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669B1 - 연속 혈당 측정 센서 - Google Patents

연속 혈당 측정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669B1
KR101145669B1 KR1020100116317A KR20100116317A KR101145669B1 KR 101145669 B1 KR101145669 B1 KR 101145669B1 KR 1020100116317 A KR1020100116317 A KR 1020100116317A KR 20100116317 A KR20100116317 A KR 20100116317A KR 101145669 B1 KR101145669 B1 KR 10114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waveguide
glucose
body fluid
sensor
revers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연화
박순섭
이한영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669B1/ko
Priority to PCT/KR2011/008939 priority patent/WO2012070853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연속 혈당 측정 센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센서는 기판 상부에 적층되는 클래드층; 상기 클래드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클래드층 일측에 형성된 광입사부에서 분기되어 소정거리를 진행한 후에 상기 클래드층 타측에 형성된 광출력부에서 재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제 1 광도파로 및 제 2 광도파로를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과 연결되고, 체액이 상기 제 1 광도파로를 통과하여 입출입되는 체액 입출입부; 및 표면에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가 고정되어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 및 체액 내의 글르코스 분자의 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탐지하고, 상기 제 1 광도파로 상부에 배치되는 비표지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 혈당 측정 센서{TH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ENSOR}
본 발명은 혈당 측정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이고 실시간적으로 혈당 측정 가능한 광학식 연속 혈당 측정 센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혈당 측정 센서는 당뇨병 환자의 증가 및 당뇨병 위험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당뇨병 환자가 혈당조절을 엄격히 한 경우에 당뇨병의 합병증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것은 각종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는 바, 혈당조절을 위해 규칙적,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것은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센서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포도당 특이 효소(glucose oxidase)의 반응에 기반한 연속 혈당 측정 센서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효소반응 기반 연속 혈당 측정 센서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소 산화에 의한 활성감소를 방지하기 못하므로, 센서 수명이 최대 일주일 이내로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액성분에는 효소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활성 억제인자(예를 들면, 금속 이온들)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센서의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효소반응 기반 연속 혈당 측정 센서는 샘플 채취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여러 번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어, 실제 혈당치와는 결과치가 다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를 표면에 고정하고 항체에 결합되는 글루코스의 양을 광신호의 변화량으로 측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연속 혈당 측정이 가능한 연속 혈당 측정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 상부에 적층되는 클래드층; 상기 클래드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클래드층 일측에 형성된 광입사부에서 분기되어 소정거리를 진행한 후에 상기 클래드층 타측에 형성된 광출력부에서 재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제 1 광도파로 및 제 2 광도파로를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과 연결되고, 체액이 상기 제 1 광도파로를 통과하여 입출입되는 체액 입출입부; 및 표면에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가 고정되어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 및 체액 내의 글르코스 분자의 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탐지하고, 상기 제 1 광도파로 상부에 배치되는 비표지 센서를 포함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광도파로 또는 상기 제 2 광도파로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고, 상기 제 1 광도파로 및 상기 제 2 광도파로보다 굴절률이 높은 TiO2, Ta2O5 또는 Si3N4 중 어느 하나인 고굴절률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판 상부에 적층되는 클래드층; 상기 클래드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클래드층 일측에 형성된 광입사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클래드층 타측에 형성된 광출력부를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 제 1 광도파로 및 제 2 광도파로를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과 연결되고, 체액이 상기 제 1 광도파로를 통과하여 입출입되는 체액 입출입부; 및 표면에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가 고정되어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 및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의 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탐지하고, 상기 제 1 광도파로 상부에 배치되는 비표지 센서를 포함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층은, 상기 제 1 광도파로 및 상기 제 2 광도파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출력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제 3 광도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광도파로, 상기 제 2 광도파로 또는 상기 제 3 광도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광도파로, 상기 제 2 광도파로 또는 상기 제 3 광도파로보다 굴절률이 높은 TiO2, Ta2O5 또는 Si3N4 중 어느 하나인 고굴절률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는 상기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와 반응 시 1×104 L?mol-1?sec-1 내지 1×107 L?mol-1?sec-1 의 부착속도상수(ka) 및 1×10-5 sec-1 내지 1×10-2 sec-1 의 탈착속도상수(kd) 범위의 가역반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표지 센서는 상기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반투과성 막에 의해 구획이 나뉘어져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가 고정된 표면 쪽에 인식반응 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센서는 탈부착 반응이 신속한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를 표면에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반영구적이고 실시간적으로 혈당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의 부착 및 탈착속도상수가 높아 센서 응답시간이 빨라지고, 평형부착상수가 높아 센서 측정민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광도파로 및 제 2 광도파로에서 일부 천이된 위상을 출력하는 제 3 광도파로를 배치하여 혈당 센서의 측정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의 출력 광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의 측정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의 글루코스 연속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센서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의 출력 광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는 기판(120) 상부에 적층되는 클래드층(140)과, 클래드층(140)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광도파로(162) 및 제 2 광도파로(164)를 포함하는 코어층(160) 및 코어층(160)에 연결되고, 체액(분석물질)이 입출입되는 체액 입출입부(30)를 포함한다.
