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137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137A
KR20100020137A KR1020080078799A KR20080078799A KR20100020137A KR 20100020137 A KR20100020137 A KR 20100020137A KR 1020080078799 A KR1020080078799 A KR 1020080078799A KR 20080078799 A KR20080078799 A KR 20080078799A KR 20100020137 A KR20100020137 A KR 2010002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additional ser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onym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선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80078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137A/ko
Publication of KR2010002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137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호 수신시의 상황(이벤트)에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 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가서비스 이용 편의를 제공하고 사업자의 부가서비스 수익창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되는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고,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동신망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according to communication event at receiv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호 수신시의 통신 이벤트에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 가능한 통화호 수신시 부가서비스를 가입자(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대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사업자(이하, "사업자"라 함)는 이동통신 가입자(이하, "사용자"라 함)의 요구에 부응하고 또한 사업자의 새로운 수익창출을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각종 부가서비스는 사용자가 사업자의 대리점 등을 방문하여 소망하는 부가서비스에 가입하거나 또는 서비스 센터에 전화나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소망하는 부가서비스에 가입한 후에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모든 부가서비스의 종류를 알기가 어렵고, 또한 부가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가입 절차가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홍보를 하지만 부가서비스 이용률이 저조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정 부가 서비스는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통신중에 특정한 키 조작(예를 들면 * 또는 #을 누르고 특정한 번호 키를 누르는 등의 키 조작)을 함으로써 부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부가서비스를 알기가 어렵고, 또한 이러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된다는 것을 알고 있더라도 그 특정한 키 조작을 숙지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 중에는 상대방 발신측으로부터의 통화호 수신시에 발신번호(Caller Identification; CID)가 표시되지 않는 익명호에 따른 통화호 수신 또는 발신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의 통화호 수신과 관련된 부가서비스도 존재하는데, 이러한 통화호 수신과 관련된 부가서비스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가입 절차가 따른다는 문제가 있으며,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그들 부가서비스 이용률이 저조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통화호의 수신과 관련된 부가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의 부가서비스 이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사업자의 부가서비스 수익창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기술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호 수신시의 상황(이벤트)에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 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가서비스 이용 편의를 제공하고 사업자의 부가서비스 수익창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되는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고,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부가 서비스 를 제공하는 이동동신망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발신번호가 표시되어 착신 통화호가 수신되는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고,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동신망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호 수신시 발신자 번호의 유무에 따른 통화호 수신 이벤트에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 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안내하고 그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업자 입장에 서는 부가서비스 이용률이 향상되어 높은 부가서비스 수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망 시스템(20)과, 이 이동통신망 시스템(20)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이동통신을 진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_1,10_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_1)는 통화호를 수신하는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라 가정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_2)는 통화호를 발신하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라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통화호는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호와 화상 통화를 위한 화상호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화호로서 음성호 수신시의 부가 서비스 제공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20)은 통상의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집합체로서, 예를 들면 기지국(21,25), 이동통신교환기(22,24),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8), 방문 가입자 위치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26,27), 음성사서함 서버(29) 및, No.7망과 같은 신호망(2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21,25), 이동통신교환기(22,24), 홈 위치 등록기(28), 방문 가입자 위치등록기(26,27) 및 신호망(23)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와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가 동일한 이동통신교환기의 관할 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교환기(22)와 이동통신교환기(24)는 동일한 이동통신교환기이며, 또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와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가 동일한 기지국의 관할 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21)과 기지국(25)은 동일한 기지국이다.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29)는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에서 발신번호가 표시되지 않는 익명호가 수신됨에 의해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음성사서함 전환 서비스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사서함 전환 서비스가 선택됨에 따라 음성사서함의 전환 요청을 진행하면, 상기 익명호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음성사서함에 따른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_1,10_2)는 예를 들면 음성 통신과 SMS 및/또는 MMS 메시지 통신이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것으로 휴대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 이동통신부(12), 키입력부(13), 디스플레이부(14) 및 메모리부(15)를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13)는 가입자에 의하여 번호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키입력부(13)는 디스플레이부(14)와 겹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조작을 인식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서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거나 기능 메뉴 화면을 표시하며 또한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본 발명에 따라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발생되는 이벤트의 발생시에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해당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뉴 화면 형태로 표시하고, 발신자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가 발생되는 이벤트의 발생시에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해당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뉴 화면 형태로 표시한다.
