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644B1 -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644B1
KR101144644B1 KR1020080124037A KR20080124037A KR101144644B1 KR 101144644 B1 KR101144644 B1 KR 101144644B1 KR 1020080124037 A KR1020080124037 A KR 1020080124037A KR 20080124037 A KR20080124037 A KR 20080124037A KR 101144644 B1 KR101144644 B1 KR 10114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ilm
light
regi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620A (ko
Inventor
최승규
안철흥
김동현
김도형
김영관
안호진
연제민
Original Assignee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6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4Thermosetting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필름이 제공된다. 액정 필름은 기재,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 기재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엠보 패턴, 및 액정 단일막 내부 및 엠보 패턴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한다
액정 영역, 액정 단일막, 색변 방지제, 엠보 패턴,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istal film,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film}
본 발명은 액정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각 화소에 액정 분자배열이 변화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Tube; CRT),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는 달리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는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기 때문에 빛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어두운 곳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정보 표시면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원 어셈블리를 장착한다.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원 어셈블리는 크게 2종류로 구분된다. 첫째는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에서 빛을 제공하는 에지형 광원 어셈블리고 둘째는 액정 표시 장치의 후면에서 빛을 직접 제공하는 직하형 광원 어셈블리다. 에지형 광원 어 셈블리의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측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 도광판을 구비하며, 도광판을 통과한 빛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도광판 위쪽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 필름을 구비한다. 직하형 광원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휘선을 감소시키기 위해 확산판을 구비하며, 확산판을 통과한 빛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광학 필름을 구비한다. 몇몇 액정 표시 장치는 휘도를 개선하기 위해 광학 필름의 하나로서 액정 필름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릭 액정은 반사광 밴드폭이 그리 넓지 못하여, 단일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가시광 전파장을 커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가시광 전파장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액정층을 적층한다. 그러나, 다수의 액정층을 적층하면, 그 자체로 두께가 두꺼워져 광투과율이 불리해질 뿐만 아니라, 액정층간 접착제를 개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접착제에 의해서도 광투과율이 저하된다. 또, 접착제는 광 왜곡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이러한 액정 필름을 채용한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 광질, 화질이 저하된다.
또, 액정 필름이 광원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액정 분자들이 열화 및 비반응 액정이 경화되어 색변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게 되면, 액정 필름은 적층되어 있는 다른 광학 시트와 밀착되어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스크래치가 유발될 수 있다. 광학 시트에 정전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면, 광원 어셈블리로부터 출사되는 광질이 저하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들에 근거해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액정층만을 사용하면서도 가시광의 전파장 범위에 대해 소정의 반사율을 가짐과 동시에 색변 현상이 방지 내지 완화된 액정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하나의 액정층만을 사용하면서도 가 시광의 전파장 범위에 대해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면서도, 색변 현상이 방지 내지 완화되며,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와의 스크래치가 방지된 액정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휘도, 광질이 개선된 광원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휘도, 광질, 화질이 개선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은 액정 단일막, 및 상기 액정 단일막 내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은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 상기 기재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엠보 패턴, 및 상기 액정 단일막 내부 및 상기 엠보 패턴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은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 상기 기재의 타면 상에 형성된 밀착 방지층으로서, 일면이 기준면 및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엠보 패턴 면을 포함하는 밀착 방지층, 및 상기 액정 단일막 내부 및 상기 밀착 방지층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은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 상기 기재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비드, 상기 복수의 비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지지 코팅막, 및 상기 액정 단일막 내부, 및 상기 지지 코팅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어셈블리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 필름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들은 액정 단일막을 구비하면서도 가시광의 전파장 범위에 대해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필름의 두께가 감소하며, 광투과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 다층으로 적층할 때와는 달리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에, 접착제의 개재에 따른 빛의 왜곡 현상, 광투과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들은 액정 단일막이나 엠보 패 턴, 밀착 방지층, 지지 코팅막 등에 색변 방지제를 구비함으로써, 색변 현상이 방지 내지 완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액정 필름들은 엠보 패턴, 엠보 패턴면, 비드 등을 구비함으로써, 이웃하는 다른 광학 시트와 근접하거나 밀착되어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유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액정 필름 또는 다른 광학 시트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어셈블리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이 적용됨으로써, 두께가 얇아지고, 휘도가 개선되며, 색변 현상이 방지 내지 완화되고, 광 균일도 및 휘선 차폐 효과가 개선된다. 또, 광 간섭 효과가 억제되고, 정전기, 습기, 스크래치 등이 방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광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필름"은 "~시트", "~판"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99)은 기재(105), 기재(105)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110), 및 액정 단일막(110) 내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한다.
