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531B1 -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531B1
KR101142531B1 KR1020090103908A KR20090103908A KR101142531B1 KR 101142531 B1 KR101142531 B1 KR 101142531B1 KR 1020090103908 A KR1020090103908 A KR 1020090103908A KR 20090103908 A KR20090103908 A KR 20090103908A KR 101142531 B1 KR101142531 B1 KR 10114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elastic
air
shoe body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324A (ko
Inventor
송재성
김인성
정순종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5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43B21/28Pneumatic heel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21/285Pneumatic heel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power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을 통하여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신발 본체와, 신발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보행 중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탄성 에어백과, 탄성 에어백과 연결되며, 탄성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신발 본체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탄성 에어백의 수축에 의해 신발 본체에 형성된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유로관과, 흡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형성되며, 탄성 에어백 팽창시 배출구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 에어백 수축시 흡입구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탄성 에어백과 배출구 사이의 공기 유로관 내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과 연결되며, 터빈의 회전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발전기와 연결되며, 기전력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신발 본체의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행 중 반복되는 외력으로부터 기능성 신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신발의 생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능성 신발, 탄성 에어백, 터빈, 이차 전지

Description

기능성 신발{functional 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을 통하여 발생되는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수많은 종류의 신발이 제조되고 있으며, 또한 각 기능에 따른 특수신발 역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신발은 단순히 발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서 점차 벗어나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한 하나의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수 작업자들을 위한 안전화, 뒷굽이 없는 다이어트 슈즈 및 당뇨환자용 신발 등은 각 용도에 맞게 그 기능성을 부각시킨 신발로써, 점차 이러한 기능성 신발들의 생산량이 증대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화석 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 에너지 고갈 문제 등이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현재 대체 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체 에너지로는 풍력 에너지, 수력 에너지, 태양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등이 각광받고 있다. 대체 에너지들은 깨끗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무공해 재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에너지 밀도가 너무 낮아 많은 양의 에너 지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실용성이 적고, 태양열이나 풍력은 기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보조 발전 시설이 필요하며, 다른 대체 에너지들도 효율성이나 경제성이 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는 화석 연료와 원자력을 대체할 수 있고, 환경과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도 장기간에 걸쳐 대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상술한 최근 기술 동향들을 근간으로 하여 보행자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 등으로 변환하는 기능성 신발의 개발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능성 신발들은, 보행자의 운동 에너지를 다른 에너지로 변환시킬 때, 변환되는 에너지를 일상에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에너지 변환 효율이 효과적이어야 하며, 별도의 기능성 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이 기능성 장치가 보행 중 반복되는 외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해야 하며, 실제로 생산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생산 비용이 적절하고, 생산 공정이 간단해야 하는 주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 중 반복되는 외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신발 본체와, 신발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보행 중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탄성 에어백과, 탄성 에어백과 연결되며, 탄성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신발 본체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탄성 에어백의 수축에 의해 신발 본체에 형성된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유로관과, 흡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형성되며, 탄성 에어백 팽창시 배출구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 에어백 수축시 흡입구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탄성 에어백과 배출구 사이의 공기 유로관 내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과 연결되며, 터빈의 회전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발전기와 연결되며, 기전력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신발 본체의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탄성 에어백은 신발 본체의 뒤꿈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빈 및 발전기는 탄성 에어백의 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 유로관의 흡입구는 신발의 내부에 형성되며, 공기 유로관의 배출구는 신발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은 발전기와 출력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기전력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이차 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신발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 중 반복되는 외력으로부터 기능성 신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의 생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 내부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신발 본체(110), 탄성 에어백(120), 공기 유로관(130), 체크 밸브(140), 터빈(150), 발전기(160) 및 출력 단자(170)를 포함한다.
신발 본체(110)는 신발의 외형을 형성한다. 즉, 신발 본체(110)는 일반적인 신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탄성 에어백(12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주머니로서, 공기를 출입시키는 두 개의 출입구(121, 122)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에어백(120)은 평상시에 도 1과 같은 형상을 유지하며, 공기를 내포한다.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에어백(120)은 수축하여 형상이 변형되고, 내부의 공기를 출입구로 배출시킨다. 가해지는 외력이 차단되는 경우, 탄성 에어백(120)은 탄성에 의해 팽창하여 평상시 형상으로 복원되고, 출입구로 공기가 흡입된다.
