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377B1 -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방법 및 보조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방법 및 보조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377B1
KR101144377B1 KR1020050060349A KR20050060349A KR101144377B1 KR 101144377 B1 KR101144377 B1 KR 101144377B1 KR 1020050060349 A KR1020050060349 A KR 1020050060349A KR 20050060349 A KR20050060349 A KR 20050060349A KR 101144377 B1 KR101144377 B1 KR 10114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igh frequency
game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181A (ko
Inventor
원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37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로 게임하는 상태에서 보조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게임 컨버전스된 휴대단말기의 몸체부에 주안테나를 구비하고, 폴더부에 보조안테나를 구비하며, 몸체부의 조이스틱부 인근에 형성되는 센서부가 사용자 접촉을 검출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는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주안테나 접속경로를 차단하고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 접속경로를 스위칭 설정하여 게임 운용상태에서 보조안테나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게임 컨버전스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게임모드를 설정 운용하는 상태에서 센서부가 접촉을 검출하면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주안테나의 경로를 차단하고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부의 경로를 스위칭 설정하여 게임 운용상태에서 보조안테나로 무선신호를 수신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과, 또한,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 몸체부의 조이스틱부 외측에 사용자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일체로 돌출 고정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특징 등등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 게임을 진행중인 경우, 스위칭 절체된 보조안테나에 의하여 무선신호를 최적 레벨로 수신하므로, 주안테나의 수신감도가 낮은 상태에서도 상대방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방법 및 보조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METHODS AND APPARATUS' AND A SENSOR STRUCTURE OF ASSISTANCE ANTENNA FOR MOBILE PHONE AND MOBILE HAVING ASSISTANCE ANTENNA}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게임 휴대단말기의 구성상태 도시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게임 휴대단말기의 펼쳐진 상태 도시도,
도3 은 게임 휴대단말기의 통신 사용 상태 도시도,
도4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게임 휴대단말기의 게임 진행상태 도시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기능 구성도,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방법 순서도,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센서구조 형상 도시도,
도8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이용상태 도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주안테나 110 : 보조안테나 120 : 고주파스위치부
130 : 고주파부 140 : 입출부 150 : 제어부
160 : 게임부 170 : 메모리부 180 : 센서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보조 안테나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임용으로 특화된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로 게임하는 상태에서 보조안테나로 수신감도를 높이어 호출신호를 원활히 수신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및 방법 및 센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지정된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MS)의 기본 서비스는 이동하면서 원하는 상대방과 통신하는 것으로, 유용성이 있으나, 실제 통신에 직접 이용되는 시간이 적어 활용성과 이용률이 떨어지는 문제를 일부 개선하는 동시에 실생활에 효율적으로 응용하는 것이 부가서비스 이고,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것으로는, 문자메시지, 영상메시지, 음성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접속, 발신자번호 확인 등이 있으며, 휴대단말기 생산자가 개발 제공하는 것으로는, 카메라, 블루투스, 전자계산기, 스케줄 관리, 전화번호부, TV, MP3, 로컬게임 등이 있으며,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구비하는 다기능의 컨버전스(CONVERGENCE) 폰(PHONE)으로 진화하고 있으나, 기본 서비스는 통신이므로, 어떠 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태에서도, 상대방의 호출을 정상수신하고 응답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휴대단말기로 게임하는 도중에도, 상대방의 호출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휴대단말기로 게임하는 경우, 게임의 특성상 방향제어를 신속하게 하여야 하는 동시에 돌발적 대응이 필요하므로, 양손으로 꼭 움켜잡는 것이 일반적이며, 휴대단말기를 상기와 같이 움켜잡으면, 무선 안테나의 송수신 기능을 저하시켜, 무선신호의 수신 및 송신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로 