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326B1 - 하수고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고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326B1
KR101142326B1 KR20110086349A KR20110086349A KR101142326B1 KR 101142326 B1 KR101142326 B1 KR 101142326B1 KR 20110086349 A KR20110086349 A KR 20110086349A KR 20110086349 A KR20110086349 A KR 20110086349A KR 101142326 B1 KR101142326 B1 KR 10114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ank
fluidized bed
treated water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8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철
김명훈
이재용
문추연
박진식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 한영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영이엔씨 filed Critical (주) 한영이엔씨
Priority to KR2011008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3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5Fluidized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또는 오폐수를 고도처리하기 위한 하수고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하수 또는 오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장치로부터의 유출수를 수용하는 혐기조; 혐기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제1 무산소조; 제1 무산소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며, 질산화를 위해 처리수의 일부를 제1 무산소조로 반송하는 유동상접촉호기조; 유동상접촉호기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제2 무산소조; 및 제2 무산소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침지형막분리조를 포함하며, 혐기조, 제1 무산소조, 유동상접촉호기조 또는 제2 무산소조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각 기능별 반응조를 최적화 배치함으로써, 하수 또는 오폐수 내의 부유성 고형물 및 질소와 인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고도처리 장치{APPARATUS FOR HIGH CLASS TREATMENT OF WASTEWATER}
본 발명은 하수 또는 오폐수를 고도처리하기 위한 하수고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운영 중인 하수고도처리 공법의 적용 현황을 검토하여 보면, 대규모 하수처리장의 경우에는 주로 연속흐름식 고도처리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중소규모의 규모에는 유입유량에 대해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처리하는 SBR(Sequencing Batch Reactors) 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고, 유동상 담체 또는 고정상 담체를 활용하는 공법도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고도처리 방법 중 많이 이용되고 있는 A/O나 A2/O와 같은 연속흐름식 하수고도처리 공법은 처리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에 따라 공법 적용에 차이를 두고 있으며, 기본 구조에서 수정을 거친 공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상수의 수질을 끌어올리기 위해 하수도처리수질 기준 중 질소 및 인을 계속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동시에 제거하는 각종 공법들이 개발 중인 단계에 있다.
그러나, 외국과는 달리 국내의 경우에는 처리하고자 하는 원수, 즉 하수 중 미생물이 유기물 성분 분해를 위한 카본 계열의 탄소 성분이 인과 질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즉 C/N 비의 적정 비율이 낮아, 질소와 인의 효율적 제거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한편, 수질정화 즉, 하수 처리, 오수 처리 등의 생물학적 처리의 대부분은 종속영양세균을 통한 활성슬러지법을 근간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운전시 슬러지 팽화(bulking)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부하 변동이 큰 경우에 대처가 쉽지 않으며, 잉여오니가 다량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종래의 활성슬러지법을 대처하기 위해 개발된 공정 중에서 담체를 이용한 생물막 공정은 수처리에 사용되는 수중미생물의 농도와 특성을 향상 시킬 목적으로, 포기조 내의 부유 미생물만을 이용하여 유기오염물을 처리하는 대신, 담체에 부착된 고농도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고등미생물까지 다양한 미생물의 증식을 통해 생물수처리의 부피를 크게 줄이고 사상균의 억제를 통한 슬러지 팽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고효율 생물학적 처리공정이다.
