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330B1 - 엘리베이터 케이블용 텐션 수단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케이블용 텐션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330B1
KR101143330B1 KR1020067010160A KR20067010160A KR101143330B1 KR 101143330 B1 KR101143330 B1 KR 101143330B1 KR 1020067010160 A KR1020067010160 A KR 1020067010160A KR 20067010160 A KR20067010160 A KR 20067010160A KR 101143330 B1 KR101143330 B1 KR 10114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elevator car
correction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3754A (ko
Inventor
조르마 머스탈라티
에스코 얼란코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2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Roping for counterweightless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바람직하게는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는, 하나의 로프 또는 복수의 평행한 로프를 포함하는 일군의 호이스트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트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이동하게 하는 트랙션 시브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위아래로 이동하는 호이스트 로프의 로프 부분을 포함하며, 로프 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균등화 및/또는 보정하기 위하여 호이스트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트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는 적어도, 보정 장치의 구조적 작동 범위인 제 1 범위 및 보정 장치의 소정의 보정 범위인 제 2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보정 장치에는 보정 장치가 소정의 보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요소가 제공된다.
Figure 112006036467017-pct00001
엘리베이터, 호이스트 로프, 평형추, 전환 풀리, 보정 장치, 로프 신장, 인장 시브 조립체,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케이블용 텐션 수단{TENSION MEANS FOR ELEVATOR CABL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서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난 보정 장치의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청구항 9의 전제부에서 정의된 방법 및 청구항 1의 전제부에서 정의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개발 작업의 목적 중 하나는 건물 공간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 이러한 개발 작업은 무엇보다도 특히 기계실 없는 다양한 엘리베이터 솔루션을 제공하여 왔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좋은 예는 EP 0 631 967 (A1) 및 EP 0 631 968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명세서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확장할 필요없이 건물 내부의 기계실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간 활용의 관점에서 상당히 효율적이다. 이러한 명세서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기계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는 소형이지만, 다른 방향으로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기계보다 크기가 더 크다.
이러한 기본적으로는 좋은 엘리베이터 솔루션에서, 호이스트(hoisting) 머신을 위한 공간 및 배치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배치 솔루션에 있어서의 선택의 폭은 제한된다. 호이스트 로프의 통과를 위한 배열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평형추를 위해 필요한 공간처럼, 엘리베이터 카(car)에 의해 그 궤도에 요구되는 공간은 쉽게 축소될 수 없는데, 적어도 엘리베이터의 작동 성능과 품질을 나쁘게 하지 않는 범위 및 합리적인 원가 내에서는 그러하다.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사프트에 호이스트 머신을 설치하는 것은 대개 어렵다. 특히 전술한 기계에 관한 솔루션의 경우에 있어서 그러한데, 호이스트 머신이 상당히 무겁고 큰 물체이기 때문이다. 특히, 큰 하중, 큰 속도 및/또는 높은 호이스트 높이를 위한 엘리베이터에서, 기계의 크기와 무게는 설치에 있어서 더 큰 문제가 되므로, 실제 요구되는 기계의 크기 및 높이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구상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거나, 적어도 더 큰 엘리베이터에 위의 구상을 적용하는 것을 방해한다. 엘리베이터 현대화 프로젝트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사용되는 공간은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구상의 적용 범위를 대부분 제한한다. 많은 경우에, 특히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교체 또는 현대화의 경우에 있어서, 기계실 없는 로프식 엘리베이터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는데, 이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특히 현대화 또는 교체되기 위하여 유압 엘리베이터 솔루션에 평형추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서 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평형추가 제공되는 엘리베이터의 단점 중의 일부는 평형추의 원가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평형추를 위하여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현재에는 거의 없는 드럼 구동식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트 머신이 무겁고 복잡하다는 점과 이로 인하여 높은 파워 및/또는 토크가 요구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선행 기술의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 솔루션은 신종이며, 적절한 솔루션은 알려져 있지 않다. 지금까지, 엘리베이터를 평형추 없이 만드는 것은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합리적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하나의 솔루션이 WO9806655의 명세서의 기재되어 있다. 최근의 국제특허출원은 실행가능한 솔루션을 개시한다. 선행 기술의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호이스트 로프의 인장은 무게 또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구현되지만, 이것은 호이스트 로프의 인장을 구현하는데 매력적인 방법이 아니다.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다른 문제점은, 예컨대 긴 로프가 사용되는 경우에, 큰 호이스트 높이 또는 큰 서스펜션 비가 사용되기 때문에 야기되는 로프 신장의 보정 및 동시에 로프 신장으로 야기되는 트랙션 시브 및 호이스트 로프 사이의 마찰은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충분하지 않다. 또 다른 문제점은 로프 신장의 보정을 확보하는 방법 및 보정 장치의 작동 신뢰도이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목적은 적어도 다음의 목적 중 하나를 달성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건물 내부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에서 이전보다 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것은, 가능하다면 상대적으로 좁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호이스트 로프의 위험하게 큰 로프 신장을 제어하고 그로 인해 야기되는 위험한 상태를 제거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 다른 목적은, 로프 신장 보정 시스템에 대한 보정 범위 및 안전 조절 범위(safe adjustment range), 그리고 호이스트 로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순한 수단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청구항 9에 특징부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청구항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보성 있는 실시예가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제시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독창적인 내용은 청구의 범위에서 설명되는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분리된 발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특히 명백하거나 함축적인 하위 발명에 비추어 본 발명이 고찰되거나,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일군의 장점에 관하여 고찰될 경우에 그러하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후술할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특성 중 일부는 분리된 발명의 관점에서는 불필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여럿 중에서 다음의 장점 중 하나 이상이 달성될 수 있다:
- 보정 장치에 필요한 보정 범위 및 호이스트 로프의 모니터링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이는 보정 장치의 보정 범위가 그것의 구조 때문에 제한되기 때문이다.
- 보정 장치에서 보정 범위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난 편차에 관한 정보가 빠르게 습득될 수 있고, 동시에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 상태가 때맞추어 검출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이 더 확실히 보장되는데, 특히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그러하다.
