련된 핵심 문제를 출제한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핵심문제란 및 상기 핵심 문제에 대해 풀이과정 및 정답을 기재할 수 있는 풀이기재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학습도구는 수리영역 학습에 대해 주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편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
  2.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내용 및 자료를 정리하는 제1 편저부재;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 학생이 기재하는 제2 편저부재;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각자의 생각 및 다른 학생들과 토론한 내용을 기재하는 제3 편저부재;
    선생님이 설명한 학습 주제와 관련된 예제와 정답을 기재하고 학생이 정답에 대한 이유를 기재하는 제4 편저부재;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자유연상하여 그림으로 그리는 제5 편저부재; 및
    상기 학습 주제와 관련된 문제를 학생 스스로 출제하여 다른 학생들과 교환하여 풀어보는 제6 편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편저부재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한 내용 및 자료를 정리할 수 있는 학습정리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편저부재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기재하는 조사결과기재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편저부재는, 선생님이 정해준 학습 주제에 대해 학생의 생각 및 핵심 단어를 기재할 수 있는 핵심단어기재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 편저부재는, 학습 주제에 관련하여 선생님이 제시한 서술형 문제 및 정답을 기재할 수 있는 서술형문제기재란 및 학생이 정답에 대한 이유를 기재할 수 있는 정답이유기재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5 편저부재는, 학습 주제에 대한 자유연상의 결과로 뻗어 나간 생각의 가지들을 마인드 맵으로 그릴 수 있는 마인드 맵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6 편저부재는 학습 주제와 관련하여 학생이 출제한 문제 및 정답을 기재할 수 있는 자기출제란 및 다른 학생이 출제한 문제 및 정답을 기재할 수 있는 타인출제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학습도구는 과학영역 학습에 대해 주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편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91368A 2011-09-08 2011-09-08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 KR101147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68A KR101147649B1 (ko) 2011-09-08 2011-09-08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68A KR101147649B1 (ko) 2011-09-08 2011-09-08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649B1 true KR101147649B1 (ko) 2012-05-25

Family

ID=4627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368A KR101147649B1 (ko) 2011-09-08 2011-09-08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166B1 (ko) 2012-09-07 2012-11-12 곽지혜 과학학습교재
CN114390331A (zh) * 2022-01-13 2022-04-22 徐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视频教学方法、系统、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415A (ko) * 2001-12-22 2003-06-28 이윤철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별 선택 학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학습방법
KR20090110418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문제작성을 이용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415A (ko) * 2001-12-22 2003-06-28 이윤철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별 선택 학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학습방법
KR20090110418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문제작성을 이용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166B1 (ko) 2012-09-07 2012-11-12 곽지혜 과학학습교재
CN114390331A (zh) * 2022-01-13 2022-04-22 徐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视频教学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4390331B (zh) * 2022-01-13 2023-09-08 徐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视频教学方法、系统、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Sledright The challenge of rethinking history education: On practices, theories, and policy
Moje et al. The role of text in disciplinary learning
Wright et al. Both theory and practice: Science literacy instruction and theories of reading
Dubinsky Neuroscience education for prekindergarten–12 teachers
Furumura et al. Critical cultural awareness: Managing stereotypes through intercultural (language) education
Manchón et al. Writing-to-learn in FL contexts
Lai et al. Factors mathematicians profess to consider when presenting pedagogical proofs
Veloo et al. What are the learning approaches applied by undergraduate students in English process writing based on gender?
Kachak et al. Mind Maps as a Tool for Visualization and Structuring of Linguistic and Literary Material in the Process of Teaching Students
Rubie-Davies Educational psychology: Concepts, research and challenges
Thompson Designing tasks in secondary education: Enhancing subject understanding and student engagement
Wadden et al. Teaching English at Japanese Universities
KR101147649B1 (ko) 수리 영역 및 과학 영역을 위한 학습도구
Tajeri et al. Enhancing Vocabulary and Writing Skills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in Higher Education.
Kondal et al. Poster presentations for promoting vocabulary learning among tertiary level students
Kauchak et al. Learning and teaching
Mason et al. More than data
Ganske Write Now!: Empowering Writers in Today's K–6 Classroom
Ayebo Teachers’ perceptions on identifying and catering to the needs of mathematically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Wang et al. Chines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American Educators
Riyadi et al.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In search of theoretical model for reading comprehension
Hafner et al. Learning for specific purposes
Alvestad Developing parent and community understanding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
VAN AMELSVOORT Images and memory: A literature review of issues in the use of images to aid vocabulary acquis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recall
Schwarzer et al. Successful Teaching: What Every Novice Teacher Needs to Kn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