기재(105)는 액정 단일막(110)을 지지하며, 예컨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기재(105)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 ethylene naphtha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기재(105)로서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위상차 보상판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정 필름(99)에 위상차 보상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복합 필름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위상차 보상판을 기재(105)로 하여 그 일면에 직접 액정 단일막(110)을 형성하면, 접착제의 개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액정 필름(99)의 두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접착제의 개재에 따른 빛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재(105)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으로 적용된다. 기재(105)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0 내지 100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600㎛일 수 있다. 그러나, 기재(105)의 두께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음 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기재(105)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액정 필름은 액정 단일막(110) 및 액정 단일막(110) 내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액정 단일막(110)은 콜레스테릭 액정(또는 카이럴 네마틱 액정)을 포함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 crystal)과 키랄 도펀트(chiral dopan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일정한 피치(pitch)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꼬인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반복되는 꼬인 나선형 구조는 광의 브래그(Bragg) 반사를 유도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그 나선 방향에 따라 우선성(right-handed) 콜레스테릭 액정 및 좌선성(left-handed)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분류된다.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은 우원 편광된 빛은 반사하지만, 좌원 편광된 빛은 투과한다. 반대로, 좌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은 우원 편광된 빛은 투과하지만, 좌원 편광된 빛은 반사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콜레스테릭 액정은 그 콜레스테릭 액정이 반사하는 파장 범위 내에 포함된 빛의 50%는 투과하고, 나머지 50%는 반사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액정 피치)는 반사되는 빛의 파장에 관계된다. 콜레스테릭 액정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의 중심 파장은 대체로 액정 피치에 비례한다. 여기서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란, 콜레스테릭 액정이 반사하는 반사광이 소정의 밴드폭(band width)을 가질 경우, 그 밴드폭 내에서 최대 반사되는 파장 또는 그 밴드폭의 평균 파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광의 밴드폭이란, 입사된 빛의 약 30% 내지 약 70%를 반사할 수 있는 파장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입사된 빛의 약 40% 내지 약 60%를 반사할 수 있는 파장의 범위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입사된 빛의 약 약 50% 정도를 반사할 수 있는 파장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액정 단일막(110)은 복수의 액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액정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배향된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를 포함하며, 액정 피치에 따라 구분된다. 액정 영역의 수는 2 이상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액정 단일막(110)이 제1 액정 영역(111),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의 3개의 액정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지만, 액정 단일막(110)이 제1 액정 영역(111) 및 제2 액정 영역(112)의 2개의 액정 영역만을 포함하거나, 제1 내지 제2 액정 영역(111-113) 외에 제4, 제5 액정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 단일막(110)에는 서로 다른 액정 피치를 갖는 액정 영역이 수십개 내지 수십만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액정 단일막(110)은 복수개의 서로 다른 액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족하며, 그 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각 액정 영역이 소수의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만을 포함할 경우, 액정 단일막(110)에는 동일한 몇몇 액정 영역이 각각 여러 개 배치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무수히 많은 액정 영역이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술한 것처럼 각 액정 영역은 단지 액정 피치에 따라 구분된 영역의 개념이며, 이들 간 별도의 물리적인 구분은 불필요하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액정 영역(111) 내의 콜레스트렉 액정이나, 제2 액정 영역(112) 내의 콜레스테릭 액정, 제 3 액정 영역(113) 내의 콜레스테릭 액정은 모두 동일한 종류의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액정 단일막(110)은 액정 영역의 구분과는 별개로 모두 동일한 종류의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일한 액정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각 액정 영역은 액정 피치의 상이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액정 영역(111),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 내의 각 액정 피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액정 영역(111) 내의 콜레스테릭 액정은 제1 액정 피치(P1)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꼬인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제1 액정 영역(111) 내의 배향된 콜레스테릭 액정이 2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액정 영역(111) 내의 각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는 모두 공통적으로 제1 액정 피치(P1)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꼬인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액정 영역(112) 내의 콜레스테릭 액정은 제2 액정 피치(P2)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꼬인 나선형 구조를 갖고, 제3 액정 영역(113) 내의 콜레스테릭 액정은 제3 액정 피치(P3)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꼬인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1 액정 피치(P1), 제2 액정 피치(P2), 및 제3 액정 피치(P3)는 각각 서로 다른 피치이다.
상술한 것처럼 액정에 대한 반사광의 중심 파장은 액정 피치에 비례하기 때문에, 각 액정 영역이 모두 동일한 종류의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이루어져 모두 액정 굴절률이 동일하더라도, 제1 내지 제3 액정 영역(111-113)의 액정 피치(P1-P3)가 각각 다르게 되면, 각 액정 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파장(중심 파장)도 모두 상이해진다. 예를 들어, 제1 액정 영역(111)은 제1 파장의 빛을 반사하고, 제2 액정 영역(112)은 제1 파장과는 다른 제2 파장의 빛을 반사하며, 제3 액정 영역(113)은 제1 및 제2 파장과는 다른 제3 파장의 빛을 반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에서 빛의 진행 방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서 제1 광은 제1 파장(λ1)의 좌원 편광(L)된 빛과 제1 파장(λ1)의 우원 편광(R)된 빛을 포함하고, 제2 광은 제2 파장(λ2)의 좌원 편광(L)된 빛과 제2 파장(λ2)의 우원 편광(R)된 빛을 포함하고, 제3 광은 제3 파장(λ3)의 좌원 편광(L)된 빛과 제3 파장(λ3)의 우원 편광(R)된 빛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또, 제1 파장(λ1)은 제1 액정 영역(111)의 반사광의 중심광이되, 제2 및 제3 액정 영역(112, 113)의 반사광의 밴드폭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파장(λ2)은 제2 액정 영역(112)의 반사광의 중심광이되, 제1 및 제3 액정 영역(111, 113)의 반사광의 밴드폭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제3 파장(λ3)은 제3 액정 영역(113)의 반사광의 중심광이되, 제1 및 제2 액정 영역(11, 112)의 반사광의 밴드폭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된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내지 제3 액정 영역(11, 113)이 모두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이루어졌다고 가정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가정에 불과하며, 각 액정 영역이 좌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이루어지거나, 어떤 액정 영역은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이루어지고 어떤 액정 영역은 좌선성 콜레스트렉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동일 액정 영역 내에서도 좌선성 콜레스테릭 액정 및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정하에서, 액정 단일막(110)으로 입사된 제1 광은 제1 액정 영역(111)에 이르러, 좌원 편광(L)된 빛은 투과하지만, 우원 편광(R)된 빛은 반사된다.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의 콜레스테릭 액정도 우선성을 띨 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상기 가정에서 제1 파장(λ1)은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의 반사광의 밴드폭 내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제1 파장(λ1)의 좌원 편광(L)된 빛은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을 그대로 투과해 나간다.
마찬가지로, 제2 파장(λ2)의 제2 광은 제1 액정 영역(111)의 반사광의 밴드폭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액정 영역(111)은 그대로 투과하며, 제2 액정 영역(112)에 이르러 좌원 편광(L)된 빛은 투과되고, 우원 편광(R)된 빛은 반사된다. 제2 액정 영역(112)을 투과한 제2 파장(λ2)의 좌원 편광(L)된 빛은 제3 액정 영역(113)을 그대로 투과한다.
유사하게, 제3 파장(λ3)의 제3 광은 제1 액정 영역(111) 및 제2 액정 영역(112)의 반사광의 밴드폭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액정 영역(111) 및 제2 액정 영역(112)은 그대로 투과하며, 제3 액정 영역(113)에 이르러 좌원 편광(L)된 빛은 투과되고, 우원 편광(R)된 빛은 반사된다.