게임을 진행하는 상태에서도, 상대방의 긴급한 무선 호출에 응답하도록 하기 위하여, 무선 안테나의 수신 기능을 높이는 기술개발의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컨버전스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게임 휴대단말기의 구성상태 도시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게임 휴대단말기의 펼쳐진 상태 도시도 이며, 도3 은 게임 휴대단말기의 통신 사용 상태 도시도 이고, 도4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게임 휴대단말기의 게임 진행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게임 기능이 포함되는 컨버전스 휴대단말기(10)를 설명하면, 접혀진 상태에서 음성급 통신을 위한 마이크부(30)와 스피커부(20)가 양측 끝단 부위에 일체로 구비되고, 휴대 및 이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무선 안테나(ANTENNA)를 내장형의 인테나(INTENNA)로 구성하므로, 외관상 안테나 위치가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게임 휴대단말기(10)로 게임 운용을 위하여 펼쳐진 상태의 구성을 설명하면, 좌측과 우측에 조이스틱부(40)가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내장된 인테나(또는 안테나로 통칭된)(50)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게임 휴대단말기(10)로 통신에 사용하는 상태 도시도 이고, 상기 스피커부(20)와 마이크부(30)는, 각각 귀와 입에 근접하는 위치로 고정되어 음성급 통신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의 중앙부를 감싼 손에 의하여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인테나(50)는 손으로 감싸지지 않으므로, 무선신호 송수신 기능에 장애를 받지 않게 되어 무선 송수신을 정상적으로 진행한다.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게임 휴대단말기의 게임 진행상태를 설명하면, 휴대단말기를 열은(OPEN) 상태에서 양손으로, 양쪽 끝단에 각각 구비된 조이스틱부(40)를 직접 제어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로 게임 진행하는 경우, 손으로 상기 조이스틱부(40)를 감싼 상태에서 제어하며, 상기 인테나(50) 부위가 감싸지므로, 상기 인테나(50)는, 무선신호 수신이 어렵게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컨버전스에 의하여 게임을 포함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일체로 구비되지만, 통신기능이 기본 기능이므로, 통신에 충실하여야 한다.
따라서, 게임하는 도중에는, 인테나(50)가 손으로 감싸지어, 상대방이 호출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어렵게 되어, 휴대단말기의 기본기능인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컨버전스 휴대단말기에 일체로 구비되는 센서로 게임운용상태를 감지하고, 게임 운용 중에는 보조안테나로 스위칭하여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므로 무선 수신감도를 개선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및 방법 및 센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게임 컨버전스된 휴대단말기의 몸체부에 주안테나를 구비하고, 폴더부에 보조안테나를 구비하며, 몸체부의 조이스틱부 인근에 형성되는 센서부가 사용자 접촉을 검출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는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주안테나 접속경로를 차단하고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 접속경로를 스위칭 설정하여 게임 운용상태에서 보조안테나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무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주안테나와;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무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보조안테나와; 상기 주안테나와 보조안테나에 각각 접속하고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 신호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고주파스위치부와; 상기 고주파스위치부에 접속하고 센서부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주안테나와 보조안테나의 경로를 선택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게임 접촉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선택된 게임을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운용하는 게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게임 컨버전스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게임모드를 설정 운용하는 상태에서 센서부가 접촉을 검출하면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주안테나의 경로를 차단하고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부의 경로를 스위칭 설정하여 게임 운용상태에서 보조안테나로 무선신호를 수신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통신대기로 운용되는 상태에서 게임을 선택하고 운용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대기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게임 운용으로 판단되면,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선택된 게임을 운용하며 센서로부터 접촉을 검출한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센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접촉검출신호가 인가되면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부가 경로를 설정하도록 스위칭하고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스위칭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 몸체부의 조이스틱부 외측에 사용자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일체로 