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546B1 - 오십견 치료기 - Google Patents

오십견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546B1
KR101142546B1 KR1020090016387A KR20090016387A KR101142546B1 KR 101142546 B1 KR101142546 B1 KR 101142546B1 KR 1020090016387 A KR1020090016387 A KR 1020090016387A KR 20090016387 A KR20090016387 A KR 20090016387A KR 101142546 B1 KR101142546 B1 KR 10114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tor
fifty
main body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447A (ko
Inventor
박희종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정공
Priority to KR102009001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5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61H2201/5066Limi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92Optical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2Shou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 통증인 오십견의 물리적인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오십견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고 내측 상단 및 하단에 베어링(25)이 설치되며 측면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20)이 형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2) 내에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25)에 상,하단이 결합되어 수직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메인기어축(41)과, 상기 메인기어축(41)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대(42)와, 상기 본체(2)의 가이드홈(2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42)에 결합되는 손잡이(52)로 구성된 승강장치와, 상기 메인기어축(41)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대(42) 및 손잡이(52)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오십견, 승강, 모터, 샤프트

Description

오십견 치료기{frozen shoulder physical therapy apparatus}
본 발명은 오십견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 통증인 오십견의 물리적인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오십견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오십견은 어깨 부위의 노화나 부상 등으로 어깨 부위의 통증과 함께 운동의 제한이 있는 경우를 총칭한다.
발병연령은 30대 이상으로 다양하며, 특히 50대에서 잘 생긴다 하여 오십견이라 불려진다.
발병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주로 노화에 따른 어깨 관절 주위 연부 조직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된다.
그밖에 어깨 관절의 부상이나 깁스를 풀고 난 후 또는 입원 등으로 장기간 어깨관절을 사용하지 못한 후에도 발생되며, 어떤 경우에서는 원인 없이도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그밖에 당뇨병이나 목 디스크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30-50%를 차지한다.
오십견의 치료는 신경 치료와 더불어 어깨 운동을 시켜 주어야 한다.
이러한 오십견의 치료 보조기구가 다양하게 출원된 바 있고, 그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62612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특허를 살펴보면, 상기 특허의 오십견의 ㅂ치료 보조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바닥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측 양면에 형성되어, 소정 각도로 상향 형성된 결합지지부(200)와; 양단부가 상기 결합지지부(200)에 각각 결합형성되어, 상기 결합지지부(20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평지지부(300)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결합지지부(200) 상단부에 각각 결합형성된 수평결합부(400)와; 상기 수평결합부(400)에 소정 간격으로 두개가 형성된 롤러부(500)와; 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500)에 각각 연속 결합되어, 한쪽손으로 일측 단부(610)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그에 대응하여 다른쪽손으로 잡고 있는 타측단부가 위로 이동이 되도록 형성된 상하 이동줄부(60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부피가 커서 실내에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환자 자신이 양팔을 번갈아가며 올리거나 내려야 하므로 통증이 심한 환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피가 작아 실내에 설치가 용이하고, 오십견 환자의 어깨를 전동장치의 기계적인 구동에 의해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운동을 반복해줌으로써 통증을 완화하고 굳어진 어깨 근육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한 오십견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가 비어 있고 내측 상단 및 하단에 베어링이 설치되며 측면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에 상,하단이 결합되어 수직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메인기어축과, 상기 메인기어축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본체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승강장치와, 상기 메인기어축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대 및 손잡이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 오십견 치료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함체 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된 스프라켓과, 상기 메인기어축의 하단에 축설된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시 설정값 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모터를 역회전시켜 하강하도록 하는 가압력측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력측정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저항을 측정하는 센서와, 설정값을 선택하는 조절기와, 상기 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받아 설정값과 비교 판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에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지지대의 승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속도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를 감지하여 승강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제한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피가 작아 실내에 설치가 용이하고, 전동장치에 의해 어깨 운동을 반복해줌으로써 통증을 완화하고 굳어진 어깨 근육을 풀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십견 