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715B1 -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715B1
KR101143715B1 KR1020100068275A KR20100068275A KR101143715B1 KR 101143715 B1 KR101143715 B1 KR 101143715B1 KR 1020100068275 A KR1020100068275 A KR 1020100068275A KR 20100068275 A KR20100068275 A KR 20100068275A KR 101143715 B1 KR101143715 B1 KR 101143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mage
image
pixel
extracting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639A (ko
Inventor
최문규
김영훈
조태호
유윤종
Original Assignee
(주) 넥스트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넥스트칩 filed Critical (주) 넥스트칩
Priority to KR102010006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7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4Filtering details

Landscapes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입력 영상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고, 저대역 필터링을 통해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TRACTING HIGH RESOLUTION BRIGHTNESS IMAGE IN CHARGE-COUPLED DEVICE}
본 발명은 현재의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고대역 주파수를 갖고 있는 영상과, 저대역 주파수 만을 갖는 영상에 대해 적응적으로 저대역 필터링을 수행하여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촬영 장치는 필름 대신에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전기적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추세이다.
전기적 수광 소자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촬영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가 개발 되면서, 기존의 필름 감광면을 빛으로부터 차단하는 기계식 셔터 대신에, 수광 소자의 전하 축적 시간을 조절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비월 주사 방식의 CMYG 보색 CFA(Color Filter Array)를 사용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는 원색 CFA를 사용하는 CCD에 비해 빛의 밝기에 민감하다.
이러한, 보색 CFA의 특성으로 인해, 원색 CFA 보다 보색 CFA가 영상 보안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비월 주사라는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하 화소의 신호를 합산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보색 CFA의 특성상 해상도 측면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색 영역을 촬영한 경우에도 CMYG CCD의 출력 신호는 CFA 화소 각각의 색상 감도가 다르기 때문에 합산 된 결과에 고저가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저대역 필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출력 신호의 특성이 영상에 반영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휘도의 추출은 이러한 특성 패턴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저대역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저대역 필터의 특성상 고주파 부분을 감쇄 시키면, 실제 고주파 부분을 지니고 촬영된 영상에 대해서도 감쇄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해상도 측면에서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저대역 필터의 고주파 감쇄에 따라 원래 촬영 영상의 고주파 부분이 사라지는데, 이러한 문제를 줄이고자, 기존에는 저대역 필터의 크기를 늘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저대역 필터의 크기를 늘리는 경우, 고주파 영역의 감쇄를 줄일 수는 있으나, 필터의 크기를 크게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리플 및 링잉 효과가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을 수집하는 입력 영상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입력 영상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고, 저대역 필터링을 통해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휘도 영상 추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입력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입력 영상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고, 저대역 필터링을 통해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월 주사 방식의 보색 CFA를 사용하는 CCD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입력 영상의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필터링을 통해 효과적으로 고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CD(CHARGE-COUPLED DEVICE)가 촬영한 입력 영상의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부가 입력 영상을 화소별로 분리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에서 현재 화소가 고대역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고, 도 6은 현재 화소가 고대역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30)가 적용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렌즈(110), 수광 소자(120), 및 영상 처리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렌즈(110)로 입사하는 빛을 수광 소자(120)를 통해 획득하고, 수광 소자(120)는 상기 획득한 빛을 영상 신호의 형태로 영상 처리 장치(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30)는 상기 수신한 입력 영상을 신호 처리한 후 출력 영상으로 생성하여 저장 매체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 장치(130)는 상기 수집된 입력 영상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고, 저대역 필터링을 통해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처리 장치(130)는 현재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고대역 주파수를 갖는 영상의 경우와 저대역 주파수 만을 갖는 영상에 대해 적응적 저대역 필터링을 수행하여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비월 주사 방식의 보색 CFA를 사용하는 CCD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입력 영상의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필터링을 통해 효과적으로 고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장치(20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장치(200)는 수집된 입력 영상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고, 저대역 필터링을 통해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 영상은 CMYG 보색 CFA(Color Filter Array)를 사용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통해 촬영되며, 도 3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CD(CHARGE-COUPLED DEVICE)가 촬영한 입력 영상(3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통해, 비월 주사 방식의 보색필터를 사용한 CCD의 CFA구조와 신호 전송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영상(310)의 각 화소에는 CMYG 보색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짝수 번째 라인(Even field)에서는 G와 Mg의 필터가 반대로 구성되어 있고, 홀수 번째 라인(Odd field)에서는 A열의 형태로, 짝수 번째 라인에서는 B열의 형태로 상하 화소가 합산되어 [수학식 1]과 같이 각각의 열에 대해서 S1, S2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0045616951-pat00001

