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958B1 - Precas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rigid-frame bridg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ecas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rigid-frame bridg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958B1
KR101145958B1 KR1020110104470A KR20110104470A KR101145958B1 KR 101145958 B1 KR101145958 B1 KR 101145958B1 KR 1020110104470 A KR1020110104470 A KR 1020110104470A KR 20110104470 A KR20110104470 A KR 20110104470A KR 101145958 B1 KR101145958 B1 KR 101145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exposed
precast
fixing
beam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용식
김경수
박창훈
Original Assignee
(주)우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우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10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9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precast beam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pre-stressed Rahmen bridg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minimize force applied to a Rahmen bridge. CONSTITUTION: A precast beam(PB) comprises a beam body(100), multiple sheath pipes, steel wires for tension, and anchorages. The beam body comprises a concrete material. Both ends of the beam body are arranged on the tops of the walls of a Rahmen bridge. A pair of fixing grooves(110a,110b) are formed on the top of both ends of the beam body. One end of each sheath pipe is embedded in the beam body,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xing groove. The steel wires are inserted into the sheath pipes. One end of each steel wire is embedded in the beam body,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xing grooves. The anchorages fix the other ends of the steel wires.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 {Precas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rigid-frame bridge using the same}Precas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rigid-frame brid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빔과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리캐스트 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beam and a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cast beam and a prestressed ramen bridg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라멘교는 주교체에 라멘구조를 시공한 다리로서, 보통 다리는 상부구조와 이를 떠받치는 하부구조로 되어 있으나, 라멘교는 이것을 하나로 묶어서 문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라멘교는 재료 결합 부분을 견고하게 굳힌, 철근이나 철골이 뼈대가 되는 구조 형식으로 지중에 설치되어 도로의 양쪽을 지중에서 연결시키는 교량으로도 이용된다. In general, a ramen bridge is a bridge with a ramen structure installed on a main body, and a bridge is usually composed of an upper structure and a substructure supporting the same, but a ramen bridge is formed in a door form. Such a ramen bridge is used as a bridge that connects both sides of the road by installing it in the ground in the form of a structure in which steel reinforcing bars or steel frames are firmly solidified at the material joints.

도 1은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general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 Referring to Figure 1 describe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 as follows.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10)를 시공한다(도 1의 (a)). 그러고 나서, 벽체(11)가 높을 경우 벽체의 일부분을 먼저 시공한다(도 1의 (b)). 또한 상부 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40) 및 동바리(50)를 설치한다(도 1의 (c)). 다음으로, 벽체(11) 상단 및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20)를 타설한다(도 1의 (d)). 마지막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동바리(50)를 제거하고 방호벽, 포장 등을 시공하여 교량을 완성한다(도 1의 (e)).First, the concrete is poured and the foundation 10 is constructed (FIG. 1A). Then, when the wall 11 is high, a part of the wall is first constructed (FIG. 1B). In addition, to form the upper slab formwork 40 and the club 50 is installed (Fig. 1 (c)). Next, the top of the wall 11 and the upper slab concrete 20 is poured (Fig. 1 (d)). Finally, when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the copper bar 50 is removed, and a protective wall, pavement, and the like are completed to complete the bridge (FIG. 1E).

이와 같이 시공되는 종래의 일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는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철근 등 강재로 연결함으로써 전체구조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지간 내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의 크기를 줄이는 대신, 이를 교대나 교각이 부담하게 한다.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s constructed in this way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s of the bridge by reinforcing steel such as reinforcing bars,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entire structure and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bending moment occurring in the ground. This burdens m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라멘교는 상부구조와 벽체가 만나는 모서리(C) 부분이 고정하중에 의한 부재력이 과다하게 작용함에 따라 두꺼운 단면이 필요하고 철근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결국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ramen bridge has a problem in that the edge C where the upper structure and the wall meets requires a thick cross section due to excessive member force due to the fixed load, and the use of rebar increas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

또한, 라멘교의 모서리(C) 부분이 전 부재에 걸쳐 가장 높은 모멘트를 받음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공과정에서 모서리(C) 부분의 단면을 키우게 되나, 경간장이 길 경우에는 구조물의 계획 및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section C of the ramen bridge receives the highest moment across the entire member,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orner C is increas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re is an impossible problem.