따라서, 제1 광, 제2 광 및 제3 광은 제1 액정 영역(111),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을 통과하면서, 좌원 편광(L)된 빛은 모두 투과되고, 우원 편광(R)된 빛은 모두 반사된다. 광이 좌원 편광(L)된 빛과 우원 편광(R)된 빛으로 분류되고, 이들이 동일하게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결론적으로 액정 단일 막(110)에 입사된 제1 광, 제2 광 및 제3 광은 약 50%만이 투과되고, 나머지 약 50%는 반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1 액정 영역(111)의 반사광의 밴드폭, 제2 액정 영역(112)의 반사광의 밴드폭, 제3 액정 영역(113)의 반사광의 밴드폭이 가시광의 전파장을 커버한다면, 가시광의 전파장 범위 내의 모든 빛에 대하여 특정 반사율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이 참조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액정 영역에 입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제1 액정 영역(111)에 입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여기서 제1 액정 영역(111)은 380nm 내지 520nm의 파장 범위 내에서 약 50%의 반사율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5b는 제2 액정 영역(112)에 입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여기서 제2 액정 영역(112)은 520nm 내지 650nm의 파장 범위 내에서 약 50%의 반사율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5c는 제3 액정 영역(113)에 입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여기서 제3 액정 영역(113)은 650nm 내지 780nm의 파장 범위 내에서 약 50%의 반사율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서로 다른 반사광 밴드폭을 갖는 제1 액정 영역(111),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은 그 내부에 존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액정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액정 단일막에 입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빛이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된 반사광 밴드폭 및 반사율을 갖는 제1 액정 영역(111),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을 모두 거친다면, 파장에 따른 투과율은 도 6으로 표시된다. 즉, 가시광의 전파장(380nm 내지 780nm)에 대하여 50%의 반사율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릭 액정은 반사광 밴드폭이 그리 넓지 못하여, 단일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가시광 전파장을 커버하기는 어렵지만, 이와 같이 영역별로 액정 피치를 달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반사광 밴드폭을 갖도록 하면, 동일한 종류의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액정 단일막(110)을 형성하더라도, 가시광 전파장에 대한 소정의 반사율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각 액정 영역의 반사광 밴드폭이 너무 좁은 경우라면, 액정 단일막(110) 내에 서로 다른 피치의 액정 영역이 더 많이 형성됨으로써, 가시광 전파장에 대한 소정의 반사율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액정 단일막(110) 내에 수십만개의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액정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면, 각 액정 영역의 반사광 밴드폭이 각각 1nm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가시광 전파장에 대하여 소정의 반사율을 갖게 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복수의 액정 영역을 포함하는 액정 단일막(110)에 의해 구현되는 반사율은 액정 영역의 수, 액정 영역의 분포, 각 액정 영역의 반사율, 각 액정 영역의 반사광 밴드폭, 콜레스테릭 액정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가시광의 전범위에 대하여 약 30% 내지 약 70%의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의 전범위에 대하여 약 40% 내지 약 60%의 반사율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의 전범위에 대하여 약 50%의 반사율을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각 액정 영역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액정 영역(111)은 다른 제1 액정 영역(111)과는 액정 피치가 동일함으로 인해 같은 액정 영역으로 인식되지만, 실제 분포상으로는 제2 액정 영역(112) 또는 제3 액정 영역(113)에 의해 단절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액정 영역(111)은 2개로 계산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특정 액정 영역은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개인 제1 액정 영역(111),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은 액정 단일막(110) 내에서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구조 상에서도 제1 내지 제3 액정 영역(111-113)은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구조 상에서도 랜덤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액정 영역(111),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은 액정 단일막(110) 내에서 입체적으로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가시광이 액정 단일막(110)을 통과하면서 그 입사 방향에 상관없이 제1 액정 영역(111),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을 적어도 1회씩 통과하도록 각 액정 영역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정 영역(111), 제2 액정 영역(112) 및 제3 액정 영역(113)이 층상 구조를 이루고 있으면,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입사된 빛이 모든 액정 영역을 1회씩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액정 단일막(110)의 반사율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액정 영역, 예컨데 제1 액정 영역(111)이 상하 방향으로 수 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사된 빛이 제1 액정 영역(111)을 수회 통과하면서 반사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서로 다른 액정 피치를 갖는 액정 영역의 수가 더욱 많아질수록 위에서 설명한 각 액정 영역의 배치는 더욱 다양해질 것이다.
이상에서는 액정 필름이 가시광의 전파장 범위에 대하여 약 30% 내지 약 70%의 반사율을 갖는 경우가 논의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시광의 일부 파장, 또는 다른 파장의 빛들, 예컨대 적외선, 자외선, X선 등이나, 고주파, 중파, 저주파의 전자기파 등에 대해 반사율을 갖도록 조절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반사율도 상기 범위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다양한 반사율이 채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액정 단일막(110)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8-0102601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은 본 명세서에 충분히 개시된 것처럼 원용되어 통합된다.
한편, 액정 단일막(110)이 광원에 의해 장시간 노출되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UV)에 의해 액정 단일막(110) 내의 액정들이 열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이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액정 분자가 산화되면서, 콜레스테릭 액정 구조가 변화거나, 미반응 액정이 경화됨으로써, 액정 피치의 변화가 유발된다. 그에 따라 백색광이 청색이나 녹색 또는 다른 색으로 시인되는 색상 변화 현상, 즉 색변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액정 단일막(110)은 액정층을 여러층 적층한 구조에 비해 두께가 얇고, 접착제층과 같이 달리 자외선을 차단할 만한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색변 현상에 취약하다.
이러한 색변 현상을 방지 내지 완화하기 위하여 액정 단일막(110) 내에 색변 방지제가 분산된이다.
