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147B1 -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147B1
KR101142147B1 KR1020080123620A KR20080123620A KR101142147B1 KR 101142147 B1 KR101142147 B1 KR 101142147B1 KR 1020080123620 A KR1020080123620 A KR 1020080123620A KR 20080123620 A KR20080123620 A KR 20080123620A KR 101142147 B1 KR101142147 B1 KR 10114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ubscriber information
proxy server
prox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954A (ko
Inventor
심선호
유응재
김경태
전재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1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7Communication with additional dat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록시서버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 수신에 따라 중단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와 함께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한다. 이후, 프록시서버는 제2 디바이스의 컨텐츠 재개신호에 따라 프록시제어기로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를 전송한다. 프록시제어기가 수신한 제1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비교결과 가입자가 동일하다고 판단할 경우 프록시서버로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타임스탬프를 전송한다. 프록시서버는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중 디바이스정보를 이용해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제2 디바이스에 맞는 해상도 및 픽셀수에 매칭되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멀티, 스크린

Description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Multi-Screen Transmission System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s Delivery Network, 이하 'CDN' 이라 함)를 이용해 컨텐츠를 멀티 스크린(IPTV, 유선단말, 무선단말)으로 전송하기 위한 멀티 스크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 TV 시스템은 양방향 또는 대화식(Interactive) TV 방송으로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이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꿔서 보여주는 방송이라면, 디지털 방송은 말 그대로 디지털로 방송하는 것으로, 같은 RF 신호에 디지털로 부호화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비디오와 오디오는 예를 들어, MPEG2-TS(Transport Stream) 포맷으로 송출되고, 또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DSM-CC(Digital Storage Media-Command and Control) 표준에 맞게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DSM-CC는 MPEG1 및 MPEG2 비트 스트림을 다루기 위한 제어 기능 및 함수를 정의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은 방송국에서 찍은 비디오와 오디오에 CP(Contents Provider)들이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MPEG2-TS(Transport Stream) 포맷으로 함께 묶어서 방송하며, 사용자(시청자)들은 셋탑박스(Set Top Box: STB)에서 그 방송을 수신하여 디지털 TV 화면을 통해 시청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 방송이란 문서, 정지화상,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및 소프트웨어 제품을 PC, 셋탑박스 또는 이동통신 기기와 같은 정보처리 장치에 고속으로 전송 및 방송할 수 있는 기술적 개념으로서,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프로그램 관련 정보, 날씨, 증권, 뉴스 정보는 물론 인터넷, 전자상거래까지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은 방송 전파에 디지털 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면, 수신장치가 데이터를 자동으로 해독 및 처리하여, 그 결과를 수신자가 직접 받아보거나 또는 그 정보에 의해 다른 기계장치 등을 제어하는 특성을 가진 새로운 분야의 방송을 말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방송의 신호는 디지털 전송으로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과도 공통점을 가진다. 상기 데이터 방송은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에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지만, 이들 방송에 관련되는 내용을 디지털 신호로 전송하는 데이터 방송과 별도의 독립된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방송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은 텔레비전 전파를 활용한 무선 전달 시스템이라는 장점과 인터넷의 양방향 기능이 결합된 멀티미디어형 정보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텔레비전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디지털 TV로 전송될 경우 다른 디바이스들(예컨대, 유선단말 또는 무선단말)들로 연속적이고 끊김 없이 시청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특성인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과 각 디바이스 별 해상도 및 픽셀수에 무관하게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방법은, 프록시서버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 수신에 따라 중단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와 함께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는 제1 전송단계; 상기 프록시서버가 제2 디바이스의 컨텐츠 재개신호에 따라 상기 프록시제어기로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를 전송하는 제2 전송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비교결과 가입자가 동일하다고 상기 프록시제어기가 판단할 경우,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프록시제어기로부터 상기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타임스탬프를 이용해 상기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3 전송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프록시제어기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송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중 디바이스정보를 이용해 상기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맞는 해상도 및 픽셀수에 매칭되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송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송단계와 상기 제2 전송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송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송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기저장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송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기저장하지 않는 경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은, 제1 디바이 스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 수신에 따라 중단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와 함께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며, 제2 디바이스의 컨텐츠 재개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상기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타임스탬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중 디바이스정보를 이용해 상기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맞는 해상도 및 픽셀수에 매칭되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프록시서버; 및 상기 수신한 제1 및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비교결과 가입자가 동일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프록시서버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를 전송하는 프록시제어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서버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입출력모듈; 및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가 수신될 경우 중단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생성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가입자정보를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재개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를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중 가입자가 동일한지를 질의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서버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수신한 다수의 컨텐츠, 상기 제1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프록시서버DB;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다수의 컨텐츠 중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입자가 동일함에 따라 상기 프록시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를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타임스탬프를 이용해 