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453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453B1
KR101144453B1 KR1020090107487A KR20090107487A KR101144453B1 KR 101144453 B1 KR101144453 B1 KR 101144453B1 KR 1020090107487 A KR1020090107487 A KR 1020090107487A KR 20090107487 A KR20090107487 A KR 20090107487A KR 101144453 B1 KR101144453 B1 KR 10114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module unit
emitting modul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902A (ko
Inventor
홍성호
강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453B1/ko
Priority to EP15151194.6A priority patent/EP2863117B1/en
Priority to EP10188261.1A priority patent/EP2320128B1/en
Priority to US12/939,559 priority patent/US8573802B2/en
Priority to CN201010543783XA priority patent/CN102072425B/zh
Publication of KR2011005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453B1/ko
Priority to US14/049,015 priority patent/US920076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12Combinations of only three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10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면에 제1 수납홈을 포함하는 방열몸체; 상기 제1 수납홈에 배치되어 입사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구조물; 상기 방열몸체의 제1면의 둘레에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모듈부; 및 상기 발광모듈부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부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반사구조물로 반사시키는 반사형 커버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실시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눈부심이 감소되어 은은한 빛을 제공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면에 제1 수납홈을 포함하는 방열몸체; 상기 제1 수납홈에 배치되어 입사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구조물; 상기 방열몸체의 제1면의 둘레에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모듈부; 및 상기 발광모듈부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부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반사구조물로 반사시키는 반사형 커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눈부심이 감소되어 은은한 빛을 제공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조명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조명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하면에 제1 수납홈(47)을 포함하는 방열몸체(40)와, 상기 제1 수납홈(47)에 배치되는 반사구조물(30)과,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면의 둘레에 발광모듈부(20)와, 상기 발광모듈부(20)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반사구조물(30)로 반사시키는 반사형 커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몸체(40)의 상면에는 제2 수납홈(4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납홈(48)에는 전원제어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50)는 상기 발광모듈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모듈부(20)에 전원 및/또는 구동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천정이나 벽면 등의 외부 지지부재(미도 시)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반사형 커버(10)에 반사되어 상기 반사구조물(30)을 향해 입사되게 되며, 상기 반사구조물(30)로 입사된 빛은 상기 반사구조물(30)에 의해 다시 반사됨으로써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적어도 두 차례의 반사를 거쳐 눈부심(glare)이 감소된 은은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상기 적어도 두 차례의 반사를 거치면서 빛의 파장을 변화시키거나 광촉매를 반응시키는 등 다양한 작용이 수반되도록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각 구성 요소 및 그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방열몸체(40)는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생성되는 열을 방출하는 동시에, 상기 조명 장치(1)의 몸체를 이룬다.
상기 방열몸체(40)는 열 방출 효율이 뛰어난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몸체(40)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몸체(40)의 표면적을 넓혀 열 방출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방열몸체(40)의 측면에는 요철(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41)의 형상은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면에는 상기 제1 수납홈(47)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2 수납홈(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납홈(47)에는 상기 반사구조물(30)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납홈(48)에는 상기 전원제어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수납홈(48)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열몸체(40)를 위에서 바라본 형상은 도시된 것과 같은 원형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방열몸체(40)의 상부 영역에는 천정 또는 벽면 등의 외부 지지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재(4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재(44)에 형성된 홀에 결합나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방열몸체(40)가 상기 외부 지지부재(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방열몸체(40)의 상측에는 나사홈(44b)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 지지부재(미도시)에 준비된 결합홈에 상기 조명 장치(1)를 돌려서 끼워넣을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조명 장치(1)를 상기 외부 지지부재(미도시)에 부착 또는 결합하는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반사형 커버(10)를 결합하기 위한 단차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형 커버(10)는 상기 단차부(42)에 결합 나사(14)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모듈부(20)는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면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모듈부(20)는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면의 상기 제1 수납홈(47)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20)는 기판(21)과 상기 기판(21)에 탑재된 복수의 발광 소 