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036B1 - 척추안마장치 - Google Patents

척추안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036B1
KR101145036B1 KR1020100048433A KR20100048433A KR101145036B1 KR 101145036 B1 KR101145036 B1 KR 101145036B1 KR 1020100048433 A KR1020100048433 A KR 1020100048433A KR 20100048433 A KR20100048433 A KR 20100048433A KR 101145036 B1 KR101145036 B1 KR 10114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longitudinal
moving
movement
height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035A (ko
Inventor
김권희
채수원
김정훈
문영환
유홍석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03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척추안마장치(1000)는 프레임(800)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800)에 설치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길이방향이동부재(10)를 가진다.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상면에는 안마부재(91)(93)(95)가 배치되고 상기 안마부재(91)(93)(95)는 높이방향이동부(30)에 의하여 높이방향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척추안마장치{Apparatus for spine-rubdown}
본 발명은 척추안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환자가 베드에 누운 후 하부에서 안마구가 접근하여 안마를 이루며 환자의 척추를 경추, 흉추, 요추별로 적합한 안마구로 안마를 이루게 할 수 있는 척추안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목뼈에 해당되는 경추로부터 골반까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척추의 치료 또는 교정 등에 있어서 척추돌기를 가압하여 척추의 위치를 제대로 잡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척추돌기를 가압하여 척추의 위치를 제대로 잡는 시술 후에는 보조적으로 척추를 마사지하여 그 효과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척추마사지를 이루는 기계장치가 제공된다면 시술자의 수고가 덜어져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마사지는 경추, 흉추, 요추의 형상과 곡률 등이 다름에 따라 각각의 부위마다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척추의 가압을 이루는 안마구가 환자가 베드에 누웠을 때 안마구가 환자와 바로 닿지 않고 누운 후 안마구가 척추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가압구가 초기부터 가압을 이룰 수 있는 위치로 돌출되어 있다면, 환자가 그 상부로 눕는 과정에서 충격을 받을 수 있고 환자는 매우 조심스럽게 누워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환자의 경추, 흉추 및 요추 별로 적합하게 시술을 이룰 수 있고, 척추에 마사지를 이루는 안마구가 환자가 베드에 누운 후 환자의 척추에 접근하는 척추가압장치 또는 척추안마장치가 제공된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척추를 마사지하는 안마구가 환자가 베드에 누운 후 환자의 척추에 접근하는 척추안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환자의 척추를 경추, 흉추, 요추별로 적합한 안마구로 안마를 이루게 하는 척추안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방향이동부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마부재와; 상기 안마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방향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길이방향이동부재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마부재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다수개의 상기 안마부재가 상기 횡방향이동부에 상호 이격되어 걸쳐서 놓인 상태로 상기 횡방향이동부의 횡방향 이동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높이방향이동부는 상기 다수개의 안마부재 중 상기 횡방향이동부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안마부재를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안마부재의 하면과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의 상면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핀이 형성되고; 상기 각 안마부재의 하면과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의 상면 중 타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안마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방항이동부가 상승할 때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이동부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에 상기 횡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이동프레임과,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에 상기 횡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어 한 쌍씩에 상기 각 안마부재의 양측 가장자리가 걸쳐서 놓이는 다수개의 횡방향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은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 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에는 상기 높이방향이동부가 통과하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상기 높이방향이동부가 상기 개방구, 상기 공간 및 한 쌍의 상기 횡방향이동부재 사이를 통해 상기 안마부재를 상기 높이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에는 상기 횡방 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는 레일홈이 마련되어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의 상기 횡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에 상호 대향하게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의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수평레일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상기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걸쳐 연결되는 밸트와, 상기 한 쌍의 풀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밸트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길이방향이동부재용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는 상기 밸트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른 상기 밸트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을 상기 횡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이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횡방향이동부재이동용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방향이동부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마부재를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높이방향이동부용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마부재는 경추용 안마부재, 흉추용 안마부재 및 요추용 안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흉추용 안마부재는 상기 안마부재설치판에서 대향되어 돌출된 돌출편에 핀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마구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흉추용 안마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롤링운동을 하면서 흉추를 가압하여 마사지를 이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척추의 가압을 이루는 안마구가 환자가 베드에 누웠을 때 안마구가 환자와 바로 닿지 않고 누운 후 안마구가 척추에 접근하도록 하며, 환자의 경추, 흉추 및 요추 별로 적합하게 시술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안마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4에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안마장치의 개별적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안마장치를 측면, 평면 및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에서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안마장치(1000)은 프레임(800)과, 길이방향이동부와, 안마부재와, 높이방향이동부(30)를 포함한다. 길이방향이동부는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길이방향이동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에 설치되는 길이방향이동부재(10)와 길이방향이동부재(10)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이동부재(10)는 프레임(800)에 상호 대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수평레일부재(809)(809)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장착되고, 프레임(800)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풀리(113)(115)사이에 걸쳐 연결된 벨트(118)와 연결되어 상기 풀리(113)를 구동하는 모터(11)가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수평레일부재(809)(809)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1)는 상기 프레임(800)에 브래킷(bracket)을 통하여 장착되고 있다.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상면에는 안마를 이루는 안마부재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마부재는 경추용, 흉추용 및 요추용으로 3개(91)(93)(95)가 제공되고 있다.
