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455B1 -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455B1
KR101145455B1 KR1020090096979A KR20090096979A KR101145455B1 KR 101145455 B1 KR101145455 B1 KR 101145455B1 KR 1020090096979 A KR1020090096979 A KR 1020090096979A KR 20090096979 A KR20090096979 A KR 20090096979A KR 101145455 B1 KR101145455 B1 KR 10114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urrent collector
stack
separato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921A (ko
Inventor
윤용식
김기정
강성진
전유택
문만빈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4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3Gas-impermeable carbon-contain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5Glass; Ceram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having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ers or coolant flow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사이마다 배치되는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를 포함하는 스택과, 상기 스택의 양쪽 외곽에 배치되는 엔드플레이트(End Plate)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택의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는 전류집전체(Current Collector)를 제공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FUEL CELL STACK HAVING PROTRUDE TYPE CURRENT COLLECTOR}
본 발명은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 분리판과 전류집전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을 제거함으로써, 접속저항을 감소시키고 연료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수소 가스와 산소 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료(수소) 및 공기(산소)를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직접 전기에너지와 열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산화전극(anode)에서의 산화반응 및 환원전극(cathode)에서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전력(electric power)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산화/환원 전극에는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백금 또는 백금-루테늄 금속 등이 포함된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가 사용된다.
현재, 상술한 연료전지는 대체전원(alternative power source)으로서 다양한 용도로 연구 및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고분자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를 들 수 있다. 고분자형 연료전지는 출력밀도 및 에너지 전환효율이 높고 8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도 작동 가능하며, 소형화 및 밀폐화가 가능한 장점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무공해 자동차, 가정용 발전 시스템, 이동통신장비, 군사용 장비, 의료기기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대체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2장의 제 1 분리판(10) 및 제 2 분리판(20)이 접합되어 내측에 냉각수 유로가 구비되도록 하고, 외측 양면에는 막-전극 접합체(40)가 결합되어 전력을 형성할 수 있는 기본 셀 구조가 구비된다.
여기에, 반응 가스 확산을 도와주는 가스확산층(GDL)(50) 각 분리판(10, 20)과 막-전극 접합체(40) 사이에 구비되고, 각 분리판(10, 20)의 외곽 영역에는 가스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30)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본 셀 구조가 2층 이상 반복 결합되어 연료전지 스택으로 구비되고, 연료전지 스택의 양쪽 끝에는 스택 구성 요소간의 체결을 위한 엔드플레이트(End plate, 70)가 구비된다. 이때, 엔드플레이트(70)에는 전력 전달을 위한 전류집전체(Current Collector, 60)가 포함되고, 전류집전체(60)는 엔드플레이트(70)를 관통하는 전류인가용 체결용 볼트(8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가스켓(30) 및 유로에 의해서 최외곽의 분리판과 전류집전체(60)는 완벽하게 접속되지 못하고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격 간격에 의해서 스택으로부터 나오는 전류를 제대로 전류집전체(60)에 전달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전류집전체(60)와 최외곽 분리판 사이에 가스확산층(GDL)(50)을 더 포함시켜서, 스택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용이하게 전류집전체(6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가스확산층(GDL)(50)은 카본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카본을 이용한 간접 전도 방식으로는 스택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을 그대로 전류집전체(60)에 전달하지 못하고, 연료전지의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스확산층(GDL)(50) 추가는 연료전지 스택 제조를 위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의 가격 대비 성능에 대한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양쪽 외곽에 배치되는 전류집전체(Current Collector)를 엔드플레이트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전류집전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은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사이마다 배치되는 막-전극 접합체(MEA)를 포함하는 스택과, 상기 스택의 양쪽 외곽에 배치되는 엔드플레이트(End Plate)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택의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는 전류집전체(Current Colle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제 1 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채널부 및 제 2 면에 형성되는 반응가스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매니폴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분리판 본체 2장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채널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분리판 본체의 둘레 및 실링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류집전체의 돌출된 부분 두께(t1)는 상기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상기 전류집전체 사 이에 형성되는 가스켓의 두께(t2)에서 상기 분리판 표면에서 상기 채널부에 형성되는 유로까지 높이(t3)를 뺀 값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된 전류집전체의 두께(t1)의 최소 두께는 상기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형성되는 가스켓의 두께(t2)에서 상기 분리판 유로의 높이(t3)를 뺀 두께의 0.5배가 되도록 (0.5(t2-t3)≤t1≤(t2-t3))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택 