색변 현상은 자외선의 조사에 의한 액정 분자의 산화에 의해 유발되므로, 색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 대책은 액정 단일막(110)이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색변 방지제로 UV 흡수제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UV 흡수제의 예로는 2,4 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도데실옥시-2 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타데실옥시벤조페논, 2,2' 디하이드록시- 4 메톡시벤조페논, 2,2' 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 디하이드록시-4 메톡시벤조페논, 2,2', 4,4' 테트라 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5 설포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2'-카복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5설포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메틸아릴옥시) 프로폭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 클로로벤조페논 등과 같은 벤조페논계 UV 흡수제, 2,2'-(하이드록시-5-메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및 2,2'-(하이드록시-X-tert, 부틸-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등과 같은 벤조트리아졸계 UV 흡수제, 페닐 살리실레이트, 카복시페닐 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스트론튬 살리실레이트, p-ter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도데실 살리실레이트 등과 같은 살리실레이트계 UV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히드록시페놀-트리아진 등과 같은 트리아진계 UV 흡수제나,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5-디-ter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p-크레졸,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2-벤조트리아졸-2-일-4,6-디-tert-부틸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tert-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딜메틸)페놀,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300 의 반응 생성물, 2-(2H-벤조트리아졸-2-일)-6-(직쇄 및 측쇄 도데실)-4-메틸페놀 등과 같은 트리아졸계 UV 흡수제가 적용될 수 있다. 기타, UV 흡수제로서, 레소시놀 모노벤조에이트, 2'에틸 헥실-2-시아노, 3-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 아크릴레이트, 에틸-2-시아노-3,3-디페닐 아크릴레이트, [2-2'-티오비스(4-t-옥틸페놀레이트)-l-n-부틸아민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물질들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몇몇 실시예에서는 색변 방지를 위한 UV 흡수제로서,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실]-2-히드록시페놀]-4,6-bis(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과 2-[4-[(2-히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실]-2-히드록시페놀]-4,6-bis(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히드록시페놀-트리아진과,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의 단독 또는 혼합물이 적용된다.
또, 색변 현상은 액정 분자가 산화되면서 유발되므로, 색변 방지제로서 산화 방지제를 사용하면 액정 분자의 변성을 막아 색변 현상을 방지 내지 완하시킬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산화 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 방지제를 들 수 있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구체예로는, 단환 페놀 화합물로서, 2,6-디-t-부틸-p-크레졸, 2,6-디-t-부틸-4-에틸페놀, 2,6-디시클로헥실-4-메틸페놀, 2,6-디이소프로필-4-에틸페놀, 2,6-디-t-아밀-4-메틸페놀, 2,6-디-t-옥틸-4-n-프로필페놀, 2,6-디시클로헥실-4-n-옥틸페놀, 2-이소프로필-4-메틸-6-t-부틸페놀, 2-t-부틸-4-에틸-6-t-옥틸페놀, 2-이소부틸-4-에틸-6-t-헥실페놀, 2-시클로헥실-4-n-부틸-6-이소프로필페놀, 스티렌화 혼합 크레졸, DL-α-토코페롤,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2 고리 페놀 화합물로서,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1-메틸시클로헥실)-p-크레졸],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2,2'-부틸리덴비스(2-t-부틸-4-메틸페놀), 3,6-디옥사옥타 메틸렌비스[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3 고리 페놀 화합물로서,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스(2,6-디메틸-3-히드록 시-4-t-부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4-t-부틸-2,6-디메틸-3-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등을, 4 고리 페놀 화합물로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을, 인 함유 페놀 화합물로서,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에틸)칼슘,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에틸)니켈 등을 들 수 있다.
인계 산화 방지제의 구체예로는, 트리옥틸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이소데실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옥틸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옥틸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데실포스파이트, 디페닐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부톡시에틸)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디포스파이트,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알킬포스파이트 (단, 알킬은 탄소수 12~15 정도),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2-t-부틸페놀)?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비페닐)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1,1,3-트리스(2-메틸-5-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탄디포스파이트,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포스파이트, 수소화-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폴리포스파이트, 비스(옥틸페닐)?비스[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1,6-헥산디올디포스파이트, 헥사트리데실-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디포스파이트, 트리스[4,4'-이소프 로필리덴비스(2-t-부틸페놀)]포스파이트, 트리스(1,3-디스테아로일옥시이소프로필)포스파이트, 9,10-디히드로-9-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노닐페닐)펜타에리트 리톨디포스파이트, 페닐?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및 페닐비스페놀-A-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황계 산화 방지제로는,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알킬티오프로피온산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로는, 탄소수 6~20의 알킬기를 갖는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가 바람직하고, 또 알킬티오프로피온산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로는, 탄소수 4~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티오프로피온산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다가 알코올의 예로는,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및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알킬티오프로피온산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트리부틸티오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린트리옥틸티오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린트리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린트리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부틸티오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옥틸티오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부틸티오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옥틸티오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산화 방지제의 구체예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숙신산 디메틸과 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에탄올의 중축합물, N,N',N'',N'''-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 10-디아민, 디부틸아민?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비스-(1,2,6,6-펜타메틸-4-페피리딜)-2-(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로네이트, 비스-(N-메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믹스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믹스드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믹스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에틸]-1,2,3,4-부탄테트라카르 복시레이트, 믹스드[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에틸]-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6-클로로-1,3,5-트리아진 축합물, 폴리[6-N-모르폴릴-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드],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1,2-디브로모에탄의 축합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2-메틸-2-(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프로피온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색변 방지제는 UV 흡수제와 산화 방지제의 예로서 열거된 상기 물질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색변 방지제는 액정 단일막(110) 내에서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단일막(110)에 대한 색변 방지제의 함량은 예컨대, 0.001 내지 20중량%, 0.01 내지 10중량% 또는 0.1 내지 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은 액정 단일막을 구비하면서도 가시광의 전파장 범위에 대해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필름의 두께가 감소하며, 광투과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 다층으로 적층할 때와는 달리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에, 접착제의 개재에 따른 빛의 왜곡 현상, 광투과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은 액정 단일막 내에 색변 방지제를 구비함으로써, 색변 현 상이 취약한 액정 단일막으로부터 색변 현상을 방지 내지 완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100)은 기재(105), 기재(105)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110), 기재(105)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엠보 패턴(120) 및 색변 방지제를 포함한다.