자(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21)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으로,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 연성 PCB(Flexible PCB), 메탈 코아 PCB(Metal Core PCB), 세라믹 PCB, 기타 다른 재질의 PC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판(21)의 형태는 상기 방열몸체(40)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몸체(40)를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원형인 경우, 상기 기판(21)도 원형의 링(r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21)을 원형의 링 형태로 제작하기 어려운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직선 형태의 기판(21a)을 복수 개 준비한 뒤, 복수 개의 기판(21a)을 상기 원형에 근접하게 대응하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2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 가시광선 영역의 빛, 자외선(UV) 영역의 빛, 적외선(IR) 영역의 빛을 각각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종류나 수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발광모듈부(20)와 상기 방열몸체(40) 사이에는 방열판(27)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판(27)을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면의 둘레에 부착한 후, 상기 방열판(27)에 상기 발광모듈부(20)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27)은 열전도성 테이프 또는 열전도성 접착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 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구조물(30)은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제1 수납홈(47)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구조물(30)은 상기 반사형 커버(1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반사구조물(30)은 반구형의 반사면(32)과, 상기 반사면(32)의 둘레에 엣지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엣지부(31)는 상기 발광모듈부(20)의 기판(21)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21)과 접착제 또는 결합나사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32)은 상기 제1 수납홈(47)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구조물(30)의 상기 반사면(32)의 형상은 반구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면(32)은 반구의 정점이 함몰된 형상, 즉, 단면이 두 개의 포물면을 가지는 파라볼라(parabola)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반사구조물(30)의 재질은 반사 효율이 높은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질은 예를 들어, 은(Ag), 은(Ag)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재질은 예를 들어, PET, PC, PVC 레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사구조물(30)은 표면에 반사 효율이 높은 백색 PSR(Photo Solder Resist), 은(Ag), 알루미늄(Al) 등의 물질이 코팅될 수도 있다.
한편, 별도로 상기 반사구조물(30)을 형성하지 않고, 그 대신 상기 제1 수납홈(47)을 높은 반사 효율을 갖는 반구형 등의 형상의 반사면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형 커버(10)는 상기 발광모듈부(20)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반사구조물(30)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형 커버(10)는 상기 반사구조물(30)에서 반사된 빛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는 개구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내측면은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방출된 빛의 지향각을 조절하여 상기 빛이 상기 반사구조물(30)을 향해 반사되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의 곡률은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내측면은 다각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형 커버(1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42)에 결합 나사(14)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결합 방법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형 커버(10)는 반사 효율이 높은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질은 예를 들어, 은(Ag), 은(Ag)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재질은 예를 들어, PET, PC, PVC 레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내측면에 반사 효율이 높은 백색 PSR(Photo Solder Resist), 은(Ag), 알루미늄(Al) 등의 물질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반사형 커버(10) 및 상기 발광구조물(30)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므로, 상기 조명 장치(1)는 눈부심(glare)이 감소되어 은은한 빛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내측면에는 광촉매물질(12) 및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반사형 커버(10)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광촉매물질(12) 또는/및 상기 형광체에 의해 오염 방지 기능 등 다양한 작용을 수반하면서 제공되게 된다. 이하,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광촉매물질(12)은 예를 들어 산화타이타늄(TiO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산화타이타늄(TiO2)은 자외선(UV : Ultra Violet) 파장 영역 또는 대략 200nm 내지 450nm의 청색 파장 영역을 갖는 빛에 의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물질을 산화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촉매물질(12)은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상기 조명 장치(1)의 광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촉매물질(12)로 산화타이타늄(TiO2)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발광모듈부(20)의 복수의 발광 소자(22)들은 상기 산화타이타늄(TiO2)이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자외선(UV) 파장 영역 또는 대략 200nm 내지 450nm 의 청색 파장 영역을 갖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로 적어도 일부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물질(12)은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내측면에 얇은 막 형태로 분무도장 또는 코팅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촉매물질(12)의 형성 방법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형광체는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방출된 제1빛에 의해 여기되어 제2빛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형광체에 의해 상기 제1빛과 제2빛이 혼색된 빛이 생성되게 되므로 상기 조명 장치(1)가 제공하는 빛의 파장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는 