참고로, 도 2는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부재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라멘교는 모서리(C) 부분의 모멘트가 슬래브 하면의 모멘트 보다 훨씬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For reference,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member force of the general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 As shown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in the conventional ramen bridge, the moment of the edge C portion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slab bottom surface.

본 발명의 목적은 라멘교의 모서리 부분의 부재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beam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stressed ramen bridge using the same, which can minimize the member force of the edge portion of the ramen bridg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빔은 복수가 결합하여 라멘교의 슬래브(slab)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빔으로서, 콘크리트 재질을 포함하고, 양단이 각각 라멘교의 벽체 상측에 배치되며, 양 단부 상면에 한 쌍의 정착홈이 형성된 빔 본체(beam body); 일단이 상기 빔 본체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이 반대쪽 정착홈의 외측에 노출되는 복수의 쉬스관; 상기 쉬스관에 내삽되고, 일단이 상기 빔 본체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이 반대쪽 정착홈의 외측에 노출되는 복수의 긴장용 강선; 및 상기 긴장용 강선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정착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cas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cast beam that combines a plurality to form a slab of the ramen bridge, including a concrete material, both ends of the wall of the ramen bridge, respectively A beam body disposed in and having a pair of fixing grooves formed on upper surfaces of both ends thereof; A plurality of sheath tubes whose one end is embedded in the beam body and whos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posite fixing groove; A plurality of tension wires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one end of which is embedded in the beam bod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posite fixing groove; And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teel wire.

여기서, 상기 긴장용 강선은, 상기 정착홈 중의 어느 하나에 노출되는 한 쌍과, 상기 정착홈 중의 다른 하나에 노출되는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The tension steel wire may include a pair exposed to any one of the fixing grooves, and a pair exposed to the other one of the fixing grooves.

아울러, 상기 정착홈 중의 어느 하나에 노출되는 한 쌍의 긴장용 강선은, 평면상 상기 정착홈 중의 다른 하나에 노출되는 한 쌍의 긴장용 강선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tension wires exposed to any one of the fixing groove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ension wires exposed to the other of the fixing grooves on a plane.

나아가, 상기 빔 본체의 양단에는, 라멘교 벽체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라멘교의 벽체 상면에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과 결합 가능하도록 일부가 상기 빔 본체의 내측에 매립되고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을 각각 더 구비할 수 있다. Further, at both ends of the beam body,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beam body and partially exposed so as to be able to be combined with a reinforcing bar partially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ramen bridge for integration with the wall of the ramen bridge. It may be further provided.