기재(105) 및 액정 단일막(110)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엠보 패턴(120)은 액정 필름(100) 기재(105)의 타면이 이웃하는 다른 광학 시트(미도시), 광학판(미도시), 또는 액정 패널(미도시) 등과 근접하거나 밀착함으로써,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유동에 의한 마찰이 발생할 경우, 기재(105)의 타면 및/또는 이웃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 등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색변 방지제는 액정 단일막(110) 내부 및 엠보 패턴(120)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된이다. 즉, 색변 방지제는 액정 단일막(110) 내부에만 분산되거나, 엠보 패턴(120)의 내부에만 분산되거나, 액정 단일막(110) 내부 및 엠보 패턴(120)의 내부 모두에 분산될 수 있다. 다만, 색변 방지제가 엠보 패턴(120)의 내부에 분산될 경우에는 색변 방지제로서 UV 흡수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이 액정 단일막(110) 측으로 입사할 때, 엠보 패턴(120)을 거쳐 입사될 수 있기 때문에, 엠보 패턴(120) 내에 UV 흡수제가 있으면, 자외선을 미연에 흡수하므로, 액정 단일막(110) 측으로의 자외선 입사가 차단될 수 있다. 엠보 패턴(120)내에 UV 흡수제 대신 산화 흡수제가 적용된다면, 엠보 패턴(120)은 액정과는 무관하므로, 위와 같은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바람직하기로는, 액정 단일막(110) 및 엠보 패턴(120) 모두에 색변 방지제를 분산시키는 것이 색변 현상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그 밖의 색변 방지제의 종류, 구성 물질, 형상, 배치 등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계속해서, 액정 필름(100)의 엠보 패턴(12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각 엠보 패턴(120)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엠보 패턴(120)은 소정 간격(D) 이격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엠보 패턴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엠보 패턴(120)은 그 단면이 반원(도 8a), 사다리꼴(도 8b), 삼각형(도 8c)인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도 8d에 도시된 것처럼, 무정형의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엠보 패턴(120)의 구체적인 형상에 상관없이, 엠보 패턴(120)이 기재(105)의 타면에 접하는 면의 폭을 엠보 패턴의 직경(R)으로 정의하고, 엠보 패턴(120)이 기재(105)의 타면으로부터 최대 돌출된 거리를 엠보 패턴의 높이(h)로 정의하면, 엠보 패턴(120)의 직경(R)은 약 0.1㎛ 내지 100㎛이고, 엠보 패턴(120)의 높이(h)는 약 0.05㎛ 내지 50㎛일 수 있다.
엠보 패턴(12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액정 필름(100)의 광투과율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는, 엠보 패턴(120)이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 등을 스크래치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이나 액정 패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유사한 경도를 갖는다 함은 예컨대, 모오스 경도의 차가 1 이내의 범위인 경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사 경도의 범위 내에서, 엠보 패턴(120)의 첨단이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 등과 접촉하더라도, 스크래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엠보 패턴(120)은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보다 경도가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정 필름(100)이 다른 광학 시트와 인접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액정 필름(100)의 엠보 패턴(120)이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보다 경도가 낮을 경우, 두 시트간 상호 마찰이 일어나더라도, 엠보 패턴(120)의 접촉면이 그라인딩(grinding)될지언정,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의 표면은 스크래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엠보 패턴(120)이 그라인딩되어 모두 제거되기까지는 액정 필름(100)의 기재(105) 표면도 계속해서 스크래치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관점에서, 엠보 패턴(120)은 인접하는 광학 시트보다 모오스 경도가 1 이상 낮은 물질, 바람직하게는 1.5이상 낮은 물질,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엠보 패턴(120)은 마찰 계수가 0.35 이하인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엠보 패턴(120)의 마찰 계수가 0.35 이하이면, 엠보 패턴(120)의 첨단이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 등과 접촉하더라 도, 외부로부터 압력이 작용하였을 때, 그 접촉면에서 쉽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스크래치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마찰 계수의 조건을 만족하는 일 예로, 엠보 패턴(120)은 UV 경화성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용가능한 UV 경화성 물질의 예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터계, 실리콘계, 에스테르계 등의 반응성 올리고머 및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다관능성 (디,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예컨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펜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트리에틸렌디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이소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마이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t-옥틸(메타)아크릴아마이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몰포린, 디싸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 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싸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펜타디엔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열거된 물질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윤활성이 높은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계 첨가제 및 불소계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기(silicon group)를 가지는 반응성 모노머 혹은 반응성 올리고머(예컨대, 실리콘기 함유 비닐 화합물, 실리콘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메타)아크릴옥시기 함유 오가노실록산,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 등), 불소기(fluorine group)를 가지는 반응성 모노머 혹은 반응성 올리고머(예컨대,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비닐 화합물,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불소 폴리아크릴레이트 등), 실리콘기 혹은 불소기를 가지는 수지(예컨대, 폴리디메틸실록산, 불소 중합체 등), 실리콘기 혹은 불소기를 가지는 계면활성제나 오일(예컨대 디메틸 실리콘 오일 등) 등이 단독 또는 혼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UV 경화성 물질과 첨가제의 함량비는 100중량부 : 0.001중량부 내지 100중량부 : 10중량부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 0.01중량부 내지 100중량부 : 5중량부일 수 있다.