수지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내에 포함되어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내측면에 코팅 등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형광체를 포함하는 광여기필름(PLF : Phosphor Luminescent Film)이 준비되고, 상기 광여기필름(PLF)이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전원제어부(50)는 상기 방열몸체(40)의 상면의 상기 제2 수납홈(48)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5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발광모듈부(20)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제어부(50)는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 장치, 상기 발광모듈부(20)의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보호를 위한 보호 소자, 상기 발광모듈부(20)를 제어 및 구동하기 위한 구동칩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원제어부(50)는 상기 발광모듈부(20)와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몸체(4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선이 상기 발광모듈부(20) 및 상기 전원제어부(50)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B)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B)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조명 장치(1B)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장치(1B)는 하면에 제1 수납홈(47)을 포함하는 방열몸체(40)와, 상기 제1 수납홈(47)에 배치되어 입사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구조물(30)과,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면의 둘레에 발광모듈부(20)와, 상기 발광모듈부(20)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반사구조물(30)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렌즈(11b)를 포함하는 반사형 커버(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와 상기 반사형 커버(10b)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상기 반사형 커버(10b)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에는 상기 다수의 렌즈(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렌즈(11b)는 상기 발광모듈부(20)로부터 입사된 빛을 상기 반사구조물(30)로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반구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형 커버(10b)의 다수의 렌즈(11b)는 상기 발광모듈부(20)의 복수의 발광 소자(22)와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렌즈(11b)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22) 각각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반사구조물(30)을 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렌즈(11b)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22)는 서로 일 대 일(1:1)로 매칭이 되거나, 일 대 다(多)(1: n)로 매칭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 장치(1B)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조명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렌즈(11b)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22)의 매칭 비율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특히,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22)가 다수의 색을 갖는 빛을 방출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렌즈(11b)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22)를 일 대 다(多)로 매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 소자를 하나의 렌즈(11b)에 매칭시키거나,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와 후술할 광촉매물질을 반응시킬 수 있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하나의 렌즈(11b)에 매칭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9는 상기 다수의 렌즈(11b)를 포함하는 상기 반사형 커버(10b)의 형상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렌즈(11b)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렌즈(11b)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다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렌즈(11b)의 내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렌즈(11b)를 포함하는 상기 반사형 커버(10b)의 형상은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렌즈(11b)의 내측면에는 광촉매물질(12b) 및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물질(12b)은 상기 발광모듈부(20)가 방출하는 빛에 반응하여 이물질을 분해함으로써 상기 반사형 커버(10b)의 오염을 방지하여 상기 조명 장치(1B)의 광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는 상기 발광모듈부(20)가 방출하는 제1빛에 의해 여기되어 제2빛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1B)는 상기 제1빛 및 제2빛이 혼색되어 파장이 변화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사형 커버(10b) 아래에는 상기 다수의 렌즈(11b)를 포함하는 반사형 커버(10b)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가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C)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C)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장치(1C)는 하면에 제1 수납홈(47)을 포함하는 방열몸체(40)와, 상기 제1 수납홈(47)에 배치되어 입사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며 내측면에 광여기 필름(35)을 포함하는 반사구조물(30)과,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면의 둘레에 발광모듈부(20)와, 상기 발광모듈부(20)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부(20)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반사구조물(30)로 반사시키는 반사형 커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와 상기 반사구조물(30)의 내측면에 상기 광여기 필름(35)의 존부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상기 광여기 필름(35)(PLF : Phosphor Luminescent Film)은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의 박막에 형광체를 포함하는 필름으로써, 상기 형광체는 상기 반사구조물(30)로 입사되는 제1빛에 의해 여기되어 제2빛을 생성하며, 이에 상기 반사구조물(30)은 제1빛 및 제2빛이 혼색된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형 커버(10)로부터 입사된 빛은 상기 반사구조물(30)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광여기 필름(35)에 의해 파장이 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1C)는 다양한 색감을 표현할 수 있다.