이와 같은 담체에는 크게 고정상과 유동상 담체가 있다. 고정형 섬모상 담체의 재질은 얇고 질긴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섬유실로 이루어져 있고 모양은 로프 형태로, 포기조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충진된다. 유체의 흐름에 따라 일정 간격의 탄력성이 주어져 그동안 고정상 담체의 큰 단점으로 지적된 순간적인 슬러지 탈리 현상을 해소시킨 뛰어난 고정상 담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포기조 전체에 걸쳐서 담체를 충진해야 하고 담체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틀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전반적인 질소 제거효율이 낮고 부착미생물로만 처리하는 공정인 관계로 생물학적 인 제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 최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반 플라스틱계열의 유동상 담체의 경우 공기에 의한 유동으로 인해 벽면 마찰이나 충격에 의해 내마모성이 떨어져 담체의 수명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담체내 미생물의 탈리 현상 발생의 문제가 있다. 현재 고체 표면에 자연적으로 부착하려는 미생물의 성질을 이용하는 생물막에 의한 폐수처리중 플라스틱 담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개월에 걸쳐 생물막을 형성함으로 인해서 긴 시간의 담체내 미생물의 적응기간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생물막 공정의 전체 처리효율은 포기조 내에 투입된 담체의 효율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며 담체를 투입한다고 해서 반드시 활성슬러지 공법보다 높은 처리효율을 얻거나 슬러지 팽화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종속영양세균의 과도한 성장에 의한 담체의 막힘 현상, 충격에 의한 담체의 손상에 의한 미생물막의 탈리 현상 등은 처리효율저하와 생물막공법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미생물의 특성에 맞게 담체 재질 및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며 적절한 부착 미생물양을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담체에 적당한 최적의 구조를 구성하여 담체를 실제 공정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수 또는 오폐수 내의 부유성 고형물 및 질소와 인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고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 문제, 이물질에 의한 막힘 문제, 생물막 형성 및 유지 문제를 극복하고 그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를 적용시킬 수 있는 하수고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하수 또는 오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장치로부터의 유출수를 수용하는 혐기조; 혐기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제1 무산소조; 제1 무산소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며, 질산화를 위해 처리수의 일부를 제1 무산소조로 반송하는 유동상접촉호기조; 유동상접촉호기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제2 무산소조; 및 제2 무산소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침지형막분리조를 포함하며, 혐기조, 제1 무산소조, 유동상접촉호기조 또는 제2 무산소조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침지형막분리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여 최종적으로 방류하는 방류조; 침지형막분리조로부터의 슬러지를 공급받아, 탈수기에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슬러지저장조; 및 침지형막분리조로부터의 슬러지의 일부를 반송하여 탈질하고 혐기조에 공급하며, 내부에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가 마련되는 슬러지전탈질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담체판과, 담체판의 외측의 끝단을 연결하여 외형을 이루고 지지하는 담체 지지대가 일체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제1 담체부; 및 내측면이 담체 지지대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제1 담체부를 고정하고 수용하는 담체 관통구가 마련되며, 일체의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담체부를 포함하며, 제1 담체부 및 제2 담체부의 표면에 수질정화용 생물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담체부의 외형은 윈기둥 형상을 이루며, 제2 담체부의 담체 관통구가 원기둥 형상의 상면 중심으로부터 하면 중심까지 동일 크기의 원형으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담체부의 담체판의 중심은 제2 담체부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고, 각각의 담체판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담체 관통구의 반지름과 동일하고, 담체판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는 제2 담체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며, 제1 담체부의 담체 지지대는, 제2 담체부의 담체 관통구와 동일 크기를 이루는 원형고리 형상을 이루며, 