더욱이, 상기 빔 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프리캐스트 빔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하여 무수축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홈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at least one or more of both sides of the beam body may be formed with a pouring groove in which the non-concrete concrete is poured in order to integrally combine with other precast bea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은 양단에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을 구비하고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타설홈이 형성되며 양 단부 상면에 한 쌍의 정착홈이 형성된 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빔 본체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이 반대쪽 정착홈의 외측에 노출되는 복수의 쉬스관 및 복수의 긴장용 강선과, 상기 긴장용 강선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정착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빔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빔의 자중에 의한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긴장용 강선들의 노출된 타단을 1차로 긴장하여 상기 정착구로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 라멘교의 기초와, 상면에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을 구비한 벽체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프리캐스트 빔들의 양단을 상기 벽체의 상측에 동바리 없이 서로 밀착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빔의 보강 철근과 상기 벽체의 보강 철근을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빔의 보강 철근과 상기 벽체의 보강 철근이 결합된 상기 라멘교의 모서리 부분 및 상기 프리캐스트 빔들의 타설홈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각각 타설하여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서리 부분의 소요 강도가 발현된 후, 상기 모서리 부분의 부재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긴장용 강선들의 노출된 타단을 2차로 긴장하여 상기 정착구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ramen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partially exposed at both ends, at least one of the sides is formed with a pouring groove and a pair of fixing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A plurality of sheath pipes and a plurality of sheath pipes, one end is embedded in the beam body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posite fix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tension steel wires, and a plurality of anchors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teel wires Preparing a precast beam; Temporarily fixing the exposed end of the tension wires to the anchorage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ensile force due to the weight of the precast beam does not occur temporarily to the anchorage; Placing a wall having a foundation of a ramen bridge and a reinforcing steel bar partially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Mount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precast beam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tied to an upper side of the wall; Coupling the reinforcing bars of the precast beam with the reinforcing bars of the wall; Pouring uncondensed concrete into the corner portions of the ramen bridge and the casting grooves of the precast beams to which the reinforcing bars of the precast beams and the reinforcing bars of the wall are coupled to form slabs integrally; And after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corner portion is developed, secondly tensioning the exposed other ends of the tension wires to fix the anchorage to reduce the absent force of the corner portion.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 빔들은, 평면상 상기 긴장용 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 쉬스관 및 보조 긴장용 강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프리캐스트 빔들의 양단을 상기 벽체의 상측에 동바리 없이 서로 밀착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보조 긴장용 강선을 긴장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cast beam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heath tube and an auxiliary tension wir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nsion wire in plan view, and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precast beam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ti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After the mounting step,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tensioning and fixing the auxiliary tension steel wi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precast beam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ramen bridg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빔 본체 상면에 형성된 정착홈에 단부가 노출된 긴장용 강선을 1차 긴장시켜 라멘교 벽체에 거치하기 때문에 동바리가 불필요하고, 프리캐스트 빔의 자중에 의한 모서리 부분의 부재력을 제거할 수 있다. First, since the tension wire exposed at the end of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main body is first tensioned and mounted on the wall of the ramen bridge, it is unnecessary to move the member and the member force of the edge por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precast beam can be removed. .

둘째, 복수의 프리캐스트 빔을 결합하여 라멘교 슬래브를 완성한 후, 긴장용 강선을 2차 긴장시켜 모서리 부분의 부재력을 다시 감소시킬 수 있다. Second, after completing the ramen bridge slab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recast beams, the tension of the steel wire can be secondly tensioned to reduce the member force of the edge portion again.

셋째, 프리캐스트 빔에 의해 헌치를 삭제할 수 있어 미려한 아치형 빔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ird, the haunt can be deleted by the precast beam to form a beautiful arcuate beam cross section.

넷째, 모서리 부분의 연결을 위하여 타 공법의 경우 강재를 주로 사용하는 것과 달리, 철근만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빔을 이용하기 때문에 라멘교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urth, the construction of the ramen bridge can be improved because the precast beam using only reinforcing bar is used, unlike other steel methods for the connection of corner parts.

도 1은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부재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쉬스관 및 긴장용 강선을 위치별로 각각 분리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 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긴장에 의한 라멘교의 부재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general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
2 is a view showing a member force of a general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
3 is a side view of a precas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precast beam shown in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FIG. 7 is a plan view separately showing the sheath pipe and the tension steel wire shown in FIG. 4 by posi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stressed ramen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4 are sid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prestressed ramen bridge shown in FIG. 8.
15 is a view showing the member force of the ramen bridge by the secondary tens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빔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빔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쉬스관 및 긴장용 강선을 위치별로 각각 분리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3 is a side view of the precas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precast beam shown in FIG. 3,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nd FIG. 6 is shown in FIG. 4. 7 is a plan view separately showing the sheath pipe and the tension steel wire shown in FIG. 4 by position, respectively.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빔(PB)은 복수가 결합하여 라멘교의 슬래브(slab)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빔으로서, 빔 본체(beam body)(100), 복수의 쉬스관(200), 복수의 긴장용 강선(300) 및 정착구(4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쉬스관(200)은 두 종류의 쉬스관(200a)(200b)을 포함하고, 긴장용 강선(300)은 두 종류의 긴장용 강선(300a)(300b)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3 to 7, the precast beam PB is a precast beam in which a plurality of beams combine to form a slab of a ramen bridge, and includes a beam body 100 and a plurality of sheath tubes 200. ), A plurality of tension steel wire 300 and the fixing device 400. Hereinafter, the sheath tube 200 includes two kinds of sheath tubes 200a and 200b, and the tension steel wire 300 is defined as including two types of tension steel wires 300a and 300b.

