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910B1 - 다목적 농사용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농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910B1
KR101145910B1 KR1020090029609A KR20090029609A KR101145910B1 KR 101145910 B1 KR101145910 B1 KR 101145910B1 KR 1020090029609 A KR1020090029609 A KR 1020090029609A KR 20090029609 A KR20090029609 A KR 20090029609A KR 101145910 B1 KR101145910 B1 KR 10114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farming machine
drying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177A (ko
Inventor
민태진
민선주
이영자
Original Assignee
민태진
이영자
민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태진, 이영자, 민선주 filed Critical 민태진
Priority to KR102009002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91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농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농약통 기능을 가지면서 계절에 따라 볍씨 등을 소독 발아시키는 발아통, 고추 등의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통 등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농사용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용기본체(2)에 주입구(3a)가 형성된 덮개(3)를 수밀가능하게 결합하고, 용기본체(2)의 하단에 내부 용액을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9)를 설치한 다목적 농사용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의 하단에는 조립구멍(13)을 형성하되, 상기 조립구멍(13)에는 마개(14)와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히터(15)와 열풍기(16)가 교체되어 나사 결합되게 한 것으로서, 농민의 선택에 따라서 농약통, 발아통, 건조통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을 별도로 구매하는 등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다목적 농사용기, 용기본체, 받침턱, 건조망, 전기히터, 열풍기

Description

다목적 농사용기{Multipurpose farm instrument}
본 발명은 다목적 농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약통 기능을 가지면서 계절에 따라 볍씨 등을 소독 발아시키는 발아통, 고추 등의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통 등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농사용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통상 농가에서는 농약 등을 희석하는 다양한 구성의 농약통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농약통 중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농약통의 일례로는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의 중앙에는 농약분무용 펌프와 연결되는 관체 선단의 흡입필터가 안치되도록 요홈을 형성하며, 요홈에는 드레인 밸브로 약액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홈을 형성하여 통 내부의 세척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되며, 바닥 쪽으로는 농약분무용 펌프에서 리턴되는 약액이 분사되도록 교반용 노즐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농약통의 경우 주 사용목적이 농약을 혼합하는 용도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기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농약통 기능을 가지면서 계절에 따라 볍씨 등을 소독 발아시키는 발아통, 고추 등의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통 등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농사용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농사용기 본체의 상부를 분리 가능한 덮개로 밀폐할 수 있게 구성하고, 바닥측에는 전기히터 또는 열풍기 등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조립구멍을 향성하며, 본체 내측으로는 받침턱을 형성하여 건조망을 설치토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목적 농사용기에 의하면 농민의 선택에 따라서 농약통, 발아통, 건조통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을 별도로 구매하는 등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농사용기 내부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할 수 있어 특히 볍씨 등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으며, 장마철 고추 등을 쉽게 건조할 수 있어 농산물 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주입구가 형성된 덮개를 수밀가능하게 결합하고, 용기본체의 하단에 내부 용액을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를 설치한 다목적 농사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는 조립구멍을 형성하되, 상기 조립구멍에는 마개와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히터와 열풍기가 교체되어 나사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와 덮개의 결합은 용기본체의 상부 고정테를 돌출되게 하여 안치홈을 형성하고, 덮개에는 고정테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조립되는 볼트가 조립되는 너트를 인서트 고정하여 상호 조립되게 구성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는 횡 방향으로 받침턱을 형성하여 건조망을 안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목적 농사용기의 일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2, 도 3은 본 발명 다목적 농사용기의 정단면도와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목적 농사용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이 개략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뚜껑(4)이 결합되는 주입구(3a)가 형성된 덮개(3)를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2)에 수밀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용기본체(2)와 덮개(3)의 결합 구성으로는 용기본체(2)의 상부에 고정테(2a)를 돌출되게 하여 안치홈(2b)을 형성하고, 덮개(3)에는 고정테(2a)에 형성된 조립구멍(2c)에 조립되는 볼트(5)가 조립되는 너트(6)를 인서트 고정하여 상호 조립되게 하며, 두 부재 사이에는 패킹(7)을 개재하여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용기본체(2)에는 내구성 향상 등을 위해서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골(8) 또는 돌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간부분에 횡 방향으로 골(8)을 형성하였다.
상기 용기본체(2)의 바닥은 가장자리에서 중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농약분무용 펌프와 연결된 관체의 선단 흡입필터(도시되지 않음.)가 안치되는 안치홈(2d)을 형성하며, 상기 안치홈(2d)은 흡입필터가 쉽게 안치될 수 있도록 흡입필터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치홈(2d)에는 용기본체(2) 외부에 설치되는 드레인 밸브(9)와 연결되는 수로(2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용기본체(2) 내부를 청소할 때 중량체인 용기본체(2)를 뒤집지 않고 내부에 있는 용수를 쉽게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안치홈(2d)의 바깥쪽에는 트랙형으로 와류홈(2f)을 형성하고, 이 와류홈(2f)에는 농약분무용 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리턴관(10)의 선단에 결합된 노 즐(10a)이 위치되게 한다.
상기 리턴관(10)은 용기본체(2)에 상단에 인서트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의 체결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노즐(10a)을 통해서 분사되는 약액의 경우 와류홈(2f)을 따라서 용기본체(2) 내에서 와류 이동되면서 약액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본체(2)의 내부에는 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골(8) 높이로 여러 개의 받침턱(11)을 형성하고, 받침턱(11)에는 접철 가능한 구성의 건조망(12)을 안치토록 한다.
상기 건조망(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 3등분(혹은 2등분)한 구성부재(12a)를 경첩(12b)로 상호 연결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여 용기본체(2)에 쉽게 내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용기본체(2)의 하단에는 받침턱(11)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조립구멍(13)이 형성되며, 조립구멍(13)에는 마개(14)와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히터(15)와 열풍기(16)가 교체되어 나사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예로는 본 발명을 농약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마개(14)를 조립구멍(13)에 조립하여 일반적인 농약통과 같이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발아통으로 사용코자 할 시에는 전기히터(15)를 조립구멍(13)에 조립한 상태에서 용기본체(2)에 물과 함께 볍씨 등을 내입한 상태에서 전기히터(15)를 이용하여 용기본체(2) 내부의 온도를 발아에 적당하도록 유지되게 하면 되는 것으 로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고른 발아가 가능하고, 발아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농산물을 건조할 경우에는 열풍기(16)를 조립구멍(13)에 조립하고, 용기본체(2) 내부의 받침턱(11)에 건조망(12)을 안치하여 각종 농산물을 건조시키면 되는 것으로, 특히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농산물을 건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발아통 및 건조통 등으로 활용코자 할 시에는 용기본체(2) 내부를 깨끗이 세척해야 함은 당연하며, 덮개(3)를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목적 농사용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다목적 농사용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다목적 농사용기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다목적 농사용기 2:용기본체
2a:고정테 2b:안치홈
3:덮개 5:볼트
6:너트 9:드레인 밸브
11:받침턱 12:건조망
13:조립구멍 14:마개
15:전기히터 16:열풍기