중 상기 최외각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전류집전체 사이의 영역을 제외한,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MEA) 사이의 영역에 가스확산층(GD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류집전체는 구리(Cu), 니켈(Ni), 철(Fe), 티타늄(Ti), 크롬(Cr), 알루미늄(Al) 및 전도성 카본(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류집전체는 금(Au), 백금(Pt), 금속질화물 AxByN(A: Cr, Ti, Al/B : Cr, Ti, Al, C) 및 금속탄화물 AxC(A: Cr, Ti, A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류집전체는 엔드플레이트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전류의 인가 및 수집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전류 인가용 체결볼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은 최외곽부의 연료전지 분리판과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는 전류집전체를 형성함으로써,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가스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전류집전체 및 연료전지 분리판 사이의 가스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을 생략할 수 있게 되는 것인데, 이를 통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두께 및 부피를 키우지 않으면서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돌출형 전류집전체는 종래의 전류집전체 보다 공간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고, 연료전지 스택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은 분리판 및 가스켓의 변형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고, 분리판 간의 적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 및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고분자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고분자형 연료전지에 반드시 한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로서 SPEFC(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SPFC(Solid polymer fuel cell), PEFC(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DMFC(Direct Methanol Fuel Cell) 및 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와 같은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원발명은 전극집전체(Current Collector)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분야에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로, 각 구성의 연결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소정 공백을 두고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 형태는 하기 각 구성들이 긴밀하게 압축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200)의 주요 구성으로 연료전지용 분리판(120), 막-전극 접합체(140), 가스확산층(150)이 형성된다. 또한, 연료전지 스택의 내부를 보호하고, 전류 집전을 위한 엔드플레이트(170)가 최외각 연료전지용 분리판(120a, 120b)의 양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은 막-전극 접합체(140)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엔드플레이트(170) 내에 형성되는 전류집전체(160)로 모아서 출력시키는 구 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전류집전체(160)는 일반적으로 엔드플레이트(170)와 일체가 되는 형태로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류집전체(160)를 엔드플레이트(170)에서 돌출시킨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내의 시작과 끝단 분리판과 집류집전체 사이의 가스확산층을 제거함으로써, 가스확산층의 접촉저항에 해당하는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가스확산층(150) 개수를 감소시켜 연료전지용 스택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2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120)이 구비된다. 여기서는 연료전지용 분리판(120, 120a, 120b)이 3개만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수십에서 수백개까지 적층되어 스택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리판(12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금속 및 그라파이트의 혼합물로 형성하는 복합분리판, 탄소복합재를 이용한 탄소분리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재질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분리판(120)은 2장의 분리판 본체가 결합되어 하나의 분리판 형태로 사용된다. 즉, 제 1 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채널부 및 제 2 면에 형성되는 반응가스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분리판 본체(100, 110)가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냉각수 채널부가 서로 마주 보도록 접합되어 분리판(120)의 중심부에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 주름 형태가 냉각수 채널부 또는 반응가스 채널부가 되고, 매니폴드부는 단면도 상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생략되었다.
다음으로, 각 분리판 본체(100, 110)의 둘레 및 그 외 실링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가스켓(130)이 형성된다. 이때, 가스켓(130)은 실리콘, 고무와 같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리판 본체(100, 110)가 서로 결합되는 면(냉각수 유로 형성면)의 가스켓은 냉각면 사이의 접촉저항을 낮게 유지하면서 냉각수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가스 채널부가 형성된 면의 가스켓(130)은 반응가스 채널부에 접합되는 막-전극 접합체(MEA) 또는 가스확산층(GDL)의 두께를 고려하여 분리판 반응면과 가스확산층(GDL) 사이의 접촉저항을 낮게 유지하면서, 가스 확산 과정에서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연료전지용 분리판(120, 120a, 120b) 사이마다 막-전극 접합체 (MEA, 140)가 배치된다. 이때, 막-전극 접합체(140)는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해질과 전극을 일체형으로 접합시킨 장치로, 고분자전해질막에 백금 또는 백금-루테늄 금속 전극을 포함하는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분리판(120)과 막-전극 접합체(140) 사이의 영역에 가스확산층(15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확산층(150)은 카본 블랙, 플루오로폴리머 및 그래파이트 미립자와 카본 미립자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미 립자를 포함하는 코팅층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스확산층(150)은 막-전극 접합체(140)의 양면을 보호하는 보호막 형태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두께는 가스확산층(150)을 부각시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과장되게 도시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그 다음으로, 스택의 양쪽 최외곽에 배치되는 분리판(120a, 120b)과 접속되는 엔드플레이트(170)가 형성된다.
