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297B1 -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297B1
KR101146297B1 KR1020100063833A KR20100063833A KR101146297B1 KR 101146297 B1 KR101146297 B1 KR 101146297B1 KR 1020100063833 A KR1020100063833 A KR 1020100063833A KR 20100063833 A KR20100063833 A KR 20100063833A KR 101146297 B1 KR101146297 B1 KR 10114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e
photographing
uni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146A (ko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텍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2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본 발명은 피촬영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안면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동영상 및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 촬영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선(先) 촬영된 상기 피촬영자의 상기 안면 컬러 이미지로부터 안내선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프리뷰 영역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Facial ski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Guide line display method applying to the same}
본 발명은 전안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先) 촬영 시 획득한 안면 이미지로부터 얼굴 특징부에 대응하는 윤곽을 추출하여 뷰파인더에 안내선 이미지로 표시하고, 피촬영자의 안면 피부 개선 처리 후 동일 피촬영자에 대하여 후(後) 촬영 시 안내선 이미지를 기준으로 촬영함으로써 선/후 촬영 시 각각 획득한 이미지를 상호 오버랩하면 피부 개선 전/후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안촬영시스템은 육안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안면의 피지, 잠재적인 색소침착 및 주름 등을 고해상도의 디지털 이미지로 촬영하고, 이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피촬영자의 안면에 존재하는 피지나 모공의 크기 및 분포 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피부과 전문의 등 시술자는 상술한 전안촬영시스템을 이용하여 선(先) 촬영 이미지를 얻고 이를 근거로 적절한 처방 및 시술을 행한 후, 다시 안면 촬영을 행하여 선 촬영 이미지와 후(後) 촬영 이미지를 모니터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이들을 비교하여 그 개선 효과를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피촬영자의 후 촬영 시 안면 촬영 위치가 선 촬영 시 안면 촬영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선행 및 후행 촬영에 따른 2개의 이미지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거나 이 2개의 이미지를 상호 오버랩하여도 개선 또는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로 인해 추후 이루어지는 피부 관리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先) 촬영 시 획득한 안면 이미지로부터 얼굴 특징부에 대응하는 윤곽을 추출하여 뷰파인더에 안내선 이미지로 표시하고, 피촬영자의 안면 피부 개선 처리 후 동일 피촬영자에 대하여 후(後) 촬영 시 안내선 이미지를 기준으로 촬영함으로써 선/후 촬영 시 각각 획득한 이미지를 상호 오버랩하면 피부 개선 전/후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촬영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안면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동영상 및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 촬영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선 촬영된 상기 피촬영자의 상기 안면 컬러 이미지로부터 안내선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프리뷰 영역에 실시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촬영부는 모공 및 주름을 측정하기 위해 자연광 하에서 촬영한 안면 컬러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안내선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안면 컬러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한 후, 상기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부터 안면의 특징부분에 대한 외곽선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안면 외곽선 이미지에서 안면의 특징부분을 제외한 배경부분을 삭제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안면 특징부분은 얼굴 윤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안면 특징부분은 눈썹, 눈, 코 및 입의 윤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촬영부는 피촬영자의 이마와 턱을 지지하는 이마 지지대 및 턱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선 이미지는 상기 이마 지지대 및 턱 지지대의 윤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선 이미지가 오버레이된 실시간 영상을 좌우로 전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프리뷰 영역에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피촬영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획득한 안면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한 안면 이미지를 안면의 특징부분에 대한 외곽이 돋보이도록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변환된 이미지로부터 안면의 특징부분을 제외한 배경 부분을 삭제하여 안내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d) 안면 촬영 시, 전안촬영시스템의 촬영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에 상기 안내선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단계에서 획득한 안면 이미지는 컬러 이미지이고, 상기 (b)단계에서 획득한 이미지는 상기 안면 컬러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단계의 안면 특징부분은 얼굴 윤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안면 특징부분은 눈썹, 눈, 코 및 입의 윤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내선 이미지는 촬영부에 배치되어 피촬영자의 이마와 턱을 지지하는 이마 지지대 및 턱 지지대의 윤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안내선 이미지가 오버레이된 실시간 영상을 좌우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後) 촬영 시 선(先) 촬영된 안면 이미지로부터 안내선 이미지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프리뷰 영역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 함으로써, 촬영자는 피촬영자의 안면 촬영 위치를 선 촬영 시와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선/후 촬영된 이미지 들을 상호 오버랩하여 피촬영자의 안면 피부의 곳곳에 대하여 개선 여부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안촬영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안촬영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안촬영시스템의 안내선 표시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안촬영시스템의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안면 컬러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면 컬러 이미지로부터 변환된 그레이스케일 외곽선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그레이스케일 외곽선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안내선 이미지를 실시간 영상에 오버레이시킨 디스플레이부의 프리뷰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영상의 좌우 전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안촬영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안촬영시스템(1)은 촬영부(10), 제어부(30), 데이터베이스(50) 및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한다.
