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77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772B1
KR101146772B1 KR1020100133421A KR20100133421A KR101146772B1 KR 101146772 B1 KR101146772 B1 KR 101146772B1 KR 1020100133421 A KR1020100133421 A KR 1020100133421A KR 20100133421 A KR20100133421 A KR 20100133421A KR 101146772 B1 KR101146772 B1 KR 101146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additional service
communication terminal
gui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826A (ko
Inventor
김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13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7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Arrangements for recalling a calling subscriber when the wanted subscriber ceases to be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 H04M2203/251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where a voice mode or a visual mod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화 호의 발신 후에 해당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가 실패하는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고,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의 발생시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according to failure of transmitting call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를 거는 경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실패됨에 따른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이동통신 서비스제공자에 의하여 그 통화 실패 상황에서 제공될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가입자(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소망하는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서비스가 실행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대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사업자(이하, "사업자"라 함)는 이동통신 가입자(이하, "사용자"라 함)의 요구에 부응하고 또한 사업자의 새로운 수익창출을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각종 부가서비스는 사용자가 사업자의 대리점 등을 방문하여 소망하는 부가서비스에 가입하거나 또는 서비스 센터에 전화나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소망하는 부가서비스에 가입한 후에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모든 부가서비스의 종류를 알기가 어렵고, 또한 부가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가입 절차가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홍보를 하지만 부가서비스 이용률이 저조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정 부가 서비스는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통신 중에 특정한 키 조작(예를 들면 * 또는 #을 누르고 특정한 번호 키를 누르는 등의 키 조작)을 함으로써 부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부가서비스를 알기가 어렵고, 또한 이러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된다는 것을 알고 있더라도 그 특정한 키 조작을 숙지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 중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와 관련된 부가서비스도 있는데, 이러한 발신 통화 호와 관련된 부가서비스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가입 절차가 따른다는 문제가 있으며,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그들 부가서비스 이용률이 저조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발신 통화 호와 관련된 부가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의 부가서비스 이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사업자의 부가서비스 수익창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기술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그 음성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상황)에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 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가서비스 이용 편의를 제공하고 사업자의 부가서비스 수익창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화 호의 발신 후에 해당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가 실패하는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고,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의 발생시 그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망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화 호의 발신 후에 해당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가 실패하는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각종 부가서비스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의 발생시, 그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에 따라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 줄 것을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 호의 발신 후에 해당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가 실패하는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각종 부가서비스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되면 그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에 따라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발신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자동으로 소정 횟수 발신 통화 호를 요청하기 위한 "자동 걸기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상대방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 메뉴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 메뉴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의 통화 호 연결 수행을 위한 교환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자동 걸기 서비스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자동 걸기 서비스가 선택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자동 걸기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교환장치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설정된 횟수만큼 통화 호 접속 시도를 하고, 그 통화 호 접속 시도 중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호 접속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자동 걸기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통화 호를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소정의 쿠폰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쿠폰 제공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에 따른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과금 서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가 선택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쿠폰 제공 서버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과금 서버는 상기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에 기초하여 수신자에게 비용을 부과하는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소정의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 서버와,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센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가 선택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메시지 저장 서버는 기 저장된 통화 요청 메시지 리스트를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그 통화 요청 메시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른 메시지 선택정보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전송센터에 그 메시지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통화 호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른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 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업자 입장에서는 부가서비스 이용률이 향상되어 높은 부가서비스 수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가 서비스 메뉴가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_1,100_2)의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망 시스템(200)과, 이 이동통신망 시스템(200)을 통하여 음성통화 등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_1,100_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_1)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라 가정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_2)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라 가정한다.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200)은 통상의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집합체로서, 예를 들면 기지국(211,212), 기지국 제어기(231,232), 이동통신교환기(241,242), No.7망과 같은 회선망(260), 메시지 전송 센터(262)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시스템(200)에는 소정의 메시지 특히 통화 요구 알림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 서버(261), 소정의 쿠폰 예를 들어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이 저장된 쿠폰 제공 서버(263),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과금 서버(26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서비스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가 이동통신망 시스템(2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지국(211,212), 기지국 제어기(231,232), 메시지 전송센터(262), 회선망(260)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가 동일한 이동통신교환기(241,242)의 관할 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교환기(241)와 이동통신교환기(242)는 동일한 이동통신교환기이며, 또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가 동일한 기지국의 관할 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211)과 기지국(212)은 동일한 기지국이다.
