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889B1 -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 Google Patents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889B1
KR101143889B1 KR1020090132629A KR20090132629A KR101143889B1 KR 101143889 B1 KR101143889 B1 KR 101143889B1 KR 1020090132629 A KR1020090132629 A KR 1020090132629A KR 20090132629 A KR20090132629 A KR 20090132629A KR 101143889 B1 KR101143889 B1 KR 101143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iquid
tube
conductivity
separatory f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036A (ko
Inventor
김종구
최계천
송규석
하영경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8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12Auxiliary equipment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liquid-separating apparatus, e.g.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85Funnel filter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잠금 분별깔때기는, 그로브 박스 또는 핫셀 내에서 원격조종에 의한 작업시,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를 자동으로 분별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센서가 두 액상의 경계면을 감지하는데 있어 정확성을 향상시키도록 고안한 센서관 및 밸브관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된 센서관에 장착된 전기전도도 센서;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기전도도 변화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 및 상기 센서관의 하부에 연결된 밸브관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전기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그로브 박스, 핫셀, 액체, 자동분별, 전기전도도 센서, 솔레노이드 밸브

Description

자동잠금 분별깔때기{Fractional funnel with automatic lock}
본 발명은 자동잠금 분별깔때기로서, 그로브 박스 또는 핫셀 내에서 원격조종에 의한 작업시,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를 자동으로 분별할 수 있는 잠금 분별깔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수용부에서 잘 섞이지 않는 두 액체의 상분리에 따라 형성된 경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수용부에서 잠금꼭지를 열어 하측의 액체가 배출되어 경계면이 잠금꼭지에 도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잘 섞이지 않는 두 액상(liquid phases)의 액체(1)를 분별깔대기(2)에 넣으면 비중 차이에 따라 무거운 액상은 아래쪽으로 가벼운 액상은 위쪽으로 떠서 상분리가 일어나고 두 액상 간에 경계면(1a)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잠금꼭지(stop cock)(3)를 열면 아래 액체(1)가 밑으로 빠져나가 고, 두 액체(1) 간의 경계면(1a)은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하측 액체(1)가 거의 빠져나가는 순간, 경계면(1a)은 잠금꼭지(3) 바로 위 좁은 관(tube)을 통과한다.
이때, 잠금꼭지(3)와 경계면(1a)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순간을 눈으로 포착하여 수동으로 잠금꼭지(3)를 잠금으로써, 두 액상의 분별작업을 마감한다.
이와 같은 분별깔때기(2)에 의한 작업은, 일반적 화학실험 조건에서는 큰 어려움이 없이 수행할 수 있으나, 취급하는 용액의 특성상 비활성분위기가 필요한 그로브박스 혹은 방사선 차폐가 필요한 핫셀에서의 작업인 경우, 원격조종기를 사용한 잠금꼭지(3)의 잠금 조작이 수월하지 않고, 격리된 공간 내 분별 깔대기의 작업자 눈으로부터의 거리 및 창유리의 간섭현상(반사 및 굴절)으로 두 액상 경계면(1a) 흐름의 순간포착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두 액상간 전기전도도 차이를 감지하고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는 자동잠금 장치가 부착 된 분별깔때기를 사용할 수 있다.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사용시 액상의 경계면이 센서를 통과하는 순간 정확하게 자동잠금 장치에 전기신호를 줄 수 있어야 하는 점이 중요하다. 그러나 두 액상의 특성에 따라서는 경계면이 센서를 통과하며 액상이 바뀐 후에도 센서관 및 센서 표면층을 덮고 있는 이전 액상으로 인하여 액상변화의 순간포착이 정확하지 못해 자동잠금 장치의 작동이 다소 늦어지거나 오작동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로브 박스 또는 핫셀 내에서 원격조종에 의한 작업시,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를 센서가 순간적으로 정확하게 감지하고 자동으로 분별할 수 있는 잠금 분별깔때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잠금 분별깔때기는, 그로브 박스 또는 핫셀 내에서 원격조종에 의해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된 센서관에 장착된 전기전도도 센서;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기전도도 변화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 및 상기 센서관의 하부에 연결된 밸브관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전기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센서관의 전기전도도 센서는, 두 개가 상하방향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두 개의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의 간격은 5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의 재료는 백금 또는 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관은 상기 액체의 표면장력이 크도록 소수성 및 비활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센서관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밸브관은, 상기 액체의 서로 다른 액상의 경계면에서의 메니스커스(meniscus) 형태가 유지되도록, 내경이 상기 센서관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 센서관, 및 밸브관은 일체형이거나,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잠금 분별깔때기의 센서관 및 밸브관은, 그로브박스 또는 방사성 시료를 다루는 핫셀 실험과정에서 서로 다른 액상의 분리를 원격조정에 의한 작업시, 작업자의 눈 대신에 전기전도도 센서에 의해 두 액체의 경계면의 통과를 정확하게 감지하게 하고, 감지된 순간 수작업이 아닌 전기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험자의 방사선 피폭을 경감하면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그로브 박스 또는 핫셀 내에서 원격조종에 의한 작업시,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를 자동으로 분별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센서에 두 액상의 경계면이 통과하는 경우 액상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수용부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어 하측의 액체가 배출되어 경계면이 전기전도도 센서에 도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컨트롤러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용부(20), 상기 수용부(20) 하부에 설치된 전기전도도 센서(50)가 부착된 센서관(40),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50)에 연결된 컨트롤러(controller), 및 상기 수용부(20) 하부에 설치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70)가 부착된 밸브관(6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20)는 내부에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1)가 수용된다.