돌출 고정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및 방법 및 센서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방법 순서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센서구조 형상 도시도 이고, 도8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이용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200)의 보조안테나 장치를 설명하면, 게임 컨버전스(GAME CONVERGENCE)된 휴대단말기(200)의 몸체부(210)에 주안테나(100)를 구비하고, 폴더부(220)에 보조안테나(110)를 구비하며, 몸체부(210)의 조이스틱부(230) 인근에 형성되는 센서부(180)가 사용자 접촉을 검출하여 제어부(150)에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고주파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고주파부(130)와 주안테나(100) 접속경로를 차단하고 고주파부(130)와 보조안테나(110) 접속경로를 스위칭 설정하여 게임 운용상태에서 보조안테나(110)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다시 설명하면, 휴대단말기(200)의 몸체부(210)에 일체로 내장 구비되어 이동통신 무선신호를 송신(TX)과 수신(RX)하는 주안테나(100)와,
휴대단말기(200)의 폴더부(220)에 일체로 내장 구비되어 이동통신 무선신호를 송신(TX)과 수신(RX)하는 보조안테나(110)와,
상기 주안테나(100)와 보조안테나(110)에 각각 접속하고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 신호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고주파부 (130)와 주안테나(100) 사이의 경로(PATH)를 설정하거나 고주파부(130)와 보조안테나(110) 사이의 경로(PATH)를 설정하는 고주파스위치부(120)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입출부(140)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를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고주파스위치부(120)에 출력하고, 고주파스위치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입출부(140)에 출력하는 고주파부(130)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부(130)에 접속하고 통신신호를 입력하며 출력하는 동시에, 게임이 포함되는 선택된 부가서비스의 운용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입출부(140)와,
상기 고주파스위치부(120)에 접속하고 센서부(180)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주안테나(100)와 보조안테나(110)의 경로(PATH)를 선택 설정하는 것으로, 고주파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고주파부(130)와 주안테나(100)의 접속경로를 스위칭 설정하고, 게임부(160)가 운용되는 상태에서 센서부(180)를 감시하여 사용자 접촉신호가 인가되면 고주파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고주파부(130)와 보조안테나(110)의 접속경로를 스위칭 설정하는 제어부(150)와,
상기 제어부(150)에 접속하고 선택된 게임(GAME)을 설정하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운용하는 게임부(160)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휴대단말기(200)를 운용하는 다수 프로그램(PROGRAM)과 데이터(DATA)를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170)와,
상기 제어부(150)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게임운용을 위한 접촉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가 게임 진행으로 직접 접촉하는 상태를 검출하고 출력하는 센서부(180)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200)가 제공하는 기본 서비스는, 이동하면서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이고, 상기 통신 서비스는, 언제 발생할지 모르므로, 휴대단말기(200)를 항상 휴대하는 특성이 있으나, 통신이 발생하는 시간은 극히 적으므로, 휴대단말기의 활용성 및 이용률이 많이 저조한 문제를 일부 개선하는 것이 다양한 부가서비스 이다.
본 발명은 부가서비스 중에서 게임(GAME)에 컨버전스(CONVERGENCE)된 휴대단말기로 게임하는 경우, 게임을 제어하는 손에 의하여 안테나를 감싸게 되므로, 이동통신 무선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 긴급한 호출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기본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므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본 발명 기술이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50)는,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부(170)로부터 운용(OPERATION) 프로그램과 기본서비스와 각종 부가서비스를 위한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 및 해당 운용 데이터(DATA)를 읽어(READ) 로드(LOAD)하므로 대기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고주파스위치부(120)를 제어 하여, 고주파부(130)와 주안테나(100)의 경로(PATH)가 접속되도록 설정하므로, 상기 주안테나(100)가 무선수신하는 신호는, 상기 고주파 스위치(120)가 설정한 경로에 의하여 고주파부(130)에 인가되어 분석처리되고, 입출부(140)를 통하여 출력되므로 확인하며, 상기 입출부(140)에 인가되는 기저대역(BASEBAND) 신호는 고주파부(130)에 의하여 고주파(RF) 신호로 상향변조되고, 상기 고주파스위치부(120)를 통하여 주안테나(100)에 인가되므로 무선송신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휴대단말기(200)가 이동통신에 이용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입출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고, 게임하는 제어명령으로 판단하는 경우, 게임부(160)를 활성화 제어하여, 선택된 게임을 운용하여 입출부(140)에 출력하며, 상기 입출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게임 운용을 제어한다.