여기서, 엔드플레이트(170)는 스택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분리판(120), 가스확산층(150) 및 막-전극 접합체(140)를 압착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전류집전체(16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류집전체(160)는 전류 엔드플레이트(170)를 관통하는 인가용 체결볼트(180)에 의해서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류집전체(160)를 엔드플레이트(17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먼저, 전류집전체(160)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전기 전도도가 높으며,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료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전기 화학 반응에서 리튬과 합금화되지 않는 금속 재료를 들 수 있다.
그러한 금속 재료의 구체예는 구리(Cu), 니켈(Ni), 철(Fe), 티타늄(Ti), 크롬(Cr), 알루미늄(Al) 및 전도성 카본(C)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류집전체는 상기 금속들로 형성되는 금속판이 각각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금속의 합금 형태 또는 스테인레스강도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류집전체(160)는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Au), 백금(Pt), 금속질화물 AxByN(A: Cr, Ti, Al, B: Cr, Ti, Al, C) 및 금속탄화물 AxC(A: Cr, Ti, A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코팅층(미도시)은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120a, 120b)과 마주보는 일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분을 감싸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전류집전체(160) 전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류집전체(160)는 전기전도도와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돌출된 부분의 두께(t1)를 최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료전지 스택에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는 가스켓(130)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형성되는 가스켓(130)의 두께(t2)를 기준으로 전류집전체(160)의 돌출된 부분의 두께(t1)를 결정하였다.
일반적인 스택 구조에서는 가스켓(130)이 압착되어 결합되므로, 전류집전체(160)의 돌출 부분 두께(t1)는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전류집전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켓의 두께(t2)에서 상기 분리판 표면에서 상기 채널부에 형성되는 유로까지 높이(t3)를 뺀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출된 전류집전체의 두께(t1)의 최소 두께는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120a, 120b)에 형성되는 가스켓(130)의 두께(t2)에서 분리판 유로의 높이(t3)를 뺀 두께의 0.5배가 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t2-t3)≤t1≤(t2-t3))
여기서, 유로의 높이(t3)는 분리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를 뜻하는 것 으로, 금속 분리판일 경우를 감안하여 기재한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분리판의 형태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흑연 분리판의 경우 t3이 '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최적의 돌출된 부분의 두께(t1)은 가스켓의 재질에 따른 수축정도와 스택체결시의 체결압을 고려해 최적의 전기전도성 및 분리판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해야 한다.
