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565B1 -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565B1
KR101143565B1 KR1020090068879A KR20090068879A KR101143565B1 KR 101143565 B1 KR101143565 B1 KR 101143565B1 KR 1020090068879 A KR1020090068879 A KR 1020090068879A KR 20090068879 A KR20090068879 A KR 20090068879A KR 101143565 B1 KR101143565 B1 KR 101143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rawer
damper
guid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296A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090068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5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91Drawer movement damping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의 닫힘을 강제하는 댐퍼어셈블리와 걸림링크 상호 간의 설치위치 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는, 캐비넷(110)에 설치되는 댐퍼어셈블리(120)의 일측을 감싸는 댐퍼가이드(310)와; 상기 댐퍼가이드(310)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서랍(100)에 설치되는 걸림링크(200)를 감사는 링크가이드(320)와; 상기 댐퍼가이드(310)에 구비되며, 상기 댐퍼어셈블리(120)를 구성하는 열림돌기(133)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수단(33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 신뢰도와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서랍, 댐퍼, 링크, 위치선정, 조립

Description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Positioning instrument for link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서랍용 걸림링크의 설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랍의 닫힘을 강제하는 댐퍼어셈블리와 걸림링크 상호 간의 설치위치 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랍의 개폐가 사용자에 의해 모두 이루어졌으나, 근래에는 서랍의 개폐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가 출현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서랍 자동 개폐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등과 같은 가구에는 가구레일(10)이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이러한 가구레일(10)을 따라 서랍(20)이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가구레일(10)에는 댐퍼어셈블리(30)가 일체로 구비되어, 서랍(20)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며, 상기 서랍(20)의 측면 좌측단에는 링크(40)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어셈블리(30)에는 상기 서랍(20)의 닫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50)가 일체로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2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댐퍼어셈블리(30)의 우 측단에 걸어지면, 상기 댐퍼어셈블리(30)에 의해 상기 서랍(20)은 자동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30)에 상기 링크(40)가 선택적으로 걸어져, 서랍(20)의 닫힘을 강제하게 되므로, 상기 댐퍼어셈블리(30)와 링크(40)는 서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가구와 서랍(20)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댐퍼어셈블리(30)와 링크(40)의 설치위치를 조립자의 시각에 의하게 되므로, 정확한 위치 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서랍(20)의 닫힘이 원활하지 않아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랍의 닫힘을 강제하는 댐퍼어셈블리와 걸림링크 상호 간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선정 가능한 링크 위치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랍의 닫힘을 강제하는 댐퍼어셈블리와 걸림링크 상호 간의 설치위치를 보다 쉽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는, 캐비넷에 설치되는 댐퍼어셈블리의 일측을 감싸는 댐퍼가이드와; 상기 댐퍼가이드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서랍에 설치되는 걸림링크를 감사는 링크가이드와; 상기 댐퍼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댐퍼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열림돌기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은, 캐비넷에 설치되는 댐퍼어셈블리의 일측을 댐퍼가이드가 감싸도록 하는 댐퍼안착단계와; 링크가이드의 끝단이 서랍의 전면판에 밀착되어, 상기 댐퍼어셈블리와 걸림링크의 간격이 설정되도록 하는 서랍밀착단계와; 상기 링크가이드에 걸림링크를 안착하는 링크안착단계와; 상기 링크가이드에 안착된 걸림링크를 서랍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단계가 완료된 다음, 서랍을 개방하여 상기 댐퍼가이드가 댐퍼어셈블리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서랍개방단계와; 링크 위치선정구를 서랍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링크 위치선정구에 따르면, 위치선정구의 댐퍼가이드를 댐퍼어셈블리 일단에 끼운 상태에서, 링크가이드에 걸림링크가 안착되도록 하여 서랍에 고정한다. 따라서, 걸림링크의 설치위치 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에는, 댐퍼어셈블리의 열림돌기를 당기는 걸림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위치선정구를 밖으로 끄집어내는 과정에서 열림돌기가 전방으로 인출되므로, 서랍을 다시 닫는 경우에 열림돌기와 닫힘돌기가 걸림링크에 정확히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작업이 없이도 걸림링크와 걸림스위치(열림돌기 및 닫힘돌기)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소비자의 불만이 방지되고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단계에 의해 걸림링크가 서랍의 측면에 정확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걸림링크의 조립이 편리해져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가 사용되는 서랍 설치구조가 사시 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 크기의 가구들에는 물품 수납을 위한 서랍(100)이 장착된다. 즉,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사각 형상의 서랍(100)이 슬라이딩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서랍(100)은 캐비넷(110)과 같은 가구에 수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캐비넷(110)에 사각 형상의 서랍(100)이 수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유동하게 된다.