상기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중 디바이스정보를 이용해 상기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맞는 해상도 및 픽셀수에 매칭되는 파일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제어기는,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며 컨텐츠 중단 요청에 따라 타임스탬프를 생성하며, 컨텐츠 중단신호를 전송한 제1 디바이스와 컨텐츠 재개신호를 전송한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프록시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타임스탬프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의 가입자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동일할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상기 수신한 타임스탬프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프록시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기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제어기는, 상기 제1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프록시제어기DB;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과 각 디바이스 해상도 및 픽셀수와 무관하게 컨텐츠를 끊김없이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은 다수의 디바이스(Device)(10), 네트워크(30), 프록시서버(40), 프록시제어기(50) 및 컨텐츠서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10)는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유선 및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다수의 디바이스(10)는 제1 디바이스(11), 제2 디바이스(13), 제3 디바이스(15)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디바이스들(11, 13, 15)은 다른 해상도 및 픽셀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제1 내지 제3 디바이스(11 내지 15)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한 동일한 가입자가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는 방송네트워크로 연결된 IPTV일 수 있다. 이런 IPTV는 IP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 규정된 품질 이상의 QoS(Quality of Service)/QoE(Qulity of Experience), 정보보호, 상호작용, 신뢰성 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3)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특정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다양한 형태의 유선단말일 수 있다. 이런 유선단말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에 의해 기술된 프로그램 등의 유선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테이터를 해석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재생하는 브라우저와 특정 유선서버(예컨대, 컨텐츠서버 및/또는 프록시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나 노트북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15)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특정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이동단말일 수 있다. 이런 이동단말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과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수의 디바이스(10) 각각은 프록시서버(40)로 특정 컨텐츠 요청신호, 컨텐츠 중단신호, 컨텐츠재개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신호는 하나의 디바이스(예컨대, 제1 디바이스(11))에 의해 수행되는 프록시서버(40)로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컨텐츠 중단신호는 하나의 다바이스(예컨대, 제1 디바이스(11))에 의해 수행되는 프록시서버(40)로 컨텐츠 요청신호에 따른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시청이 시작된 이후, 이에 대한 중단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한편, 컨텐츠 재개신호는, 하나의 디바이스(예컨대, 제1 디바이스(11))가 컨텐츠 중단신호 전송 후,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제2 디바이스(13))가 중단 이후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하기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각 디바이스(10)는 웹 페이지(Web Page) 및 포함객체(embed object)를 포함하는 다수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를 프록시서버(40)에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프록시서버(40)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프 록시서버(40)에 없을 경우엔 컨텐츠서버(70)로부터 간접적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셋탑박스(Set-top Box: STB, 20)는 양방향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 30)을 통해 프록시서버(4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브라우저와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탑재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셋탑박스(20)는 제1 디바이스(11)인 IPTV와 연결되며, 가입자로부터 컨텐츠 요청신호, 컨텐츠 중단신호, 컨텐츠 재개신호 및 채널변경에 따른 요청을 프록시서버(40)로 전달한다.
네트워크(30)는 각 디바이스(10), 프록시서버(40) 및 프록시제어기(50)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네트워크(30)는 양방향통신망(31), 게이트웨이(33), 이동통신망(35)을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통신망(31)은 도면에서는 유선 망으로 도시하였으나, 무선 형태의 네트워크 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양방향통신망(31)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일 수 있다. 또한, 양방향통신망(31)은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망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33)는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나이며, 이동통신망(35)을 통해 무선으로 접속하는 제3 디바이스(15)와 양방향통신망(30)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하는 프록시서버(4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통신망(35)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35)은 노드 B(Node B),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양방향통신망(30)과 이동통신망(35)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향후 기술의 발전에 따라 통합된 망으로 기재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할 수 있다.
프록시서버(40)는 디바이스(10)로부터 미리 정해진 수치 이상 요청된 컨텐츠 또는 지역에 따라 구분된 영역으로 전송된 컨텐츠를 컨텐츠서버(7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프록시서버(40)는 컨텐츠서버(70)로부터 다수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입자정보는 하나의 가입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디바이스정보(제1 내지 제3 디바이스의 해상도 및 픽셀수에 관한 정보), 다수의 디바이스의 ID, 인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록시서버(40)는 디바이스(10) 각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각 디바이스(10)로부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요청신호에 따른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 디바이스(10) 각각으로 전송한다. 프록시서버(40)는 각 디바이스(1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중단신호 및 이후에 요청되는 컨텐츠 재개신호도 수신한다.
한편, 프록시서버(40)는 각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단신호에 따라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프록시제어기(50)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프록시서버(40)는 타임스탬프와 함께 컨텐츠 중단신호를 전송한 디바이스(10)의 가입자정보도 프록시제어기(50)로 전송하여 저장토록 한다.
이후, 프록시서버(40)는, 다른 디바이스(10)에 의한 컨텐츠 재개신호에 따라, 프록시제어기(50)로부터 수신된 타임스탬프 및 컨텐츠 중단신호를 전송한 디바이스(10)의 가입자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개요청을 한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 즉, 프록시서버(40)는 컨텐츠 재개요청을 한 디바이스(10)의 해상도 및 픽셀수에 매칭되는 파일포맷으로 변환하여 재개요청을 한 디바이스(10)로 변환된 파일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중단후의 컨텐츠는 해상도 및 픽셀수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환경에 매칭되도록 변환할 수도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프록시제어기(50)는 프록시서버(40)에 접속한 가입자정보(또는 가입자정보 중 다수의 디바이스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프록시서버(40)로부터 수신된 타임스탬프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저장된 타임스탬프는 컨텐츠 재개요청을 한 디바이스(10)로 중단 후의 컨텐츠를 전송할 경우 컨텐츠의 재개 시점을 가늠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입자정보(특히, 다수의 디바이스정보)는 컨텐츠 재개요청을 한 디바이스(10)로 중단 후의 컨텐츠를 전송할 경우 요청한 디바이스(10)에 맞는 파일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파일형태는 해상수 및 픽셀수에 매칭되는 것일 수 있다.