메시지 저장 서버(261)는 소정의 메시지들이 저장되어 있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업무상 상의드릴 일이 있사오니 시간되시면 저에게(011-235-1111) 전화 부탁드리겠습니다.", "오늘 중으로 전화 해 주세요(011-222-4322)."와 같은 통화 요청 메시지들이 저장되어 있다.
메시지 저장 서버는 이처럼 다수의 통화 요청 메시지 리스트를 구비해 놓고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기 저장된 통화 요청 메시지 리스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그 전송된 통화 요청 메시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그 선택된 통화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시지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대방 즉,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해 줄 것을 메시지 전송 센터에 요청한다.
한편, 상기 메시지 전송 센터(262)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센터 및/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센터를 포함하여 SMS 및/또는 MMS 메시지가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_2)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메시지 전송 센터(262)는 메시지 저장 서버(261)의 전송 요청에 의해서도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에 SMS 및/또는 M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쿠폰 제공 서버(263)는 소정의 쿠폰들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급(전송)하는 서버로서, 여기서 쿠폰에는 예를 들어 통화의 수신자가 그 통화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등이 포함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_1) 사용자에 의하여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가 선택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_1)로부터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200)의 쿠폰 제공 서버(263)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에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쿠폰 제공 서버(263)는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전송함에 있어서 MMS 등의 메시지 전송 센터(262)와 연계된 경우에는 메시지 전송 센터(262)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한편, 과금 서버(264)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비용을 각 사용자별로 산정하는 등 통상적인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로서, 특히 본 발명의 과금 서버(264)는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이용한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에 따른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즉, 발신자에게 과금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통화의 수신자에게 과금 정산하는 것이다.
교환장치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와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2)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들(100_1,100_2) 간의 음성 호 연결을 수행한다.
*즉,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_1)로부터 음성 호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교환장치는 회선망(260)을 통한 회선 교환방식에 의해 상대방 즉,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에 음성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100_2)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_1,100_2) 간에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교환장치 그 중에서도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로부터 자동걸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설정된 횟수만큼 자동으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와의 호 접속 연결이 성공한 경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 간에 호를 연결하여 상호간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가 자동으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에 시도하는 호 접속 요청의 횟수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 자체(241)에 기 설정된 값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자동걸기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설정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기초로 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0_1,100_2)는 음성 통화가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것으로 휴대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어부(120), 이동통신부(140), 키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30) 및 메모리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키 입력부(110)는 가입자에 의하여 번호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키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겹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조작을 인식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거나 기능 메뉴 화면을 표시하며 또한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의 발생시에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뉴 화면 형태로 표시한다.
상기 이동통신부(140)는 이동통신망 시스템(200)과 음성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방식 등에 의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이동통신망 시스템(20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_1,100_2)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또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50)는 본 발명에 따라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정보와, 이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로서는, 발신 음성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자동으로 소정 횟수 발신 음성 호를 요청하기 위한 "자동 걸기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 음성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 음성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상대방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들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일 수 있고, 미 도시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되는 음성 정보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표시 정보일 경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도 4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번호와 함께 메뉴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대응 번호에 해당하는 키 입력부(110)의 번호 키가 선택되면 해당 부가 서비스의 요청이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키 입력부(110)가 디스플레이부(130)와 겹쳐 설치된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표시는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터치 패널에 대응하여 메뉴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키 입력부(110)의 대응하는 터치패널이 눌려지면 해당 부가 서비스의 요청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음성 정보일 경우에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키 입력부(110)의 특정 키를 누름 조작하도록 음성 안내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대응 특정 키가 선택되면 해당 부가 서비스의 요청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메뉴 형태로 표시하거나 또는 미 도시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부가 서비스가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사용자에게 통지된 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이동통신부(140)를 통하여 이동통신망 시스템(200)에 요청한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_1,100_2)의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를 구분하고 있지만,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우선,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한다(단계 S1).