탄성 에어백(120)은 신발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일방의 출입구(121)는 공기 유로관(130)의 흡입구(131) 측과 연결되고, 타방의 출입구(122)는 공기 유로관(130)의 배출구(132) 측, 직접적으로는 터빈(150)의 전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 라, 보행 중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며, 탄성 에어백(120)의 내부 공기를 출입시킨다. 구체적으로, 수축시 주로 타방의 출입구(122)로 공기를 배출하고, 팽창시 주로 일방의 출입구(121)로 공기를 흡입한다. 이로써, 탄성 에어백(120)은 수축과 팽창 동작을 통하여 보행자의 운동 에너지를 공기 흐르게 하는 에너지, 즉 풍력 에너지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탄성 에어백(120)을, 보행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접촉면 중에서 가장 큰 외력을 받는 신발 본체(110)의 뒤꿈치에 형성함으로써, 기전력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유로관(130)은 신발 본체(110)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관으로서, 신발 본체(110)의 전단에는 흡입구(131)가 형성되며, 신발 본체(110)의 후단에는 배출구(13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입구(131)는 신발의 내부에 형성하며, 배출구(132)는 신발의 외부에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신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신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신발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낮추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로관(130)은 탄성 에어백(120)과 연결되어, 탄성 에어백(120)으로도 공기 유로를 형성하며, 탄성 에어백(120)의 후단에 연결된 터빈(150)과도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즉, 공기의 유로는, 신발 본체(110) 전단의 흡입구(131)로부터 시작하여, 탄성 에어백(120)을 통하고, 이후 터빈(150)을 통하며, 신발 본체(110) 후단의 배출구(132)까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 유로관(130)은 탄성 에어백(120)의 팽창과 수축 동작에 연동하여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한다.
체크 밸브(140)는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브로서, 역지(逆止) 밸브라고도 한다. 체크 밸브(140)는 흡입구(131)와 배출구(132)에 각각 형성되며, 탄성 에어백(120) 팽창시 배출구(132)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 에어백(120) 수축시 흡입구(131)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는 신발 본체(11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단 방향으로만 흐르게 된다.
터빈(150)은 물?가스?증기 등의 유체가 가지는 에너지를 유용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탄성 에어백(120)과 배출구(132) 사이의 공기 유로관 내에 형성된다. 또한, 터빈(150)은 도 1과 같이 탄성 에어백(120)의 하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행 중 반복되는 외력에 의한 충격을 탄성 에어백(120)의 수축 동작으로 흡수할 수 있다.
터빈(150)은 탄성 에어백(120)의 수축과 팽창 동작에 따라 형성되는 공기의 강제 흐름, 즉 공기압에 의해 회전하는 기계적 일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탄성 에어백(120)의 수축 동작시 타방의 출입구(122)로 배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터빈(150)이 회전한다.
발전기(160)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발전기(160)의 회전축은 터빈(150)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또한, 발전기(160)는 도 1과 같이 탄성 에어백(120)의 하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행 중 반복되는 외력에 의한 충격을 탄성 에어백(120)의 수축 동작으로 흡수할 수 있다. 터빈(150)의 회전에 연동하여 발전기(160)의 회전축이 회전함으로써,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160)로는 교류 발전기 또는 직류 발전기 중 어느 발전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필요한 전기 에너지 형태, 효율, 동작 특성 등을 감안하여 어느 일방을 사용하도록 한다.