상기 입출부(140)는 조이스틱부(230)가 포함되고, 상기 조이스틱부(2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제어하므로 게임의 진행 및 운용을 제어하며, 상기와 같이 제어되고 진행 및 운용되는 게임은, 상기 입출부(140)에 포함되는 표시부에 출력되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게임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입출부(140)를 구성하는 조이스틱부(230)는 손으로 감싸고 제어하여야 하며, 상기와 같이 조이스틱부(230)를 제어하는 상태에서, 상기 손이 주안테나(100)를 감싸므로, 주안테나(100)의 수신성능이 저하되어, 상대방으로부터 무선호출이 있어도, 고주파부(130)에서 인지하고 분석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180)에 의하여 손의 접촉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부(180)가 감지한 신호는 제어부(150)에 인가된다.
상기 센서부(18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150)는 고주파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주안테나(100)와 고주파부(130)의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스위칭 제어하는 동시에, 보조안테나(110)와 고주파부(130)를 연결하는 스위칭 제어한다.
따라서, 몸체부(210)의 조이스틱부(230) 인근에 위치하여 손으로 감싸지므로 수신감도가 떨어지는 주안테나(100) 대신에, 고주파스위치(120)의 스위칭에 의하여 폴더부(220)에 위치하는 보조안테나(110)와 접속한 고주파부(130)는, 상기 보조안테나(110)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신호를 인가 받으므로, 수신성능을 유지한다.
따라서,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로 게임하는 상태에서, 센서부(180)가 손의 접촉상태를 감지하고, 주안테나(100) 대신에 보조안테나(110)로 스위칭하므로, 고주파부(130)는 상대방의 호출신호를 검출하고 분석할 수 있는 수신신호 레벨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방법을 설명하면, 게임 컨버전스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게임모드를 설정 운용하는 상태에서 센서부가 접촉을 검출하면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주안테나의 경로를 차단하고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부의 경로를 스위칭 설정하여 게임 운용상태에서 보조안테나로 무선신호를 수신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방법 구성을 다시 설명하면,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통 신대기로 운용되는 상태에서 게임을 선택하고 운용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에 의하여 동작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부가서비스와 통신서비스를 운용하지 않는 대기상태를 설정 유지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의 제어부(150)는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게임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대기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게임 운용으로 판단되면,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선택된 게임을 운용하며 센서로부터 접촉을 검출한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대기과정의 제어부(150)에 의하여 게임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게임모드(GAME MODE)를 설정하고 선택된 게임을 실행하여 운용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의 제어부(150)는 센서부(180)를 감시하여 사용자 접촉신호가 검출되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센서과정과,
상기 센서과정에서 접촉검출신호가 인가되면 고주파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부가 경로를 설정하도록 스위칭하고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제어부(150)에 의하여 센서부(180)로부터 사용자 접촉신호가 검출되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고주파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고주파부(130)에 접속된 주안테나(100) 경로(PATH)를 차단하고 보조안테나(110) 경로(PATH)를 스위칭(SWITCHING) 설정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의 제어부(150)는 보조안테나(110)를 통하여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150)는, 동작전원이 인가되고, 통신 및 부가서비스를 운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즉시 수행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설정하며(S100), 상기와 같이 대기상태를 설정한 제어부(150)는, 입출부(14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므로, 게임을 하는지 판단한다(S110).
상기 과정(S110)에서 게임하는 제어명령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게임부(160)를 활성화하여 게임모드(GAME MODE)를 설정하고, 선택된 게임(GAME)을 로드(LOAD)하여 운용한다(S120).
상기 과정(S120)의 제어부(150)는, 센서부(180)를 감시하여 사용자 손의 접촉상태를 검출한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과정(S130)에서, 상기 센서부(180)로부터 접촉 검출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고주파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고주파부(130)가 주안테나(100)와 연결된 상태를 차단하고, 보조안테나(110)와 연결된 상태가 설정되도록 스위칭(SWITCHING) 제어한다(S140).