엠보 패턴(120)은 UV 경화성 물질과 첨가제 외에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벤질 케탈류, 벤조인 에테르류, 아세토페논 유도체, 케톡심 에테르류, 벤조페논, 벤조 또는 티옥산톤계 화합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자유라디칼 개시제, 오늄 염(onium salts), 페로세늄 염(ferrocenium salts), 및 디아조늄 염(diazonium salts)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성 개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액정 필름(100)의 광투광율 확보와,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 광학판, 액정 패널과의 밀착 방지, 정전기 방지, 및 스크래치 방지 정도는 상술한 엠보 패턴(120)의 구성 물질 등과 함께, 엠보 패턴(120)의 형상, 배치 등에 따라 달라진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9 내지 도 12가 참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이 다른 광학 시트와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9는 몰드 프레임(50)의 제1 안착단(81)에 다른 광학 시트가 안착되어 있고, 그 바로 위에 액정 필름(100)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액정 필름(100)의 기재(105)의 하면에 적절한 높이를 갖는 복수의 엠보 패턴(120)이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광학 시트(70)의 상면이 평탄하더라도, 광학 시트(70)와 액정 필름(100)은 액정 필름(100)의 엠보 패턴(120)에서만 접촉할 뿐, 광학 시트(70)의 상면과 액정 필름(100)의 기재(105)는 직접 접촉하지 않고, 소정거리 이격된다. 따라서, 광학 시트(70)와 액정 필름(100)는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면이 밀착되지 않는다. 그 결과, 광학 시트(70)와 액정 필름(100)간 정전기가 방지되고, 액정 필름(100) 기재(105)면의 스크래치가 방지될 수 있다.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 시트(70)의 상면에 접하는 엠보 패턴(120)이 마찰 계수가 0.35 이하인 물질로 이루어지면, 인접하는 다른 광학 시트(70)의 스크래치도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액정 필름(100)에서 엠보 패턴(120)이 점유하는 면적을 최소로 하면, 광투과율의 저하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액정 필름(100)에 엠보 패턴(120)이 형성되어 있으면, 다른 광학 시트(70)와의 대면 밀착성이 저하됨은 자명하지만, 이들간 반밀착 신뢰도를 충분히 담보하기 위해서는 엠보 패턴(120)의 높이 및 배치가 적절히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9의 예에서 액정 필름(100)과 광학 시트(70)가 대면적(大面積)일 때, 엠보 패턴(120)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광학 시트(70)의 상면과 액정 필름(100)의 기재(105)가 밀착될 가능성이 높아져, 반밀착 신뢰도가 저하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엠보 패턴(120)의 높이(h)를 약 0.0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설정하면, 높은 수준의 반밀착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엠보 패턴(120)의 높이(h)는 기재(105)의 두께에 비례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엠보 패턴(120)의 높이(h)는 기재(105)의 두께의 0.0001 내지 0.5배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엠보 패턴(120)의 직경(R)보다 엠보 패턴(120)의 높이(h)가 너무 크면 엠보 패턴(120) 자체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엠보 패턴(120)의 높이(h)에 비해 엠보 패턴(120)의 직경(R)이 너무 크면 불필요하게 기재(105) 전체의 면적에 대한 엠보 패턴(120)의 점유 면적이 넓어져 광투과 특성이 불리해진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엠보 패턴(120)의 직경(R)과 엠보 패턴(120)의 높이(h)의 비는 약 10 : 1 내지 1 : 10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액정 필름의 엠보 패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들이다. 도 10a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엠보 패턴(120)은 일정한 행렬의 위치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0a는 반복적으로 배치된 정사각형의 꼭지점 상에 엠보 패턴(120)들이 배열된 예이다. 본 발명의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엠보 패턴(120)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질서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엠보 패턴(120)의 간격(D)이 너무 크면, 인접 광학 시트(70)의 상면과 액정 필름(100)의 기재(105)가 밀착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웃하는 엠보 패턴(120)의 최대 간격(D)은 약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엠보 패턴(120)의 간격(D)이 너무 좁으면 단위 면적당 엠보 패턴(120)의 수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엠보 패턴(120)이 점유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광투과 특성이 불리해진다. 따라서, 엠보 패턴(120)의 최소 간격(D)은 약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투과 특성을 고려할 때, 엠보 패턴(120)이 점유하는 면적은 전체 기재(105) 면적의 0.001% 내지 95%의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의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엠보 패턴(120)의 점유 면적은 각 엠보 패턴의 직경, 엠보 패턴의 수, 엠보 패턴의 간격, 엠보 패턴의 밀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반밀착성과 광투과 특성을 함께 고려하면, 이웃하는 엠보 패턴 간 평균 간격(D)은 예컨대 약 5㎛ 내지 500㎛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이 다른 광학 시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11는 몰드 프레임(80)의 제1 안착단(81)에 다른 광학 시트(70)가 안착되어 있고, 몰드 프레임(80)의 제2 안착단(82)에 액정 필름(100)이 안착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학 시트(70)와 액정 필름(100)은 양쪽 사이드에서 대략 제2 안착단(82)의 두께 이상의 이격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액정 필름(100)과 광학 시트(70)가 대면적이거나, 외부로부터 수평 방향의 압력이 작용하면, 종종 광학 시트(70) 및/또는 액정 필름(100)의 중앙 부분이 휠 수 있다. 이렇게, 광학 시트(70) 및/또는 액정 필름(100)가 휘면 광학 시트(70) 및 액정 필름(100)간 완전한 이격이 담보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처럼 광학 시트(70)는 정상적으로 평탄하게 유지되어 있는데, 액정 필름(100)이 아래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서, 중앙 부분에서 광학 시트(70)와 액정 필름(100)이 서로 접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안착단(81, 82)에 안착되어 양 사이드의 이격이 담보되어 있더라도, 이러한 안착 양태가 중앙부의 이격까지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의 안착 양태에 적용가능한 엠보 패턴(120) 배치의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엠보 패턴(120)은 기재를 1/3로 등분한 중앙부(CP) 및 양 사이드부(SP)에 따라 상이한 밀도로 배치되어 있다. 중앙부(CP)는 이웃하는 광학 시트(70)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엠보 패턴(120)의 밀도가 높은 반면, 양 사이드부(SP)는 제2 안착단(82)에 의해 이격이 담보되어 있으므로, 엠보 패 턴(120)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도 무방하다. 같은 중앙부(CP) 내에서는 엠보 패턴(120)의 밀도가 일정할 수도 있지만, 도 11에서처럼 정중앙선으로 갈수록 엠보 패턴(120)의 밀도가 커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 양 사이드부(SP)의 경우에도 중앙부(CP)에 가까울수록 엠보 패턴(120)의 밀도가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엠보 패턴(120)은 정중앙선에 가까울수록 높은 밀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양 사이드부(SP)의 엠보 패턴(1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1의 안착 양태에서도 도 10a 및 도 10b에서와 같은 엠보 패턴의 배치를 적용할 수도 있지만, 도 12의 배치를 적용하는 것이 액정 필름(100)의 전체 광투과 특성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액정 필름(101)은 기재(105), 기재(105)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110), 기재(105)의 타면 상에 형성된 밀착 방지층(125), 액정 단일막(110) 내부 및 밀착 방지층(125)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한다. 