상기 캐비넷(110)에는 캐비넷레일(112)이 설치된다. 상기 캐비넷레일(112)은 상기 서랍(100)이 전후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서랍레일(102)이 연동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는 부분이다. 상기 캐비넷레일(112)은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되도록 바퀴가 달리거나 볼,롤러 등이 조합되기도 한다.
상기 서랍(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캐비넷레일(112)과 대응되는 서랍레일(102)이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서랍레일(1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상기 캐비넷(110)의 일면에는 상기 서랍(100)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댐퍼어셈블리(120)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120)는, 상기 서랍(100)이 닫히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함과 동시에 닫힘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102,112)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기 캐비넷레일(112)은 캐비넷(110)의 측면 하단부에 설치됨에 반하여, 상기 댐퍼어셈블 리(120)는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 중앙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서랍(100)의 상반부에는 걸림링크(2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링크(200)가 볼트(bolt)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댐퍼어셈블리(120)과 걸림링크(200)의 설치 위치는 서로 반대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댐퍼어셈블리(120)가 상기 서랍(100)의 측면에 설치되고, 걸림링크(200)가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미설명 부호 106은 '손잡이'다.
도 3에는 상기 걸림링크(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링크(200)는, 상기 서랍(100)이나 캐비넷(110)에 고정 설치되는 링크판(210)과, 상기 링크판(2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링크돌기(2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판(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링크판(210)의 좌우 끝단부에는 볼트(bolt) 체결을 위한 체결공(230)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링크돌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열림돌기(133)가 중앙부에 수용되도록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는 상기 서랍(100)이 닫힌 상태의 댐퍼어셈블리(120)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상기 서랍(100)이 열리는 상태의 댐퍼어셈블리(120)가 부분 절개된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는, 상기 걸림링크(200)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스위치(13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형성된 가이드핀(136,137)이 수용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홀(140)과,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15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댐퍼(1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링크(200)가 걸어지는 돌기(132,133)와, 상기 당김부재(150)의 일단이 걸어지는 당김부재체결단(134)과,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핀(136,137)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132,133)는,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단 우측에 형성되는 닫힘돌기(132)와, 상단 좌측단에 형성되는 열림돌기(1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형성된다. 상기 닫힘돌기(132)는 상기 서랍(100)이 닫히는 경우에 상기 걸림링크(200)와 먼저 접하는 부분이며, 상기 열림돌기(133)는 상기 서랍(100)이 열리는 경우에 걸림링크(20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핀(136,137)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중앙 부근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1가이드핀(136)과,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우측단 부근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2가이드핀(1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은, 상기 돌기(132,133)와 대칭되는 하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당김부재(150)의 우측단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위치보다 항상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당김부재(150)의 우측단이 연결되는 당김부재체결단(134)의 위치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상기 안내홀(140)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우측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하단부를 당겨 걸림스위치(130)가 고정되도록 하는 당김부재체결단(134)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회전 중심(작용점) 역할을 하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보다 적어도 하측(도 5에서)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홀(146)에 정지한 채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내홀(140)은,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댐퍼어셈블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홀(140)은, 상기 가이드핀(136,137)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수평홀(142)과, 상기 수평홀(14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홀(144)과, 상기 가이드홀(144)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36,137)이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146)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홀(14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안내홀(140)은 3단계의 경사를 가진다. 즉 안내홀(140)의 우측은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길이방향과 같이 좌우로 수평으로 소정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수평홀(142)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평홀(142)의 좌측에는 수평홀(142)보다 아래로 소정 각도로 꺽여진 가이드홀(14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44)의 좌측에는 더 큰 각도로 아래로 꺾여진 고정홀(14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44)은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슬라이딩 유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상기 고정홀(146)에 수용되는 경우나, 상기 고정홀(146)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당김부재(150)는, 도시되 바와 같이, 우측단은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하단 우측에 연결되고, 좌측단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당김부재체결단(134)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당김부재(150)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댐퍼(160)는,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복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중앙 부분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댐퍼(160)는 댐퍼홀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좌측단에는 로드(164)가 돌출되어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우측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160)에 의해 감속되어 결국, 서랍(100)의 닫힘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양단에는 댐퍼어셈블리(120)가 볼트(bolt)에 의해 상기 캐비넷(11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홀(170)이 관통 형성된다.