이러한 수용부(20)는 밀도 차이가 많이 나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종류의 액체(1)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깔때기 형상의 부분이다.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50)는 수용부(20)의 하부에 연결된 센서관(4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센서관(40)은 액체(1)의 표면장력이 크도록 소수성 및 비활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센서관(40)은 비활성인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테프론은 가공이 용이하고 각종 용매에 대해 화학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표면에서의 소수성 및 물분자의 표면장력이 매우 큰 특성을 지닌다.
물론, 센서관(4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수성, 표면장력, 가공성, 비활성 특성을 고려한 여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센서관(40)은, 상기 경계면(1a)의 하강으로 인하여 액상이 바뀌는 순간, 두 전기전도도 센서(50) 사이의 테프론 표면에서의 액체(1) layer를 파괴하고 방울방울 형태로 뭉치게 함으로써, 액체(1)에 의한 전기전도 흐름을 빠르게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센서관(40)은 상변화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50)는 두 개가 상하방향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전기전도도 센서(50)는 두 가닥의 선 형태 또는 봉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센서관(40)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여 센싱될 부분이 센서과 내부 표면에서 상하 이격되어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50)의 간격은, 액체(1)의 비전도도(specific conductance)와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센서관(40) 표면의 물방울 크기 를 고려하여 5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50)의 재료는 백금(Pt) 또는 금(Au)이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전기전도도 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전기전도도 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전기전도도 변화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도는 도 6에 도시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70)는 센서관(40)의 하부에 연결된 밸브관(60)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전기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여기에서, 밸브관(60)은 솔레노이드 밸브(70)가 장착된 부위까지 그 유로가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지닌다.
이와 같은 밸브관(60)은, 액체(1)의 서로 다른 액상의 경계면(1a)에서의 메니스커스(meniscus) 형태가 유지되도록, 내경이 상기 센서관(4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니스커스란 모세관 현상에 의해 관 속의 액면이 이루는 곡면으로서, 액체의 성질에 따라 액면이 오목하거나 볼록해진 형상을 이른다.
만약 밸브관(60)의 내경이 센서관(40)의 내경보다 크면, 전기전도도 센서(50) 부위에서 액체(1)의 흐름이 빨라짐에 따라, 두 액체(1) 사이 경계면(1a)의 메니스커스 형태가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70)에 대한 잠금 전기신호 발생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20), 센서관(40), 및 밸브관(60)은 일체형이거나,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용한 두 액상의 액체(1)를 분별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용부(20)에 액상의 두 액체(1)를 넣기 전,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의 접점을 클로즈(close)에 연결하여 솔레노이드 밸브(70)(solenoid valve)를 잠금상태로 한다.
이어서, 두 액체(1)를 수용부(20)에 부어 넣은 후 기다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액체(1)의 경계면(1a)이 나타나면서 두 액체(1)의 위치가 상하로 나누어진다.
그런 다음, 컨트롤 밸브 접점을 오픈(open)에 연결하여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열림상태로 하면 아래 액체(1)가 빠져나가기 시작한다.
계속하여 컨트롤 밸브의 접점을 디텍팅 앰프(detecting Amp.)의 접점(cont) 에 연결하면 디텍팅 앰프에 의해 전기전도도 센서(50)를 통과하는 전기전도도가 측정된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액체(1)의 경계면(1a)이 전기전도도 센서(50)를 통과하는 순간의 전기전도도 변화에 따라 디텍팅 앰프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하며, 이 전기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70)가 잠금 상태로 되면서 분별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분별작업이 진행되는 본 발명은, 그로브박스 또는 방사성 시료를 다루는 핫셀 실험과정에서 원격조정에 의한 작업시, 작업자의 눈 대신에 전기전도도 센서(50)에 의해 두 액체(1)의 경계면(1a)의 통과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감지된 순간 수작업이 아닌 전기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험자의 방사선 피폭을 경감하면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용부에서 잘 섞이지 않는 두 액체의 상분리에 따라 형성된 경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수용부에서 잠금꼭지를 열어 하측의 액체가 배출되어 경계면이 잠금꼭지에 도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수용부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어 하측의 액체가 배출되어 경계면이 전기전도도 센서에 도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컨트롤러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체 1a : 경계면
20 : 수용부 40 : 센서관
50 : 전기전도도 센서 60 : 밸브관
70 :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9)