기재(105) 및 액정 단일막(11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색변 방지제도 엠보 패턴(120) 대신 밀착 방지층(125) 내에 분산될 수 있다는 차이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밀착 방지층(125)의 타면은 기준면(121) 및 기준면(121)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엠보 패턴면(122)을 포함한다. 밀착 방지층(125)의 엠보 패턴면(122)은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엠보 패턴(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엠보 패턴면(125)의 형상, 밀착 방지층(125)의 기준면(121)에 대한 엠보 패턴면(122)의 돌출 높이, 엠보 패턴면(122)의 배치 등은 이미 설명한 엠보 패턴(120)의 형상, 기재(105)에 대한 엠보 패턴(120)의 높이, 엠보 패턴(120)의 배치 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 엠보 패턴면(122)을 포함하는 밀착 방지층(125)은 엠보 패턴(120)의 구성 물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의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들(103_1, 103_2, 103_3)은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엠보 패턴(120) 대신에 비드(130)를 채용한다. 즉, 기재(105)의 타면에 복수의 엠보 패턴(120) 대신에 복수의 비드(130)가 형성된다. 비드(130)는 예를 들어, 유기 비드 및 무기 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비드로는 아크릴, 스티렌,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프로필렌, 에틸렌, 실리콘, 우레탄,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모노머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비드로는 실리카, 지르코니아, 탄산칼슘, 황산바륨, 티타늄 산화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비드(130)가 엠보 패턴(120)의 역할을 대체하므로, 비드(130)의 형상이나 배치는 이미 설명한 엠보 패턴(120)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복수의 비드(130)는 기재(105)의 지지 코팅막(140)에 의해 기재(105)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코팅막(140)은 액정 필름(103_1, 103_2, 103_3)의 기재(105)의 타면에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드(130)를 감싼다. 예를 들어, 지지 코팅 막(140)은 도 14a에 도시된 것처럼, 비드(130)의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도 14b에 도시된 것처럼, 비드(130)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지지 코팅막(140)은 도 14c에 도시된 것처럼,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비드(130)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코팅막(140)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및 에스테르 아크릴리에트 등과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색변 방지제는 액정 단일막(110) 내부 및 지지 코팅막(140)의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들은 액정 단일막을 구비하면서도 가시광의 전파장 범위에 대해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필름의 두께가 감소하며, 광투과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 다층으로 적층할 때와는 달리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에, 접착제의 개재에 따른 빛의 왜곡 현상, 광투과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들은 액정 단일막이나 엠보 패턴, 밀착 방지층, 지지 코팅막 등에 색변 방지제를 구비함으로써, 색변 현상을 방지 내지 완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액정 필름들은 엠보 패턴, 엠보 패턴면, 비드 등을 구비함으로써, 이웃하는 다른 광학 시트와 근접하거나 밀착되어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유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액정 필름 또는 다른 광학 시트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액정 필름은 광원 어셈블리나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채용되어, 광 효율을 증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광원 어셈블리는 램프가 하부에 위치하는 직하형 광원 어셈블리, 램프가 사이드에 위치하는 에지형 광원 어셈블리 등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은 어떠한 종류의 광원 어셈블리에도 채용가능하다. 또, 액정 패널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백라이트(back light) 어셈블리나 액정 패널의 위쪽에 배치되는 프론트 라이트(front light) 어셈블리에도 적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적용예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이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6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300), 액정 패널 어셈블리(400), 및 탑 샤시(50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램프(310), 램프(3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 필름(315), 및 출사된 빛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확산판(320)과 광학 필름들(330)을 포함한다.
램프(310)는 예를 들어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램프(310)의 아래에는 반사 필름(315)이 배치되어, 램프(310)로부터 아래로 출사된 빛을 상부로 반사한다.
램프(310)의 상부에는 확산판(320) 및 광학 필름들(230)이 배치된다. 확산판(320)은 램프(310)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킨다. 광학 필름들(330)은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필름, 입사된 빛을 집광하는 프리즘 시트, 입사된 원편광을 일부 반사하는 액정 필름, 원편광 빛을 선형 편광으로 변환시키는 위상차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액정 필름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을 적용하면, 입사하는 가시광의 전 파장에 대하여 원편광된 빛의 50%는 투과하고 50%는 반사시켜, 광이용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나아가,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은 액정 단일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층을 적층한 경우보다 두께가 얇아 광효율이 뛰어나다. 또한, 접착제가 개재될 필요가 없어 광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들은 액정 단일막이나 엠보 패턴, 밀착 방지층, 지지 코팅막 등에 색변 방지제를 구비함으로써, 색변 현상이 방지 내지 완화될 수 있다.
더군다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은 엠보 패턴, 엠보 패턴면 또는 비드 등을 구비함으로써, 이웃하는 광학 시트와의 밀착, 근접이 방지되어 정전기나 스크래치가 감소될 수 있다.
램프(310), 반사 필름(315), 확산판(320) 및 광학 필름들(330)은 바텀 샤시(340) 및 몰드 프레임(350)에 의해 수납된다. 바텀 샤시(34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300)의 최하부면을 이루며, 바텀 샤시(340) 위에는 창틀 형상의 몰드 프레임(350)이 배치되어, 몰드 프레임(350)에 구비된 안착단에 광확산판(320), 광학 필 름들(330) 및 액정 패널(410)을 안착시킨다.
액정 패널 어셈블리(400)는 제1 표시판(411), 제2 표시판(412)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410), 제1 표시판(411) 및 제2 표시판(412)의 표면에 부착된 편광판(420), 액정 패널(3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데이터 TCP(Tape Carrier Package)(430), 데이터 TCP(430)에 부착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440)을 포함한다. 데이터 TCP(430) 상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431)가 실장되어 있다. 또, 데이터 TCP(430)의 부착 측면에 인접한 액정 패널(410)의 타측에는 게이트 TCP(미도시)가 부착되어 있고, 게이트 TCP 상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가 실장되어 있다.