또한,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는 제 1 광도파로(162) 표면에 고정결합되는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 및 항체-항원 반응에 의한 신호를 탐지하는 비표지 센서(163b)를 포함한다.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는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에 형성된 제 1 광도파로(162)를 경유하여 진행하게 되고, 체액 입출입부(30)를 통해 제 1 광도파로(162)로 주입된 체액에 의해 변화된 광신호량을 디텍터(20)에서 분석함으로써,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20)은 클래드층(140) 및 코어층(16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면, 유리기판, 반도체 기판, 실리콘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클래드층(140)은 광도파로(162,164)를 구성하는 물질보다 덜 밀한 매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래드층(140)은 예를 들어 SiO2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층(160)은 클래드층(140) 일측에 형성된 광입사부(142)에서 분기되어 소정거리를 진행한 후에 상기 클래드층(140) 타측에 형성된 광출력부(144)에서 재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제 1 광도파로(162) 및 제 2 광도파로(164)를 포함한다.
코어층(160)에서의 광의 진행속도는 광이 경유하는 제 1,2 광도파로(162,164)의 표면물질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광이 진행속도의 변화는 제 1,2 광도파로(162,164)의 표면물질 변화량에 비례하여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위상차는 광출력부(144)와 연결된 디텍터(20)에서 분석 및 확인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출력 광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광도파로(162) 및 제 2 광도파로(164)는 광입사부(142)에서 분기되어 소정거리를 진행한 후에 광출력부(144)에서 재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구조를 마흐-젠더(Mach-Zehnder) 구조라고 한다. 마흐-젠더 구조의 광도파로는 광이 분기된 후 각기 다른 위상지연을 일으킨 후 결합하여 간섭을 일으키는 구조이다.
따라서, 두 광도파로(162,164)의 표면에 변화가 생기면 분기광의 위상지연정도가 달라 광의 간섭으로 광출력부(144)의 광진폭이 변하게 되며 이 변화량은 표면의 굴절률 변화량에 비례한다. 한편, 광도파로(162,164)의 표면물질 변화와 관련한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 및 비표지 센서(163b)에 대하여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는 제 1 광도파로(162) 또는 제 2 광도파로(164)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는 고굴절률 물질(170)을 더 포함한다. 고굴절률 물질(170)은 제 1 광도파로(162) 및 제 2 광도파로(164)보다 굴절률이 높아, 도파광의 분포를 표면으로 유도할 수 있어, 표면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고굴절률 물질(170)이 제 1 광도파로(162) 상부에만 도포되는 경우에는, 제 1 광도파로(162) 및 제 2 광도파로(164)의 감도차이를 보다 크게 유발할 수 있어 변화량 측정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고굴절률 물질(170)은 예를 들면 TiO2, Ta2O5 또는 Si3N4 등과 같은 물질을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측정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측정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1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글루코스 연속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는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가 표면에 고정 결합되고,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 및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항원, 30a)의 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탐지하는 비표지 센서(163b)를 포함한다.