빔 본체(100)는 콘크리트 재질을 포함하고, 양단이 각각 라멘교의 벽체(W) 상측에 배치된다. 빔 본체(100)는 양 단부 상면에 한 쌍의 정착홈(110a)(110b)이 형성된다. The beam body 100 includes a concrete material, and both ends are disposed above the wall W of the ramen bridge, respectively. The beam main body 100 has a pair of fixing grooves 110a and 110b formed on upper surfaces of both ends.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쉬스관(200)은 일단이 빔 본체(100)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이 반대쪽 정착홈(110a)(110b)의 외측에 노출된다. As shown in FIG. 4, one end of the sheath tube 200 is embedded in the beam body 1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posite fixing grooves 110a and 110b.

긴장용 강선(300)은 쉬스관(200)에 내삽된다. 쉬스관과 마찬가지로 긴장용 강선(300) 역시 일단이 빔 본체(100)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이 반대쪽 정착홈(110a)(110b)의 외측에 노출된다. 또한, 정착구(400)는 긴장용 강선(300)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쉬스관(200), 긴장용 강선(300) 및 정착구(40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도면에서는 간단하게 표현하였다. Tension steel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sheath pipe 200. Like the sheath tube, the tension wire 300 is also fixed to one end of the beam body 100,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posite fixing groove (110a) (110b). In addition, the fixing unit 400 serves to fix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teel wire (300). The sheath tube 200, the tension steel wire 300, and the fixing device 400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thus are simply represented.

빔 본체(100)의 양단에는 라멘교 벽체(W)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후술할 라멘교의 벽체(W) 상면에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500)과 결합 가능하도록 일부가 빔 본체(100)의 내측에 매립되고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120)을 각각 구비한다. Both ends of the beam body 100 are partially inside the beam body 100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reinforcement bar 500 partially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W of the ramen bridge for integration with the ramen bridge wall W. And each of the reinforcing bars 120 embedded in and partially exposed.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빔 본체(10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프리캐스트 빔(PB)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하여 무수축 콘크리트(SC)가 타설되는 타설홈(130)이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프리캐스트 빔들(PB) 중 양 끝에 배치되는 빔에는 타설홈(130)이 한 쪽에만 형성되고, 그 사이에 배치되는 빔에는 타설홈(130)이 양 쪽에 형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t least one or more sides of the beam body 100 are formed with a pour groove 130 in which the non-condensed concrete SC is poured in order to be integrally combined with another precast beam PB. do. As shown in FIG. 11, the pouring grooves 130 ar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beam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recast beams PB, and the pouring grooves 1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ams disposed therebetween.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쉬스관(200) 및 긴장용 강선(300)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크로스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sheath pipe 200 and the tension steel wire 300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side.

한편, 도 7에는 쉬스관(200)과 긴장용 강선(300)을 정착홈 중의 어느 하나(110a)에 노출되는 한 쌍(300a)을 도 7의 (a)에, 정착홈 중의 다른 하나(110b)에 노출되는 한 쌍(300b)을 도 7의 (b)에 도시하였다. Meanwhile, in FIG. 7, a pair 300a of the sheath tube 200 and the tension steel wire 300 is exposed to any one 110a of the fixing grooves, and the other one of the fixing grooves 110b of FIG. ), A pair 300b of FIG. 7 is shown in FIG.