촬영부(10)는 피촬영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피촬영자의 안면을 삽입할 수 있는 소정 넓이의 요홈(11)이 형성되고, 요홈(11) 내측 중앙에는 안면 촬영을 위한 카메라(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촬영부(10)는 피촬영자의 안면을 3차에 걸쳐 촬영하는데, 1차 촬영은 자연광 촬영으로 안면 피부의 모공 및 주름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2차 촬영은 안면에 존재하는 화농성 유분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3차 촬영은 피부의 색소 침착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2차 촬영 시에는 UV 플래시(15a,15b)를 작동 시키고, 3차 촬영 시에는 편광 플래시(17a,17b)를 각각 작동 시킨다. 상기 UV 플래시(15a,15b) 및 편광 플래시(17a,17b)는 각각 카메라(13)를 중심으로 좌우측 및 상하 측에 배치된다.
더욱이 요홈(11) 내측의 상측에는 피촬영자의 안면의 상측을 지지하기 위한 이마 지지대(19a)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턱 지지대(19b)가 설치된다.
제어부(30)는 촬영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부(1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전안촬영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자연광, UV 광, 편광 하에서 각각 촬영된 안면 이미지(81,83,85) 들을 판독하여 안면 피부의 모공, 주름, 피지, 색소 침착 등의 여부와 그 정도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동일 피촬영자를 다시 촬영하는 경우, 기 촬영하여 데이터베이스부(50)에 저장된 자연광 하에서 촬영된 안면 컬러이미지(81)를 그레이스케일 이미지(83)로 변환한다. 이는 안면 컬러 이미지(81)로부터 안면의 특징부분에 대한 외곽선이 돋보이도록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어서 안면 그레이스케일 이미지(83)에서 안면의 특징부분을 제외한 배경부분을 삭제하여 안내선 이미지(85)를 추출한다. 제어부(3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안내선 이미지(85)와 촬영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을 보여주는 화면(87)을 디스플레이부(70)의 프리뷰 영역(71)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 시킨다. 도 7에는 안내선 이미지(85)가 배경 영상과 구분이 명확하게 되도록 노란색으로 나타나 있으나, 색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명도 및 채도를 가지는 색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안내선 이미지(85)는 피촬영자의 안면 특징부분 중 얼굴 윤곽을 포함한다. 이 경우, 얼굴 윤곽과 더불어 눈썹, 눈, 코 및 입의 윤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안내선 이미지(85)는 촬영부(10)의 요홈(11) 내측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된 이마 지지대(19a) 및 턱 지지대(19b)의 윤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안면 컬러 이미지(81)로부터 최종 추출된 안내선 이미지(85)를 데이터베이스부(50)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보다는 매 촬영 시 안내선 이미지(85)를 임시로 생성한다. 이는 제어부(30)를 이루는 장치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성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30)는 프리뷰 영역(71)에 안내선 이미지(85)를 오버레이시킨 영상을 좌/우 변환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70)의 프리뷰 영역(71)에 나타나는 영상이 피촬영자의 입장에서 좌우가 바뀐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피촬영자의 안면 촬영 시 피촬영자의 안면 촬영위치 즉, 얼굴의 위치를 안내선 이미지(85)와 일치시킬 때, 촬영자는 피촬영자의 입장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함으로써 피촬영자의 이동 방향이 프리뷰 영역(71)에서 이동하는 방향과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자는 프리뷰 영역(71)을 좌우 변환한 상태에서 촬영을 행할 경우 좌우를 혼동하지 않고 피촬영자에게 촬영위치를 손쉽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50)는 제어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연광, UV 광, 편광 하에서 각각 촬영된 안면 이미지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70)는 제어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 2와 같이, 촬영부(10)에 의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이하, 동영상 이라고도 함) 및 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프리뷰 영역(71)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70)는 상기 프리뷰 영역(71)과 함께 전안촬영제어프로그램에 의해 판독된 결과(텍스트 및 그래프 등)를 표시하는 데이터 영역(7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안촬영시스템을 통하여 안내선 표시방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선 촬영 시 피촬영자의 안면에 대하여, 자연광하에서 촬영된 안면 컬러 이미지(81), 안면 그레이스케일 이미지(83) 및 안내선 이미지(85)를 데이터베이스부(50)에 각각 저장한다(S1).
상기와 같이 촬영된 각 이미지를 통해 피촬영자는 자신의 안면 피부의 모공, 주름, 피지, 색소 침착 등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피부과 전문의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하루 또는 수일 동안 조치를 받은 후, 안면 피부의 개선 또는 변화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후 촬영을 실시한다.
동일한 피촬영자에 대하여 후 촬영 시, 제어부(30)는 선 촬영된 안면 컬러 이미지(81)를 데이터베이스부(50)로부터 로딩하여 안면 그레이스케일 이미지(83)로 변환 한 후(S2), 이 안면 그레이스케일 이미지(83)로부터 안면의 외곽 특징부를 나타내는 안내선 이미지(85)를 추출하여(S3) 디스플레이부(70)의 프리뷰 영역(71)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한다(S4).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70)에 안내선 이미지(85)를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자는 프리뷰 영역(71)을 모니터링 하면서 피촬영자의 안면 촬영 위치를 안내선 이미지(85)에 일치시키도록 안내한다.