Claims (3)

  1. 용기본체(2)에 주입구(3a)가 형성된 덮개(3)를 수밀가능하게 결합하고, 용기본체(2)의 하단에 내부 용액을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9)를 설치한 다목적 농사용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의 하단에는 조립구멍(13)을 형성하되,
    상기 조립구멍(13)에는 마개(14)와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히터(15)와 열풍기(16)가 교체되어 나사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와 덮개(3)의 결합은 용기본체(2)의 상부 고정테(2a)를 돌출되게 하여 안치홈(2b)을 형성하고, 덮개(3)에는 고정테(2a)에 형성된 조립구멍(2c)에 조립되는 볼트(5)가 조립되는 너트(6)를 인서트 고정하여 상호 조립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사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의 내측에는 횡 방향으로 받침턱(11)을 형성하여 건조망(12)을 안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사용기.
KR1020090029609A 2009-04-06 2009-04-06 다목적 농사용기 KR10114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609A KR101145910B1 (ko) 2009-04-06 2009-04-06 다목적 농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609A KR101145910B1 (ko) 2009-04-06 2009-04-06 다목적 농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177A KR20100111177A (ko) 2010-10-14
KR101145910B1 true KR101145910B1 (ko) 2012-05-15

Family

ID=4313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609A KR101145910B1 (ko) 2009-04-06 2009-04-06 다목적 농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70Y1 (ko) * 2010-12-21 2013-04-17 이엑스메디칼 주식회사 농수산물 건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8255A (ja) 1998-03-02 1999-09-14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農事用のハウスヒータ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8255A (ja) 1998-03-02 1999-09-14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農事用のハウスヒ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177A (ko)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307B2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KR100770368B1 (ko)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101145910B1 (ko) 다목적 농사용기
CN101472617B (zh) 用于消毒装置的喷射工具
CN206586172U (zh) 一种鸡舍除粪装置
CN108816728A (zh) 一种农副产品加工用具有除尘功能的筛选装置
CN105994239A (zh) 一种药箱
US20190053446A1 (en) Rotomolded Vertical Farming Apparatus and System
KR20080002988U (ko) 농약탱크
CN202190555U (zh) 一种粮食储藏装置
CN106561605A (zh) 三腔室农药自动配制喷洒装置
CN208821545U (zh) 一种园林绿化养护装置
KR101394349B1 (ko) 분제농약 살포기
CN206061769U (zh) 一种具有喷淋结构的定植篮
CN208032449U (zh) 一种用于果蔬洗涤盐的混合装置
CN106944388A (zh) 一种食品清洗装置
CN211129522U (zh) 一种分液式农用喷雾器
CN209572695U (zh) 一种便于液体混合的喷灌机喷头
CN106508506A (zh) 一种大棚浇水打药支架
CN220308204U (zh) 一种蔬菜种植用除虫装置
CN216253938U (zh) 一种蔬菜施肥车
CN215835868U (zh) 一种魔芋种芋抗病消毒处理系统
CN2865309Y (zh) 果蔬解毒洗甩器
CN206787167U (zh) 一种含莫诺苷植物的干燥装置
CN205761923U (zh) 多喷头拉网式背负式喷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