도 6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과 걸림링크(200)가 서로 정위치에 결합된 상태를 서랍(100)의 우측에서 본 우측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댐퍼어셈블리(120)는 캐비넷(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걸림링크(200)의 링크돌기(220)는, 상기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서랍(100)과 일체로 형성된 걸림링크(200)에 의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가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서랍(100)의 손잡이(106)를 잡고 전방(도 6에서는 좌측)으로 당기면, 상기 링크돌기(220)가 상기 열림돌기(133)를 좌측으로 밀게 된다.
도 7a와 도 7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b에는 도 7a에 도시된 링크 위치선정구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 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300)는, 캐비넷(110)에 설치되는 댐퍼어셈블리(120)의 일측을 감싸는 댐퍼가이드(310)와, 서랍(100)에 설치되는 걸림링크(200)를 감사는 링크가이드(320)와, 상기 댐퍼어셈블리(120)를 구성하는 열림돌기(133)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수단(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가이드(310)와 링크가이드(320)는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며, 각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와 걸림링크(200)의 일단을 각각 감싼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상하로 중앙지지대(302)가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이러한 중앙지지대(302)의 좌우에 상기 링크가이드(320)와 댐퍼가이드(31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댐퍼가이드(310)는, 상기 중앙지지대(302)의 우측에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댐퍼가이드(3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ㄷ'자 형상(도 7a에서)을 가지는 이러한 한 쌍의 댐퍼가이드(310) 사이에는 댐퍼수용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댐퍼수용부(312) 사이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좌측 부분이 수용된다.
상기 링크가이드(320)는, 상기 중앙지지대(302)로부터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댐퍼가이드(310)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앙지지 대(302)의 좌측에는 '⊃'형상의 링크가이드(320)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기 걸림링크(200)가 수용되는 링크수용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링크수용부(322)는, 상기 댐퍼수용부(312)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링크수용부(322)의 하단과, 상기 댐퍼수용부(312)의 상단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림링크(200)의 하단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상단과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걸림수단(330)은, 상기 댐퍼가이드(310)에 구비된다. 즉, 상기 댐퍼가이드(310)의 우측단에 상기 걸림수단(330)이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수단(330)은, 상기 링크가이드(320)의 상단에 구비되며, 링크가이드(3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구비된다. 즉, 상기 걸림수단(330)은, 상기 링크가이드(320)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가이드(320)의 우측단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걸림수단(330)은, 선택적으로 상기 열림돌기(133)가 걸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도 7b 참조)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탄성에 의해 끝단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후크(332,334)로 이루어진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후크(332)와 제2후크(334)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1후크(332)와 제2후크(334)의 우측단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크(332,334)는, 상기 댐퍼가이드(310)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336)와, 상기 지지부(336)의 끝단으로부터 벤딩(bending) 형성되 는 걸림부(33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336)는, 상기 댐퍼가이드(310)의 우측단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3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36)의 우측단으로부터 거의 수직이 되도록 벤딩(bending)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걸림부(338)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림부(338)의 좌측면은 상기 댐퍼가이드(3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338)의 우측면은 좌측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걸림부(338)의 우측면을 경사지게 하는 것은, 상기 열림돌기(133)가 상기 한 쌍의 후크(332,334) 사이로 용이하게 들어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38)의 좌측면을 댐퍼가이드(310)와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열림돌기(133)가 상기 한 쌍의 후크(332,334) 사이로 들어온 다음 우측으로 다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a와 도 8b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링크 위치선정구(300)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식화 한 것이다. 