담체판의 상단 및 담체판의 하단까지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담체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담체부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각 기능별 반응조를 최적화 배치함으로써, 하수 또는 오폐수 내의 부유성 고형물 및 질소와 인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유동성이 우수하고, 생물막 형성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생물막 탈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를 적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처리를 행할 수 있는 한편, 수질정화, 특히 질소 및 인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측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하수 또는 오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장치(40)로부터의 유출수를 수용하는 혐기조(110)와, 혐기조(110)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제1 무산소조(120)와, 제1 무산소조(120)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며, 질산화를 위해 처리수의 일부를 제1 무산소조(120)로 반송하는 유동상접촉호기조(130)와, 유동상접촉호기조(130)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제2 무산소조(140)와, 제2 무산소조(140)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침지형막분리조(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혐기조(110), 제1 무산소조(120), 유동상접촉호기조(130) 또는 제2 무산소조(14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3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3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후,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침지형막분리조(150)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여 최종적으로 방류하는 방류조(160)와, 침지형막분리조(150)로부터의 슬러지를 공급받아, 탈수기(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슬러지저장조(170)와, 침지형막분리조(150)로부터의 슬러지의 일부를 반송하여 탈질하고 혐기조(110)에 공급하며, 내부에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30)가 마련되는 슬러지전탈질조(180)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반응조의 기능을 살펴보면, 혐기조(110)는 전처리 장치(40)를 통해 조대 협잡물이 제거된 유출수 또는 슬러지전탈질조(180)를 통해 반송된 슬러지를 유입시켜 혐기성 조건하에 인을 방출시킨다. 제1 무산소조(120) 및 제2 무산소조(140)는 유입되는 처리수를 무산소 조건에서 미생물과 반응시켜 탈질화시킨다. 유동상접촉호기조(130)는 유입되는 처리수를 호기성 조건에서 질산화미생물과 반응시켜서 질산화, 유기물의 제거 및 인의 과잉 섭취를 도모한다. 질산화된 처리수는 일부 제1 무산소조(120)로 내부 반송된다. 침지형막분리조(150)는 분리막 모듈을 통해 슬러지와 처리수를 고액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 장치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면, 유입된 하수 및 오수를 전처리 장치(40)를 거치게 하여 조대 협잡물을 제거시키며, 전처리 장치(40)를 통과한 유출수는 자연유하에 의해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30)가 수용된 혐기조(110), 제1 무산소조(120), 유동상접촉호기조(130), 제2 무산소조(140) 및 담체를 제외한 침지형막분리조(150)의 순으로 유체가 자연유하로 유동할 수 있는 구조로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한 최적화 배치를 이룬다.
또한, 침지형막분리조(150)로 유입된 유체는 흡입펌프와 연계된 분리막 모듈을 통해 방류조(160)로 유출되고, 유동상접촉호기조(130)에서는 질산화를 위해 제1무산소조(120)로 내부반송이 이루어진다. 침지형막분리조(150)에서 슬러지의 일부는 슬러지전탈질조(180)로 외부반송이 이루어진다. 침지형막분리조(150)에서 슬러지 공급펌프를 통해 슬러지저장조(170)로 유입된 슬러지는 탈수기 공정으로 공급되어진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도면의 상하측 방향을 본 발명의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상하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용 유동상 담체(30)는 제1 담체부(10)와 제2 담체부(20)가 결합된 이중 재질의 담체를 이룬다.
제1 담체부(10)는 담체판(11)과 담체 지지대(12)가 일체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담체판(11)은 복수개가 제1 담체부(1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제1 담체부(10)의 중심으로부터 4개의 담체판(11)이 360°를 4등분하여 각각 이웃하는 담체판(11)과 90°를 이루며 배치된다. 또한, 담체 지지대(12)는 복수의 담체판(11)의 외측의 끝단을 연결하는 구조로, 제1 담체부(10)의 외형을 이루고 지지한다.
제2 담체부(20)는 담체 관통구(21)가 마련되며 일체의 스펀지 재질로 형성된다. 담체 관통구(21)는 그 내측면이 제1 담체부(10)의 담체 지지대(12)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제1 담체부를 고정하고 수용한다.