치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십견 치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십견 치료기(A)는, 내부가 비어 있고 내측 상단 및 하단에 베어링(25)이 설치되며 측면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20)이 형성된 본체(2); 상기 본체(2) 내에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25)에 상,하단이 결합되어 수직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메인기어축(41); 상기 메인기어축(41)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대(42); 및 상기 본체(2)의 가이드홈(2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42)에 결합되는 손잡이(52)로 구성된 승강장치; 상기 메인기어축(41)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대(42) 및 손잡이(52)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본체(2)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은 막혀있으며 하단에는 베이스(7)가 설치된 통체로써, 내측 상단과 하단 베이스(7)에 대향되게 각기 베어링(25)이 설치되며, 측면에는 손잡이(52)가 승강할 수 있는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수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0)은 손잡이(52)가 승강될 수 있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30~50cm의 길이로 설정된다.
승강장치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됨으로써 사용자의 팔을 상하로 일정 간격 움직여주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승강장치는, 본체(2) 내에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25)에 상,하단이 결합되어 수직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메인기어축(41)과, 상기 메인기어축(41)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대(42)와, 상기 본체(2)의 가이드홈(2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42)에 결합되는 손잡이(52)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기어축(41)은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단은 베이스(7)에 설치된 베어링(25)에 결합되며 상단은 상단의 베어링(25)에 결합되고 하부측에 종동스프라켓(412)이 결합된다.
상기 종동스프라켓(412)은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된 기어형상으로써 통상의 스퍼기어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토오크의 향상 및 구동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다른 종류의 기어가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동부는, 상기 본체(2)의 일측에 부설된 함체(6) 내에 설치되는 모터(66)와, 상기 모터(66)의 축에 결합된 스프라켓(68)과, 상기 메인기어축(41)의 하단에 축설된 종동스프라켓(412)과, 상기 스프라켓(68)과 종동스프라켓(41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66)는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반복하는 스테핑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이거나 또는 기어연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시 설정값 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모터(66)를 역회전시켜 하강하도록 하는 가압력측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즉, 오십견의 특성상 일정 각도 이상으로 팔을 들어올릴 경우 통증이 발생되며, 이때 근육의 경직이 일어나게 되므로 반사적으로 팔에 힘이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52)의 상승을 억제하게 되므로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된 부하를 가압력측정수단이 감지하여 구동모터(66)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력측정수단은 상기 지지대(42)에 설치되어 저항값을 측정하는 센서와, 설정값을 선택하는 조절기(62)와, 상기 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받아 설정값과 비교 판단하여 모터(66)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에는 모터(66)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지지대(42)의 승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속도조절수단(64)이 더 구비된다.
상기 속도조절수단(64)은 통상의 다이얼 방식이 채용되며, 조절노브를 돌려서 모터(66)의 속도를 강,약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그 회전속도의 설정범위는 0~20cm/s가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42)를 감지하여 승강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제한센서가 더 설치된다.
즉, 지지대(42)가 최대 높이로 상승하거나 최저 위치로 하강될때 더이상 작동되지 못하도록 제한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에 높이제한센서를 설치하였다.
상기 높이제한센서는 리미트스위치 또는 광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66)의 작동을 온/오프 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환자가 서거나 앉은 상태로 사용하기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며 서서 하거나 앉아서 하거나 팔의 움직임과는 상관이 없다.
먼저, 환자가 손잡이(52)를 잡은 상태에서 전원을 켜고,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66)를 구동시키면, 모터(66)가 정,역방향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회전한다.
이에 종동되어 메인기어축(41)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그에 결합된 지지대(42)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42)에 결합된 손잡이(52)가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게 되므로 환자의 팔을 반복해서 올렸다 내렸다 해주게 된다.
만약, 환자가 통증을 견딜 수 없는 높이까지 상승될 경우 반사적으로 손잡이(52)에 힘을 주게 되므로 부하가 걸려 저항값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 발생된 저항값을 가압력측정수단의 센서가 감지하면, 즉시 제어부에 그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는 모터(66)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역회전시켜 손잡이(52)를 하강시킨다.
이러한 손잡이(52)의 반복적인 승강동작에 의해 팔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속도조절수단(64)을 조절하여 승강속도를 적정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 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십견 치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십견 치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대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본체 6 : 함체
7 : 베이스 20 : 가이드홈
25 : 베어링 42 : 지지대
62 : 조절기 64 : 속도조절수단
66 : 모터 68 : 스프로켓
412 : 종동스프로켓

Claims (7)