이때, 정착홈 중의 어느 하나(110a)에 노출되는 한 쌍의 긴장용 강선(300a) 사이에 정착홈 중의 다른 하나(110b)에 노출되는 한 쌍의 긴장용 강선들(300b)이 평면상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between the pair of tension wires 300a exposed to any one of the fixing grooves 110a, the pair of tension wires 300b exposed to the other one 110b of the fixing grooves may be disposed in plan. Can be.

더욱 상세하게는 쉬스관(200a)(200b)은 일단(210a)(210b)이 빔 본체(100)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220a)(220b)이 반대쪽 정착홈(110b)(110a)의 외측에 노출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heath pipes 200a and 200b have one end 210a and 210b embedded in the beam body 100 and the other ends 220a and 220b are outside the opposite fixing grooves 110b and 110a. Is exposed to.

긴장용 강선(300) 역시 쉬스관(200)과 마찬가지로 일단(310a)(310b)이 빔 본체(100)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320a)(320b)이 반대쪽 정착홈(110b)(110a)의 외측에 노출된다. 정착구(400)는 긴장용 강선(300)의 타단(320a)(320b)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Similar to the sheath tube 200, the tension steel wire 300 also has one end 310a and 310b embedded in the beam body 100, and the other ends 320a and 320b of the opposite fixing grooves 110b and 110a.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xing unit 400 serves to fix the other ends 320a and 320b of the tension steel wire 30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 내지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 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stressed ramen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to 14 are sid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struction order of the prestressed ramen bridge shown in FIG. 8.

도 8을 참조하면,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은 단계 S110 내지 단계 S18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restressed ramen bridge includes steps S110 to S180.

단계 S110에서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빔(PB)을 준비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프리캐스트 빔(PB)은 빔 본체(100)와, 복수의 쉬스관(200) 및 복수의 긴장용 강선(300)과, 정착구(400)를 포함한다. In step S110, a plurality of precast beams PB ar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the precast beam PB includes a beam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sheath pipes 200, a plurality of tension steel wires 300, and a fixing unit 400.

빔 본체(100)는 양단에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120)을 구비하고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타설홈(130)이 형성되며 양 단부 상면에 한 쌍의 정착홈(110a)(110b)이 형성된다. 복수의 쉬스관(200) 및 복수의 긴장용 강선(300)은 일단이 빔 본체(100)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이 반대쪽 정착홈(110a)(110b)의 외측에 노출된다. 정착구(400)는 긴장용 강선(300)의 타단을 고정시킨다. The beam body 100 includes reinforcing bars 120 partially exposed at both ends, and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s has a pour groove 130 formed thereon, and a pair of fixing grooves 110a and 110b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Is formed.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heath pipes 200 and the plurality of tension steel wires 300 are embedded in the beam body 100 and the other ends thereof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posite fixing grooves 110a and 110b. The fixing unit 400 fixes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teel wire (300).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프리캐스트 빔들(PB)은 평면상 긴장용 강선(30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 쉬스관(140) 및 보조 긴장용 강선(150)을 구비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11, the precast beams PB may include an auxiliary sheath tube 140 and an auxiliary tension steel wire 15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ar tension steel wire 300.

다음으로, 단계 S120에서는 프리캐스트 빔(PB)의 자중에 의한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장용 강선들(300)의 노출된 타단을 1차로 긴장하여 정착구(400)로 임시로 고정한다. 이러한 1차 긴장은 프리캐스트 빔의 제작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in step S120, the other ends of the tension steel wires 300 are primarily tensioned and temporarily fixed to the anchorage 400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ensile force due to the weight of the precast beam PB does not occur. This primary tension can be achieved during the fabrication of the precast beam.

단계 S130에서는 라멘교의 기초(B)와, 상면에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500)을 구비한 벽체(W)를 타설하여 형성한다(도 9 참조).In step S130, the foundation B of the ramen bridge and the wall W provided with the reinforcement bar 500 partially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are formed by pouring (see Fig. 9).