- 보정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방해 또는 위험 상황에 상응하는 다른 상황에 의해 야기되어 보정 장치의 스위칭 요소를 활성화하는 요소에 의해, 때맞추어 엘리베이터가 정지되고 그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트 로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본 발명을 적용함에 따라 쉽고 간단하게 수행된다.
- 호이스트 로프 보정 장치의 스위칭 요소의 활성화를 야기하는 정보 및/또는 다른 위험 상황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및 방법을 사용하면,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난 편차에 관한 정보를 원격의 엘리베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에까지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정비 요구에 관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 적어도 호이스트 로프 및/또는 보정 장치와 관련해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정비 요구에 관한 정보가 빨리 획득될 수 있다.
-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다양한 방해 상황 및 위험 상황을 쉽고 빠르게 검출할 수 있다. 위 방해 상황 및 위험 상황으로는, 전환 풀리가 손상되고 차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로프 통로가 방해되는 경우, 로프 길이가 변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가 버퍼 위로 구동되거나 엘리베이터의 안전 기어가 걸리는 상황, 및/또는 다른 상응하는 방해 상황이 있다.
- 추가로,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바람직한 방법으로 보정 장치를 구동하는 것이 쉽게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된 범위는 사람 및/또는 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설계되는 엘리베이터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 범위는 속도 범위가 약 1.0 m/s 또는 그 아래에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는데, 그 이상의 범위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0.6 m/s의 속도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기 쉽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틸 와이어 로프와 같은 보통의 엘리베이터 로프가 사용가능하다. 합성 섬유 하중 지지부(synthetic-fiber load-bearing part)를 갖춘 로프 구조 및 합성물질의 로프, 예컨대 최근 엘리베이터에의 사용이 제안된 소위 아라미드(aramid) 로프와 같은 로프가 엘리베이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용가능한 솔루션은 스틸 강화 평 밸트(steel-reinforced flat belts)인데, 특히 이것들이 허용하는 휨 반지름이 작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사용하기 위하여 특히 유리하게 적용가능한 것은 예컨대 원형의 강한 와이어로부터 비틀리는 엘리베이터 호이스트 로프이다. 원형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로프는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와이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비틀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잘 적용될 수 있는 로프에서, 와이어의 두께는 평균적으로 0.4 mm 미만이다. 강한 와이어로 만들어진 적절한 로프는 평균 와이어 두께가 0.3 mm 미만, 심지어 0.2 mm 미만이다. 예를 들어, 가늘게 와이어된(thin-wired) 강한 4-mm 로프는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비틀려, 마무리된 로프에서의 평균 와이어 두께가 0.15 mm에서 0.25 mm사이이고, 가장 가는 와이어가 약 0.1 mm의 두께만을 가진다. 가는 로프 와이어는 비교적 강하게 되도록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프 와이어는 약 2000 N/mm2 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진다. 적절한 로프 와이어 강도는 2300에서 2700 N/mm2 이다. 이론적으로는, 약 3000 N/mm2 또는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로프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하나의 로프 또는 다수의 평행 로프를 포함하는 일군의 호이스트 로프 상에 매달려 있으며,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트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하게 하는 트랙션 시브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위아래로 이동하는 호이스트 로프의 로프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는 로프 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균등화 및/또는 보정하기 위하여 호이스트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트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는 적어도 구조적 작동 범위인 제 1 범위 및 보정 장치의 소정의 보정 범위인 제 2 범위를 포함한다. 게다가, 엘리베이터는 보정 장치가 소정의 보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요소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에서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난 보정 장치의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 카가 하나의 로프 또는 다수의 평행 로프를 포함하는 일군의 호이스트 로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트 로프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하게 하는 트랙션 시브를 가지고 있으며,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위아래로 이동하는 호이스트 로프의 로프 부분을 포함한다. 게다가, 엘리베이터는 로프 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균등화 및/또는 보정하기 위하여 호이스트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방법에서, 엘리베이터의 보정 장치가 소정의 보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요소가 보정 장치에서 사용된다.
전환 풀리의 기능을 하는 로프 풀리를 사용하여 접촉 각도를 증가함으로써, 트랙션 시브 및 호이스트 로프 사이의 그립(grip)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더 작은 크기 및 더 가벼운 무게의 엘리베이터 카가 사용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공간 절약 가능성이 커진다. 트랙션 시브 및 호이스트 로프 사이에서 180°를 넘는 접촉 각도는 하나 이상의 전환 풀리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엘리베이터의 작동 및 안전에 대하여 충분하도록 호이스트 로프 및 트랙션 시브 사이의 그립을 보장하기 위하여, 로프 신장을 보정할 필요는 마찰 조건으로부터 뒤따른다. 반면에, 엘리베이터의 작동 및 안전에 대하여,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는 충분한 장력하에 유지된다. 이것은 반드시 스프링이나 단순한 레버를 사용하여 달성될 필요는 없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두 번째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및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세 번째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및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이 엘리베이터 카의 일 측 상에 배치된 엘리베이터에서, 로프 신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보정 시스템에서의 스위칭 요소가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배치된 구동 장치(4)를 갖추었지만 기계실은 없는 엘리베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에서 나타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는 없으나 상기 기계는 갖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며, 엘리베이터 카(1)는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이동한다. 도 1에 나타난 엘리베이터는 측면 배낭 타입 엘리베이터로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2), 호이스트 머신(4), 전환 풀리, 로프 보정 장치(15) 및 호이스트 로프(3)가 엘리베이터 카(1)의 일 측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경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향하여 도어 입구에서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카(1)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배치는 엘리베이터 카(1)의 어떤 측면 상에서든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배낭 솔루션의 경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의 후방 벽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 및 전환 풀리의 일부를 엘리베이터 카의 다른 측 상에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호이스트 로프 보정 장치(15)는 도 1의 경우에서는 인장 시브 조립체로서 언급될 수도 있는데, 이 장치는 서로 끼워 맞춰지는 두 개의 바퀴 모양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바람직하게는 시브이고 도 1에서 도시된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1)에 체결된다. 