상기 이동통신부(12)는 이동통신망 시스템(20)과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방식 등에 의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이동통신망 시스템(20)과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부(15)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또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5)는 본 발명에 따라 익명의 착신 통 화호 발생 이벤트 정보,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와, 각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로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시스템(20)으로부터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될때 그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을 거부하도록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서비스 안내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시스템(20)으로부터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될때 그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을 거부하고 발신측을 음성사서함으로 전환하도록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음성사서함 전환 서비스 안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시스템(20)으로부터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될때 그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을 거부하고 상대방 발신측에 발신번호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발신 표시 요구 서비스 안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시스템(20)으로부터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될때 그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을 거부하고, 상대방 발신측의 이후 착신 통화호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통화호의 차단 서비스 안내 정보"; 익명의 착신 통화호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통화 서비스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정보로서는,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통화 곤란 안내 멘 트를 제공하고 음성사서함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의 음성사서함 전환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통화 곤란 안내 멘트를 제공하고 통화호를 종료시키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종료 서비스 안내 정보";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수신을 거부하고, 해당 발신측의 착신 통화호를 이후에도 차단시키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통화호의 차단 서비스 안내 정보";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통화를 진행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통화 서비스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와,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들은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일 수 있고, 미 도시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되는 음성 정보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표시 정보일 경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도 4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에 번호와 함께 메뉴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대응 번호에 해당하는 키입력부(13)의 번호 키가 선택되면 해당 부가 서비스의 요청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키입력부(13)가 디스플레이부(14)와 겹쳐 설치된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표시는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에 터치 패널에 대응하여 메뉴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하 여 키입력부(13)의 대응하는 터치패널이 눌려지면 해당 부가 서비스의 요청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음성 정보일 경우에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키입력부(13)의 특정 키를 누름 조작하도록 음성 안내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대응 특정 키가 선택되면 해당 부가 서비스의 요청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메모리부(15)에 저장된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 정보 및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근거하여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 또는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 또는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15)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에 메뉴 형태로 표시하거나 또는 미 도시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부가 서비스가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사용자에게 통지된 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이동통신부(12)를 통하여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한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에서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로 발신번호를 표시하지 않는 익명의 통화호를 요청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에서 발신번호(CID)를 표시 금지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_1)에 익명의 통화호 접속을 요청하면(단계 S10),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서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에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을 통보한다(단계 S11).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의 제어부(11)는 상기 메모리부(15)에 저장된 기설정된 통신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를 확인하게 되고(단계 S12), 해당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15)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로서,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서비스 안내 정보"와,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음성사서함 전환 서비스 안내 정보",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발신 표시 요구 서비스 안내 정보",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통화호의 차단 서비스 안내 정보", "익명의 착신 통화호 통화 서비스 안내 정보"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1. 익명호 수신거부_콜 종료", "2. 익명호 수신거부_음성사서함으로 전환", "3. 익명호 수신거부_발신번호 표시 요구", "4. 익명호 수신거부_통화호 차단", "5. 익명호 통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3).
그 상태에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의 제어부(11)는 상기 키입력부(13)에 의해 사용자가 어떠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 단계 S14의 판단 결과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 가 익명의 착신 음성 호에 대한 수신을 거부하고 착신 음성 호를 종료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음성 호 수신 거부 서비스 안내 정보"인 경우에는, 이동통신망 시스템(20)의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 콜 종료를 요청하고(단계 S15),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교환기(22)는 단계 S16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_1)로부터 요청된 부가 서비스가 "익명의 착신 음성 호 수신 거부 서비스"임을 확인하고, 해당 착신 음성 호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7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익명의 착신 음성 호에 대한 수신을 거부하고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음성 호 수신 거부 및 음성사서함 전환 서비스 안내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의 제어부(11)는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20)의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 착신 통화호의 수신거부 및 음성사서함으로의 전환을 요청하고(단계 S30),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단계 S31에서 착신 가입자의 음성사서함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이동통신교환기(24)에 제공함에 따라, 단계 S32에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교환기(24)는 해당 착신 음성 호를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여 음성사서함 서버(29)에 접속시킴으로써, 단계 S33에서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29)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에 음성사서함에 따른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는 음성사서함 서버(29)와의 접속 하에서 음성을 녹음 또는 자신의 발신번호를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호를 절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34).