이때,
Figure 112010045616951-pat00002
는 A1의 영역에 대한 S1 신호이고,
Figure 112010045616951-pat00003
는 A1 영역에 대한 S2 신호이며,
Figure 112010045616951-pat00004
는 A2 영역에 대한 S1 신호이고,
Figure 112010045616951-pat00005
는 A2 영역에 대한 S2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출력되는 S1, S2 신호는 Horizontal Register(320)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장치(200)는 신호 분리부(210), 저대역 필터링부(220), 비율 계산부(230), 화소 예측부(240), 및 화소 합성/추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신호 분리부(210)는 상기 입력 영상의 차등 처리를 위해, 상기 입력 영상을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부(210)는 상기 입력 영상의 홀수 번째 화소를 상기 제1 입력 영상으로 분리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짝수 번째 화소를 상기 제2 입력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신호 분리부(210)의 동작과 관련하여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부(210)가 입력 영상을 화소별로 분리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신호 분리부(210)에서는 입력 영상의 S1 신호와 S2 신호를 분리 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입력 신호가 갖는 신호의 고저가 고대역 신호로 판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1 신호는 S1 신호끼리, S2 신호는 S2 신호끼리 묶어 주는 역할을 한다.
신호 분리부(21)는 도 3에서와 같이 특정 화소(410)에 대하여 간단한 스위치의 형태로 분리가 가능하며, 특정 화소(410)가 홀수 번째의 S1인 경우 도면부호 420과 같이 제1 입력 영상(GS1)으로 스위칭하고, 짝수 번째의 S2인 경우 도면부호 430과 같이 제2 입력 영상(GS2)으로 스위칭하여, 전체의 입력 영상에 대하여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으로 분리된 두 신호는 고저의 폭이 없는 순수한 영상의 특성을 지니며, 이 신호들은 각각의 저대역 필터를 거쳐 영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저대역 필터링부(220)는 상기 분리된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 각각에 대해, 저대역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대역 필터링부(220)는 상기 분리된 제1 입력 영상을 저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1 저대역 필터(221)와 제2 입력 영상을 저대역 필터링하기 위한 제2 저대역 필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저대역 필터링을 수행하는 각각의 저대역 필터는 주변 영상의 특성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도록 낮은 대역만을 통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학식 2]와 같이 주변 영상의 특성을 충분히 표현하기 위하여, 평균필터를 통해서 제1 저대역 필터(221)와 제2 저대역 필터(222)가 설계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0045616951-pat00006

[수학식 2]에서 Gs는 분리된 신호를 의미한다. 즉, Gs1은 분리된 제1 입력 영상을 의미하고, Gs2는 분리된 제2 입력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는 화소의 위치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i=0'은 현재의 입력 화소를 나타낸다. N은 참조할 화소의 개수로 저대역 필터의 크기를 의미하며, N이 클수록 많은 수의 표본을 갖고 영상의 특성을 표현하므로 표현 값의 성질이 좋아질 수 있다.
비율 계산부(230)는 상기 저대역 필터링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에 대한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율 계산부(230)는 [수학식 3]과 같이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에 대한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0045616951-pat00007
Figure 112010045616951-pat00008