바퀴 모양의 바디 중에, 엘리베이터 카 아래로 호이스트 로프 부분과 연결된 시브 의 지름은, 엘리베이터 카 위로 호이스트 로프 부분과 연결된 시브의 지름보다 크다. 시브의 지름 사이의 지름 비는 호이스트 로프 상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보정 장치에 의해 보정되는 로프 신장의 길이뿐만 아니라 호이스트 로프 신장을 보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보정력(compensation force)의 크기를 결정한다. 상기 솔루션에서, 시브를 사용함으로써 그 구성에 의해 매우 큰 로프 신장의 경우도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장 시브의 지름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로프 신장의 크기를 보정하고, 트랙션 시브에 걸쳐 가해지는 로프력(rope force) 사이의 비가 상기 배열에 의해 일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큰 서스펜션 비 또는 큰 호이스트 높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로프의 길이는 길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의 구동 및 안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호이스트 로프 부분이 충분한 인장 하에서 유지되는 것이 필수적이고, 대개 보정되어야 하는 로프 신장의 크기는 크다. 엘리베이터 카의 위아래의 홀수의 서스펜션 비의 경우에 있어서, 보정 장치(15)는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하여 설치되고, 짝수의 서스펜션 비의 경우에 있어서, 보정 장치(15)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거나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되지 않는 다른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솔루션에서, 도 1에서와 같이 두 개의 시브를 보정 장치(15)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되는 바퀴 모양의 바디의 수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름이 서로 다른 호이스트 로프 고정점을 위한 지점을 시브 상에 맞추어지도록 하여 하나의 시브 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인장 시브의 지름을 바꾸는 것만으로 시브 간의 지름 비를 다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두 개 이상 의 인장 시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사용되는 보정 장치(15)는 레버(lever), 다른 보정 시브 조립체 애플리케이션, 또는 본 목적에 적합한 또 다른 보정 장치 애플리게이션과 같이, 다른 형태의 보정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호이스트 로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호이스트 로프의 일단은 보정 장치(15)에서 작은 지름의 시브에 고정되고, 이 시브는 큰 지름의 시브에 단단히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호이스트 로프(3)의 타단은 큰 지름의 시브에 고정된다. 상기 보정 장치(15)는 엘리베이터 카 상에 설치되어 있다. 보정 장치(15)로부터, 호이스트 로프(3)는 위로 올라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 위,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에 위치한 전환 풀리(14)와 만나고, 전환 풀리(14) 상에 제공된 로프 홈을 따라 그 주위를 지나간다. 이러한 홈은 코팅될 수도 있고 코팅이 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사용되는 코팅은 예컨대 폴리우레탄이나 다른 적당한 물질과 같이 마찰 증가 물질이다. 전환 풀리(14)로부터, 로프는 더 아래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카 상에 설치된 전환 풀리(13)까지 이동하고, 이 풀리 주위를 지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12)까지 위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12) 주위를 지나,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 상에 설치된 전환 풀리(11)를 향하여 다시 아래로 내려오고, 그 주위를 지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10)를 향하여 위로 이동하고, 그 주위를 지나 호이스트 로프(3)는 엘리베이터 카 상에 설치된 전환 풀리(9)를 향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이 풀리(9)의 주위를 지나, 로프(3)는 전환 풀리(7)에 접하여 트랙션 시브(5)를 향하여 위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7)는 호이스트 머신(4)에 가까이 및/또는 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 풀리(7)와 트랙션 시브(5) 사이에서, 도면은 더블 랩 로핑(Double Wrap Roping, DW Roping)을 도시하는데, 이는 호이스트 로프(3)가 전환 풀리(7)에 접하여 전환 풀리(5)를 향하여 위로 이동하고, 트랙션 시브(5) 주위를 지나 전환 풀리(7)로 되돌아 와서 그 주위를 지나 다시 트랙션 시브(5)로 되돌아 가는 것을 의미한다. 더블 랩 로핑에서, 전환 풀리(7)가 실질적으로 트랙션 시브(5)와 같은 크기인 경우에, 전환 풀리(7)는 댐핑 풀리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트랙션 시브(5)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로 이동하는 로프는 전환 풀리(7)의 홈을 통과하여 지나가고, 전환 풀리에 의해 야기되는 로프의 휨은 매우 작다. 트랙션 시브로부터 엘리베이터 카로 이동하는 로프 및 트랙션 시브로 이동하는 로프는 전환 풀리와 "접선 접촉" 만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접선 접촉"은 떠나는(outgoing) 로프의 진동을 댐핑하기 위한 솔루션으로서의 기능을 하며, 이는 다른 로핑 솔루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로핑 솔루션이 싱글 랩(Single Wrap, SW) 로핑인 경우에, 전환 풀리는 실질적으로 트랙션 시브와 같은 크기이고, 전환 풀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선 접촉의 시브"로서 사용된다. 상기 SW 로핑에서, 로프는 트랙션 시브 주위를 한 번만 지나가므로, 트랙션 시브 상에 로프의 접촉 각은 약 180°이고, 전환 풀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의 "접선 접촉"을 위하여 보조 시브로서 사용되기만 하며, 전환 풀리는 로프를 안내하는 역할 및 진동을 억제하는 댐핑 풀리로서의 기능을 한다. 호이스트 머신의 트랙션 시브(5)와 함께 전환 풀리(14, 13, 12, 11, 10, 9, 7) 및 보정 장치(15)는 엘리베이터 카 위에 서스펜션을 형성하고, 이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서스펜션과 같은 서 스펜션 비를 가지는데, 도 1에서의 서스펜션 비는 7:1이다. 트랙션 시브(5)로부터, 로프는 전환 풀리(7)과 접하여 전환 풀리(8)를 향하여 이동한다. 전환 풀리(8)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 풀리(8)를 지나, 로프(3)는 엘리베이터 카 상에 설치된 전환 풀리(16)를 향하여 위로 이동하고, 이 풀리 주위를 지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17)를 향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이 전환 풀리(17)를 지나 엘리베이터 카 상에 설치된 전환 풀리(18)로 되돌아 온다. 전환 풀리(18) 주위를 지나,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19)를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이 풀리 주위를 지나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 상의 전환 풀리(20)를 향하여 위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20)의 주위를 지나, 호이스트 로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21)를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그 주위를 지나 엘리베이터 카 상에 설치된 보정 장치(15)를 향하여 위로 이동한다. 호이스트 로프의 타단은 보정 장치에서 큰 지름의 시브에 고정된다. 전환 풀리(8, 16, 17, 18, 19, 20, 21) 및 보정 장치(15)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호이스트 로프 서스펜션을 형성한다.