  1. 삭제
  2. 그로브 박스 또는 핫셀 내에서 원격조종에 의한 작업시,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를 자동으로 분별하는 자동잠금 분별깔때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액상의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된 센서관에 장착된 전기전도도 센서;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기전도도 변화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 및
    상기 센서관의 하부에 연결된 밸브관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전기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관은,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에 상기 서로 다른 액상의 경계면이 통과시 액상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상기 액체의 표면장력이 큰 소수성 및 비활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관은,
    상기 액체의 서로 다른 액상의 경계면에서의 메니스커스(meniscus) 형태가 유지되도록, 내경이 상기 센서관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는,
    두 개가 상하방향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4. 제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의 간격은 5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의 재료는 백금 또는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관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8. 삭제
  9. 제2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센서관, 및 밸브관은 일체형이거나, 별도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KR1020090132629A 2009-12-29 2009-12-29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KR10114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29A KR101143889B1 (ko) 2009-12-29 2009-12-29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29A KR101143889B1 (ko) 2009-12-29 2009-12-29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036A KR20110076036A (ko) 2011-07-06
KR101143889B1 true KR101143889B1 (ko) 2012-05-11

Family

ID=4491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629A KR101143889B1 (ko) 2009-12-29 2009-12-29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7365A1 (de) 2021-01-25 2022-07-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reinigen und anreichern von proteinen, nukleinsäuren oder viren unter verwendung eines wässrigen zwei-phasen-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22B1 (ko) * 2010-03-25 2012-01-12 옥윤선 깔때기
CN107413090A (zh) * 2017-05-03 2017-12-01 芜湖职业技术学院 热抽滤装置
CN107970655B (zh) * 2017-11-27 2019-10-08 西南石油大学 一种具有排液功能的可加热真空反复抽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746A (ja) 1997-07-31 1999-02-26 Sumitomo Chem Co Ltd 液面・界面位置検出装置および分液処理装置
KR100297365B1 (ko) * 1998-09-23 2001-10-26 장인순 용매추출을위한상분리검출장치
KR20040038109A (ko) * 2002-10-31 2004-05-08 김보미 액상혼합물 자동 추출분리장치 및 방법
JP2005238129A (ja) 2004-02-26 2005-09-08 Mitsubishi Materials Corp 溶媒抽出の自動化方法および自動溶媒抽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746A (ja) 1997-07-31 1999-02-26 Sumitomo Chem Co Ltd 液面・界面位置検出装置および分液処理装置
KR100297365B1 (ko) * 1998-09-23 2001-10-26 장인순 용매추출을위한상분리검출장치
KR20040038109A (ko) * 2002-10-31 2004-05-08 김보미 액상혼합물 자동 추출분리장치 및 방법
JP2005238129A (ja) 2004-02-26 2005-09-08 Mitsubishi Materials Corp 溶媒抽出の自動化方法および自動溶媒抽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7365A1 (de) 2021-01-25 2022-07-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reinigen und anreichern von proteinen, nukleinsäuren oder viren unter verwendung eines wässrigen zwei-phasen-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036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889B1 (ko)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KR20160129773A (ko) 중금속 연속 측정장치
KR101599440B1 (ko) 수동펌프식 시료 채취기
US3798972A (en) Composite sampler method and apparatus
FR2516242A1 (fr) Systeme de mise en circulation continue d&#39;un liquide en vue d&#39;un prelevement ou d&#39;un controle de ce liquide
JP6136800B2 (ja) 炭素測定装置
RU26240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флуоресцентного анализа пульп обогатитель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KR101137585B1 (ko) 분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체 내 입자 검출 시스템
US4651087A (en) Apparatus for measuring impurities in ultrapure water
AU2017203013B2 (en) X-ray analysis of drilling fluid
KR20210057743A (ko) 고전압 디바이스의 절연 매질 내에 용해된 가스의 분석
JP2006035111A (ja) マイクロ流体装置
JP2018091851A (ja) 少量の液体サンプルを入れるためのサンプル容器
US3163699A (en) Sampling apparatus for flame photometer
KR101493350B1 (ko)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
JP2015020083A (ja) 脱泡装置及び液体分析装置
Samiyan et al. Characterization of sensing chamber design for E-nose applications
CN203356152U (zh) 一种塑料样品瓶酸洗装置
CN205426570U (zh) 一种可控水深污水取样器
JP2005249805A (ja) 放射線検出用サンプラ
CN203824919U (zh) 一种快速定量测定废水中锰离子浓度的检测装置
KR102533117B1 (ko) 자석을 이용한 채수기
SU890157A1 (ru) Седиментационный гранулометр
KR20160047949A (ko) 채수기
JP5057226B2 (ja) 血液検査用マイクロチップ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