즉, 비율 계산부(230)에서 얻어지는 값은 각각의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상대 신호들의 비율로 Ratio1은 S2신호에 대한 S1신호의 비율을 의미하고, Ratio2는 S1신호에 대한 S2신호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얻어진 주변 화소를 통한 S1, S2의 각각의 특성은 비율 계산부에서 현재 화소의 상반되는 화소 성질의 비율로 계산되어 화소를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각각의 화소 위치에서 상대 화소의 값을 알게 된다면, 완벽한 성질의 휘도 영상을 도출 할 수 있다. 즉, 현재 입력 화소가 S1 화소일 경우에 해당 위치의 S2 화소를 알고 있다면, 이 위치에서의 완벽한 휘도 값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변 화소를 참조하여 휘도 값을 도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학식 3]과 같이 좌우 화소가 아닌 현재 화소에서의 상대 화소 값을 예측하기 위해 주변 화소들의 S1 화소와 S2 화소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화소 예측부(240)는 상기 계산된 비율에 기초하여, 화소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소 예측부(240)는 비율 계산부(230)를 통해 얻어진 Ratio1과 Ratio2를 이용하여, 상대 화소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대 화소 값을 예측하기 위해서, [수학식 4]를 이용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0045616951-pat00009
Figure 112010045616951-pat00010

화소 예측부(240)에서 상대 화소를 추정하는 방법은, 주변 화소들의 S1과 S2 화소 사이의 상대 비율을 계산하여 현재 화소에 대한 상대 비율에 해당하는 화소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4]에서 표현되어 있듯이 현재 화소 S1 위치의 S2 화소의 추정 값인 S2'은, 현재 화소에 대한 주변 S1 화소들의 대표 값 S1"과 주변 S2 화소들의 대표 값 S2"의 비율에 대한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주변 화소들의 비율 값은 앞서 이루어진 화소들 각각의 저역 통과 필터와 비율 계산부(230)에서 계산된 비율로 대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화소가 S2일 경우에도 [수학식 4]와 같이, S1의 추정값 S1'을 계산 할 수 있다.
화소 예측부(240)에서 예측된 상대 화소를 기반으로 화소 합성/추출부(250)에서는 실질적인 현재 화소 위치의 휘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화소 합성/추출부(250)에서는 상기 예측된 화소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화소를 합성하여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방법에서의 저역 통과 필터가 수행 하던 기능으로 S1 화소와 S2신호를 합하는 방식으로 빛의 삼원색의 가산혼합 성질을 이용하여 휘도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획득되는 휘도 신호는 [수학식 5]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0045616951-pat00011

[수학식 5]를 참조하면, 현재 입력 화소가 S1일 경우 화소 예측부(240)에서 예측 된 S2'과 평균을 하고, S2가 입력 화소일 경우에는 S1'과 평균을 하여 최종 휘도 값을 추출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장치(300)를 이용하면, 비월 주사 방식의 보색 CFA를 사용하는 CCD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입력 영상의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필터링을 통해 효과적으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에서 현재 화소가 고대역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고, 도 6은 현재 화소가 고대역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전 화소에 걸쳐서 변화가 없이 S1, S2 특성에 따른 고저만 갖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현재 화소에 특성 변화가 있어 화소 값이 증가된 경우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현재 화소가 주변 화소와 값이 유사할 경우 추정되는 S2' 값은 주변 화소의 값과 일치하여 휘도 값은 S1 신호와 S2 신호의 평균으로 계산될 수 있다.
도 6의 도면부호 610과 같이 현재의 S1값이 영상의 변화를 갖는 경우, 추정되는 S2'의 값은 현재 S1신호에서 주변 S1, S2 신호의 비율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되며, 이 경우 산출되는 휘도 값의 경우 S1 신호의 특성이 포함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 신호가 주변 성분 값의 특성과 다른 경우 현재 신호의 값이 휘도 신호에 더욱 많은 비율로 포함되어 적응적으로 휘도 신호에 대한 저역 필터링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방법은 입력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입력 영상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여 저대역 필터링을 통해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방법은 입력 영상을 수집하고(단계 710), 상기 입력 영상의 차등 처리를 위해, 상기 입력 영상을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다(단계 720).
각 화소별로 홀수 번째 라인(Odd field)에서는 A열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짝수 번째 라인(EVEN field)에서는 B열의 형태로 상하 화소가 합산되어 각각의 열에 대해서 S1, S2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방법은 S1 신호를 제1 입력 영상으로, S2 신호를 제2 입력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방법은 상기 분리된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을 각각 필터링할 수 있고(단계 730), 상기 저대역 필터링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에 대한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단계 740).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에 대한 비율은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방법은 상기 계산된 비율에 기초하여 화소를 예측할 수 있고(단계 750), 상대 화소 값을 예측하기 위해서, 상술한 [수학식 4]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방법은 상기 예측된 화소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화소를 합성하여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단계 76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도 영상 추출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휘도 영상 추출장치 210: 신호 분리부
220: 저대역 필터링부 230: 비율 계산부
240: 화소 예측부 250: 화소 합성/추출부