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트 머신(4)과 트랙션 시브(5) 및/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상부의 전환 풀리(7, 10, 12, 14)는 가이드 레일(2)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 구조상의 위치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상단에서의 빔 구조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분리되어 설치되거나 적절한 다른 설치 배열로 설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하부의 전환 풀리는 가이드 레일(2)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 구조상의 위치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하단에서의 빔 구조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분리되어 설치되거나 적절한 다른 설치 배열로 설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상의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카(1)의 프레임 구조상의 위치 또는 엘리베이터 카에서의 빔 구조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엘리베이터 카 상에 분리되어 설치되거나 적절한 다른 설치 배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로프 신장 보정 장치로서 사용되는 인장 시브 조립체(15)는 또한 샤프트의 바닥 위에 전환 풀리(21)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풀리는 샤프트의 플로어가 있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장 시브 조립체(15)는 샤프트의 상부에 있는 전환 풀리(14)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짝수의 서스펜션 비가 사용된다면 풀리는 샤프트의 천장이 있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보정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하여 설치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필요한 전환 풀리의 수는 하나 줄어든다. 상기의 유리한 경우에서, 엘리베이터의 설치를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은 없지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위치한 구동 장치(204)를 갖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표현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는 없지만 상기 장치를 갖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며, 엘리베이터 카(201)는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한다. 큰 호이스트 높이를 위해 설계된 엘리베이터에서, 호이스트 로프의 신장 때문에 로프 신장을 보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보정은 소정의 허용된 한계 값 범위 내에서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도 2에서 도 시된 본 발명의 로프력 균등화 시브 조립체(224)에서, 로프 신장의 보정을 위한 이동이 매우 길게 된다. 이것은 매우 큰 신장을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는데, 이러한 매우 큰 신장은 단순한 레버나 스프링 솔루션이 사용될 경우에는 대부분 보정이 불가능하다. 보정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보정 장치가 엘리베이터의 안전과 신뢰도가 악화되는 작동 범위에서 사용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보정 장치의 작동이 모니터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로서, 도 2는 보정 시브의 배치를 나타내는데, 보정 시브는 트랙션 시브를 넘어 가해지는 로프력(T1 및 T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비(T1/T2)를 유지한다. 보정 장치는 그 구조 때문에 한계 보정 길이를 가지는데, 예를 들어, 보정 장치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고 가이드 레일 양단 사이의 보정의 범위가 보정 장치의 이론적 한계 작동 범위를 형성하는 범위이고, 그 범위 내에서 보정 장치는 T1 과 T2 사이 및 호이스트 로프의 서로 다른 부분 사이에서 장력의 차이를 유지한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보정 장치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작동하지만, 보정 장치의 한계, 예컨대 호이스트 로프의 고정점(226)에 다다르면, 보정 장치는 반드시 바람직한 방법으로 작동하지는 않을 것이며, 엘리베이터의 작동은 악화된다. 그러므로, 보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구조적 작동 범위 및/또는 이론적 보정 범위인 제 1 범위를 가지고 있다. 제 1 범위 내에서 보정 장치는 알려진 바람직한 방법으로 작동하지만, 그 범위를 넘을 경우 그것은 반드시 바람직한 방법으로 작동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 에, 보정 장치 내에서, 스위칭 요소에 의해 모니터링 되고 보정 장치 소정의 보정 범위인 제 2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범위 내에서 보정 장치는 요구되는 방법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배치는, 보정 장치가 바람직한 방법으로 작동하는 특정 범위에서 보정 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계된다. 필요하다면, 소정의 보정 범위는 구조적 작동 범위와 동일한 범위로서 한정될 수도 있다. 보정 장치에서 스위칭 요소에 의해 모니터링 되는 이러한 보정 범위를 하나 이상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정의 한계가 초과되었고 엘리베이터의 정비가 필요하지만 그것의 작동은 아직 악화되지 않고 엘리베이터가 정상 작동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가리키기 위하여, 정보가 엘리베이터 정비 또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되는 경우에 그렇다. 이에 덧붙여,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정비 시스템에 정보를 전송하는 스위칭 요소에 의하여 선택된 보정 범위보다 더 큰 소정의 제 2 보정 범위를 포함하며, 이러한 범위에서 스위칭 요소가 작동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작동은 멈춤 및/또는 방지된다. 또한, 도 2는 보정 장치에 포함된 스위칭 요소(r1 및 r2)를 나타내는데, 상기 요소는 보정 시브 조립체에서 보정 시브(225 또는 Tp1)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위칭 요소에 의해, 소정의 보정 범위가 보정 장치(224)를 위하여 한정된다. 이 범위는 이론적 한계 작동 범위보다 일반적으로 작은데, 이론적 한계 작동 범위는 예컨대 도 2에서 나타난 상태에서, 보정 장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의해 한정되는 상단 및 고정점(226) 또는 다른 적절한 지점에 배치된 버퍼에 의해 한정되는 하단으로 제한된다. 구조적 작동 범위 및 소정의 보정 범위는 필요하다면 동일할 수도 있다. 연결 요소(227)는 전환 풀리(225, Tp1) 상의 위치에 고정되어, 스위칭 요소(r1 및 r2)를 결합하여 이들을 활성화시켜 보정 시브(Tp1)의 위치에 관한 한계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스위칭 요소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용가능한 다른 기술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다. 스위칭 요소는, 보정 장치가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나 작동하는 것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호이스트 로프(203)의 군에서 평행한 로프의 상태는 예컨대 보정 장치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치에서, 로프력 보정 장치로서 사용되는 보정 시브 조립체(224)는, 전환 풀리(225, Tp1)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에 적합한 스위칭 요소(r1, r2), 예컨대 한계 스위치와 함께 제공된다. 어떤 이유에서 호이스트 로프(203)의 길이가 과도하게 증가한 경우에, 상기 스위칭 요소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송할 것이고, 다시 엘리베이터의 유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엘리베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알릴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스위칭 요소는 그것의 활성화에 관한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곧바로 보낼 수도 있다. 호이스트 로프의 신장이 위험한 길이에까지 증가한다면, 스위칭 요소로부터 얻어지는 한계 데이터는 요구가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멈춤 및/또는 엘리베이터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 및 엘리베이터에서, 본 출원에서 예를 든 것보다 더 많은 스위칭 요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보정 장치의 서로 다른 소정의 보정 범위 및 장 치가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스위칭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비가 필요함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 요소는 엘리베이터를 멈추는 스위칭 요소보다 더 작은 보정 범위로부터 작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정 장치를 소정의 보정 범위 밖으로 이동시키는 상태 및/또는 보정 장치를 최대 작동 범위의 끝까지 이동시키는 상태는 예컨대 엘리베이터에서의 다양한 방해 및 위험 상태를 포함하는데, 전환 풀리가 손상되거나 걸려서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에서 로프 통로가 방해되는 경우, 예컨대 과도한 로프 신장 때문에 로프 길이가 변하는 경우, 엘리베이터가 버퍼 위로 이동되는 상태의 경우 또는 안전 기어가 걸리는 경우 및/또는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나 보정 장치가 이동하는 것에 상응하는 또 다른 방해 상태의 경우가 그 예이다.