또한,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표면, 즉 제1 담체부(10) 및 제2 담체부(20)의 표면에는 수질정화용 생물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30)는, 제1 담체부(10)와 제2 담체부(20)가 결합된 이중 재질의 담체를 이룸으로써, 담체로서의 각 재질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한편, 각 재질의 단점을 서로 보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담체부(10)는 일체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가볍고 부유성이 낮기 때문에 반응조 내에서 오폐수의 유동에 동반하여 활발한 유동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소수성이 높고 표면 자유 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생물막의 형성이 어려우며, 외부 충격에 의해 생물말의 탈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담체부(20)는 일체의 스펀지 재즐로 형성됨으로써, 친수성과 흡수성이 우수하여 생물막 형성을 활발히 할 수 있으며,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생물막의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부유성이 높기 때문에 물과 같은 유체에서는 유체 표면에 부유한 상태를 유지하여 반응조 내에서의 유동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담체부(10)가 제2 담체부(20) 내에 수용되어 고정된 결합 형태를 이루므로, 반응조 내에서 활발한 유동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생물막 형성이 쉽게 이루어지고 유동 중 외부의 충격에도 생물막의 탈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담체부(1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담체부(20)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재질들 이외에도 상술한 제1 담체부(10)와 제2 담체부(20)의 재질적 기능을 도모할 수 있으면, 다른 어떤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재질적 측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30)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구조적, 형상적 측면에 관하여 살펴보면, 제1 담체부(10) 전체가 보호되고, 오폐수의 내부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며, 그 표면적을 최대로 하는 구조 및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담체부(20)의 외형은 윈기둥 형상을 이루며, 제2 담체부(20)의 담체 관통구(21)가 원기둥 형상의 상면 중심으로부터 하면 중심까지 동일 크기의 원형으로 관통된다. 즉, 제2 담체부(20)는 상하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을 이룸으로써, 내부로의 유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제1 담체부(200)의 수용 공간을 마련한다. 또한, 곡면의 표면을 형성하므로, 타 담체와의 뭉침과 반응조 내의 고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닿는 면적이 적게하고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담체부(10)의 담체판(11)의 중심은 제2 담체부(120)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고, 각각의 담체판(1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담체 관통구(21)의 반지름과 동일하고, 담체판(1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는 제2 담체부(2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제1 담체부(10) 전체가 제2 담체부(20) 내에 완전히 수용되며, 복수의 담체판(11)에 의해 생물막이 형성되는 표면적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담체판(11)이 4개로 구성되어 8면의 생물막 형성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더 많은 담체판(11) 또는 적은 개수의 담체판(11)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담체판(11)은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담체 관통구(21)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담체 지지대(12)와 함께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형상을 지지하는 골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담체부(10)의 담체 지지대(12)는, 제2 담체부(20)의 담체 관통구(21)와 동일 크기를 이루는 원형고리 형상을 이루며, 담체판(11)의 상단 및 담체판의 하단까지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담체 지지대(12)가 상단과 하단, 그리고 상하단의 중간에 3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담체 지지대(12)는 담체 관통구(2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1 담체부(10)를 제2 담체부(20)에 고정하고, 담체판(11)과 함께,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형상을 지지하는 골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담체부(10)는 담체판(11)과 담체 지지대(12)의 구조 및 형상에 의해 담체 관통구(21)를 개방된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 내부로의 오폐수 등의 유체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이물질에 의한 담체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는, 제1 담체부(10)와 제2 담체부(20)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며, 이물질의 과다 부착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는, 이중 재질과 그 구조 및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수질정화를 안정적이며 효율적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슬러지전탈질조, 혐기조, 제1 무산소조, 유동상접촉호기조, 제2 무산소조, 침지형막분리조, 방류조, 슬러지저장조로 구성하고, 각 협기조, 제1 및 제2 무산소조, 유동상접촉호기조에는 이중 구조의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를 충진하여 고등 미생물군의 부착을 통한 대상 오염물질에 대한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동상접촉호기조와 침지형막분리조를 분리하여 각 반응조의 공기공급 부분을 반응조의 특성에 맞게 분리 가능하다. 또한, 분리를 통한 호기성 미생물의 성장 부분과 막세정을 분리하여 공기 효율을 높인 구성을 갖는다.