단계 S140에서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빔들(PB)의 양단을 벽체(W)의 상측에 동바리 없이 서로 밀착되도록 거치한다(도 10 참조). 즉 긴장용 강선(300)을 1차 긴장시켜 라멘교 벽체(W)에 거치하기 때문에 동바리가 불필요하고, 프리캐스트 빔(PB)의 자중에 의한 모서리 부분의 부재력을 제거할 수 있다. In step S140,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precast beams PB are mount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ti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W (see FIG. 10). That is, since the tension wire 300 is first tensioned and mounted on the ramen bridge wall W, no grouping is needed, and the absent force of the corner por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precast beam PB can be removed.

단계 S150에서는 보조 긴장용 강선(150)을 긴장하여 고정한다(도 11 참조). 단계 S150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In step S150, the auxiliary tension steel wire 150 is tensioned and fixed (see FIG. 11). Step S150 may be omitted as necessary.

단계 S160에서는 프리캐스트 빔(PB)의 보강 철근(120)과 벽체(W)의 보강 철근(500)을 결합시킨다(도 10 참조).In step S160, the reinforcing bar 120 of the precast beam PB and the reinforcing bar 500 of the wall W are combined (see FIG. 10).

단계 S170에서는 프리캐스트 빔(PB)의 보강 철근(120)과 벽체(W)의 보강 철근(500)이 결합된 라멘교의 모서리 부분에 무수축 콘크리트(SC)를 타설하고(도 12 참조), 더불어 프리캐스트 빔들(PB)의 타설홈(130)에 무수축 콘크리트(SC)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한다(도 13 참조). 이때, 필요에 따라 프리캐스트 빔들(PB)의 하측 조인트 부분에는 무수축 콘크리트(SC)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테이프 등의 탄성재(T)가 구비될 수 있다. In step S170, the non-concrete concrete (SC) is poured into the corner portion of the ramen bridge to which the reinforcing bar 120 of the precast beam PB and the reinforcing bar 500 of the wall W are coupled (see FIG. 12). The slab is integrally formed by pouring non-contraction concrete SC into the placing groove 130 of the precast beams PB (see FIG. 13).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lower joint portion of the precast beams PB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T such as rubber tape to prevent the non-contraction concrete SC from leaking.

단계 S180에서는 모서리 부분의 소요 강도가 발현된 후, 모서리 부분의 부재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긴장용 강선들(300)의 노출된 타단을 2차로 긴장하여 정착구(400)로 고정한다(도 14 참조). 이러한 방법에 의해 라멘교 슬래브를 완성한 후 긴장용 강선(300)을 2차 긴장시켜 모서리 부분의 부재력을 다시 감소시킬 수 있다. In step S180, after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corner portion is expressed, in order to reduce the absent force of the corner portion, the other ends of the tensioned steel wires 300 are secondarily fixed and fixed to the fixing unit 400 (see FIG. 14). After completing the ramen bridge slab by this method, the tension wire 300 may be secondly tensioned to reduce the member force of the edge portion again.

이렇게 시공된 라멘교에 방호벽을 설치하고, 교면 포장 등을 실시하면, 최종적으로 라멘교의 시공이 완료된다. If a protective wall is installed on the ramen bridges constructed in this way and the bridges are paved, the construction of the ramen bridges is finally completed.

도 15는 단계 S180에서 긴장용 강선을 2차로 긴장하였을 경우 라멘교의 부재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2차 긴장을 실시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라멘교에 작용하는 부재력과 반대 방향의 부재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라멘교의 부재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5 is a view showing the absent force of the ramen bridge when the tension steel wire in the second step in step S180. When the secondary ten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5,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member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ember force acting on the conventional ramen bridge shown in Figure 2 to reduce the member force of the ramen bridge The effect can be obtained.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빔(PB)에 의해 헌치를 삭제할 수 있어 미려한 아치형 빔 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 빔(PB)을 이용하기 때문에 라멘교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적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unch can be deleted by the precast beam (PB) to form a beautiful arcuate beam cross-section, and because the use of the precast beam (PB) can improve the construction properties of the ramen bridge In addition, structural safety can be improv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빔 본체 200...쉬스관
300...긴장용 강선 400...정착구
100 ... beam body 200 ... sheath tube
300 ... tensile steel wire 400 ...