이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D)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제4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D)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장치(1D)는 하면에 제1 수납홈(47)을 포함하는 방열몸체(40)와, 상기 제1 수납홈(47)에 배치되는 반사구조물(30)과, 상기 방열몸체(40)의 하면의 둘레에 형성되며 내측에 내측홈(17)을 포함하는 반사형 커버(10)와,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상기 내측홈(17)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홈(17)의 측벽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모듈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와 상기 반사형 커버(10)의 형상 및 상기 발광모듈부(20)의 형성 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상기 반사형 커버(10)는 내측에 상기 내측홈(1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홈(17)의 하단에는 상기 발광모듈부(20)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발광모듈부(20)는 상기 내측홈(17)의 측벽을 향해 측면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게 되며, 상기 측벽에 의해 반사된 빛은 상기 반사구조물(30)로 입사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 장치(1D)의 상기 발광모듈부(20)는 제1 실시예처럼 아래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측면 방향으로 빛을 방출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눈부심이 감소되어 은은한 빛을 제공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명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방열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발광모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9는 도 6의 조명 장치의 반사형 커버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도

Claims (18)

  1. 하면에 제1 수납홈을 포함하는 방열몸체;
    상기 방열몸체의 하면의 둘레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모듈부;
    상기 발광모듈부의 링 형상을 따라 상기 제1 수납홈을 오목하게 덮도록 배치되어 입사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구조물; 및
    상기 발광모듈부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부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반사구조물로 반사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는 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조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반사구조물에서 반사된 빛이 외부로 출사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면은 곡면 또는 다각면인 조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부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커버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반사구조 물로 입사되고, 상기 반사구조물로 입사된 빛은 다시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조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된 조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구조물은 반사면과, 상기 반사면 둘레에 엣지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반구 또는 반구의 정점이 함몰된 형상을 갖는 조명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구조물의 내측면에 광여기 필름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상인 조명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부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탑재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가시광선 영역, 자외선 영역 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을 각각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아래 방향 또는 측면 방향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배치된 조명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의 상면에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장치와, 상기 발광모듈부를 보호하는 보호 소자와, 상기 발광모듈부를 제어 및 구동하는 구동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의 상부에는 외부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형성된 조명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의 상측에는 외부 지지부재의 삽입홈에 돌려서 끼워지는 나사홈이 형성된 조명 장치.
  18. 제1수납홈 및 상기 제1수납홈 둘레에 링형태로 배치된 측벽, 상기 측벽의 외면에 요철을 갖는 방열몸체;
    상기 측벽의 하면상에 상기 측벽과 대응하는 링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발광모듈부;
    상기 측벽을 따라 상기 제1 수납홈내에 배치되어 입사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구조물; 및
    상기 발광모듈부 아래에 상기 측벽과 대응되는 링형태로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0090107487A 2009-11-09 2009-11-09 조명 장치 KR10114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487A KR101144453B1 (ko) 2009-11-09 2009-11-09 조명 장치
EP15151194.6A EP2863117B1 (en) 2009-11-09 2010-10-20 Lighting device
EP10188261.1A EP2320128B1 (en) 2009-11-09 2010-10-20 Lighting device
US12/939,559 US8573802B2 (en) 2009-11-09 2010-11-04 LED lighting device for indirect illumination
CN201010543783XA CN102072425B (zh) 2009-11-09 2010-11-09 照明装置
US14/049,015 US9200761B2 (en) 2009-11-09 2013-10-08 Lighting device for indirect illu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487A KR101144453B1 (ko) 2009-11-09 2009-11-09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902A KR20110050902A (ko) 2011-05-17
KR101144453B1 true KR101144453B1 (ko) 2012-05-11

Family

ID=4436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487A KR101144453B1 (ko) 2009-11-09 2009-11-09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4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120A (ko) * 2007-11-05 2009-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120A (ko) * 2007-11-05 2009-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902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0761B2 (en) Lighting device for indirect illumination
JP5469176B2 (ja) 照明装置、伝熱構造、及び伝熱素子
US9217553B2 (en) LED lighting systems including luminescent layers on remote reflectors
US9651223B2 (en) Light-emitting apparatus with fastening of optical component to pedestal through light-emitting substrate through-hole, illumination light source having the sam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710724B2 (en) LED light source lamp having drive circuit arranged in outer periphery of LED light source
US20140204594A1 (en)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lighting apparatus
JP2006210627A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ならびに照明装置
US11430769B2 (en) Tunable integrated optics LED components and methods
JP6964321B2 (ja) 照明装置
EP2753873B1 (en) Lighting device
KR101072220B1 (ko) 조명 장치
JP6956110B2 (ja) 照明装置
KR20140095913A (ko)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JP6956112B2 (ja) 照明装置
KR101954203B1 (ko) 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KR101144453B1 (ko) 조명 장치
KR101114095B1 (ko) 조명 장치
JP6945174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862590B1 (ko) 조명 장치
KR101857534B1 (ko) 조명 장치
KR101198594B1 (ko) 조명 장치
KR101862584B1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