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462B1 -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462B1
KR101145462B1 KR1020110020675A KR20110020675A KR101145462B1 KR 101145462 B1 KR101145462 B1 KR 101145462B1 KR 1020110020675 A KR1020110020675 A KR 1020110020675A KR 20110020675 A KR20110020675 A KR 20110020675A KR 101145462 B1 KR101145462 B1 KR 101145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sensor unit
mov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균
Original Assignee
이효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균 filed Critical 이효균
Priority to KR102011002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 G06K7/1012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the step consisting of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one or more record carriers in the vicinity of the interrogation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 G06K7/104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 G06K7/1043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정지 또는 이송중인 개체 값의 식별 및 인식을 위한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는,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인식한 코드로부터 개체 값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부; 상기 센서부를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이송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지 또는 이송중인 개체 값의 식별 및 인식을 위한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개체로부터 그 개체에 부여된 값을 인식하여 그 값에 내포된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장치, 예를 들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는 바코드 스캐너 장치는 통상적으로 근거리에 정지해 있는 개체를 대상으로 작동한다.
인식거리는 바코드 스캐너에 주로 사용되는 레이저 광원의 광출력이나 파장을 조절함으로써 어느 정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정지해 있지 않고 이동중인 개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특히, 물류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이 수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중인 때에 수직으로 적층된 상품의 바코드를 모두 인식 및 식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물류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동중인 상품을 정지시키지 않고서 적층된 상품의 바코드를 모두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상품이 적층된 상태로 수평이동중일 때에 상품의 이동을 정지시키지 않고서도 적층된 다수의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모두를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는,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인식한 코드로부터 개체 값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부; 상기 센서부를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이송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부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센서부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센서부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장치와 상기 제1 이송장치의 제1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센서부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장치와 상기 제2 이송장치의 제2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송장치는 상기 제1 이송장치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센서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센서부를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회전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센서부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회전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전이동부는 상기 제1 회전이동부를 회전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센서부를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이동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미리 설정된 제1 방향 이동범위를 가지고,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 방향 이동범위의 양단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작동범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범위센서는 상기 제1 방향 이동범위 양단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범위센서는 엔코더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방향 이동범위 양단 외측에 위치하는 비상정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상정지센서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 방향 이동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제1 이송장치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적 스위치 또는 기계적 제동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미리 설정된 센싱 범위를 가지고, 이동중인 개체에 대하여 상기 개체가 상기 센싱 범위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입감지센서는 상기 개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동중인 개체가 상기 센싱 범위내에 진입한 때에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이동속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에 연동되는 속도로 상기 센서부가 이동, 회전이동, 또는 이동 및 회전이동하도록 상기 이송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에 대한 이송제어부의 상기 제어는 상기 개체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상기 센서부의 이동 또는 회전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속도 감지부는 상기 개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둘 이상의 상기 진입감지센서일 수 있다.
특징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센싱범위는 수평방향으로 40 - 50°의 각도범위로 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상기 센서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0 - 15°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제공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은, 미리 설정된 센싱 범위를 가지며,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이동범위의 양단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작동범위센서; 및 이동중인 개체에 대하여 상기 개체가 상기 센싱 범위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스캔 준비 단계; 진입감지센서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진입감지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를 초기위치로부터 이동 개시하여 작동시키는 단계; 작동범위센서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작동범위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센서부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진입감지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에 연동되는 속도로 상기 센서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검출장치는 비상정지 버튼과 스캔 준비 버튼을 더 포함하고, 비상정지 버튼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비상정지 버튼이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스캔 준비 버튼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스캔 준비 버튼이 작동하는 경우 스캔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의 변형예로서, 본 변형예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은, 미리 설정된 센싱 범위를 가지며,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 이동중인 다수의 적층된 개체에 대하여 상기 개체가 상기 센싱 범위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수의 개체의 적층방향을 따르는 이동범위의 양단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작동범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스캔 준비 단계; 진입감지센서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진입감지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를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다수의 개체의 적층방향을 따라 이동 개시하여 작동시키는 단계; 작동범위센서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작동범위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센서부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진입감지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에 연동되는 속도로 상기 센서부를 상기 개체의 적층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개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에 의하면, 바코드가 부착된 다수의 상품을 적층된 상태로 이동중일 때에, 상품의 이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다수의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모두를 인식 및 식별할 수 있으므로, 물류 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상기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상기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상기 일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 중 비상정지 및 정지해소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상기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상기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는 센서부(110), 식별부(150), 이송부(200), 이송제어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부(110)는 개체(400)에 부여된 코드(410), 예를 들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며, 식별부(150)는 센서부(110)가 인식한 코드(410)로부터 개체 값을 식별한다. 센서부(110)는 광, 특히 레이저 광을 매개로 하여 코드(410)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광부(113)와 수광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센서부(110)의 일실시예로 바코드 스캐너를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센서부(11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한 코드로부터 개체 값을 식별하는 모든 센서 장치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식별부(150)는 센서부(11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센서부(110)에 일체로 포함될 수도 있다. 식별부(150)가 센서부(110)에 일체로 포함되는 경우 센서부(110)를 이동시키는 이송부(200)는 센서부(110)와 식별부(150)를 일체로 이동시키는 것이 된다.