여기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상황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송 키(미 도시함)를 누름에 의해 호 접속 요청이 이루어지고 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호 접속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100_2)와의 호 접속 연결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로부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에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판별 가능하다. 즉,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는 상대방 즉,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와 호 접속이 성공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에 전송하게 되므로 이러한 신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는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100_2)와 호 접속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호 접속 시도 중에 상대방의 음성 사서함으로 넘어가는 경우에도 상기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그대로 전화를 끊는 경우에도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일단 호 접속 요청이 있은 후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 접속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호 접속 요청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상대방과의 통화가 실패한 것이므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에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한 이동통신 단말기(100_2)의 제어부(120)는 해당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 S3).
그 후,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안내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자동 걸기 서비스" 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5).
상기 단계 S5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자동 걸기 서비스"가 선택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에 자동 걸기 서비스를 요청한다(단계 S7). 여기서 자동 걸기 서비스 요청에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 전화번호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로부터 수신된 요청서비스를 확인한다(단계 S9).
이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는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2)를 통해 음성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에 전송한다(단계 S11).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는 해당 음성 호 접속 요청에 의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와 음성 호 접속이 성공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3), 음성 호 접속이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반복하여 기 설정된 횟수, 예를 들어 3회, 만큼 계속하여(단계 S15) 음성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11). 기 설정된 횟수만큼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였는데도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등의 이유로 호 접속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는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는 그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종료시킨다(단계 S17).
한편, 단계 S13에서의 판단 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와의 호 접속이 성공한 경우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에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19).
그리고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 사용자가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의 호 접속 요청 신호에 따라 전화를 받음으로써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와의 호 접속이 성공한 경우(단계 S21)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는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2)와 함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간에 음성 호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S23).
이처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 사용자가 특정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해 전화를 걸었으나 여하한의 이유로 상대방과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즉시 자동걸기 서비스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그 표시된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가 자동걸기 서비스를 요청하면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에서 자동으로 수회의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2)를 거쳐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야하는 수고스러움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단계 S5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자동걸기 서비스"가 선택되지를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안내된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31).
상기 단계 S31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가 선택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를 발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1)를 거쳐 쿠폰 제공 서버(263)에 요청한다(단계 S33).
쿠폰 제공 서버(263)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요청 서비스를 확인한 후(단계 S35), 요청받은 쿠폰을 생성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2)를 거쳐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에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전송한다(단계 S37). 여기서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 정보 예를 들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수신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는 해당 쿠폰을 저장하고서(단계 S39), 추후 사용자로부터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이용한 전화 요청이 있는 경우(단계 S41) 해당 수신자 통화 쿠폰을 이용한 음성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2)에 전송한다(단계 S43).
즉,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는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2)에 음성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할 때 해당 음성 호 접속 요청이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이용한 요청임을 알려준다.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2)는 음성 호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로 음성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45).
이 상태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 사용자가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의한 전화벨 울림에 따라 전화를 받는 경우(단계 S47)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 간에 음성 호가 연결되어 상호 간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단계 S51).
이처럼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에 기초한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42)는 그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에 기초한 통화임을 나타내는 과금처리 정보를 과금 서버(264)에 제공하고(단계 S53), 과금 서버(264)는 과금 처리 정보에 따라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에 따른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5). 즉, 실제로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가 전화를 걸었지만 전화 통화에 따른 비용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부담으로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1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가 선택되지를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안내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발신 음성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상대방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51).
상기 단계 S51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가 선택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를 메시지 저장 서버(261)에 요청한다(단계 S53).
메시지 저장 서버(261)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요청서비스를 확인한 후(단계 S55) 기 저장된 통화 요청 메시지 리스트를 추출하여(단계 S57)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로 전송한다(단계 S59).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수신된 메시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단계 S61), 표시된 메시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단계 S63) 그 선택된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선택 정보를 메시지 저장 서버(261)에 전송한다(단계 S65).