출력 단자(170)는 전기 회로에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단자으로서, 발전기(160)와 연결되며, 기전력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신발 본체(110)의 외부로 출력한다. 출력 단자(170)에는 MP3, 핸드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3V 내외의 직류 전압을 요구하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전기(160)가 교류 발전기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170)에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전압값을 조절하는 어댑터(adapter)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발전기(160)가 직류 발전기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170)에 전압값을 조절하는 어댑터 회로만을 구비한다. 한편, 출력 단자(170)에 연결하여 사용하려는 전자기기가 교류 전압 및 전류만을 필요로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정류 회로는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공기압을 통해 보행자의 물리 에너지를 변환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출력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연료와 환경오염 없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에어백(120)이 신발 본체(110)의 뒤꿈치 부분 최상부에 형성되고, 그 하방에 충격에 약한 주요 구성 요소, 즉 터빈(150), 발전기(160) 및 출력 단자(170)를 형성함으로써, 보행 중 반복되는 외력에 의한 충격을 탄성 에어백(120)의 수축 동작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 중 외력에 의해 기능성 신발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탄성 에어백(120)은 수축 동작으로 신발 쿠션으로서의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순간적인 외력으로 공기압을 급격히 상승시켜 터빈(150)을 회전시킨 점, 보행 중 외력의 대부분을 탄성 에어백(120)을 수축시키는 데에만 사용한 점, 공기를 매개 유체로 사용하여 유체의 흐름에 따른 마찰력 등의 손실을 줄인 점, 체크 밸브(140)를 사용하여 공기 흐름의 역류에 따른 손실 없이, 공기의 흐름이 단 방향으로 형성되게 하여 공기 흐름의 대부분을 터빈(150)을 회전시키는데 사용한 점 등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물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신발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능부들이 신발 본체(110) 하부에만 형성되며, 비교적 그 구성이 간단하며, 별도의 매개 유체 없이, 신발의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매개 유체로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신발의 생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보행 중에는 인체의 온도에 의해 신발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며, 땀에 의해 신발 내부의 습도가 상승하고 악취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서는 공기 유로관(130)을 통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신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신발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낮추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신발 내부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기능성 신발에서 공기 흐름을 이루는 구성 요소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기능성 신발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의 (a)는 탄성 에어백(120)이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탄성 에어백(120)이 수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는, 외력이 차단되어 탄성 에어백(120)이 팽창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사이클의 시작 시점으로 하고, 외력이 가해져 탄성 에어백(120)이 최대한 수축된 시점을 사이클의 완료 시점으로 하여, 하나의 사이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에어백(120)이 팽창하기 시작하면, 탄성 에어백(120)의 팽창력에 의해 흡입구(131)에 설치된 체크 밸브(140)가 개방되고, 배출구(132)에 설치된 체크 밸브(140)가 차단되며, 개방된 흡입구(131)를 통해서만 신발 내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공기 유로관(130)을 통과하여 탄성 에어백(120)의 일방의 출입구(121)로 흡입되어, 탄성 에어백(120)의 내부에 채워진다.
다음으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져 탄성 에어백(120)이 수축하기 시작하면, 탄성 에어백(120)의 수축력에 의해 흡입구(131)에 설치된 체크 밸브(140)가 차단되고, 배출구(132)에 설치된 체크 밸브(140)가 개방되며, 개방된 배출구(132) 방향으로만 탄성 에어백(1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탄성 에어백(120)의 타방의 출입구(122)를 통하여 탄성 에어백(120) 내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고, 탄성 에어백(120)의 후단에 위치하는 터빈(150)을 통과하며 공기의 강제 흐름에 의한 공기압으로 터빈(150)을 회전시킨다. 이후, 공기는 공기 유로관(130)을 통과한 후, 배출구(132)를 통하여 신발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터빈(150)의 회전에 연동하여 발전기(160)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기전력이 발생되며, 기전력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는 출력 단자(170)를 통해 필요한 형태의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외부로 출력한다.
이로써, 보행자의 물리 에너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하나의 싸이클이 완료된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신발 본체(310), 탄성 에어백(320), 공기 유로관(330), 체크 밸브(340), 터빈(350), 발전기(360), 출력 단자(370) 및 이차 전지(3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신발 본체(310), 탄성 에어백(320), 공기 유로관(330), 체크 밸브(340), 터빈(350), 발전기(360) 및 출력 단자(370)는,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신발 본체(110), 탄성 에어백(120), 공기 유로관(130), 체크 밸브(140), 터빈(150), 발전기(160) 및 출력 단자(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기능 및 동작 특성을 가지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차 전지(380)는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 요한 때에 전기로 재생하는 일종의 축전지이다. 