한편, 단계 S18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익명의 착신 호에 대한 수신을 거부하고 상대방에게 발신자 표시 정보를 공개할 것을 요구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호 수신 거부 및 발신 표시 요구 서비스 안내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의 제어부(11)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 통화호의 수신 거부 및 발신번호의 표시를 요청하고(단계 S40),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단계 S41에서 착신 가입자의 음성사서함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이동통신교환기(24)에 제공함에 따라, 단계 S42에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교환기(24)는 해당 착신 음성 호를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여 음성사서함 서버(29)에 접속시키는 한편, 단계 S43에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서는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29)에 기저장된 발신표시 요구 안내음성 메시지를 요청하고, 단계 S44에서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29)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에 발신표시 요구 안내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에 대하여 발신번호의 표시를 허용하거나, 이를 무시하고 호를 절단한다(단계 S45).
또한, 단계 S19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익명의 착신 호에 대한 수신을 거부하고 해당 발신자에 대한 추후 착신 음성 호의 차단을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음성 호의 차단 서비스 안내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의 제어부(11)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 통화호의 차단을 요청하고(단계 S50),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단계 S51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_1)로부터 요청된 부가 서비스가 "익명의 착신 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음성 호의 차단 서비스"임을 확인하고 콜을 종료시킨 다음에, 단계 S52에서 해당 발신자 정보가 통화호 차단 리스트에 등록되도록 상기 홈 위치 등록기(28)에 요청한다.
그에 따라, 상기 홈 위치 등록기(28)는 상기 착신 가입자의 프로파일(Profile)의 차단 리스트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착신 음성 호 차단 정보로서 등록하게 된다(단계 S52).
그 상태에서, 상기 차단 리스트에 등록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에 재차 호접속을 요청하는 경우에(단계 S54),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28)의 통화호 차단 리스트에 등록된 차단 등록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_2)로부터의 통화호를 차단하게 된다(단계 S55).
한편, 단계 S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익명의 착신 호를 수신하는 "익명의 착신 음성 호 통화 서비스 안내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_1)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 통화를 요청하고(단계 S60),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단계 S61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_1)로부터 요청된 부가 서비스가 "음성 호 통화 서비스"임을 확인하고, 해당 착신 음성 호에 대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_1)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 간의 통화로를 확인함으로써, 단계 S62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_1)와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_2) 간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에서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로 발신번호를 표시한 상태에서 통화호를 요청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에서 발신번호(CID)를 표시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_1)에 통화호 접속을 요청하면(단계 S70),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서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에 발신번호를 표시하여 착신 통화호 발생을 통보한다(단계 S71).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의 제어부(11)는 상기 메모리부(15)에 저장된 기설정된 통신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를 확인하고(단계 S72), 해당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15)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로서,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의 음성 사사함 전환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종료 서비스 안내 정보", "발신자 표시 착신 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음성 호의 차단 서비스 안내 정보",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통화 서비스 안내 정보"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발신자표시 착신 통화호의 음성사서함 전환", "2. 발신자표시 착신 통화호 종료", "3. 발신자표시 착신호 수신거부 및 통화호 차단", "4. 발신자표 시 착신 통화호 통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73).
한편, 단계 S74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현재 통화가 곤란하다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음성사서함으로 전환하도록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의 음성 사사함 전환 서비스 안내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의 제어부(11)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 음성사서함으로의 전환을 요청하고(단계 S75),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단계 S76에서 착신 가입자의 음성사서함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이동통신교환기(24)에 제공함에 따라, 단계 S77에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교환기(24)는 해당 착신 음성 호를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여 음성사서함 서버(29)에 접속시키는 한편, 단계 S78에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서는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29)에 기저장된 통화불가 및 음성사서함 전환요구 안내음성 메시지를 요청하고, 단계 S79에서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29)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에 해당 통화불가 및 음성사서함 전환요구 안내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는 음성사서함에서 음성을 녹음 또는 발신번호를 입력하거나, 이를 무시하고 호를 절단한다(단계 S80).