즉,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300)에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와 걸림링크(200)가 각각 수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수용부(312)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좌측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되며, 상기 링크수용부(322)에는 상기 걸림링크(200)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수용부(312)에 상기 댐퍼어셈블리(120)가 완전히 수용되면, 상기 걸림수단(330)에는 상기 열림돌기(133)가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332,334)가 상기 열림돌기(133)를 감싸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이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상태가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은, 캐비넷(110)에 설치되는 댐퍼어셈블리(120)의 일측을 댐퍼가이드(310)가 감싸도록 하는 댐퍼안착단계(S400)와, 링크가이드(320)의 끝단이 서랍(100)의 전면판(104)에 밀착되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와 걸림링크(200)의 간격이 설정되도록 하는 서랍밀착단계(S410)와, 상기 링크가이드(320)에 걸림링크(200)를 안착하는 링크안착단계(S420)와, 상기 링크가이드(320)에 안착된 걸림링크(200)를 서랍(100)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S430)와, 서랍(100)을 개방하여 상기 댐퍼가이드(310)가 댐퍼어셈블리(1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서랍개방단계(S440)와, 링크 위치선정구(300)를 서랍(100)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S4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안착단계(S400)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가 상기 링크 위치선정구(300)의 댐퍼수용부(312)에 수용되도록 하는 단계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10) 측면에 고정 설치된 댐퍼어셈블리(120)의 우측 부분을 댐퍼가이드(310)가 감싸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서랍밀착단계(S410)는 도 10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서랍(100)을 좌측으로 밀어넣어서, 서랍(100)의 전면판(104)이 상기 링크가이드(320)의 우측단에 접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링크가이드(320)가 서랍(100)의 측면에 정확한 위치를 잡게 된다. 도 10의 (b)는 상기 서랍밀착단계(S410)가 완료된 상태로 보인 것이다.
상기 링크안착단계(S420)는, 도 10의 (c)와 같이, 상기 링크수용부(322)의 좌측단에 상기 걸림링크(200)를 수용하는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걸림링크(200)를 상기 링크수용부(322)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안착하는 과정이다.
상기 고정단계(S430)는, 도 10의 (c)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링크(200)의 체결공(230)에 볼트(bolt) 체결하여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의 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서랍개방단계(S440)는, 상기 고정단계(S430)가 완료된 다음, 서랍(100)을 우측으로 당겨 개방함으로써, 상기 댐퍼가이드(310)가 댐퍼어셈블리(1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즉, 도 10의 (c)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링크 위치선정구(300)를 서랍(10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서랍(100)을 우측으로 당기면, 서랍(100)과 함께 상기 링크 위치선정구(300)가 캐비넷(110)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가이드(310)가 댐퍼어셈블리(120)로부터 분리된다.
도 10의 (d)는, 상기 서랍개방단계(S440)가 완료된 경우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 분리단계(S450)는, 도 10의 (d)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링크 위치선정 구(300)를 서랍(1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다. 즉, 도 10의 (d)에서 상기 링크 위치선정구(300)를 전방으로 당겨 서랍(1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링크 위치선정구(300)를 서랍(100)으로부터 분리하면, 도 10의 (e)와 같이,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의 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댐퍼안착단계(S400) 또는 서랍밀착단계(S410)에는, 상기 걸림수단(330)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열림돌기(133)에 걸어지는 걸림과정(S460)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가 캐비넷(110)에 장착되어 출시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열림돌기(133)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서랍(100)을 캐비넷(110)에 장착하면, 도 11과 같이 된다. 즉, 서랍(100)을 캐비넷(110)에 밀어넣으면, 상기 열림돌기(133)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열림돌기(133)에 상기 걸림링크(200)의 링크돌기(220)가 간섭을 일으킨다. 따라서, 서랍(100)이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되며, 열림돌기(133)와 링크돌기(220)의 결합도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서랍(100)의 자동 닫힘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서랍(100) 조립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걸림과정(S460)이 수행된다.
상기 걸림과정(S460)은, 상기 한 쌍의 후크(332,334)가 상기 열림돌기(133)를 감싸도록 하는 과정으로, 상기 댐퍼안착단계(S400)나 서랍밀착단계(S410)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댐퍼안착단계(S400)에서 상기 위치선정구(300)를 캐비넷(110)과 서랍(100) 사이에 밀어넣으면, 상기 한 쌍의 후크(332,334)가 서로 탄성에 의해 벌어지게 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열림돌기(133)가 도 8b와 같이 한 쌍의 후크(332,334) 사이에 수용된다.