삭제
그리고, 높이방향이동부(30)는 안마부재가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이동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는 모터(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안마부재(91)(93)(95)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와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도 같이 이동한다.
상기 프레임(800)에는 전선 등을 운반하는 제1캐리어(14)와 제2캐리어(15)가 설치되고 이들 캐리어(14)(15)는 각각 제1캐리어 이동대(149)와 제2캐리어 이동대(159)에 놓여 이들 캐리어 이동대(149)(159)에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추용 안마부재(91), 흉추용 안마부재(93)와 요추용 안마부재(95) 각각에 캐리어(15)(15)(15)가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제1캐리어(14)는 상기 제2캐리어 이동대(159)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캐리어 이동대(159)는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가 이동하고 그러면 상기 제2캐리어 이동대(159)가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캐리어 이동대(159)와 결합된 제1캐리어(14)가 상기 프레임(800)에 고정 설치된 제1캐리어 이동대(149)에서 이동된다.
상기 프레임(800)의 상면에는 베드(미도시)가 설치되어 환자가 눕게 되고, 상기 안마부재(91)(93)(95)는 상기 베드에서 환자의 척추부위에 대응되어 설치된다.
환자가 베드에 누운 후 상기 모터(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가 상기 안마부재(91)(93)(95) 중 어느 하나를 상부로 이동시켜 환자의 척추에 닿도록 하고, 이후, 상기 모터(11)의 작동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에 설치된 안마부재(91)(93)(95)가 환자의 척추를 가압하여 마사지를 이루게 된다.
도 4에서 도 12를 참고로,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횡방향이동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횡방향이동부는 길이방향이동부재(10)에 횡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이동프레임(9)과, 횡방향이동프레임(9)에 횡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어 한 쌍씩에 안마부재의 양측 가장자리가 설쳐서 놓이는 다수개의 횡방향이동부재(901)(902)(903)(904)를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도 8을 참고로, 이들 횡방향이동부재(901)(902)(903)(904)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에서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횡방향이동프레임(9)이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9)에 횡방향이동부재(901)(902)(903)(904)가 상호간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다수개의 안마부재가 횡방향이동부에 상호 이격되어 걸쳐서 놓인 상태로 배치되고 횡방향이동부의 횡방향 이동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는, 본 실시예에서, 판부재(130)와 상기 판부재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레일부(101)(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레일부(101)(101)의 하부에 레일홈(1019)(1019)가 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이 설치되어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은 상기 레일홈(1019)(1019)에 의해 안내되어 횡방향을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은 스크류부재(108)가 횡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부재(108)로 횡방향이동부재이동용 모터(41)가 동력을 전달하여, 횡방향이동프레임(9)이 스크류부재(108)의 회전에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41)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판부재(130)에 결합된 모터결합판(42)에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41)가 작동하면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이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에서 상기 레일홈(1019)(1019)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그러면, 상기 횡방향이동부재(901)(902)(903)(904)도 횡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게 된다.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판부재(130)에는 개방부(138)가 형성되어 있는데, 후술하듯이, 이 부분을 통하여 높이방향이동부(30)의 이동부재(317)(317)가 관통하여 상승하고 하강하게 된다.