비표지 센서(163b)는 제 1 광도파로(162) 또는 제 2 광도파로(164)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비표지 센서(163b)가 배치된 광도파로가 센서부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표지 센서(163b)가 제 1 광도파로(162)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는 비표지 센서(163b)표면에 고정화되어 있어, 체액 내의 글루코스(포도당) 분자(30a)와 특이적으로 결합된다.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는 탈착 및 부착 속도가 모두 빠른 반응 역학 특성을 가지며 고친화력을 가진다. 따라서, 체액이 제 1 광도파로(162)를 연속적으로 통과하여도 높은 분석 민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친화력은 평형부착상수(KA)로서 표시 가능하며, 상기 평형부착상수(KA)는 부착속도상수(ka)를 탈착속도상수(kb)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는 예를 들면, 상기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30a)와 반응 시 1×104 L?mol-1?sec-1 내지 1×107 L?mol-1?sec-1의 부착속도상수(ka), 1×10-5 sec-1 내지 1×10-2 sec- 1 의 탈착속도상수(kd) 범위의 가역반응 특성을 가지고, 평형부착상수(KA=ka/kd)가 1×106 L/mol 이상일 수 있다.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는 부착 및 탈착속도상수가 모두 높아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응답시간이 빨라져 체액 내의 글루코스의 실시간 검출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평형부착상수가 높아 고도의 측정민감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의 상기 평형부착상수가 1×106 L/mol보다 작을 경우에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측정 민감도가 μmol/L 수준으로 매우 낮아서 글루코스 검출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평형부착상수가 낮을수록 측정 가능한 분석물질의 농도범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비표지 센서(163b)는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30a) 및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의 실시간 반응결합을 추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비표지 센서(163b)는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30a)-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 결합체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 상의 질량, 진동자의 저항, 전하분포 변화에 의한 표면 왜곡, 에너지 전달 등을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비표지 센서(163b)는 예를 들면,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 표면의 결합체 질량 변화에 따라 광 굴절각 차이를 나타내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Surface Plasmon Resonance) 센서, 진동자의 저항이나 전하분포를 감지하는 캔틸레버(cantilever)센서, 광도파로 센서, 광간섭 센서 또는 나노차원의 선 혹은 간격을 이용한 나노센서일 수 있다.
비표지 센서(163b)는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30a)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반투과성 막(163c)에 의해 구획이 나뉘어져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가 고정된 표면 쪽에 인식반응 셀(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30a)는 크기가 작아 반투과성 막(163c)를 통과하여 인식반응 셀(A) 내로 확산전달 가능하나, 체액 내의 크기가 큰 다른 불순물들은 여과되게 함으로써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표지 센서(163b)는 인식반응 셀(A) 내의 글루코스 분자가 중합된 나노입자(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노입자(30b)는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30a)와 부착경쟁을 수행하여 혈당 측정에 기여한다.
예를 들면, 체액이 유입되지 않을 경우에는(도 4 왼쪽 도면 참조), 나노입자(30b)에 중합된 글루코스 분자가 비표지 센서(163b)에 부착되어 신호로 감지된다. 반면, 체액이 유입되어 상기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30a)의 농도가 증가하면, 저분자인 글루코스 분자(30a)가 반투과성 막(163c)을 통과하여 인식반응 셀(A) 내부로 유입되고,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에 대한 부착경쟁에 의해 나노입자(30b)가 탈착됨으로써 비표지 센서(163b)로부터의 신호는 감소하게 된다(도 4 오른쪽 도면 참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글루코스 분자가 중합된 나노입자(30b) 및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30a)의 부착경쟁에 의해 연속적인 혈당 측정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의 출력 광 모식도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는 기판(120a) 상부에 적층되는 클래드층(140a)과, 클래드층(140a) 상부에 형성되고, 클래드층(140a) 일측에 형성된 광입사부(142)에서 분기되어 클래드층(140a) 타측에 형성된 광출력부(144)를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 제 1 광도파로(162a) 및 제 2광도파로(164a)를 포함하는 코어층(160a)과, 코어층(160a)과 연결되고, 체액이 제 1 광도파로(162a)를 통과하여 입출입되는 체액 입출입부(30) 및 표면에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가 고정되어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 및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30a)의 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탐지하고, 제 1 광도파로(162a) 상부에 배치되는 비표지 센서(163b)를 포함한다.
또한,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는 광입사부(142)와 연결되지 않고, 제 1 광도파로(162a) 및 제 2 광도파로(164a) 사이에 배치되어 광출력부(144)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제 3 광도파로(16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광도파로(162a), 제 2 광도파로(164a) 또는 제 3 광도파로(166a)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는 제 1 광도파로(162a), 제 2 광도파로(164a) 또는 제 3 광도파로(166a)보다 굴절률이 높은 고굴절률 물질(170a)이 도포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에서 기판(120a), 클래드층(140a), 제 1 광도파로(162a), 제 2 광도파로(164a),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163a), 비표지 센서(163b) 및 고굴절률 물질(170a)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제 1 광도파로(162a) 및 제 2 광도파로(164a)가 광출력부(144)에서 재결합되는 구조가 아니라 분기된 상태에서 광출력부(144)를 통과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에는 광출력부(144)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출력부(144)와 연결되는 디텍터(20) 역시 복수 개 설치 가능하다.