상기 과정(S140)의 고주파스위치부(120)가 스위칭 설정한 경로를 통하여 보조안테나(110)와 접속하는 고주파부(130)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대방의 호출이 있는 경우, 제어부(150)와 입출부(140)에 각각의 해당 신호를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게임을 진행중인 상태에서도, 상대방의 호출을 인지한다(S15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게임(GAME) 컨버전스(CONVERGENCE) 휴대단말 기로 게임에 열중하는 상태에서도, 보조안테나(110)를 통하여 수신감도를 확보하므로, 상대방의 호출을 즉시 수신하고 확인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센서구조 형상을 설명하면, 게임(GAME) 부가서비스로 컨버전스(CONVERGENCE)된 휴대단말기(200) 몸체부(210)의 조이스틱부(230) 인근 외측에 사용자 접촉을 검출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200)의 일측 끝단 표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복수의 도체(CONDUCTOR)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직접 접촉 상태를 검출 출력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80)를 일체로 돌출 고정 형성하는 구조이다.
상기 첨부된 도7을 다시 설명하면,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200)는, 게임의 편리를 위하여, 몸체부(210)와 폴더부(220)로 구분되고, 게임의 제어를 위한 조이스틱부(230)와 이동통신을 위한 각 기능부 및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주안테나(100)는 상기 몸체부(210)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210)의 조이스틱부(230)가 구비된 인근에 센서부(180)가 표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조이스틱부(230)를 제어하고자 손이 접촉되는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가 제어부에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고주파스위치부를 스위칭 제어하여 보조안테나와 고주파부의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보조안테나(110)는 폴더부(220)에 구비되며, 상기 폴더부(220)는 입출부(140)를 구성하는 표시부가 일체로 구비되면서, 두께를 얇게 하므로, 상기 보조안테나(110)의 수신성능은 주안테나(100)의 수신성능보다 약하게 된다.
상기 첨부된 도8을 참조하면, 상기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200)를 이용하 여 게임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게임 진행을 위하여 조이스틱부(230)를 손으로 접촉하는 경우, 센서부(180)에서 손의 접촉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센서부(180)는, 복수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전기의 흐름상태를 검출하므로, 손의 접촉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의 도체를 이용하지 않고, 광을 이용하는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기술은,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부(230) 제어를 위한 접촉상태를 검출하고, 고주파스위치부(120)를 제어하여 주안테나(100)를 보조안테나(110)로 절체하므로, 게임 운용 중에는, 고주파부(130)가 보조안테나(110)를 통하여 무선신호를 수신하므로, 상대방의 호출을 오류 없이 수신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로 게임을 진행중인 경우, 스위칭 절체된 보조안테나에 의하여 무선신호를 최적 레벨로 수신하므로, 주안테나의 수신감도가 낮은 상태에서도 상대방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게임 컨버전스 휴대단말기로 게임 진행중인 상태에서도 상대방의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응대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삭제
  2. 휴대단말기의 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무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주안테나와,
    휴대단말기의 폴더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무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보조안테나와,
    상기 주안테나와 보조안테나에 각각 접속하고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 신호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고주파스위치부와,
    상기 고주파스위치부에 접속하고 센서부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주안테나와 보조안테나의 경로를 선택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게임 접촉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선택된 게임을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운용하는 게임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를 운용하는 다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부에 접속하고 통신신호를 입력하며 출력하는 동시에 선택된 부가서비스의 운용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입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출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고주파스위치부에 출력하고, 고주파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입출부에 출력하는 고주파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가 게임 진행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검출하고 출력하며,
    상기 고주파스위치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고주파부와 주안테나 사이의 경로를 설정하거나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 사이의 경로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주안테나의 접속경로를 스위칭 설정하고, 상기 게임부가 운용되는 상태에서 센서부를 감시하여 사용자 접촉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의 접속경로를 스위칭 설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6. 삭제
  7.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통신대기로 운용되는 상태에서 게임을 선택하고 운용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대기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게임을 운용하는 제어명령으로 판단되면,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선택된 게임을 운용하며 센서로부터 접촉을 검출한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센서과정과,
    상기 센서과정에서 상기 신호가 인가되면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와 보조안테나부가 경로를 설정하도록 스위칭하고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스위칭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부가서비스와 통신서비스를 운용하지 않는 대기상태를 설정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제어부는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게임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과정은,
    상기 대기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게임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선택된 게임을 실행하여 운용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제어부는 센서부를 감시하여 사용자 접촉신호가 검출되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과정은,
    상기 센서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센서부로부터 사용자 접촉신호가 검출되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고주파스위치부를 제어하여 고주파부에 접속된 주안테나 경로를 차단하고 보조안테나 경로를 스위칭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제어부는 보조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방법.