도 9를 참고로, 상기 안마구(91)(93)(95)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방향이동부(30)는 고정가이드부재(315)(315)를 가지며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5)(315)에 이동부재(317)(317)가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이동부재(317)(317)가 안마부재를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재(317)(371)의 사이에는 너트부재(3175)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5)(315)의 하부에는 모터(31)가 브래킷(3121)(3122)에 의하여 설치되며, 상기 너트부재(3175)를 관통하여 상기 모터(31)로부터 동력을 받는 스크류부재(318)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317)(317)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5)(315)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판부재(130)의 하면과 결합된 연결부재(310)(310)가 제공되고 이러한 연결부재(310)(310)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5)(315)와 결합된 중간부재(313)(313)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5)(315)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와 결합된다.
상기 판부재(130)의 하면과 결합되는 연결부재(310)(310)의 꺽임부(3018)(3018)의 하면에는 프레임(800)의 수평레일부재(809)(809)의 레일홈(8098)(8098)에 결합되는 레일결합자(138)(138)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벨트(118)가 벨트결합자(1318)에 의하여 결합되고 있다. (도 7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모터(11)가 작동하면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와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가 상기 수평레일부재(809)(809)의 레일홈(8098)(8098)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안마부재(91)(93)(95)는 안마구설치판(940)이 제공되고 그 상면에 안마구(910)(930)(950)가 장착된다. 상기 안마구(910)(930)(950)에는 전열선이 내장되어 환자의 척추에 접촉되면 열을 전달시켜 환자의 척추돌기를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마구(910)(930)(950)는 각각 그 형상이 다른데, 안마구(910)는 경추를 위한 것이고, 안마구(930)는 흉추를 위한 것이고 안마구(950)은 요추를 위한 것이다.
상기 안마구설치판(940)의 하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94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945)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으로서 그 양측면은 경사부(9458)(945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의 돌출부(945)에는 관통공(9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922)은 후술하듯이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의 이동부재(317)(3107)에 설치된 결합판(325)에 형성된 결합핀(322)이 결합되는 핀구멍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높이방향이동부(30) 측에 결합핀(322)이 형성되고, 안마부재 측에 관통공(922)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나 결합핀(322)와 관통공(922)의 위치가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안마구설치판(940)에서 돌출부(945)가 없는 그 전단과 후단은 놓임부(941)(941)를 형성하여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레일부(101)(101)의 상면에 이들 놓임부(941)(941)가 놓이게 된다.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에 상호간에 이격되어 설치된 횡방향이동부재(901)(902)(903)(904)는 각각 상기 안마구설치판(940)의 양측면의 경사부(938)(938)에 대응하여 경사부(918)(928)(928)(938)(938)(948)가 형성되며 상기 안마부재(91)(93)(95)는 그 안마구설치판(940)(940)(940)이 이들 횡방향이동부재(901)(902)(93)(904)의 사이에 각각 놓이며 이때 안마구설치판(940)의 경사부(9458)가 상기 횡방향이동부재(901)(902)(93)(904)의 경사부(918)(928)(928)(938)(938)(948)에 대응하여 놓이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마구설치판(940)(940)(940) 각각의 전단과 후단의 놓임부(941)(941)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레일부(101)(101)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도 8 참조)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의 이동부재(317)(3107)를 걸쳐 결합판(32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325)에는 상기 안마부재의 결합판(940)에 형성된 관통공(922)에 대응되어 결합핀(322)이 형성된다. (도 10과 도 11 참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결합핀(322)과 핀구멍(922)은 그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결합판(325)에 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안마구설치판(940)에 하면으로 돌출된 결합핀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모터(41)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이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레일홈(1019)(1019)을 따라 횡방향으로 1단위씩 이동할 때 그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판부재(130)의 개방부(138)의 옆에 있는 안마부재(91)(93)(95)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판부재(130)의 개방부(138)에 대응되어 위치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초기에 상기 개방부(138)에 대응되어 상기 흉추용 안마부재(93)가 위치된 경우, 다음 1단위의 이동 때는 상기 요추용 안마부재(95)가 상기 개방부(138)에 대응되어 위치되도록 제어된다.
즉 상기 횡방향이동부재(903)(904)의 사이에 상기 개방부(138)가 대응되도록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이 이동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상기 횡방향이동부재(901)(902)의 사이에 상기 개방부(138)가 위치되어 상기 경추용 안마부재(91)가 상기 개방부(138)에 대응되어 위치될 것이다.