도 2에서 호이스트 로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호이스트 로프(203)의 일단은, 전환 풀리(214)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로프 부분을 매달기 위해 설치된 전환 풀리(225)에 고정된다. 전환 풀리(214, 225)는 함께 로프력 균등화 시스템(224)을 구성하는데, 도 2에서의 경우에는 보정 시브 조립체이다. 전환 풀리(214)로부터, 호이스트 로프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212,210,207) 및 엘리베이터 카 위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213, 211, 209) 사이에서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 서스펜션을 형성한다. 호이스트 머신(204)의 트랙션 시브(205) 및 전환 풀리(207) 사이에는 X 랩(XW) 로핑이 사용되는데, 이 로핑에 의하면 전환 풀리(207)로부터 위로 이동하여 트랙션 시브(205)를 향하는 호이스트 로프의 로프 부분과 트랙션 시브 (205)로부터 전환 풀리(207)를 향하여 되돌아오는 로프 부분은 서로 엇갈린다. 전환 풀리(214, 213, 212, 211, 210, 209, 207)는 호이스트 머신(204)의 트랙션 시브(205)와 함께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 서스펜션을 형성하는데, 이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서스펜션과 같은 서스펜션 비를 가지며, 도 2에서의 서스펜션 비는 6:1이다. 전환 풀리(207) 및 트랙션 시브 사이에서, 본 목적에 적합한 다른 방식의 로핑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한데, 공지된 SW, DW 타이(tai) ESW 로핑 솔루션 또는 다른 적절한 로핑 솔루션 등이 그 예이다. 트랙션 시브로부터, 호이스트 로프는 전환 풀리(207)를 통과하여 사프트 하부에 설치된 전환 풀리(208)를 향하여 이동한다. 전환 풀리(208) 주위를 지나, 엘리베이터 카(201) 위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218, 220, 222)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219, 221, 223) 사이에서 호이스트 로프가 움직이는데 이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전환 풀리(223)으로부터, 호이스트 로프(203)는 로프력 균등화 시브 조립체(224)에 포함된 전환 풀리(225)를 향하여 이동하여, 호이스트 로프의 타단이 전환 풀리(225)에 고정된다. 전환 풀리(225) 주위를 로프 홈을 따라 지나간 후, 로프는 호이스트 로프의 타단의 고정점(226)으로 더 이동하는데, 이 고정점은 엘리베이터 축 또는 본 목적에 적합한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전환 풀리(208, 218, 219, 220, 221, 222, 223)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서 서스펜션을 형성하는데, 이 서스펜션 비는 엘리베이터 카 위의 서스펜션의 서스펜션 비와 동일하며, 도 2의 상태에서는 6:1이다. 전환 풀리(225)는 그 트랙 상에 유지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데, 특히 엘리베이터의 안전 기어(safety gear)가 걸 리는 경우와 같은 심한 충격에 보정 시브 조립체(224)가 영향을 받는 경우에 그러하다. 보정 시브(225)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와 보정 장치 사이에 바람직한 공차가 유지되고, 보정 장치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보정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가이드 레일은 본 목적을 위해 적용가능한 어떤 방식의 가이드 레일이라도 대부분 가능하며, 예컨대 금속 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로 만들어진 가이드 레일이나 가이드 로프가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엘리베이터에서, 보정 시브 조립체(224)는 전환 풀리(225, Tp1)를 이용하여 로프 신장을 보정한다. 전환 풀리(225)는 거리(l)를 움직여, 호이스트 로프(203)의 신장을 보정한다. 보정 길이(l)는 호이스트 로프의 신장의 반이다. 게다가, 이러한 배치는 트랙션 시브(205)에 걸친 로프 장력을 일정한 정도로 유지하여, 로프력 사이의 비(T1/T2)가 2/1이 되도록 한다. 스위칭 요소(r1 및 r2)에 의해, 보정 범위는 보정 장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보정 장치는 이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한 바람직한 방법으로 작동할 것이다. 보정 장치의 구조적 작동 범위는 엘리베이터 카 위아래의 로프 부분 사이에서 장력 차이를 유지하면서 보정 시브 조립체(224)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간격이며, 상단에 다다를 때 보정 장치는 위쪽으로 로프 신장을 보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에서의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아래로 이동할 때, 보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위로 이동한다. 보정 장치가 로프 신장을 보정하기에는 더 이상 위쪽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에 있을 때, 호이스트 로프에서의 로프 신장이 증가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 위의 로프 부분 의 로프력(T1)이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보정 장치는 더 이상 보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 부분은 느슨하게 되어 장력(T2)이 감소한다. 보정 장치가 적절히 작동하지 않고 있으므로, T1/T2 비는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 부분은 느슨하게 되고 트랙션 시브를 넘어 가해지는 장력은 변하여, 호이스트 로프와 트랙션 시브 사이의 마찰의 감소를 가져온다. 이러한 상태는, 엘리베이터 호이스트 로프가 미끌어지기 시작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방치된 상태로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황과 같은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대하여 위험하다. 보정 장치가 최대 작동 범위의 다른 한계, 즉 도 2에서 호이스트 로프의 고정점(226)으로 이동한 후, T2가 증가하고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부분에서 로프 신장이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것의 결과로서, 보정 장치가 로프 신장을 보정하지 못하고 로프력을 균등화하지 못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위의 로프 부분은 느슨해지고 로프력(T1)은 감소한다. 이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호이스트 미신은 엘리베이터 카 위의 로프 부분에 더 많은 로프를 공급하려고만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 부분의 장력은 더욱 증가한다. 보정 장치로서 사용되는 보정 시브 조립체(224)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보정 시브 조립체에서 전환 풀리 사이의 서스펜션 비를 다르게 하는 것과 같이 로프력 보정 시브 조립체에서 더 복잡한 서스펜션 배치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시브 조립체에서 의 이러한 다른 서스펜션 비는 3:1, 3:2, 또는 다른 적절한 서스펜션 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성을 나타낸다.