Claims (7)

복수가 결합하여 라멘교의 슬래브(slab)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빔으로서,
콘크리트 재질을 포함하고, 양단이 각각 라멘교의 벽체 상측에 배치되며, 양 단부 상면에 한 쌍의 정착홈이 형성된 빔 본체(beam body);
일단이 상기 빔 본체의 일단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빔 본체의 타단 상측 정착홈의 외측에 노출되는 복수의 쉬스관;
상기 쉬스관에 내삽되고, 일단이 상기 빔 본체의 일단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빔 본체의 타단 상측 정착홈의 외측에 노출되는 복수의 긴장용 강선; 및
상기 긴장용 강선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정착구를 포함하되,
상기 쉬스관 및 상기 긴장용 강선은 측면에서 투영하였을 때, 서로 크로스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
A precast beam in which a plurality is combined to form a slab of ramen bridge,
A beam body including a concrete material, both ends of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wall of the ramen bridge, and having a pair of fixing grooves formed on upper surfaces of both ends;
A plurality of sheath tubes whose one end is buried in one end of the beam body,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fixing groove on the other end of the beam body;
A plurality of tension wires interpolated in the sheath tube, one end of which is embedded in one end of the beam bod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groove on the other end of the beam body; And
Including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wire,
And the sheath tube and the tension steel wire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when projected from the side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장용 강선은,
상기 정착홈 중의 어느 하나에 노출되는 한 쌍과, 상기 정착홈 중의 다른 하나에 노출되는 한 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 wire is,
And a pair exposed to any one of the fixing grooves, and a pair exposed to the other one of the fixing groov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착홈 중의 어느 하나에 노출되는 한 쌍의 긴장용 강선은,
평면상 상기 정착홈 중의 다른 하나에 노출되는 한 쌍의 긴장용 강선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pair of tension wires exposed to any one of the fixing grooves,
A precast beam,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ension wires exposed to the other one of the fixing groove in the pl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본체의 양단에는,
라멘교 벽체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라멘교의 벽체 상면에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과 결합 가능하도록 일부가 상기 빔 본체의 내측에 매립되고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을 각각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both ends of the beam body,
Precast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beam body and partially exposed to be reinforceable with the reinforcing bar partially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ramen bridge for integration with the ramen bridge wall. be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프리캐스트 빔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하여 무수축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beam body,
A precast beam, characterized in that a pour groove is formed in which non-concrete concrete is poured in order to integrally combine with another precast beam.
양단에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을 구비하고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타설홈이 형성되며 양 단부 상면에 한 쌍의 정착홈이 형성된 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빔 본체의 일단에 매립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빔 본체의 타단 상측 정착홈의 외측에 노출되고 측면에서 투영하였을 때 서로 크로스 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쉬스관 및 복수의 긴장용 강선과, 상기 긴장용 강선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정착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빔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빔의 자중에 의한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긴장용 강선들의 노출된 타단을 1차로 긴장하여 상기 정착구로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
라멘교의 기초와, 상면에 일부가 노출된 보강 철근을 구비한 벽체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프리캐스트 빔들의 양단을 상기 벽체의 상측에 동바리 없이 서로 밀착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빔의 보강 철근과 상기 벽체의 보강 철근을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빔의 보강 철근과 상기 벽체의 보강 철근이 결합된 상기 라멘교의 모서리 부분 및 상기 프리캐스트 빔들의 타설홈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각각 타설하여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서리 부분의 소요 강도가 발현된 후, 상기 모서리 부분의 부재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긴장용 강선들의 노출된 타단을 2차로 긴장하여 상기 정착구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
A beam body having a reinforcing bar partially exposed at both ends and a pouring groov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and a pair of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and one end is buried in one end of the beam body and the other end. A plurality of sheath pipes and a plurality of tension steel wires are disposed so as to cross each other whe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upper upper fixing groove and projected from the side of the beam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anchors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teel wire Preparing a precast beam;
Temporarily fixing the exposed end of the tension wires to the anchorage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ensile force due to the weight of the precast beam does not occur temporarily to the anchorage;
Placing a wall having a foundation of a ramen bridge and a reinforcing steel bar partially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Mount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precast beam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tied to an upper side of the wall;
Coupling the reinforcing bars of the precast beam with the reinforcing bars of the wall;
Pouring uncondensed concrete into the corner portions of the ramen bridge and the casting grooves of the precast beams to which the reinforcing bars of the precast beams and the reinforcing bars of the wall are coupled to form slabs integrally; And
After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corner portion is expressed,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the prestressed ramen bridge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the second end of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wires to the anchorage in order to reduce the member force of the corner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빔들은, 평면상 상기 긴장용 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 쉬스관 및 보조 긴장용 강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프리캐스트 빔들의 양단을 상기 벽체의 상측에 동바리 없이 서로 밀착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보조 긴장용 강선을 긴장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precast beams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heath tube and an auxiliary tension steel wir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nsion steel wire on a plane,
After mounting the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precast beam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the prestressed r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the auxiliary tension steel wire by tension .
KR1020110104470A 2011-10-13 2011-10-13 Precas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rigid-frame bridge using the same KR101145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470A KR101145958B1 (en) 2011-10-13 2011-10-13 Precas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rigid-frame brid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470A KR101145958B1 (en) 2011-10-13 2011-10-13 Precas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rigid-frame bridg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958B1 true KR101145958B1 (en) 2012-05-22