이와 같이 안마부재(91)(93)(95)가 상기 개방부(138)에 대응되어 위치되면, 상기 모터(31)가 작동하여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의 이동부재(317)(317)를 상승시켜 그 결합판(325)을 상승시켜 결합판(325)이 상기 개방부(138)를 관통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이동프레임(9)이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 틀 형상을 가지므로, 개방부(138)를 통과한 높이방향이동부(30)의 이동부재(317)(317)가 횡방향이동프레임(9)의 상기 공간, 그리고 한 쌍의 횡방향이동부재(901)(902)(93)(904)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판(325)의 결합핀(322)이 상기 개방부(138)의 양측에 위치된 횡방향이동부재(901)(902)(93)(904)에 걸쳐 놓인 안마부재의 안마구설치판(940)의 관통공(922)과 대응되고 이후 상기 결합핀(322)이 상기 관통공(92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의 이동부재(317)의 상승에 따라 상기 안마부재가 상승하여 베드에 누운 환자의 척추에 닿게 된다.
이후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가 모터(11)의 작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안마를 이루게 된다.
도 10을 참고로, 상기 흉추용 안마부재(93)는 상기 안마부재설치판(940)에서 대향되어 돌출된 돌출편(931)에 핀(932)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마구(930)의 하부에는 스프링(935)이 장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흉추용 안마부재(93)는 상하방향으로 롤링운동을 하면서 흉추를 가압하여 마사지를 이룰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안마장치(1000)를 측면, 평면 및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 경우 상기 흉추용 안마부재(93)가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의 이동부재(317)와 결합되어 상부로 상승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모터(11)의 작동으로 길이방향이동부재(10)가 상기 프레임(800)의 수평레일부재(809)(809)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800)의 상부에 위치한 베드(미도시)에 누운 환자의 척추부위에서 마사지를 시작할 부위로 이동한다.
즉 경추를 마사지하는 경우는 경추부분으로 이동하고, 흉추를 마사지할 경우에는 흉추부분으로 이동하고, 요추를 마사지할 경우에는 요추부분으로 이동한다.
다음, 상기 모터(41)의 작동에 따라 횡방향이동프레임(9)이 이동하여 마사지 부위에 따른 안마부재(91)(93)(95)를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판부재(130)의 개방부(138)에 대응하여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흉추를 마사지할 경우 흉추용 안마부재(93)의 안마구설치판(940)을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판부재(130)의 개방부(138)에 대응하여 위치시킨다.
다음, 상기 모터(31)를 작동시켜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의 이동부재(317)(317)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판부재(130)의 개방부(138)를 관통하여 그 결합판(325)의 결합핀(322)이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에 놓인 횡방향이동프레임(9)에서 상기 개방부(138)에 대응되어 놓인 안마부재의 안마구설치판(940)의 관통공(922)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모터(31)가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의 결합판(325)과 결합된 안마부재가 계속적으로 상승하여 환자의 안마부위에 닿도록 한다.
다음, 상기 모터(11)가 작동하여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가 프레임(800)의 수평레일부재(809)(809)를 따라 이동하면서 안마를 이루게 된다. 이때, 모터(11)의 회전방향은 정역을 반복하여 환자의 척추의 일정구간을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하면서 안마를 이루도록 한다.
만일 일정부위에 대한 안마를 마치고 다른 부위로 안마를 이루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를 작동하여 그 이동부재(317)(317)를 하방으로 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안마부재의 안마구결합판(940)은 상기 이동부재(317)(317)에 결합된 결합판(325)과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높이방향이동부(30)의 이동부재(317)(317)가 하방으로 이동하다 상기 안마구결합판(940)이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의 횡방향이동부재에 걸리게 되면 상기 안마구결합판(940)과 상기 결합판(325)과의 결합은 해제되고 상기 안마부재는 횡방향이동부재에 걸려 놓이게 되며, 상기 이동부재(317)(317)는 계속적인 하강을 이룬다.