이송부(200)는 센서부(110)를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이송부(200)는 센서부(110)를 제1 내지 제3 방향(z, y,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내지 제3 이송장치(211, 221, 231)와 상기 이송장치 각각에 대응하며 상기 이송장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재(215, 225, 2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이송장치(211)와 제1 가이드부재(215)는 짝을 이루어 센서부(110)를 제1 방향(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제2 이송장치(221)와 제2 가이드부재(225)는 센서부(110)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제3 이송장치(231)와 제3 가이드부재(235)는 센서부(110)를 제3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방향(z, y, x축 방향)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다.
센서부(110)의 제1 방향(z축 방향) 이동은 적층된 개체에 부착된 코드를 연속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센서부(110)를 개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제2 방향(y축 방향) 이동은 코드가 부착된 적층된 개체가 대략 제2 방향으로 이동중일 때 센서부(110) 역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중인 개체(400)와 센서부(110)간의 상대속도를 최소화하여 인식효율을 높이고자 함이다. 제3 방향(x축 방향) 이동은 개체(400)가 센서부(110)의 유효 인식거리(f)를 벗어나 있을 때 센서부(110)를 개체(400)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개체가 센서부(110)의 유효 인식거래(f) 내에 들어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이송장치(221)는 센서부(110)를 직접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기보다는 제1 이송장치(211)를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센서부(110)가 제2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3 이송장치(231)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2 이송장치(221) 또는 제3 이송장치(231)가 센서부(110)를 직접 제2 또는 제3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센서부(110)의 제1 방향 이송이 간접적으로 수행되게 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적층된 개체들에 부착된 바코드를 연속적으로 고속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센서부(110)의 제1 방향(z축 방향) 이동이 가장 빈번히 수행되고 또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므로, 센서부(110)의 제1 방향 이송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200)는 또한 센서부(110)를 제1 회전축(y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회전이동부(250)와 센서부(110)를 제2 회전축(z축)을 중심으로 히전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회전이동부(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회전축(y, z, x축)은 그 번호매김 순서가 상기 제1 내지 제3 이동방향(z, y, x축 방향)과 상이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동중인 개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센서부(110)를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때로는 센서부(110)를 제2 회전축(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해서이다. 제1 회전축(y축) 중심의 회전이동은 적층된 개체의 개수가 많지 않을 경우에 제1 방향(z축 방향) 이동을 대신할 수도 있으나, 다른 한편 센서부(110)의 인식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센서부(110), 예컨대 바코드 스캐너의 발광/수광 각도를 수평이 아닌 각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감안한 것이다. 본 출원인이 테스트한 바에 의하면 수평면을 기준으로 한 센서부(110)의 발광/수광 각도, 즉 유효 각도(θt)가 수평면에서 하측으로 0 - 15°의 각도범위에 있을 때 센서부(110)의 인식 효율이 향상되었다.
이송부(200)는 센서부(110)를 제3 회전축(x축)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제3 회전이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포함하지 아니하였다.