또한, 사용되는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는 친수성이 좋고 부착성이 우수한 스폰지 담체와 내부에 플라스틱 계열의 십자형 기둥을 내부에 포함시킨 이중 구조의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를 통해 기존 플라스틱 계열 담체의 초기 생물막 형성 시간을 줄이고 이중 구조 내부를 통해 담체가 쉽게 부상하거나, 반응조 공기에 의한 반응조 벽체의 외부 충격으로 생물막의 소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담체 표면에 고농도의 미생물을 유지시킬 수 있게 하여 유입수질 및 유량변동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하수 또는 오폐수 내의 부유성 고형물 및 질소와 인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고도처리 장치는 필요에 따라 다른 반응조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2 산소조 후측에 유동상접촉호기조를 추가 배치할 수 있다. 가능한 범위에서 반응조의 배치순서 변경, 다른 반응조의 대체, 반응조의 생략 등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의 제2 담체부는, 원기둥 형상 이외에 사각 기둥, 오각 기둥 등과 같이 다른 다각형 기둥형상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담체부는 제2 담체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담체부
11 : 담체판
12 : 담체 지지대
20 : 제2 담체부
21 : 담체 관통구
30 :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
40 : 전처리 장치
110 : 혐기조
120 : 제1 무산소조
130 : 유동상접촉호기조
140 : 제2 무산소조
150 : 침지형막분리조
160 : 방류조
170 : 슬러지저장조
180 : 슬러지전탈지조

Claims (6)

  1. 하수 또는 오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장치로부터의 유출수를 수용하는 혐기조;
    상기 혐기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제1 무산소조;
    상기 제1 무산소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며, 질산화를 위해 처리수의 일부를 상기 제1 무산소조로 반송하는 유동상접촉호기조;
    상기 유동상접촉호기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제2 무산소조; 및
    상기 제2 무산소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는 침지형막분리조;
    를 포함하며,
    상기 혐기조, 상기 제1 무산소조, 상기 유동상접촉호기조 또는 상기 제2 무산소조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가 마련되되,
    상기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4개의 담체판과, 상기 담체판의 외측의 끝단을 연결하여 외형을 이루고 지지하는 담체 지지대가 일체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제1 담체부; 및
    내측면이 상기 담체 지지대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담체부를 고정하고 수용하는 담체 관통구가 마련되며, 일체의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담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담체부의 외형은 윈기둥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2 담체부의 담체 관통구가 원기둥 형상의 상면 중심으로부터 하면 중심까지 동일 크기의 원형으로 관통되고,
    상기 제1 담체부의 담체판의 중심은 상기 제2 담체부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고 상기 제1 담체부의 중심으로부터 4개의 담체판이 360°를 4등분하여 각각 이웃하는 담체판과 90°를 이루며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담체판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담체 관통구의 반지름과 동일하며, 상기 담체판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담체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길이와 동일하여, 상기 담체판이 상기 담체 관통구를 서로 분리된 4개의 유체 흐름로로 구획시키고,
    상기 제1 담체부의 담체 지지대는, 상기 제2 담체부의 담체 관통구와 동일 크기를 이루는 원형고리 형상을 이루며, 상기 담체판의 상단, 상기 담체판의 하단 및 상기 담체판의 중간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제1 담체부 및 상기 제2 담체부의 표면에 수질정화용 생물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고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형막분리조로부터의 처리수를 수용하여 최종적으로 방류하는 방류조;
    상기 침지형막분리조로부터의 슬러지를 공급받아, 탈수기에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슬러지저장조; 및
    상기 침지형막분리조로부터의 슬러지의 일부를 반송하여 탈질하고 상기 혐기조에 공급하며, 내부에 상기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가 마련되는 슬러지전탈질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고도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담체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담체부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고도처리 장치.