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은 없으나 엘리베이터 샤프트 안에 배치된 구동 장치(304)는 갖춘 엘리베이터가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는 없고 상기 장치는 갖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며, 엘리베이터 카(301)는 가이드 레일(302)을 따라 이동한다. 도 3에서, 도 1과 함께 설명한 것처럼 보정 시브 조립체(315)가 보정 장치로서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시브인 두 개의 바퀴 모양의 바디를 포함하여 서로 끼워 맞춰지며, 도 3의 경우에 있어서 시브 조립체는 엘리베이터 카(301)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보정 장치로서 사용되는 인장 시브 조립체(315)에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호이스트 로프 부분에 연결된 시브는 엘리베이터 카 위의 호이스트 로프 부분에 연결된 시브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고 있다. 인장 시브 조립체에서의 시브 지름 사이의 지름 비는 호이스트 로프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 및 호이스트 로프 신장을 보정하는데 필요한 보정 길이 뿐만 아니라 T1과 T2 사이의 비를 결정한다. 본 솔루션에서, 인장 시브를 사용함으로써 그 구성에 의해 매우 큰 로프 신장을 보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인장 시브의 지름 크기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보정 범위와 거리의 크기 및 트랙션 시브에 걸쳐 가해지는 로프력(T1 및 T2) 사이의 비에 영항을 미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배열에 따라 상기 비는 일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큰 서스펜션 비 또는 큰 호이스트 높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로프이 길이는 길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의 구동 및 안전을 위하여 엘 리베이터 카 아래의 호이스트 로프 부분이 충분한 인장 하에서 유지되는 것이 필수적이고, 보정되어야 하는 로프 신장의 크기는 충분히 크다. 종종 이것은 스프링 또는 단순한 레버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는 없다. 엘리베이터 카의 위아래의 홀수의 서스펜션 비의 경우에 있어서, 보정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하여 설치되고, 짝수의 서스펜션 비의 경우에 있어서, 보정 장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거나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되지 않는 다른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솔루션에서, 두 개의 시브를 보정 장치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되는 바퀴 모양의 바디의 수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름이 서로 다른 호이스트 로프 고정점을 위한 지점을 시브 상에 맞추어지도록 하여 하나의 시브 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인장 시브의 지름을 바꾸는 것만으로 시브 간의 지름 비를 다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두 개 이상의 인장 시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인장 시브 조립체(315)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보정 장치로서 사용될 때, 보정 장치가 소정의 보정 범위 내에 있도록 확보하기 위해 보정 장치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모니터링은 인장 시브 조립체에 스위칭 요소(320)가 제공되는 도 3에서와 같이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데, 스위칭 요소는 보정 장치(315) 상에 제공되는 브래킷(bracket, 314)에 의하여 작동된다. 적당한 방법으로 브래킷(314)을 형성함으로써, 도 2에서 설명된 보정 장치와 결합하여 적용된 방법에 상응하는 방법으로 단일의 스위칭 요소를 이용하여 소정의 보정 범위의 양단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장 시브 조립체에서의 안전 보정 범위는 완전한 1 회전보다 보통은 다소 작다. 인장 시브 조립체의 구조에 의존하 는 구조적 작동 범위는 소정의 작동 범위보다 크다. 상기 작동 범위는, 보정 장치가 바람직한 방법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실히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요소에 의해 모니터링 된다. 브래킷(314)은 스위칭 요소(320)의 확실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예를 들어 20%의 크기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인장 시브 조립체(315) 상의 적절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호이스트 로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호이스트 로프의 일단은 인장 시브 조립체(315)에서 작은 지름의 시브에 고정된다. 상기 인장 시브 조립체(315)는 엘리베이터 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작은 지름의 시브로부터, 호이스트 로프(303)은 위쪽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서 엘리베이터 카 위에 배치된 전환 풀리(312)를 만나, 전환 풀리(312) 상에 제공된 로프 홈을 따라 전환 풀리(312) 주위를 통과한다. 상기 로프 홈은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는데, 사용되는 코팅은 예컨대 폴리우레탄이나 다른 적당한 물질과 같이 마찰 증가 물질이다. 풀리(312)로부터,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 상의 전환 풀리(311)를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전환 풀리(311) 주위를 통과하여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된 전환 풀리(310)을 향하여 위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310) 주위를 통과하여,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 상에 설치된 전환 풀리(309)를 향하여 아래로 다시 내려오고, 전환 풀리(309)의 주위를 통과하여 호이스트 머신(304)의 트랙션 시브(305)를 향하여 위로 올라간다. 도 3에 나타난 로핑은 싱글 랩 로핑이며, 보조의 전환 풀리는 사용되지 않는다. 보이스트 미신의 트랙션 시브와 함께 전환 풀리(312, 311, 310, 309) 및 인장 시브 조립체(315)는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 서스펜션을 구성하고, 서스펜션 비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서스펜션에서와 동일한데, 도 3에서의 서스펜션 비는 5:1이다. 트랙션 시브(305)로부터, 로프는 전환 풀리(308)을 향하여 이동한다. 