또한, 단계 S8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현재 통화가 곤란하다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착신 음성 호를 종료하도록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종료 서비스 안내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의 제어 부(11)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 통화호의 종료 및 통화불가 안내음성 메시지의 제공을 요청하고(단계 S90),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단계 S91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_1)로부터 요청된 부가 서비스가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종료 서비스"임을 확인하고 콜을 종료시킨 다음에, 착신 가입자의 음성사서함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교환기(24)에 제공한다.
이에,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교환기(24)는 해당 착신 음성 호를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여 음성사서함 서버(29)에 접속시키는 한편(단계 92),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서는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29)에 기저장된 통화불가 안내음성 메시지를 요청하고(단계 S93),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29)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에 해당 통화불가 안내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S94).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종료 서비스 안내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현재 통화가 곤란하다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착신 음성 호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통화가 곤란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의 형태로 상대방 발신측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는 현재 통화 곤란 상태를 안내하는 SMS 또는 MMS 메시지를 발생하는 메시지 센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_1)로부터 통화 곤란 안내 메시지의 요청이 있게 되면, 해당 메시지 센터에 기 저장된 SMS 또는 MMS 메시지를 상대방 발신측에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 S8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착신 호에 대한 수신을 거부하고 해당 발신자에 대한 추후 착신 음성 호의 차단을 이동통신망 시스템(20)에 요청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음성 호의 차단 서비스 안내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_1)의 제어부(11)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 통화호의 차단을 요청하고(단계 S100),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단계 S101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_1)로부터 요청된 부가 서비스가 "발신자 표시 착신 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음성 호의 차단 서비스"임을 확인하고 콜을 종료시킨 다음에, 단계 S102에서 해당 발신자 정보가 통화호 차단 리스트에 등록되도록 상기 홈 위치 등록기(28)에 요청한다.
그에 따라, 상기 홈 위치 등록기(28)는 상기 착신 가입자의 프로파일(Profile)의 차단 리스트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착신 음성 호 차단 정보로서 등록하게 된다(단계 S103).
그 상태에서, 상기 차단 리스트에 등록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1)에 재차 호접속을 요청하는 경우에(단계 S104),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28)의 통화호 차단 리스트에 등록된 차단 등록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_2)로부터의 통화호를 차단하게 된다(단계 S105).
한편, 단계 S8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가 착신 호를 수신하는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통화 서비스 안내 정보" 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_1)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에 통화를 요청하고(단계 S110),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교환기(22)는 단계 S111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_1)로부터 요청된 부가 서비스가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통화 서비스"임을 확인하고, 해당 착신 음성 호에 대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_1)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 간의 통화로를 확인함으로써, 단계 S112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_1)와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_2) 간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는 통화호로서 음성호 수신시의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화호로서 화상호 수신시의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도 상기 음성호 수신시와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가 서비스 메뉴가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번호(CID)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번호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가 서비스 메뉴가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_1, 10_2:이동통신 단말기, 20:이동통신망 시스템,
11:제어부, 12:이동통신부,
13:키입력부, 14:디스플레이부,
15:메모리부, 21,25:기지국,
22,24:이동통신 교환기, 26,27:방문 가입자 위치등록기(VLR),
28:홈 위치 등록기(HLR), 29:음성사서함 서버.