상기 댐퍼안착단계(S400)에서 상기와 같은 걸림과정(S460)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서랍밀착단계(S410)에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서랍밀착단계(S410)에서 상기 서랍(100)을 좌측으로 밀게 되면, 서랍(100)의 전면판(104)에 의해 위치선정구(300)가 좌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열림돌기(133)가 한 쌍의 후크(332,334) 사이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서랍개방단계(S440)에는, 상기 걸림수단(330)에 의해 상기 열림돌기(133)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과정(S470)이 포함된다. 즉, 상기 서랍(100)이 캐비넷(11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열림돌기(133)가 상기 한 쌍의 링크돌기(220) 사이에 수용되어 서로 결합되어야 서랍(100)의 자동 닫힘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최초에 상기 서랍(100)을 조립할 때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상태가 도 5와 같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링크(200)의 설치를 완료하면서 상기 걸림스위치(130)를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당겨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이송과정(S470)은, 이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130)를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당기는 과정이다. 즉, 상기 걸림과정(S460)에 의해 후크(332,334)에 열림돌기(133)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개방단계(S440) 수행시 위치선정구(300)를 서랍(100)과 함께 전방으로 당기면, 이러한 위치선정구(300)의 걸림수단(330)에 열림돌기(133)가 걸어져 전방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스위치(130)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 다음, 상기 서랍(100)을 다시 캐비넷(110) 속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걸림링크(200)의 링크돌기(220)가 닫힘돌기(132)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림돌기(133)가 한 쌍의 링크돌기(220) 사이에 위치(도 6 참조)되므로, 서랍(100)은 댐퍼어셈블리(120)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서랍(100)의 개폐시에,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서랍(100)을 여는 경우, 서랍(100)을 앞쪽으로 당기면 서랍(100)은 상기 레일(102,1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열리게 된다. 즉,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서랍(100)을 전방(도 6에서는 좌측)으로 당기면, 상기 링크돌기(220)가 상기 열림돌기(133)를 좌측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이 서랍(100)이 열리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걸림스위치(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어셈블리(120)의 좌측단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기 열림돌기(133)가 상기 댐퍼어셈블리(120) 내측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걸림링크(200)의 링크돌기(220)가 상기 열림돌기(133)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서랍(100)이 완전히 열리게 된다.
다음으로 열린 서랍(100)을 닫게 되면, 전방으로 인출된 서랍(100)이 후방으 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가 도 5과 같이 된 상태에서 걸림링크(200)의 링크돌기(220)가 상기 닫힘돌기(132) 좌측단에 부딪혀 닫힘돌기(132)를 우측(도 5에서)으로 밀게 되므로, 상기 링크돌기(220)는 도 6과 같이 열림돌기(133)와 닫힘돌기(132) 사이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상기 당김부재(150)에 의해 당겨져 우측(도 5에서)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림링크(200)도 상기 열림돌기(133)에 의해 밀려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서랍(100)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의 다른 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2와 도 13에는 상기 걸림링크(200)가 서랍(1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즉, 도 12에는 상기 서랍(100)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걸림링크(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된 제2걸림링크(200')를 서랍(100)의 하면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구(300)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링크(200')는 상기의 걸림링크(200)의 경우와는 달리, 한 쌍의 링크돌기(220)가 링크판(210)의 전방에 형성된다. 따라 서, 이러한 링크돌기(220)는, 서랍(100)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된 제2걸림링크(200')를 위치선정구(300)를 사용하여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링크(20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링크가이드(320)에 보조부재(340)가 더 끼워진다. 즉, 상기 위치선정구(300)의 링크수용부(322) 상하 높이가 상기 제2걸림링크(200')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제2걸림링크(200')를 잡아주기 위해 별도의 보조부재(340)를 링크가이드(320)에 끼워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2걸림링크(200')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댐퍼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랍 설치구조의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가 사용되는 서랍 설치구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설치되는 걸림링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 실시예와 결합되는 댐퍼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은 본 발명 실시예와 결합되는 댐퍼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 서랍이 열리는 경우의 걸림스위치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체결되는 걸림링크와 댐퍼어셈블리의 올바른 결합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에 걸림링크와 댐퍼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블럭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체결되는 걸림링크가 댐퍼어셈블리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체결되는 제2걸림링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위치선정구에 제2걸림링크와 댐퍼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서랍 120. 댐퍼어셈블리