KR20110086349A 2011-08-29 2011-08-29 하수고도처리 장치 KR10114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6349A KR101142326B1 (ko) 2011-08-29 2011-08-29 하수고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6349A KR101142326B1 (ko) 2011-08-29 2011-08-29 하수고도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326B1 true KR101142326B1 (ko) 2012-05-17

Family

ID=4627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86349A KR101142326B1 (ko) 2011-08-29 2011-08-29 하수고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3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134B1 (ko) * 2012-11-26 2015-02-02 주식회사 한화건설 하폐수 고도처리 방법
EP2952483A4 (en) * 2013-02-01 2016-08-03 Univ Santiago Compostela INTEGRATED SYSTEM COMPRISING A METHANOGENIC ANAEROBIC REACTOR AND A MEMBRANE BIOREACTOR FOR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FROM WASTE WATER
CN113307442A (zh) * 2021-02-08 2021-08-27 广东创实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流化床生物膜污水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688A (ja) 2002-02-05 2003-08-12 Toray Eng Co Ltd 水浄化材及び水浄化方法
KR20050096866A (ko) * 2005-08-26 2005-10-06 한상배 유동상 생물막담체 및 열팽창과 냉각수축을 이용한 유동상생물막담체의 조립방법
KR100770365B1 (ko) * 2006-02-23 2007-10-26 (주)에스엔비텍 활성물질이 도포된 인 제거용 담체, 이의 제조방법 및 그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KR20080101035A (ko) * 2007-05-15 2008-11-21 (주)대우건설 오·폐수 고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688A (ja) 2002-02-05 2003-08-12 Toray Eng Co Ltd 水浄化材及び水浄化方法
KR20050096866A (ko) * 2005-08-26 2005-10-06 한상배 유동상 생물막담체 및 열팽창과 냉각수축을 이용한 유동상생물막담체의 조립방법
KR100770365B1 (ko) * 2006-02-23 2007-10-26 (주)에스엔비텍 활성물질이 도포된 인 제거용 담체, 이의 제조방법 및 그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방법
KR20080101035A (ko) * 2007-05-15 2008-11-21 (주)대우건설 오·폐수 고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134B1 (ko) * 2012-11-26 2015-02-02 주식회사 한화건설 하폐수 고도처리 방법
EP2952483A4 (en) * 2013-02-01 2016-08-03 Univ Santiago Compostela INTEGRATED SYSTEM COMPRISING A METHANOGENIC ANAEROBIC REACTOR AND A MEMBRANE BIOREACTOR FOR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FROM WASTE WATER
CN113307442A (zh) * 2021-02-08 2021-08-27 广东创实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流化床生物膜污水处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qas et al. Recent progress in integrated fixed-film activated sludge process for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Guo et al. Roles of polyurethane foam in aerobic moving and fixed bed bioreactors
CN101977853B (zh) 用于处理废水的方法和装置
Khan et al. Performance of suspended and attached growth MBR systems in treating high strength synthetic wastewater
CN103011391B (zh) 一种微生物固定化mbr的方法与装置
CN206607129U (zh) 一种焦化废水处理装置
CN102659282A (zh) 一种固定化微生物 cass 同步脱氮除磷污水处理装置
Schlegel et al. Wastewater treatment with submerged fixed bed biofilm reactor systems–design rules, operating experiences and ongoing developments
CN101823794B (zh) 流化载体生物膜反应工艺中流化填料快速挂膜的方法
KR101142326B1 (ko) 하수고도처리 장치
CN105829252A (zh) 使用天然产生的生物生长培养基减少被污染流体中的物质
CN102285715B (zh) 用于榨菜废水处理的复合膜生物反应器
Ibrahim et al. Improvements in biofilm processes for wastewater treatment
CN103641241B (zh) 一种前置反硝化曝气生物滤池及其处理污水的方法
CN105836964A (zh) 一种固定床气化废水生物处理系统及方法
KR100937482B1 (ko) 중공복합담체를 이용한 하수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US7008539B2 (en) Submerged ammonia removal system and method
Rodríguez-Hernández et al. Evaluation of a hybrid vertical membrane bioreactor (HVMBR) for wastewater treatment
CN203807228U (zh) 一种复合好氧膜生物反应器污水处理装置
Dang et al. Non-submerged attached growth process for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Influence of media types and internal recirculation ratios
KR101268064B1 (ko) 개량형 중공복합담체를 이용한 하수고도 처리장치
CN102381809A (zh) 煤矿生活污水处理设备和处理方法
KR20160093875A (ko) 유출수 재이용이 가능한 에너지 저감형 정화조
KR100993265B1 (ko) 순환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1142325B1 (ko) 수질정화용 유동상 담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