Claims (10)

  1. 입력 영상을 수집하는 입력 영상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입력 영상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고, 저대역 필터링을 통해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휘도 영상 추출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휘도 영상 추출장치는,
    상기 입력 영상의 차등 처리를 위해, 상기 입력 영상을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으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홀수 번째 화소를 상기 제1 입력 영상으로 분리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짝수 번째 화소를 상기 제2 입력 영상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영상 추출장치는,
    상기 분리된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을 각각 필터링하는 저대역 필터를 포함하는 저대역 필터링부; 및
    상기 저대역 필터링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는 비율 계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을 각각 필터링하는 저대역 필터는,
    상기 입력 영상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저대역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비율에 기초하여, 화소를 예측하는 화소 예측부; 및
    상기 예측된 화소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화소를 합성하여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화소 합성/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영상 추출장치는,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8. 입력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입력 영상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고, 저대역 필터링을 통해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의 차등 처리를 위해, 상기 입력 영상을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으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분리된 제1 입력 영상 및 제2 입력 영상을 각각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저대역 필터링된 상기 제1 입력 영상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비율에 기초하여, 화소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화소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화소를 합성하여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10.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68275A 2010-07-15 2010-07-15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143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275A KR101143715B1 (ko) 2010-07-15 2010-07-15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275A KR101143715B1 (ko) 2010-07-15 2010-07-15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639A KR20120007639A (ko) 2012-01-25
KR101143715B1 true KR101143715B1 (ko) 2012-05-11

Family

ID=4561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275A KR101143715B1 (ko) 2010-07-15 2010-07-15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7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299A (ko) * 2006-06-22 2007-12-27 주식회사 아이닉스 명암대비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KR20080104826A (ko) * 2007-05-29 2008-12-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299A (ko) * 2006-06-22 2007-12-27 주식회사 아이닉스 명암대비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KR20080104826A (ko) * 2007-05-29 2008-12-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재현성이 높은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639A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8236B1 (en) Improved image formation using different resolution images
US902587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high sensitive color images
TWI451754B (zh) 改善缺陷色彩及全色彩色濾光器陣列影像
JP5108172B2 (ja) 画像データサイズ変換処理装置、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画像データサイズ変換処理用記録媒体
JP5016255B2 (ja) ノイズ低減装置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
JP5220777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123756B2 (ja) 撮像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EP2560375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capture device,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913837B1 (ko)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9338364B2 (en) Imaging device and image generation method
US86750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composition of photographic image
KR20090087811A (ko) 촬상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방법의 프로그램 및 화상 처리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 매체
KR101563348B1 (ko) 영상의 노이즈를 저감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9105992A (ja) 撮像処理装置
JP201117184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738904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43715B1 (ko) 비월 주사 보색필터를 사용하는 ccd에서 고해상도의 휘도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69134B1 (ko)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JP591908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015228A (ja) 画像処理装置、撮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4936816B2 (ja) 撮像装置及び同時表示制御方法
JP5158167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687750B2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信号処理用記憶媒体
JP58715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247927B2 (ja) 撮影装置及び画像補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