탑 샤시(500)는 액정 패널(410)의 테두리를 덮으며, 액정 패널(41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300)의 측면을 감싼다. 데이터 TCP(430) 및 인쇄 회로 기판(440) 등은 절곡되어 바텀 샤시(340)의 측벽과 탑 샤시(500)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 수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이 적용됨으로써, 두께가 얇아지고, 휘도가 개선되며, 색변 현상이 방지 내지 완화되고, 광 간섭 효과가 억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액정 영역, 제2 액정 영역, 및 제3 액정 영역 내의 각 액정 피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에서 빛의 진행 방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액정 영역에 입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액정 단일막에 입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엠보 패턴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이 다른 광학 시트와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액정 필름의 엠보 패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이 다른 광학 시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액정 필름의 엠보 패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3,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의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액정 필름 105: 기재
110: 액정 단일막 120: 엠보 패턴
130: 비드 111-113: 제1 내지 제3 액정 영역
140: 지지 코팅막 300: 백라이트 어셈블리
400: 액정 패널 어셈블리 500: 탑 샤시
600: 액정 표시 장치

Claims (19)

  1. 액정 단일막; 및
    상기 액정 단일막 내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단일막은 제1 액정 영역 및 제2 액정 영역을 포함하는 액정 필름.
  2.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
    상기 기재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엠보 패턴; 및
    상기 액정 단일막 내부 및 상기 엠보 패턴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단일막은 제1 액정 영역 및 제2 액정 영역을 포함하는 액정 필름.
  3.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
    상기 기재의 타면 상에 형성된 밀착 방지층으로서, 일면이 기준면 및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엠보 패턴면을 포함하는 밀착 방지층; 및
    상기 액정 단일막 내부 및 상기 밀착 방지층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하는 액정 필름.
  4.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단일막;
    상기 기재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비드;
    상기 복수의 비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지지 코팅막; 및
    상기 액정 단일막 내부, 및 상기 지지 코팅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산된 색변 방지제를 포함하는 액정 필름.
  5. 제3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단일막은 제1 액정 영역 및 제2 액정 영역을 포함하는 액정 필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 영역은 제1 액정 피치를 갖고,
    상기 제2 액정 영역은 상기 제1 액정 피치와 다른 제2 액정 피치를 갖는 액정 필름.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 영역은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제1 파장이고,
    상기 제2 액정 영역은 반사광의 중심 파장이 상기 제1 파장과 다른 제2 파장인 액정 필름.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 영역 및 제2 액정 영역은 각각 동일한 종류의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필름.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단일막 내에서 상기 각 제1 액정 영역 및 상기 각 제2 액정 영역이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는 액정 필름.
  10.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단일막은 380 내지 780nm의 입사광을 30% 내지 70% 반사하는 액정 필름.
  11.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 방지제는 UV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필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UV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UV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UV 흡수제, 살리실레이트계 UV 흡수제, 트리아졸계 UV 흡수제, 및 트리아진계 UV 흡수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필름.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 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필름.
  1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 패턴은 UV 경화성 물질; 및
    첨가제로서, 실리콘계 첨가제와 불소계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필름.
  1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방지층은 UV 경화성 물질; 및
    첨가제로서, 실리콘계 첨가제와 불소계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필름.
  16. 제2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UV 경화성 물질; 및
    첨가제로서, 실리콘계 첨가제와 불소계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필름.
  1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유기 비드 및 무기 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코팅막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필름.
  18.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정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19.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정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80124037A 2008-12-08 2008-12-08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144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37A KR101144644B1 (ko) 2008-12-08 2008-12-08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37A KR101144644B1 (ko) 2008-12-08 2008-12-08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620A KR20100065620A (ko) 2010-06-17
KR101144644B1 true KR101144644B1 (ko) 2012-05-11

Family

ID=4236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037A KR101144644B1 (ko) 2008-12-08 2008-12-08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6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832A (ja) * 1999-06-22 2001-01-12 Nippon Mitsubishi Oil Corp コレステリック液晶フィルム
JP2001081469A (ja) 1999-09-13 2001-03-27 Nippon Mitsubishi Oil Corp 液晶材料および液晶フィルム
KR20070098026A (ko) * 2006-03-30 2007-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JP2008093920A (ja) 2006-10-11 2008-04-24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液晶付きシー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832A (ja) * 1999-06-22 2001-01-12 Nippon Mitsubishi Oil Corp コレステリック液晶フィルム
JP2001081469A (ja) 1999-09-13 2001-03-27 Nippon Mitsubishi Oil Corp 液晶材料および液晶フィルム
KR20070098026A (ko) * 2006-03-30 2007-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JP2008093920A (ja) 2006-10-11 2008-04-24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液晶付きシー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620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9771B1 (en) Lightguide with optical film containing voids
US9229149B2 (en) Optical constructions incorporating a light guide and low refractive index films
US20100165603A1 (en) Backlight module
KR100961596B1 (ko) 좁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광학필름
KR20080024471A (ko) 반사성 편광기 및 그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1620337A (zh) 包括被约束的不对称漫射器的光学元件
KR20090080297A (ko) 프리즘 복합필름
KR101144644B1 (ko)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155878B1 (ko) 반사 편광자,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US11604308B2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101530864B1 (ko)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00043900A (ko)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60140208A (ko)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과 표시장치
JP2016200716A (ja) 液晶表示装置
KR101492921B1 (ko)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75232A (ko)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및 조명장치
KR20100047571A (ko) 액정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001322B1 (ko) 광학 시트, 광학 시트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KR20100128259A (ko) 반사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7331379A (ja) 保護シートおよび保護シートを含む液晶表示装置
KR101053789B1 (ko) 복합 광학 필름
KR10239943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80037585A (ko) 확산판, 이를 구비한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및액정표시장치
KR20100023744A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175748B1 (ko) 색보정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