피촬영자의 안면 촬영 위치가 안내선 이미지(85)와 일치되면, 촬영자는 촬영부(10)를 통해 안면 촬영을 행하여 후 촬영에 의한 이미지 들을 확보한다.
제어부(30)는 후 촬영 이미지 들을 데이터베이스부(50)에 저장한 후, 상기 선/후 촬영 이미지 들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피촬영자의 피부 개선 여부를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 촬영 시 선 촬영된 안면이미지로부터 안내선 이미지(85)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70)의 프리뷰 영역(71)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하여 나타냄으로써, 촬영자는 피촬영자의 안면 촬영 위치를 선 촬영 시와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선/후 촬영된 이미지 들을 상호 오버랩하여 피촬영자의 안면 피부의 곳곳에 대하여 개선 여부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촬영부 11: 요홈
13: 카메라 15a,15b: UV 플래시
17a,17b: 편광 플래시 19a: 이마 지지대
19b: 턱 지지대 30: 제어부
50: 데이터베이스부 70: 디스플레이부
71:프리뷰 영역 81: 안면 컬러 이미지
83: 안면 그레이스케일 이미지 85: 안내선 이미지
87: 실시간 영상 화면

Claims (12)

  1. 피촬영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안면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촬영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동영상 및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 촬영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선(先) 촬영된 상기 피촬영자의 상기 안면 이미지로부터 안내선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프리뷰 영역에 실시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는 피촬영자의 이마와 턱을 지지하는 이마 지지대 및 턱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선 이미지는 상기 이마 지지대 및 턱 지지대의 윤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모공 및 주름을 측정하기 위해 자연광 하에서 촬영한 안면 컬러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안내선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안면 컬러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한 후, 상기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부터 안면의 특징부분에 대한 외곽선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안면 외곽선 이미지에서 안면의 특징부분을 제외한 배경부분을 삭제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특징부분은 얼굴 윤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특징부분은 눈썹, 눈, 코 및 입의 윤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선 이미지가 오버레이되는 실시간 영상을 좌우로 전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프리뷰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
  7. (a) 피촬영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획득한 안면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한 안면 이미지를 안면의 특징부분에 대한 외곽이 돋보이도록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변환된 이미지로부터 안면의 특징부분을 제외한 배경 부분을 삭제하여 안내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d) 안면 촬영 시, 전안촬영시스템의 촬영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에 상기 안내선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선 이미지는 촬영부에 배치되어 피촬영자의 이마와 턱을 지지하는 이마 지지대 및 턱 지지대의 윤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획득한 안면 이미지는 컬러 이미지이고, 상기 (b)단계에서 획득한 이미지는 상기 안면 컬러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안면 특징부분은 얼굴 윤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특징부분은 눈썹, 눈, 코 및 입의 윤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안내선 이미지가 오버레이된 실시간 영상은 좌우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촬영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KR1020100063833A 2010-07-02 2010-07-02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KR10114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33A KR101146297B1 (ko) 2010-07-02 2010-07-02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33A KR101146297B1 (ko) 2010-07-02 2010-07-02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46A KR20120003146A (ko) 2012-01-10
KR101146297B1 true KR101146297B1 (ko) 2012-05-21

Family

ID=4561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833A KR101146297B1 (ko) 2010-07-02 2010-07-02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57B1 (ko) 2019-08-09 2020-05-15 권승만 초미세먼지 제거가 용이한 워터 크린 필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023B1 (ko) 2007-11-13 2008-06-20 (주)올라웍스 셀프 촬영 시 얼굴의 구도를 잡도록 도와주는 방법 및시스템
KR20090028328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얼굴 관리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100058280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328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얼굴 관리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840023B1 (ko) 2007-11-13 2008-06-20 (주)올라웍스 셀프 촬영 시 얼굴의 구도를 잡도록 도와주는 방법 및시스템
KR20100058280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46A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2409B2 (en) Digital mirror apparatus
TWI512643B (zh) 人臉識別系統及方法
KR20110006878A (ko) 복수의 인물에 대한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08072513A5 (ko)
JP2023095973A5 (ko)
TW201102938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face area detect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US990052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photographic subject
JP6443842B2 (ja) 顔検出装置、顔検出システム、及び顔検出方法
JP685961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32473B2 (en) Imaging apparatus
DE10200902966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essern eines Bildes eines Gesichts in einem Digitalbildprozessor
JP200900041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146297B1 (ko) 전안촬영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안내선 표시방법
JP201113552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6494455B2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424128B (zh) 一种从所录制的眼底视频中提取清晰图像帧的方法及系统
US9579015B2 (en) Ophthalmic image capture systems and methods
CN110536044B (zh) 一种证件照自动拍摄方法及装置
JP2013255594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7321951B2 (ja) 肌解析方法、肌解析システム及び肌解析プログラム
JP7356927B2 (ja) 肌解析方法、肌解析システム及び肌解析プログラム
JP2011066828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67028A (ja) 撮像装置
JP2004104426A (ja) 撮像装置
JP2008243119A (ja) 顔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