Family

ID=4627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470A KR101145958B1 (en) 2011-10-13 2011-10-13 Precas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rigid-frame bridg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9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21B1 (en) * 2015-06-23 2016-11-17 구호원 Prestressing tendon layouts for prestressed girder using mono-strand j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bridge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96A (en) * 2000-07-18 2000-11-06 박상일 Open-type steel wire holding device of bridge
KR200395542Y1 (en) * 2005-06-17 2005-09-1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Shear Key For Precast Concrete Hollow Slab
KR20090092105A (en)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Method of construction for building psc(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00069866A (en) * 2008-12-17 2010-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96A (en) * 2000-07-18 2000-11-06 박상일 Open-type steel wire holding device of bridge
KR200395542Y1 (en) * 2005-06-17 2005-09-1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Shear Key For Precast Concrete Hollow Slab
KR20090092105A (en)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Method of construction for building psc(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00069866A (en) * 2008-12-17 2010-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21B1 (en) * 2015-06-23 2016-11-17 구호원 Prestressing tendon layouts for prestressed girder using mono-strand j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bridg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969B1 (en) Slab girder bridge with arch de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107826B1 (en) Slab-type box girder made by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with
KR20070014315A (en) Prefabricated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260863B1 (en) Rhamen bridge hav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of arch-shap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18773B1 (en) T-shaped composite girder segment integrated by i-shaped girder filled with concrete and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by prefabrication of the t-shaped composite girder segment
KR101043239B1 (en) Prestressed segment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248529A (en) Straight road-type suspended floor slab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653803B1 (en) Small river prefabricated bridge
KR100936944B1 (en) Continuity Girder, Continuity Structure of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0398021B1 (en) Prestressed concrete slab reinforced by various section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simple and continuous supported slab bridge using the same
JP5143666B2 (en) PC bridge erection method
KR10109617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KR101145958B1 (en) Precas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rigid-frame bridge using the same
KR100847726B1 (en) A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80111686A (en) Bridge using phc girder and slab-phc complex girder
JP2021011778A (en) Road structure
KR101829791B1 (en)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88517B1 (en)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KR102325276B1 (en) Half Precast Concrete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070081812A (en) Hpc
KR20060017949A (en) Field-fabricated prestressing steel-composed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bridge using the girder
KR20060032968A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temporary bridge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mantled using lateral steel wire
KR101381974B1 (en) Concrete deck slab assembly,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Temporary bridge using the same
KR101517889B1 (en) Rh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of arch-shaped
KR102033052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