이송부(200)는 선형 이동 및/또는 회전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동력발생장치 및 동력전달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력발생장치로는 전기모터, 리니어모터, 보이스코일(voice coil) 액츄에이터, 유공압모터, 유공압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력전달장치 내지 이송가이드장치로는 볼스크류, 풀리 및 타이밍벨트 결합체, 기어감속기, 랙앤피니언, 리니어모션가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송제어부(290)는 이상 언급한 이송부(200)의 작동, 즉 센서부(110)를 제1 내지 제3 이동방향(z, y,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 내지 제3 회전축(y, z, x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작동을 모두 제어하며, 이동방향 내지 회전이동방향 외에 이동속도 역시 제어한다. 물론, 필요하다면 이송제어부(290)는 이송부(20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센서부(110)가 고정된 상태로 개체에 부착된 코드의 인식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는 작동범위센서(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범위센서(310)는 센서부(110)가 미리 설정된 작동범위의 양단부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여 이송제어부(290) 를 거쳐 센서부(110)의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센서부(110)가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10)의 제1 방향(z축 방향) 이동에 대해서만 제1 방향 작동범위(Dz)를 제한하는 작동범위센서(310)을 구비하고 있으나, 기타 다른 방향의 이동 또는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작동범위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작동범위센서(310)는 도시된 실시예처럼 작동범위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양단부에 센서부(110)가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도 있고, 센서부(110), 이송부(200) 또는 기타 적당한 곳에 설치된 로터리 엔코더(미도시)일 수도 있다. 작동범위센서(310)로서 로터리 엔코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동범위에 대응하는 로터리 엔코더 출력값을 이송제어부(290)에 미리 입력해두어야 할 것이며, 또한 주기적으로 로터리 엔코더를 초기화하여 오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작동범위센서(310)의 오작동시에 센서부(110)가 작동범위를 벗어나 물리적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곳까지 이동하게 됨으로써 센서부(110) 및 기타 장치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범위 외측에 비상정지센서(32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10)의 제1 방향(z축 방향) 작동범위에 대해서만 비상정지센서(320)를 구비하고 있으나, 기타 다른 이동방향 내지 회전이동방향에 대하여도 비상정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비상정지센서(320)는 작동범위를 벗어난 센서부(110)에 의해 직접적,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전기적 스위치나, 기계적 제동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동범위센서(310)로서 로터리 엔코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비상정지센서(320)는 작동범위 외측 양단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센서부(110)가 이동중인 개체(400)에 부착된 코드(410)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센서부(110)가 인식가능한 범위 내에 개체(400)가 들어왔을 때에 센서부(110)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개체(400)가 센서부(110)의 인식가능범위 내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330)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10)의 인식가능범위, 즉 센싱범위는 센서부(110)의 유효 인식거리(f)와 유효 방위각(θr)에 의해 결정된다(도 3 참조). 유효 인식거리(f)와 유효 방위각(θr)은 센서부(110)의 고유한 값이지만, 센서부(110)의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범위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동중인 개체(400)에 부착된 코드(410)의 인식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에 있어서, 유효 방위각(θr)은 40 - 50°의 각도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 방위각(θr)이 너무 좁으면 개체(400)의 이동속도가 조금만 빨라져도 개체(400)가 짧은 시간 내에 센싱범위를 벗어나버려 코드(410)의 인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너무 넓으면 레이저 광의 광밀도가 낮아져 인식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개체(400)가 센서부(110)의 유효 인식거리(f) 내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려면 진입감지센서(330)는 개체(400)의 유무뿐 아니라 개체(4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체(400)가 센서부(110)의 유효 방위각(θr) 범위내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려면 진입감지센서(330)가 개체(400)의 이동방향(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방향(z축 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개체(400)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중인 경우에, 개체(400)의 이동속도가 저속이라면 센서부(110)를 제1 방향으로 고속이동하면서 다수의 개체(400) 모두의 코드(410)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개체(400)의 이동속도가 센서부(110)의 제1 방향 고속이동만으로는 코드(410) 전부를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고속인 경우에는, 센서부(110) 자체가 개체(4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체를 추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센서부(110)를 개체(400)의 이동방향인 제2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거나, 개체(400)의 이동을 추종할 수 있도록 제2 회전축(z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10)의 평행이동 또는 회전이동에 의해 사실상 센서부(110)의 센싱범위가 확장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센서부(110)의 인식효율을 극대화하려면 이러한 센서부(110)의 평행이동 또는 회전이동의 속도는 개체(400)의 이동속도에 연동되어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는 개체(400)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이동속도 감지부(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동속도 감지부(340)는 이동중인 개체(400)가 상기 센싱범위 내에 진입한 때에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감지센서(330)가 2개 이상인 경우 진입감지센서들의 출력값으로부터 개체(400)의 이동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이동속도 감지부(340)를 설치하는 대신 2개 이상의 진입감지센서를 이동속도 감지부(340)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동속도 감지부(340)가 개체(400)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면 이송제어부(290)는 개체(400)의 이동속도에 연동되는 속도로 센서부(110)가 평행이동 및/또는 회전이동되도록 이송부(200)를 제어한다.