전환 풀리(308)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위치, 예컨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302) 위 또는 샤프트 플로어 위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 풀리(308)의 주위를 통과하여, 로프(303)는 엘리베이터 카 상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316)를 향하여 위로 이동하고, 전환 풀리(316) 주위를 지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 있는 전환 풀리(317)를 향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317)의 주위를 통과하여,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 상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318)를 향하여 되돌아 온다. 전환 풀리(318)의 주위를 통과하여, 호이스트 로프(30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319)를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전환 풀리(319)의 주위를 통과하여,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 상의 위치에 설치된 인장 시브 조립체(315)를 향하여 위로 이동한다. 호이스트 로프(303)의 타단은 인장 시브 조립체에서 큰 지름의 시브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계실은 갖추고 있지 않지만 상기 구동 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이며, 상기 구동 장치는 코팅된 트랙션 시브를 가지고 있고, 엘리베이터는 단면이 대체로 원형인 얇고 단단한 호이스팅 로프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에서, 트랙션 시브 상에 호이스트 로프의 접촉 각도는 180°보다 크고, 호이스트 머신에서 DW 로핑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이스트 머신은 트랙션 시브 및 전환 풀리를 가지고 있고, 호이스트 머신에서 트랙 션 시브 및 전환 풀리는 서로 정확한 각도로 맞춰질 준비가 되어 있다. 호이스트 머신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고 서스펜션 비가 8:1로서 구현되며, 엘리베이터 카 위의 로핑에서의 서스펜션 비와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핑에서의 서스펜션 비가 모두 8:1인 방식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로프는 엘리베이터의 한쪽 벽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는 로프력 사이의 비(T1/T2)를 2:1로 유지하는 보정 장치를 가지고 있다. 보정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에서, 필요한 보정 길이는 로프 신장 크기의 반과 같다. 게다가, 보정 장치에는 보정 장치가 소정의 보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요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로서, 엘리베이터 카 위아래의 서스펜션 비가 10:1인 엘리베이터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로프를 사용하는데, 로프는 지름이 8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로프 홈의 영역이 주철로 만들어진 트랙션 시브이다. 트랙션 시브는 언더컷(undercut)된 로프 홈을 가지고 있고, 트랙션 시브 상에서의 접촉 각도는 전환 풀리에 의해 180°또는 그 이상으로 맞추어져 있다. 종래 8 mm 로프가 사용될 경우, 트랙션 시브는 340 mm의 지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8 mm 호이스트 로프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되는 전환 풀리는 지름이 320, 330, 340 mm 또는 그 이상의 큰 로프 시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자에게 자명하며,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도 자명하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와 엘리베이터 카 사이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와 엘리베이터 카 사이를 통과하는 호이스트 로프의 통과 횟수는, 다중의 로프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부가적인 장점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근본적인 장점에 비하여 그리 중대한 문제가 아니다.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카를 향하여 지나가는 로프가 위로부터 지나가는 횟수와 아래로부터 지나가는 횟수가 같도록 일반적으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위아래의 서스펜션에서의 서스펜션 비는 동일하다. 유사하게, 호이스트 로프가 반드시 엘리베이터 카 아래로 지나갈 필요는 없고,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를 넘어 지나갈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데, 트랙션 시브 및 로프 풀리를 코팅된 금속 풀리 대신에, 코팅되지 않은 금속 풀리 또는 본 목적에 적합한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코팅되지 않은 풀리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전환 풀리로서 사용되며, 금속 또는 본 목적에 적합한 다른 물질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그것의 홈 부분은 비 금속성 물질로 코팅된 트랙션 시브 및 로프 풀리는 예컨대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본 목적에 적합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 물질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 역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트 로프로서 어떠한 가요성 호이스트 수단이라도 대부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한데, 예컨대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strand)로 구성된 가요성 로프, 평 밸트, 코그(cogged) 밸트, 사다리꼴 (trapezoidal) 밸트 또는 본 목적에 적합한 다른 형태의 밸트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filler)를 갖춘 로프를 사용하는 대신에,필러 없이, 윤활되거나 윤활되지 않는 로프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게다가, 로프는 다양한 방법으로 꼬일 수 있다는 것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로핑 배열보다 접촉 각도(α)를 크게 하기 위해 트랙션 시브 및 전환 풀리 사이의 로핑 형식을 다르게 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들 들어, 본 실시예에서의 로핑 예와는 다른 방법으로 전환 풀리, 트랙션 시브 및 호이스트 로프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평형추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도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이러한 엘리베이터에서 예컨대 평형추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로 무게를 가지고, 별도의 로프에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 풀리로서 사용되는 로프 시브의 베어링 저항 및 로프 사이의 마찰 때문에, 그리고 보정 장치에서 발생 가능한 손실 때문에, 로프 장력의 비는 보정 장치의 명목상의 비로부터 다소 벗어나 있다. 엘리베이터는 어떤 경우에서든지 일정 정도의 고유한 강건성(robustness)을 가져야만 하기 때문에, 5% 정도의 편차라도 이는 큰 손실이 아니다.