이후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9)을 다시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안마부재를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10)의 판부재(130)의 개방부에 위치시키고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척추의 가압을 이루는 안마구가 환자가 베드에 누웠을 때 안마구가 환자와 바로 닿지 않고 누운 후 안마구가 척추에 접근하도록 하며, 환자의 경추, 흉추 및 요추 별로 적합하게 시술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10: 길이방향이동부재
9: 횡방향이동프레임
30: 높이방향이동부
91, 93, 95: 안마부재
910, 930, 950: 안마구
940: 안마구 설치판
800: 프레임
11. 31, 41: 모터
901, 903, 905: 횡방향이동부재

Claims (2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방향이동부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마부재와;
    상기 안마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방향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길이방향이동부재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마부재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다수개의 상기 안마부재가 상기 횡방향이동부에 상호 이격되어 걸쳐서 놓인 상태로 상기 횡방향이동부의 횡방향 이동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높이방향이동부는 상기 다수개의 안마부재 중 상기 횡방향이동부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안마부재를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마부재의 하면과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의 상면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핀이 형성되고;
    상기 각 안마부재의 하면과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의 상면 중 타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안마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높이방향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방항이동부가 상승할 때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이동부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에 상기 횡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이동프레임과,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에 상기 횡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어 한 쌍씩에 상기 각 안마부재의 양측 가장자리가 걸쳐서 놓이는 다수개의 횡방향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은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 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에는 상기 높이방향이동부가 통과하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상기 높이방향이동부가 상기 개방구, 상기 공간 및 한 쌍의 상기 횡방향이동부재 사이를 통해 상기 안마부재를 상기 높이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에는 상기 횡방 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는 레일홈이 마련되어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의 상기 횡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호 대향하게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의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수평레일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상기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걸쳐 연결되는 밸트와,
    상기 한 쌍의 풀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밸트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길이방향이동부재용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재는 상기 밸트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른 상기 밸트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을 상기 횡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횡방향이동프레임이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횡방향이동부재이동용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방향이동부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마부재를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높이방향이동부용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부재는 경추용 안마부재, 흉추용 안마부재 및 요추용 안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흉추용 안마부재는 상기 안마부재가 설치되는 안마부재설치판에서 대향되어 돌출된 돌출편에 핀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마구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흉추용 안마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롤링운동을 하면서 흉추를 가압하여 마사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안마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00048433A 2010-05-25 2010-05-25 척추안마장치 KR10114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433A KR101145036B1 (ko) 2010-05-25 2010-05-25 척추안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433A KR101145036B1 (ko) 2010-05-25 2010-05-25 척추안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035A KR20110129035A (ko) 2011-12-01
KR101145036B1 true KR101145036B1 (ko) 2012-05-14

Family

ID=4549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433A KR101145036B1 (ko) 2010-05-25 2010-05-25 척추안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0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611A (ko) * 2002-09-16 2003-03-26 김창건 온열치료 및 마사지장치
KR200385117Y1 (ko) * 2005-02-23 2005-05-24 (주)한영정공 침대용 엘리베이션 지압장치
KR100698787B1 (ko) 2006-04-11 2007-03-23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체인의 안정화 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2009195543A (ja) 2008-02-22 2009-09-03 Matoba Denki Seisakusho:Kk ベッド型マッサージ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611A (ko) * 2002-09-16 2003-03-26 김창건 온열치료 및 마사지장치
KR200385117Y1 (ko) * 2005-02-23 2005-05-24 (주)한영정공 침대용 엘리베이션 지압장치
KR100698787B1 (ko) 2006-04-11 2007-03-23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체인의 안정화 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2009195543A (ja) 2008-02-22 2009-09-03 Matoba Denki Seisakusho:Kk ベッド型マッサージ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035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58176A1 (en) Hot acupressure and massage machine
KR20110011151A (ko) 견인 치료장치
KR102106096B1 (ko) 경추 지압 마사지기
KR20200005268A (ko) 척추경혈용 지압마사지기기
KR101535416B1 (ko) 척추 견인장치
CN211301018U (zh) 一种神经外科病人用康复护理装置
CN202909035U (zh) 移动牵引式动态按摩床
KR101145036B1 (ko) 척추안마장치
KR100419987B1 (ko) 척추 경혈용 지압장치
CN201375585Y (zh) 可调式脊椎复健装置
KR20060042367A (ko) 자동 온열 치료기용 이동식 승하강 장치
EP1415633B1 (en) Heat therapy system
KR100503032B1 (ko) 안마용 침대
KR101383252B1 (ko) 에어셀을 이용한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온열 치료기
CN2910256Y (zh) 一种温热治疗器
KR200419284Y1 (ko) 목 치료기
CN108464881B (zh) 脊柱多功能康复机器人
KR101231099B1 (ko) 물리 치료용 안마기
KR20130132682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온열 치료기
KR200419173Y1 (ko) 온열치료기
KR101454392B1 (ko) 지압 베드
KR102599199B1 (ko) 척추 마사지기용 모듈장치
EP3590488B1 (en) Treatment table provided with pressing means adapted to assume appropriate positions in a programmable manner
KR102553465B1 (ko) 도수치료장치
KR100779511B1 (ko) 후두부 긴장 이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