이차 전지(380)는 발전기(360)와 출력 단자(370) 사이에 형성되며, 발전기(360)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보행을 통해 이차 전지(380)에 전기 에너지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다면, 보행을 하지 않는 경우라도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행 중 외력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량이 사용하기에 충분하지 않는 경우라도 이차 전지(380)를 통하여 미리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이차 전지(380)를 신발 본체(310)에서 탈착 가능하게끔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380)를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신발 본체(310)에서 분리하고, 신발 본체(310)에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이차 전지(380)를 복수개 구비하여 보행을 통해 이차 전지(380)가 완충되면, 다른 이차 전지(380)로 교체하여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신발 본체(310)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기기가 출력 단자(370)에 직접 연결하기 곤란한 경우, 이차 전지(380)를 신발 본체(3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의 전기기기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380)는 형상, 전압 레벨, 전류 레벨 등에 호환성을 가짐으로써, 전기기기들의 충전지 자체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공기압을 통해 보행자의 물리 에너지를 변환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출력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연료와 환경오염 없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신발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행 중 외력에 의해 기능성 신발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신발의 생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신발 내부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310 : 신발 본체
120. 320 : 탄성 에어백
121, 122 : 출입구
130, 330 : 공기 유로관
131 : 흡입구
132 : 배출구
140, 340 : 체크 밸브
150, 350 : 터빈
160, 360 : 발전기
170, 370 : 출력 단자
380 : 이차 전지

Claims (6)

  1. 신발 본체; 상기 신발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보행 중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탄성 에어백; 상기 탄성 에어백과 연결되며, 상기 탄성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상기 신발 본체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탄성 에어백의 수축에 의해 상기 신발 본체에 형성된 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유로관;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탄성 에어백 팽창시 상기 배출구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탄성 에어백 수축시 상기 흡입구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 상기 탄성 에어백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유로관 내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과 연결되며, 상기 터빈의 회전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와 연결되며, 상기 기전력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신발 본체의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성 에어백은 상기 신발 본체의 뒤꿈치에 형성되고, 상기 터빈 및 상기 발전기는 상기 탄성 에어백의 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관의 흡입구는 신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로관의 배출구는 신발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전력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이차 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신발 본체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KR1020090103908A 2009-10-30 2009-10-30 기능성 신발 KR10114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908A KR101142531B1 (ko) 2009-10-30 2009-10-30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908A KR101142531B1 (ko) 2009-10-30 2009-10-30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324A KR20110047324A (ko) 2011-05-09
KR101142531B1 true KR101142531B1 (ko) 2012-05-07

Family

ID=4423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908A KR101142531B1 (ko) 2009-10-30 2009-10-30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2297B2 (en) * 2018-02-20 2019-12-24 Vassilios Vamvas Electrical power generation footw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233U (ko) * 1984-08-11 1986-03-31 황 잉 충 에어쿠숀을 형성한 운동화 바닥창
KR20040037042A (ko) * 2004-04-08 2004-05-04 주식회사 한일제화 공기제어밸브가 내장된 악취방지용 신발
KR20040040596A (ko) * 2002-11-07 2004-05-13 남만우 신발의 발광 장치
JP2007309228A (ja) * 2006-05-18 2007-11-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233U (ko) * 1984-08-11 1986-03-31 황 잉 충 에어쿠숀을 형성한 운동화 바닥창
KR20040040596A (ko) * 2002-11-07 2004-05-13 남만우 신발의 발광 장치
KR20040037042A (ko) * 2004-04-08 2004-05-04 주식회사 한일제화 공기제어밸브가 내장된 악취방지용 신발
JP2007309228A (ja) * 2006-05-18 2007-11-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発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324A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4169B2 (ja) 回転機構一体型発電装置
CN205597245U (zh) 压力发电鞋
KR101142531B1 (ko) 기능성 신발
KR101721388B1 (ko) 휴대용 자가발전장치
KR101084302B1 (ko) 기능성 매트
CN204908114U (zh) 一种行走发电鞋
CN109899221A (zh) 一种潮汐能转换器
KR102079219B1 (ko) 소수력 발전용 수차
KR100732555B1 (ko) 휴대용 발전기
WO2010140038A3 (en) Pneumatic pressure driven alternator
CN100577049C (zh) 一种鞋底
CN106870254A (zh) 一种高效水能发电装置
CN112412684A (zh) 微型水轮发电装置及发电鞋
CN205082754U (zh) 一种风力发电鞋
KR20060111873A (ko) 휴대용 발전기를 이용한 신발창 및 신발
CN205338819U (zh) 一种自发电带锂蓄电池的马桶加热垫
CN206329074U (zh) 风光互补型环保厕所
CN205757558U (zh) 一种发电鞋垫
KR20180077558A (ko) 캐리어 타입의 이동식 태양광 전력저장장치
JP2008169807A (ja) 回転装置および発電装置
JP4937788B2 (ja) 回転装置
CN208624771U (zh) 一种采用可发电式防脏行李箱
CN205779761U (zh) 一种利用太阳能发电的电动水泵
JP4921250B2 (ja) 発電装置
JP4763520B2 (ja) 回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