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가 개체(400)의 이동 및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는 구성을 전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개체(400)가 정지된 상태이거나 저속으로 이동중인 경우에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개체(400)의 코드(410)를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상기 일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 중 비상정지 및 정지해소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은, 미리 설정된 센싱범위를 가지며, 개체(400)에 부여된 코드(410)를 스캔하여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110), 센서부가 이동범위의 양단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작동범위센서(310), 및 이동중인 개체(400)가 센싱범위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검출장치에 있어서, 센서부(110)에 의한 센싱, 즉 스캔을 준비하는 단계(S110), 진입감지센서(330)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진입감지센서(330)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110)를 초기위치로부터 이동 개시하여 작동시키는 단계(S130), 이어서 작동범위센서(31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작동범위센서(310)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11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S150), 및 센서부(11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4).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110)의 이동방향을 개체(400)의 적층방향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한정할 수도 있다.
위의 제어방법 실시예와 유사한 변형예에서는, 센서부(110) 작동개시 단계(S130) 대신에, 진입감지센서(330)가 작동하는 경우 개체(400)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125)와 감지된 개체의 이동속도에 연동되는 속도로 센서부(110)를 이동시키는 단계(S135)가 더 추가된다(도 5). 위 제어방법 실시예에서 센서부(110)의 이동방향을 개체(400)의 적층방향으로 한정한 경우, 센서부(110)를 개체(400)의 이동속도에 연동되는 속도로 개체(4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뿐 아니라, 개체(400)가 적층되어 있으므로 개체(400)의 적층방향을 따라서도 이동시키는 단계가 추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는 작동중에 언제라도 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 버튼(미도시)과 비상정지 사유가 해소된 때에 비상정지 상태를 해소하여 스캔준비 단계로 돌아가도록 하는 스캔준비 버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의 비상정지 및 정지해소 제어방법(S200)은, 센서부(110)의 작동중에 비상정지 버튼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 비상정지 버튼이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S220), 이어서 스캔준비 버튼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 스캔준비 버튼이 작동하는 경우 스캔을 준비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로지 아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110 : 센서부 113 : 발광부
115 : 수광부 150 : 식별부
200 : 이송부 211 :제1 이송장치
215 :제1 가이드부재 221 :제2 이송장치
225 :제2 가이드부재 231 :제3 이송장치
235 :제3 가이드부재 250 :제1 회전이동부
260 :제2 회전이동부 290 : 이송제어부
310 :작동범위센서 320 :비상정지센서
330 :진입감지센서 340 :이동속도 감지부
400 :개체 410 :코드

Claims (26)

  1.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인식한 코드로부터 개체 값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부;
    상기 센서부를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이송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센서부와 일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센서부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장치와 상기 제1 이송장치의 제1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센서부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장치와 상기 제2 이송장치의 제2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장치는 상기 제1 이송장치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센서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센서부를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회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센서부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회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이동부는 상기 제1 회전이동부를 회전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센서부를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이동 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미리 설정된 제1 방향 이동범위를 가지고,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 방향 이동범위의 양단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작동범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범위센서는 상기 제1 방향 이동범위 양단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범위센서는 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이동범위 양단 외측에 위치하는 비상정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센서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 방향 이동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제1 이송장치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적 스위치 또는 기계적 제동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미리 설정된 센싱 범위를 가지고,