  1. 내부가 비어 있고 내측 상단 및 하단에 베어링(25)이 설치되며 측면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20)이 형성된 본체(2);
    상기 본체(2) 내에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25)에 상,하단이 결합되어 수직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메인기어축(41)과, 상기 메인기어축(41)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대(42)와, 상기 본체(2)의 가이드홈(2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42)에 결합되는 손잡이(52)로 구성된 승강장치;
    상기 메인기어축(41)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대(42) 및
    상기 손잡이(52)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함체(6) 내에 설치된 모터(66)와, 상기 모터(66)의 축에 설치된 스프라켓(68)과, 상기 메인기어축(41)의 하단에 축설되며 상기 스프라켓(68)과 연결된 종동스프라켓(4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십견 치료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시 설정값 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모 터(66)를 역회전시켜 하강하도록 하는 가압력측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십견 치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측정수단은 저항을 측정하는 센서와, 설정값을 선택하는 조절기(62)와, 상기 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받아 설정값과 비교 판단하여 모터(66)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십견 치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모터(66)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지지대(42)의 승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속도조절수단(64)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십견 치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42)를 감지하여 승강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제한센서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십견 치료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제한센서는 리미트스위치 또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십견 치료기.
KR1020090016387A 2009-02-26 2009-02-26 오십견 치료기 KR10114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87A KR101142546B1 (ko) 2009-02-26 2009-02-26 오십견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87A KR101142546B1 (ko) 2009-02-26 2009-02-26 오십견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47A KR20100097447A (ko) 2010-09-03
KR101142546B1 true KR101142546B1 (ko) 2012-05-08

Family

ID=4300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387A KR101142546B1 (ko) 2009-02-26 2009-02-26 오십견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712A (ko) 2022-02-17 2023-08-2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성 관절낭염 치료용 재활 운동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621B1 (ko) * 2015-07-17 2017-0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운동 훈련기구
CN108904218A (zh) * 2018-05-28 2018-11-30 罗佳辉 一种医疗护理用手部锻炼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90B1 (ko) * 1993-02-02 1996-01-06 전인수 혈액순환과 피로회복을 위한 안마기
JPH10155848A (ja) * 1996-12-03 1998-06-16 Toshiharu Arai 肩コリ・腰痛治療椅子
JP2004248786A (ja) 2003-02-19 2004-09-09 Sds:Kk 筋力トレーニング用牽引装置
KR100783464B1 (ko) 2006-09-28 2007-12-07 정담 마사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390B1 (ko) * 1993-02-02 1996-01-06 전인수 혈액순환과 피로회복을 위한 안마기
JPH10155848A (ja) * 1996-12-03 1998-06-16 Toshiharu Arai 肩コリ・腰痛治療椅子
JP2004248786A (ja) 2003-02-19 2004-09-09 Sds:Kk 筋力トレーニング用牽引装置
KR100783464B1 (ko) 2006-09-28 2007-12-07 정담 마사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712A (ko) 2022-02-17 2023-08-2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성 관절낭염 치료용 재활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47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910B1 (ko) 운동수단을 갖는 의료용 침대
KR200394977Y1 (ko) 보행운동용 평행봉
US5480375A (en) Pain relieving adjustable leg support
KR101136724B1 (ko) 척추경혈용 지압장치
CN206381367U (zh) 三维按摩机芯
KR101142546B1 (ko) 오십견 치료기
CN209316295U (zh) 一种卧床病人体能康复训练装置
KR200450443Y1 (ko) 마사지장치
KR100712822B1 (ko) 보행운동용 평행봉
CN211095769U (zh) 一种颞下颌关节活动装置
CN209951630U (zh) 医用床
CN211244400U (zh) 一种颞下颌关节活动装置
CN211934610U (zh) 一种方便使用的神经内科护理床
CN211752207U (zh) 骨科用训练装置
CN218961220U (zh) 一种医院护理使用的辅助训练器
CN214232611U (zh) 一种神经内科用腿部锻炼装置
CN211244401U (zh) 一种颞下颌关节活动装置
CN215427153U (zh) 一种用于促进胃肠蠕动的运动装置
JP3008130U (ja) 足裏叩き装置
CN214019063U (zh) 一种老年病多功能整合护理实用装置
CN216222079U (zh) 一种方便收纳的护理床
CN220002151U (zh) 一种康复护理辅助装置
KR200346120Y1 (ko) 각도가 조절되는 침대
CN111685972B (zh) 一种神经内科用辅助治疗装置
CN219480645U (zh) 一种重症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