이때,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120a, 120b)에 형성되는 가스켓(130)의 두께(t2) 배율이 돌출된 부분의 두께(t1)와 분리판 유로의 높이(t3)의 합보다 같거나 작아지게 되면 스택 체결시 돌출형 전류집전체(160)가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120a, 120b)에 직접 접촉되지 못하거나 약하게 접촉되어, 단락이 발생하거나 접촉저항 증가에 따른 전류 집전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류집전체(160)는 돌출형으로 형성되어 연료전지 스택 체결시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120a, 120b)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된다. 이와 같이 돌출형 전류집전체에 의해 직접적인 접속이 있는 경우, 가스확산층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보다 전기전도도가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집전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 그 상승 효과만큼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전류집전체(160)는 전류 집전 효율 향상기능 이외에,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120a, 120b)과 전류집전체(160) 사이에 형성되어야 할 가스확산층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용 스택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 스택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Claims (8)

  1. 제 1 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채널부 및 제 2 면에 형성되는 반응가스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매니폴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분리판 본체 2장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채널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분리판 본체의 둘레 및 실링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사이마다 배치되는 막-전극 접합체(MEA)를 포함하는 스택;
    상기 스택의 양쪽 외곽에 배치되는 엔드플레이트(End Plate);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내벽에 일부가 매립되고,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스택의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택의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직접 접속되는 전류집전체(Current Collector); 및
    상기 스택 중 상기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전류집전체 사이의 영역을 제외한,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MEA)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가스확산층(GDL);을 포함하며,
    상기 전류집전체는 상기 엔드플레이트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전류의 인가 및 수집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전류 인가용 체결볼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전류집전체의 돌출된 부분 두께(t1)는 상기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상기 전류집전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켓의 두께(t2)에서 상기 분리판 표면에서 상기 채널부에 형성되는 유로까지 높이(t3)를 뺀 값과 같거나 작고,
    상기 돌출된 전류집전체의 두께(t1)의 최소 두께는 상기 최외곽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형성되는 가스켓의 두께(t2)에서 상기 분리판 유로의 높이(t3)를 뺀 두께의 0.5배가 되도록 (0.5(t2-t3)≤t1≤(t2-t3)) 형성하고,
    상기 전류집전체는 구리(Cu), 크롬(Cr), 및 전도성 카본(C)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류집전체는 백금(Pt), 금속질화물 AxByN(A: Cr, Al/B : Cr, Al, C) 및 금속탄화물 AxC(A: Cr, Ti, A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96979A 2009-10-12 2009-10-12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KR10114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79A KR101145455B1 (ko) 2009-10-12 2009-10-12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79A KR101145455B1 (ko) 2009-10-12 2009-10-12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921A KR20110039921A (ko) 2011-04-20
KR101145455B1 true KR101145455B1 (ko) 2012-05-15

Family

ID=4404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979A KR101145455B1 (ko) 2009-10-12 2009-10-12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4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1699A (zh) * 2017-03-02 2019-11-08 沙特阿拉伯石油公司 新型模块化电化学电池单元和堆叠设计
US10992011B2 (en) 2017-06-27 2021-04-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2388A (zh) * 2016-04-11 2016-07-13 洁星环保科技投资(上海)有限公司 一种水氢动力移动医疗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81B1 (ko) * 2006-09-06 2007-08-23 (주)퓨얼셀 파워 연료전지 스택
KR100879875B1 (ko) * 2007-05-08 2009-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공기호흡형연료전지 스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81B1 (ko) * 2006-09-06 2007-08-23 (주)퓨얼셀 파워 연료전지 스택
KR100879875B1 (ko) * 2007-05-08 2009-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공기호흡형연료전지 스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1699A (zh) * 2017-03-02 2019-11-08 沙特阿拉伯石油公司 新型模块化电化学电池单元和堆叠设计
US10992011B2 (en) 2017-06-27 2021-04-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921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423B1 (ko) 연료전지
CN110380077B (zh) 一种组合式流道燃料电池双极板
US20030152819A1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9490497B2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type fuel cell, and electrolyte membrane-electrode-frame assembly
WO2008140659A1 (e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stack module
KR101466507B1 (ko) 체결이 용이한 연료전지 스택
US20110053030A1 (en) Fuel Cell with Gas Diffusion Layer having Flow Chan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79836B1 (ko) 우수한 체결력을 갖는 연료전지
CA2277405A1 (en) Fuel cells stack
KR20100114887A (ko) 모듈형 유닛 연료전지 어셈블리
CN112768720A (zh) 一种一板三场式超薄燃料电池双极板及燃料电池堆
US8658228B2 (en) Fuel cell module and fuel cell comprising fuel cell module
JP5108377B2 (ja) 複合燃料電池スタック用の非浸透性の低接触抵抗シム
EP2244324B1 (en) Cambered Flow-field Plate
KR101145455B1 (ko) 돌출형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JP2004103296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20100030709A (ko)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
US8497046B2 (en) Sealing structure for fuel cell
KR101410477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제조방법
JP2012195128A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および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KR101145574B1 (ko) 냉각수 유로가 형성된 전류집전체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JP5255849B2 (ja) 燃料電池及びセパレータ・シール構成体
JP5235581B2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
US20100075189A1 (en) Current collector and fuel cell stack
KR100633464B1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와 스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