  11.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몸체부의 양 측에 형성되는 조이스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부의 조이스틱부 외측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의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50060349A 2005-07-05 2005-07-05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방법 및 보조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KR10114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349A KR101144377B1 (ko) 2005-07-05 2005-07-05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방법 및 보조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349A KR101144377B1 (ko) 2005-07-05 2005-07-05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방법 및 보조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181A KR20070005181A (ko) 2007-01-10
KR101144377B1 true KR101144377B1 (ko) 2012-06-14

Family

ID=3787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349A KR101144377B1 (ko) 2005-07-05 2005-07-05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방법 및 보조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0417A (zh) * 2015-01-15 2015-05-06 优能通信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可自适应调节谐振频率的天线及通信终端
KR101582453B1 (ko) * 2015-09-11 2016-01-05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안테나 자동 절체 기능을 구비한 무선 중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0390B1 (ko) * 2017-09-29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안테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6947A (ja) 1997-12-22 1999-07-09 Uniden Corp 携帯型通信端末装置
KR20020030990A (ko) * 2000-10-20 2002-04-26 홍경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형 및 내장형 안테나의 절체 장치및 그 방법
KR20020075833A (ko) * 2002-08-16 2002-10-07 박민수 휴대용 전자접촉장치
KR200336071Y1 (ko) 2003-08-22 2003-12-18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내장형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6947A (ja) 1997-12-22 1999-07-09 Uniden Corp 携帯型通信端末装置
KR20020030990A (ko) * 2000-10-20 2002-04-26 홍경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형 및 내장형 안테나의 절체 장치및 그 방법
KR20020075833A (ko) * 2002-08-16 2002-10-07 박민수 휴대용 전자접촉장치
KR200336071Y1 (ko) 2003-08-22 2003-12-18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송수신 효율을 개선한 내장형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181A (ko)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043B1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JP4237771B2 (ja) ブルートゥース無線装置を備える通信端末間のリンク連結方法
CN108880631B (zh) 一种信息收发切换方法和终端
KR10188885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이버시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05400A (ko) 안테나 제어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안테나 제어 방법
US11501779B2 (en) Bluetooth speaker bas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reof
CN109151212B (zh) 设备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07734586B (zh) 天线的切换方法及移动终端
JP2002261679A (ja) 移動体通信機器
KR20070030152A (ko)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이에 사용되는 장치
JP2004201188A (ja) 携帯電話アンテナ切替回路
KR101144377B1 (ko) 휴대단말기의 보조안테나 장치, 방법 및 보조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CN109788114B (zh) 一种通话处理方法及终端
KR20110103625A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용 단말기 및 오디오 패스 연결 방법
WO2015004494A1 (en) Mobile communications using base station controlled optimization of adaptive antenna selection parameters, terminals with adaptive antenna system, and method
CN109687150B (zh) 一种天线结构和电子设备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JP2006180193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携帯無線通信装置
CN110381491B (zh) 一种信号传输方法及终端
JP4660572B2 (ja) 携帯通信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20142396A1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10018527A (ko) 이동통신 무선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JP2006270366A (ja) 移動体無線通信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29605B1 (ko)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통신단말기에서 무선 헤드셋의볼륨 제어방법
JP2003051871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