또한,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는 제 1 광도파로(162a) 및 제 2 광도파로(164a)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광도파로(16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광도파로(162a) 및 제 2 광도파로(164a) 사이의 출력광 파워 변화량에 따라 발생하는 위상차를 데이터로 분석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광도파로(162a) 및 제 2 광도파로(164a)의 간섭에 의하여 데이터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도 8참조).
따라서, 제 3 광도파로(166a)는 제 1 광도파로(162a) 및 제 2 광도파로(164a)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광도파로(162a) 및 제 2 광도파로(164a)로부터 일부 천이된 위상을 출력함으로써 데이터 추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연속 혈당 측정 센서(100a)의 측정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3 광도파로(166a)는 광입사부(142)와 연결될 필요는 없고, 코어층(160a)의 중간 지점부터 광출력부(144)까지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광도파로(162a) 및 제 2 광도파로(164a)는 적어도 일부가 제 3 광도파로(166a) 방향에 근접하도록 형성하여, 일부 광의 전이가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센서는 탈부착 반응이 신속한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를 표면에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반영구적이고 실시간적으로 혈당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의 부착 및 탈착속도상수가 높아 센서 응답시간이 빨라지고, 평형부착상수가 높아 센서 측정민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광도파로 및 제 2 광도파로에서 일부 천이된 위상을 출력하는 제 3 광도파로를 배치하여 혈당 센서의 측정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광원 20 : 디텍터
30 : 체액 입출입부
30a :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
30b : 글루코스 분자가 중합된 나노입자
100, 100a : 연속 혈당 측정 센서
120, 120a : 기판
140, 140a : 클래드층
142: 광입사부 144: 광출력부
160, 160a : 코어층
162, 162a : 제 1 광도파로
163a :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
163b : 비표지 센서 163c : 반투과성 막
164, 164a : 제 2 광도파로 A : 인식반응 셀

Claims (8)

  1. 기판 상부에 적층되는 클래드층;
    상기 클래드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클래드층 일측에 형성된 광입사부에서 분기되어 소정거리를 진행한 후에 상기 클래드층 타측에 형성된 광출력부에서 재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제 1 광도파로 및 제 2 광도파로를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과 연결되고, 체액이 상기 제 1 광도파로를 통과하여 입출입되는 체액 입출입부; 및
    표면에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가 고정되어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 및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의 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탐지하고, 상기 제 1 광도파로 상부에 배치되는 비표지 센서를 포함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도파로 또는 상기 제 2 광도파로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고,
    상기 제 1 광도파로 및 상기 제 2 광도파로보다 굴절률이 높은 TiO2, Ta2O5 또는 Si3N4 중 어느 하나인 고굴절률 물질을 더 포함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
  3. 기판 상부에 적층되는 클래드층;
    상기 클래드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클래드층 일측에 형성된 광입사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클래드층 타측에 형성된 광출력부를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 제 1 광도파로 및 제 2 광도파로를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과 연결되고, 체액이 상기 제 1 광도파로를 통과하여 입출입되는 체액 입출입부; 및
    표면에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가 고정되어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 및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의 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탐지하고, 상기 제 1 광도파로 상부에 배치되는 비표지 센서를 포함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상기 제 1 광도파로 및 상기 제 2 광도파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출력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제 3 광도파로를 더 포함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도파로, 상기 제 2 광도파로 또는 상기 제 3 광도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광도파로, 상기 제 2 광도파로 또는 상기 제 3 광도파로보다 굴절률이 높은 TiO2, Ta2O5 또는 Si3N4 중 어느 하나인 고굴절률 물질이 도포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는 상기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와 반응 시 1×104 L?mol-1?sec-1 내지 1×107 L?mol-1?sec-1의 부착속도상수(ka) 및 1×10-5 sec-1 내지 1×10-2 sec-1 의 탈착속도상수(kd) 범위의 가역반응 특성을 갖는 고친화력을 갖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지 센서는 상기 체액 내의 글루코스 분자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반투과성 막에 의해 구획이 나뉘어져 상기 가역반응성 글루코스 항체가 고정된 표면 쪽에 인식반응 셀을 형성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지 센서는 상기 인식반응 셀 내에 글루코스 분자가 중합된 나노입자를 더 포함하는 연속 혈당 측정 센서.