Claims (10)

  1. 단일의 로프 또는 복수의 평행한 로프를 포함하는 일군의 호이스트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고, 호이스트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하게 하는 트랙션 시브를 가지고 있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위아래로 이동하는 호이스트 로프의 로프 부분을 포함하고, 로프 장력 또는 로프 신장 중 적어도 하나의 균등화 또는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하여 호이스트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가지고 있는,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트 로프에 작용하는 상기 보정 장치는 적어도, 상기 보정 장치의 구조적 작동 범위인 제 1 범위 및 상기 보정 장치의 소정의 보정 범위인 제 2 범위를 가지며, 상기 보정 장치가 상기 소정의 보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요소가 상기 보정 장치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보정 장치는 서로 끼워 맞춰지는 두 개의 바퀴 모양의 시브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체결되며, 엘리베이터 카 아래로 호이스트 로프 부분과 연결된 시브의 지름은, 엘리베이터 카 위로 호이스트 로프 부분과 연결된 시브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는 레버, 인장 시브 조립체 또는 보정 시브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는 인장 시브 조립체이고, 상기 스위칭 요소는 소정의 보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는 보정 시브(Tp1)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보정 장치는 상기 보정 장치에서 상기 보정 시브(Tp1)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난 편차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제 1 스위칭 요소(r1) 및 제 2 스위칭 요소(r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는, 상기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난 편차에 관한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사용 방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는 상기 호이스트 로프가 상향 이동하는 전환 풀리 및 상기 호이스트 로프가 하향 이동하는 전환 풀리가 제공되고, 각 유형의 풀리 개수는 1, 2, 3, 4, 5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 시브,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 사이에 사용되는 로핑은 DW 로핑 또는 XW 로핑 또는 SW 로핑 또는 이에 상응하는 다른 로핑으로서, 상기 다른 로핑은 상기 트랙션 시브 및 상기 호이스트 로프 사이에 적어도 180°의 연속적인 접촉 각도를 형성하는 로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단일의 로프 또는 복수의 평행한 로프를 포함하는 일군의 호이스트 로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고, 호이스트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하게 하는 트랙션 시브를 가지고 있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위아래로 이동하는 호이스트 로프의 로프 부분을 포함하고, 로프 장력의 균등화 또는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하여 호이스트 로프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에서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나는 보정 장치의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기 보정 장치가 소정의 보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요소에 의해 상기 보정 장치에서 수행되고,
    상기 보정 장치는 서로 끼워 맞춰지는 두 개의 바퀴 모양의 시브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체결되며, 엘리베이터 카 아래로 호이스트 로프 부분과 연결된 시브의 지름은, 엘리베이터 카 위로 호이스트 로프 부분과 연결된 시브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나는 보정 장치의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에서 상기 스위칭 요소가 상기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난 편차를 검출한 후에, 대응하는 정보가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 또는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사용 방지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정의 보정 범위를 벗어나는 보정 장치의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KR1020067010160A 2003-11-24 2004-11-22 엘리베이터 케이블용 텐션 수단 KR101143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1708A FI119235B (fi) 2003-11-24 2003-11-24 Hissi ja menetelmä tasauslaitteen ennalta valitulta kompensointialueelta poikkeamisen havaitsemiseksi
FI20031708 2003-11-24
PCT/FI2004/000705 WO2005049469A2 (en) 2003-11-24 2004-11-22 Tension means for elevator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754A KR20060123754A (ko) 2006-12-04
KR101143330B1 true KR101143330B1 (ko) 2012-05-09

Family

ID=2955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160A KR101143330B1 (ko) 2003-11-24 2004-11-22 엘리베이터 케이블용 텐션 수단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60243540A1 (ko)
EP (1) EP1687230B1 (ko)
JP (1) JP4949034B2 (ko)
KR (1) KR101143330B1 (ko)
CN (1) CN1902121A (ko)
AT (1) ATE495129T1 (ko)
AU (1) AU2004291361B2 (ko)
BR (1) BRPI0416894A (ko)
CA (1) CA2545980C (ko)
DE (1) DE602004031040D1 (ko)
DK (1) DK1687230T3 (ko)
EA (1) EA009762B1 (ko)
ES (1) ES2354698T3 (ko)
FI (1) FI119235B (ko)
WO (1) WO20050494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2145A (zh) * 2010-10-13 2011-02-02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补偿条结构的重量平衡装置
CN102398818A (zh) * 2011-12-07 2012-04-04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降低电梯补偿绳振动装置
DE102013010273A1 (de) * 2013-06-18 2014-12-18 Siemag Tecberg Gmbh Kompensationsseilscheiben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166A (ja) * 1996-01-10 1997-07-2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US6193017B1 (en) * 1996-08-14 2001-02-27 Blain Hydraulics Gmbh Pulley-drive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016A (en) * 1907-04-01 1911-03-28 Otis Elevator Co Elevator.
US1132761A (en) * 1908-12-17 1915-03-23 Otis Elevator Co Rope-drive elevator.
US1944772A (en) * 1932-09-10 1934-01-23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compensating rope sheave
US2480865A (en) * 1943-08-19 1949-09-06 Anders R Lofstrand Leverage pulley
US3653467A (en) * 1969-01-21 1972-04-04 Otis Elevator Co Compensating sheave apparatus for elevators
JPS513130B2 (ko) * 1971-08-13 1976-01-31
SE425900B (sv) * 1981-04-22 1982-11-22 Linden Alimak Ab Anordning vid lindrivna hissar for erhallande av linspenning
FI101373B (fi) * 1993-04-05 1998-06-15 Kone Corp Järjestely ripustus- ja kompensaatioköysien venymän kompensoimiseksi
US5750945A (en) * 1996-06-03 1998-05-12 Otis Elevator Company Active elevator hitch
US20030155185A1 (en) * 2001-03-08 2003-08-21 Masami Nomura Elevator
US6734403B2 (en) * 2001-04-19 2004-05-11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oven incorporating accurate temperature control and method for do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166A (ja) * 1996-01-10 1997-07-2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US6193017B1 (en) * 1996-08-14 2001-02-27 Blain Hydraulics Gmbh Pulley-drive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16894A (pt) 2007-03-06
EA200600796A1 (ru) 2006-10-27
EP1687230B1 (en) 2011-01-12
CA2545980C (en) 2012-06-12
CN1902121A (zh) 2007-01-24
FI20031708A (fi) 2005-06-02
CA2545980A1 (en) 2005-06-02
JP4949034B2 (ja) 2012-06-06
AU2004291361B2 (en) 2010-05-13
WO2005049469A3 (en) 2005-09-15
US20060243540A1 (en) 2006-11-02
EP1687230A2 (en) 2006-08-09
ES2354698T3 (es) 2011-03-17
DK1687230T3 (da) 2011-02-07
DE602004031040D1 (de) 2011-02-24
WO2005049469A2 (en) 2005-06-02
ATE495129T1 (de) 2011-01-15
KR20060123754A (ko) 2006-12-04
FI119235B (fi) 2008-09-15
FI20031708A0 (fi) 2003-11-24
AU2004291361A1 (en) 2005-06-02
JP2007512203A (ja) 2007-05-17
EA009762B1 (ru) 200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299B2 (en) Elevator with compensating device
KR101208344B1 (ko) 엘리베이터
KR101051638B1 (ko) 엘리베이터
US8235179B2 (en) Elevator without a counterweight
EP1558513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KR101107065B1 (ko) 승강기
EP1357075B1 (en) Cage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s
EP1097101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KR101143330B1 (ko) 엘리베이터 케이블용 텐션 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