Claims (18)

  1.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되는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고,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익명의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동신망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명의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시스템으로부터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될때 그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을 거부하도록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서비스 안내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시스템으로부터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될때 그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을 거부하고 발신측을 음성사서함으로 전환하도록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음성사서함 전환 서비스 안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시스템으로부터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될때 그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을 거부하고 상대방 발신측에 발신번호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발신 표시 요구 서비스 안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 시스템으로부터 익명의 착신 통화호가 수신될때 그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을 거부하고, 상대방 발신측의 이후 착신 통화호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통화호의 차단 서비스 안내 정보"; 및
    익명의 착신 통화호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익명의 착신 통화호 통화 서비스 안내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 메뉴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 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 메뉴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 거부 요청에 따라, 발신측으로부터의 콜을 종료하는 이동통신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을 거부 및 발신측의 음성사서함 전환 요청에 따라, 발신측으로부터의 콜을 종료하는 이동통신교환기와, 발신측을 음성사서함으로 접속하여 음성사서함 전환을 요구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음성사서함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 공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 거부 및 상대방 발신측으로의 발신번호 표시 요구에 따라, 발신측으로부터의 콜을 종료하는 이동통신교환기와, 발신측을 음성사서함으로 접속하여 기 저장된 발신표시 요구 안내음성 메시지를 발신측에 제공하는 음성사서함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익명호 발신측으로의 수신 거부 및 상대방 발신측의 이후 착신 통화호 차단 요청에 따라, 발신측으로부터의 콜을 종료하고 해당 발신자 정보를 통화호 차단 리스트에 등록시키기 위한 이동통신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교환기의 발신자 정보의 차단 리스트 등록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가입자의 프로파일에 있는 통화호 차단 리스트에 상기 익명호 발신자 정보를 등록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익명의 착신 통화호와의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대방 발신측과의 통화호를 접속하여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통신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발신번호가 표시되어 착신 통화호가 수신되는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고,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동신망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표시 착신 음성 호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통화 곤란 안내 멘트를 제공하고 음성사서함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의 음성사서함 전환 서비스 안내 정보"와;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통화 곤란 안내 멘트를 제공하고 통화호를 종료시키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종료 서비스 안내 정보";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수신을 거부하고, 해당 발신측의 착신 통화호를 이후에도 차단시키도록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요청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호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자에 착신 통화호의 차단 서비스 안내 정보";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통화를 진행하기 위한 "발신자 표시 착신 통화호 통화 서비스 안내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 메뉴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안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서비스 메뉴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통화 곤란 안내 멘트의 제공 및 음성사서함으로의 전환 요청에 따라, 발신측으로의 콜을 종료하는 이동통신교환기와, 발신측을 음성사서함으로 접속하여 통화 곤란을 안내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 및 음성사서함 전환을 요구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음성사서함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통화 곤란 안내 멘트의 제공 및 통화호의 종료 요청에 따라, 발신측으로의 콜을 종료하는 이동통신교환기와, 발신측을 음성사서함으로 접속하여 기 저장된 통화 곤란을 안내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음성사서함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하여 통화 곤란 안내 멘트의 제공 및 통화호의 종료 요청에 따라, 발신측으로의 콜을 종료하는 이동통신교환기와, 발신측에 기 저장된 통화 곤란을 안내하는 MMS 또는 MMS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에 대한 수신 거부 및 해당 발신측의 착신 통화호를 이후에도 차단시키기 위한 요청에 따라, 발신측으로부터의 콜을 종료하고 해당 발신자 정보를 통화호 차단 리스트에 등록시키기 위한 이동통신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교환기의 발신자 정보의 차단 리스트 등록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가입자의 프로파일에 있는 통화호 차단 리스트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등록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여 구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신번호가 표시되는 착신 통화호의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대방 발신측과의 통화호를 접속하여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통신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80078799A 2008-08-12 2008-08-12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00020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99A KR20100020137A (ko) 2008-08-12 2008-08-12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99A KR20100020137A (ko) 2008-08-12 2008-08-12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418A Division KR101146894B1 (ko) 2010-12-23 2010-12-23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37A true KR20100020137A (ko) 2010-02-22

Family

ID=4209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799A KR20100020137A (ko) 2008-08-12 2008-08-12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1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694B1 (ko) 발신자에 따른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01180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28627B1 (ko) 가입자 감정 기반 통화 연결음 설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468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10002015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99463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중 착신 호 발생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114677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827337B1 (ko) 발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정보서비스 이용 방법
KR100695998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단말기 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201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99398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발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6232B1 (ko) 특번을 이용한 통화 연결음 설정 서비스 방법
KR100706899B1 (ko) 가입자 기반 복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1146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호의 통화 실패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9940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115864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통화 호 종료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4401B1 (ko) 통화 중 단축키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KR101022372B1 (ko) 문자 기반의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4267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부재중 전화 이벤트에 따른 스팸 경고 및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동통신단말기
KR20100012085A (ko) 로밍 요금 절감을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로밍 제어 방법
KR101219803B1 (ko) 국제 로밍 서비스에서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008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통화 호 종료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1080407A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нацеленной рекла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223

Effective date: 2011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