메시지 선택 정보를 수신한 메시지 저장 서버(261)는 해당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로 전송해 줄 것을 메시지 전송 센터(262)에 요청한다(단계 S67). 여기서 통화 요청 메시지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전화번호가 포하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요청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한 메시지 전송 센터(262)는 해당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에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단계 S69),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2)는 해당 통화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71).
한편, 상기 단계 S51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가 선택되지를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제공한 시각부터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3).
상기 단계 S73에서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상기한 단계 S5로 진행하여 단계 S5 이하의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73에서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_1)의 제어부(120)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제공을 종료한다(단계 S7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호 접속 요청에 따른 통화 연결의 실패에 의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 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업자 입장에서는 부가서비스 이용률이 향상되어 높은 부가서비스 수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통화 호가 음성 호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즉,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저장하고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의 발생시 발신 음성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통화 호가 음성 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를 위한 화상 호가 본 발명의 통화 호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화상 통화를 위한 발신 화상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하나의 부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 줄 것을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_1,100_2 : 이동통신단말기 200 : 이동통신망 시스템
110 : 키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이동통신부
150 : 메모리부 211,212 : 기지국
241,242 : 이동통신 교환기 231,232 : 기지국 제어기
260 : 회선망 261 : 메시지 저장 서버
262 : 메시지 전송 센터 263 : 쿠폰 제공 서버
264 : 과금 서버

Claims (8)

  1. 이동통신망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화 호의 발신 후에 해당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가 실패하는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각종 부가서비스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에 따라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 줄 것을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 메뉴 표시 정보 또는 부가서비스 메뉴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발신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자동으로 소정 횟수 발신 통화 호를 요청하기 위한 "자동 걸기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상대방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이동통신망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 호의 발신 후에 해당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가 실패하는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각종 부가서비스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가 발생되면 그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에 따라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 메뉴 표시 정보 또는 부가서비스 메뉴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발신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자동으로 소정 횟수 발신 통화 호를 요청하기 위한 "자동 걸기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수신자 부담 통화 쿠폰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실패시에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상대방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통화 요청 메시지 보내기 서비스 안내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7. 삭제
  8. 삭제
KR1020100133421A 2010-12-23 2010-12-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114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421A KR101146772B1 (ko) 2010-12-23 2010-12-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421A KR101146772B1 (ko) 2010-12-23 2010-12-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819A Division KR20100020151A (ko) 2008-08-12 2008-08-12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26A KR20110002826A (ko) 2011-01-10
KR101146772B1 true KR101146772B1 (ko) 2012-05-21

Family

ID=4361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421A KR101146772B1 (ko) 2010-12-23 2010-12-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7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873A (ko) * 2005-09-20 2007-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재중 전화 리턴 호의 착신자 지불을 위한 과금 시스템과방법
KR20080066280A (ko) * 2007-01-11 2008-07-1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873A (ko) * 2005-09-20 2007-03-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재중 전화 리턴 호의 착신자 지불을 위한 과금 시스템과방법
KR20080066280A (ko) * 2007-01-11 2008-07-1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26A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439B1 (ko)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US8700016B2 (en) Method for performing USSD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1089709B1 (ko) 호 연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회선을 연결할 수 있는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10099463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중 착신 호 발생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2010001180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10002015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146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114677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9700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부재중 전화 이벤트에 따른 스팸 경고 및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동통신단말기
KR1011468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99398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발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201000201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854406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940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695998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단말기 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KR10099477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번호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704401B1 (ko) 통화 중 단축키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KR10115864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통화 호 종료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944527B1 (ko) 국제전화서비스시스템 및 방법과, 이동단말기에서의 국제전화서비스방법과, 국제전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기
KR101022372B1 (ko) 문자 기반의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076739B1 (ko) 부가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의 부가서비스 가입 안내 방법
KR201000201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1080407A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нацеленной рекла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1685965B1 (ko) 이동전화통신망을 이용한 인터넷 콘텐츠 이용료 과금방법
KR10077104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