KR1020100116317A 2010-11-22 2010-11-22 연속 혈당 측정 센서 KR10114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17A KR101145669B1 (ko) 2010-11-22 2010-11-22 연속 혈당 측정 센서
PCT/KR2011/008939 WO2012070853A2 (ko) 2010-11-22 2011-11-22 연속 혈당 측정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17A KR101145669B1 (ko) 2010-11-22 2010-11-22 연속 혈당 측정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669B1 true KR101145669B1 (ko) 2012-05-24

Family

ID=4614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317A KR101145669B1 (ko) 2010-11-22 2010-11-22 연속 혈당 측정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5669B1 (ko)
WO (1) WO201207085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59B1 (ko) 2013-05-27 2014-07-28 전자부품연구원 혈당측정센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3601A (ja) 2008-12-26 2009-03-26 Nec Corp マイクロチップ、マイクロチップの製造方法および成分検出方法
KR20100031152A (ko) * 2008-09-12 2010-03-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광공진기 기반의 온도센서가 결합된 굴절률 감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혈당센서
JP2010160087A (ja) 2009-01-09 2010-07-22 Nitto Denko Corp 光導波路型ケミカル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059A (ko) * 2006-03-08 2007-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링 공진기를 이용한 광변조기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152A (ko) * 2008-09-12 2010-03-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광공진기 기반의 온도센서가 결합된 굴절률 감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혈당센서
JP2009063601A (ja) 2008-12-26 2009-03-26 Nec Corp マイクロチップ、マイクロチップの製造方法および成分検出方法
JP2010160087A (ja) 2009-01-09 2010-07-22 Nitto Denko Corp 光導波路型ケミカルセン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59B1 (ko) 2013-05-27 2014-07-28 전자부품연구원 혈당측정센서
WO2014193115A1 (ko) * 2013-05-27 2014-12-04 전자부품연구원 혈당측정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0853A2 (ko) 2012-05-31
WO2012070853A3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668B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
Li et al. Immobilized optical fiber microprobe for selective and high sensitive glucose detection
Li et al. Plug-in optical fiber SPR biosensor for lung cancer gene detection with temperature and pH compensation
JP3816072B2 (ja) 光導波路型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装置
Li et al. In-situ DNA detection with an interferometric-type optical sensor based on tapered exposed core microstructured optical fiber
US7778499B2 (en) Silicon photonic wire waveguide biosensor
Liu et al. Specialty optical fibers and 2D materials for sensitivity enhancement of fiber optic SPR sensors: A review
Zhang et al. Multichannel fiber optic SPR sensors: Realization methods, application status, and future prospects
CN105158213A (zh) 基于光纤表面等离子体共振的葡萄糖检测装置及方法
Barshilia et al. Low-cost planar waveguide-based optofluidic sensor for real-time refractive index sensing
JP5855246B2 (ja) 校正不要分析による活性濃度の決定方法
US10379111B2 (en) Target substance capturing device
Liu et al. One-dimensional plasmonic sensors
Nguyen et al. A regenerative label-free fiber optic sensor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for clinical diagnosis of fibrinogen
Wang et al. Research and application of multi-channel SPR sensor cascaded with fiber U-shaped structure
Singh et al. Highly sensitive antimonene-coated black phosphorous-based surface plasmon-resonance biosensor for DNA hybridization: Design and numerical analysis
Lakayan et al. Angular scanning and variable wavelength surface plasmon resonance allowing free sensor surface selection for optimum material-and bio-sensing
Li et al. In-situ detection scheme for EGFR gene with temperature and pH compensation using a triple-channel optical fiber biosensor
KR100913366B1 (ko) SPR(Surface PlasomonResonance)현상을 이용한 광 바이오 센서
KR101145669B1 (ko) 연속 혈당 측정 센서
Hine et al. Optical fibre-based detection of DNA hybridization
Amiri et al. Design of optical splitter using ion-exchange method for DNA bio-sensor
CN1987425A (zh) 表面电浆共振感测系统及方法
KR20160028564A (ko) 다층 박막 구조와 나노 구조가 결합된 플라즈모닉 센서
Ma et al.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n All-Fiber Waveguide Coupled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With Au–ZnO–Au Sandwich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