130. 걸림스위치 140. 안내홀
150. 당김부재 160. 댐퍼
200. 걸림링크 210. 링크판
220. 링크돌기 300. 위치선정구
310. 댐퍼가이드 320. 링크가이드
330. 걸림수단 340. 보조부재
S400. 댐퍼안착단계 S410. 서랍밀착단계
S420. 링크안착단계 S430. 고정단계
S440. 서랍개방단계 S450. 분리단계

Claims (7)

  1. 캐비넷(110)에 설치되는 댐퍼어셈블리(120)의 일측을 감싸는 댐퍼가이드(310)와;
    서랍(100)에 설치되는 걸림링크(200)를 감싸는 링크가이드(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이드(310)의 일측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120)를 구성하는 열림돌기(133)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수단(33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이드(310)와 링크가이드(320)는,
    각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와 걸림링크(200)의 일단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330)은,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탄성에 의해 끝단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후크(332,33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332,334)는,
    상기 댐퍼가이드(310)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336)와, 상기 지지부(336)의 끝단으로부터 벤딩(bending) 형성되는 걸림부(3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
  6. 캐비넷(110)에 설치되는 댐퍼어셈블리(120)의 일측을 댐퍼가이드(310)가 감싸도록 하는 댐퍼안착단계(S400)와;
    링크가이드(320)의 끝단이 서랍(100)의 전면판(104)에 밀착되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와 걸림링크(200)의 간격이 설정되도록 하는 서랍밀착단계(S410)와;
    상기 링크가이드(320)에 걸림링크(200)를 안착하는 링크안착단계(S420)와;
    상기 링크가이드(320)에 안착된 걸림링크(200)를 서랍(100)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S430)와;
    상기 고정단계(S430)가 완료된 다음, 서랍(100)을 개방하여 상기 댐퍼가이드(310)가 댐퍼어셈블리(1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서랍개방단계(S440)와;
    링크 위치선정구(300)를 서랍(100)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S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안착단계(S400) 또는 서랍밀착단계(S410)에는, 걸림수단(330)이 상기 댐퍼어셈블리(120)의 열림돌기(133)에 걸어지는 걸림과정(S460)이 포함되며;
    상기 서랍개방단계(S440)에는, 상기 걸림수단(330)에 의해 상기 열림돌기(133)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과정(S470)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위치선정구의 사용방법.
KR1020090068879A 2009-07-28 2009-07-28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 KR10114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79A KR101143565B1 (ko) 2009-07-28 2009-07-28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79A KR101143565B1 (ko) 2009-07-28 2009-07-28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96A KR20110011296A (ko) 2011-02-08
KR101143565B1 true KR101143565B1 (ko) 2012-05-09

Family

ID=4377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879A KR101143565B1 (ko) 2009-07-28 2009-07-28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5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4438A (ja) * 2007-04-16 2008-11-06 Shigeo Ono 家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4438A (ja) * 2007-04-16 2008-11-06 Shigeo Ono 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96A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569B1 (ko) 닫힘조절장치
JP4307356B2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7967399B1 (en) Linearly actuated chassis lock for a drawer slide
KR101095910B1 (ko) 개폐조절장치 및 그 설치구조
EP3661340A1 (en) Bracket device
US6224177B1 (en) Sliding track assembly
US20100031579A1 (en)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KR20070048333A (ko) 도어 힌지
EP3197252A1 (en) Slide rail assembly and guiding mechanism thereof
KR101143565B1 (ko) 링크 위치선정구 및 그 사용방법
US6634726B1 (en) Multiple drawer cabinet allowing one drawer opened at a time
KR100702995B1 (ko) 냉장고용 트레이 인출장치
KR20070040483A (ko) 차량 뒷좌석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한 2단 록킹 장치
JP2008229281A (ja) 引出の摺動機構
KR20110038493A (ko) 도어 개폐구조
KR101113134B1 (ko) 도어 개폐구조
KR100833322B1 (ko) 서랍식 저장실의 레일 장치
JP3163033U (ja) 引出の摺動機構
KR101095903B1 (ko) 서랍 설치구조
KR20100108795A (ko) 자동담힘기능이 구비된 서랍
KR102229589B1 (ko) 딘레일에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
KR101095908B1 (ko) 걸림링크
KR200462046Y1 (ko) 도어 개폐구조
JP7429406B2 (ja) 吊下具
CN113329909B (zh) 车辆头枕折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