    이동중인 개체에 대하여 상기 개체가 상기 센싱 범위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감지센서는 상기 개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둘 이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이동중인 개체가 상기 센싱 범위내에 진입한 때에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이동속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에 연동되는 속도로 상기 센서부가 이동, 회전이동, 또는 이동 및 회전이동하도록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이송부에 대한 이송제어부의 상기 제어는 상기 개체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상기 센서부의 이동 또는 회전이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속도 감지부는 상기 개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둘 이상의 상기 진입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센싱범위는 수평방향으로 40 - 50°의 각도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0 - 15°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
  22. 미리 설정된 센싱 범위를 가지며,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이동범위의 양단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작동범위센서; 및 이동중인 개체에 대하여 상기 개체가 상기 센싱 범위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스캔 준비 단계;
    진입감지센서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진입감지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를 초기위치로부터 이동 개시하여 작동시키는 단계;
    작동범위센서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작동범위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센서부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진입감지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에 연동되는 속도로 상기 센서부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검출장치는 비상정지 버튼과 스캔 준비 버튼을 더 포함하고,
    비상정지 버튼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비상정지 버튼이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스캔 준비 버튼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스캔 준비 버튼이 작동하는 경우 스캔을 준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
  25. 미리 설정된 센싱 범위를 가지며, 개체에 부여된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 이동중인 다수의 적층된 개체에 대하여 상기 개체가 상기 센싱 범위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수의 개체의 적층방향을 따르는 이동범위의 양단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작동범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스캔 준비 단계;
    진입감지센서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진입감지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를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다수의 개체의 적층방향을 따라 이동 개시하여 작동시키는 단계;
    작동범위센서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작동범위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센서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센서부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진입감지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개체의 이동속도에 연동되는 속도로 상기 센서부를 상기 개체의 적층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개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020675A 2011-03-09 2011-03-09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45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675A KR101145462B1 (ko) 2011-03-09 2011-03-09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675A KR101145462B1 (ko) 2011-03-09 2011-03-09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462B1 true KR101145462B1 (ko) 2012-05-15

Family

ID=4627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675A KR101145462B1 (ko) 2011-03-09 2011-03-09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4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049A (ko) * 1997-11-25 1999-06-15 최재림 도서 자동 반납 시스템
KR200405940Y1 (ko) 2005-10-07 2006-01-11 하영주 자동 표 검색 및 분리 배출장치
KR20060014733A (ko) * 2004-08-12 2006-02-16 이영우 바코드 자동 인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049A (ko) * 1997-11-25 1999-06-15 최재림 도서 자동 반납 시스템
KR20060014733A (ko) * 2004-08-12 2006-02-16 이영우 바코드 자동 인식 장치
KR200405940Y1 (ko) 2005-10-07 2006-01-11 하영주 자동 표 검색 및 분리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4393B1 (en) Inspection machine for printed circuit board
EP3093258B1 (en) Transfer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ransfer device
US10965201B2 (en) Transport system, process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rticle
EP3369683A1 (en) Item transfer apparatus, item inspection apparatus, item transfer method, and item inspection method
US7871231B2 (en) Vertical carrying apparatus
US20150081095A1 (en) Robot
US20130345852A1 (en) Linear reciprocating device and its positioning control method
KR20080016461A (ko) 물품 수납 설비 및 그 작동 방법
CN106865085B (zh) 物品输送设备
KR20170089695A (ko) 가변형 지그를 구비한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6107746B2 (ja) 搬送装置
KR20180098548A (ko) 로봇
CN103381605A (zh) 用于机器人装置的位置监测的监测装置及含其的生产系统
US20170255182A1 (en) Control Method, Work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8147118A (zh) 取件检测机构及工件转运机构
TW201422505A (zh) 用於周向地運輸物件之運輸裝置
CN107499876B (zh) 一种转弯纠偏的输送装置的控制方法
KR101145462B1 (ko) 정보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5003B1 (ko) 금속편 분류 장치
KR101870163B1 (ko) 기판 이송장치
WO2009035391A1 (en) Diverting device for a conveyor system and a method for diverting objects which are conveyed along a conveying track
CN102714113A (zh) 开关
JP7283640B2 (ja) ストッカ
CN113960511A (zh) 一种铁磁件检测设备及生产线用铁磁件检测系统
KR20130110779A (ko) 감지유닛을 이용하여 매니퓰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