컨텐츠서버(70)는 본 발명에서 컨텐츠를 요청한 디바이스(10)에게 직접 또는 프록시 서버(40)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컨텐츠서버(70)는 가입자정보를 사전에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록시서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록시서버(40)는 입출력모듈(41), 제어모듈(43), 프록시서버DB(45)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41)은 다수의 디바이스(10), 프록시제어기(50), 컨텐츠서버(70)와의 통신을 통해 컨텐츠, 신호, 및 각 디바이스(10)의 ID와 인증번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신호는 디바이스(10)로부터 프록시서버(40)로 전송되는 컨텐츠 요청신호, 컨텐츠 중단신호 및 컨텐츠 재개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제어모듈(43)은 인증모듈(43a), 판단모듈(43b) 및 생성모듈(43c)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모듈(43a)는 각 디바이스(10)로부터 ID,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프록시서 버DB(45)에 저장된 가입자정보 중 ID와 인증번호가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ID와 인증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판단모듈(43b)는 인증을 통과한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 요청신호을 수신할 경우, 프록시서버DB(45)에 기저장된 컨텐츠에 요청된 것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프록시서버DB(45)에 있을 경우, 판단모듈(43b)는 기저장된 컨텐츠를 입출력모듈(41)을 통해 요청한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 만약 없을 경우 판단모듈(43)은 입출력모듈(41)을 통해 컨텐츠서버(70)로 요청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한 뒤, 요청한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생성모듈(43c)은 하나의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가 수신될 경우 시각에 대한 정보인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입출력모듈(41)을 통해 프록시제어기(5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생성모듈(43c)은 가입자정보(특히, 다수의 디바이스정보)도 입출력모듈(41)을 통해 프록시제어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생성모듈(43c)은 다른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 재개신호를 수신하여 프록시제어기(50)로 전송함에 따라, 생성모듈(43c)이 입출력모듈(41)을 통해 프록시제어기(50)로부터 타임스탬프 및 재개신호를 송신한 디바이스(10) 가입자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생성모듈(43c)은 생성된 타임스탬프 및 재개신호를 송신한 디바이스(10) 가입자정보를 이용하여 프록시서버DB(45)에 저장된 컨텐츠 중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을 재개신청을 한 다른 디바이스(10)에 맞도록 파일형식으로 변환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생성모듈(43c)는 프록시제어기(50)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을 요청한 디바이스(10)로 제공하기 위한 해상도 및 픽셀수의 파일형식으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디바이스(11)인 IPTV, 제2 디바이스(13)인 유선단말, 제3 디바이스(15)인 무선단말의 해상도(Resolution) 및 픽셀수는 다르므로, 프록시제어기(50)는 각 디바이스(11, 13, 15) 상호간의 파일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컨텐츠서버(70)가 하나의 컨텐츠를 생성하여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하면, 프록시서버(40)는 가입자정보 중 디바이스(10)의 상이한 해상도 및 픽셀수의 특성에 따라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 한편, 단말기의 특성으로 프로세서 성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환경 등도 고려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1)를 위한 컨텐츠는 높은 해상도를 갖고 있으므로,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없는 제3 디바이스(15)로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은 전송속도 및 시간에 있어서 불필요하다. 따라서, 프록시서버(40)의 생성모듈(43c)은 IPTV용 컨텐츠를 제2 디바이스(13)인 유선단말 또는 제3 디바이스(15)인 무선단말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전송한다. 하나의 디바이스(11)로 컨텐츠를 수신하던 동일한 가입자가 다른 디바이스(13, 15)를 통해 동일 컨텐츠를 요청하면, 이를 인식한 프록시서버(40)의 생성모듈(43c)은 가입자정보 중 디바이스정보(해상도, 픽셀수), 타임스탬프를 확인하여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제2 디바이스(13) 또는 제3 디바이스(15))에 최적화된 형태로 변환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프록시서버DB(45)는 컨텐츠서버(70)로부터 수신한 가입자정보(특히, 컨텐츠 중단신호를 송신한 디바이스(10) 가입자정보) 및 컨텐츠를 미리 저장한다. 한편, 프록시서버(40)가 프록시제어기(50)로 가입자정보를 전송할 경우 프록시서버DB(45)는 저장된 가입자정보를 삭제하여 데이터베이스(메모리)를 동적으로(dynamic)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프록시서버(40)는 멀티스크린 전송서비스에 가입한 한 명의 가입자(가입자A)에 대한 가입자정보를 컨텐츠서버(70)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가입자정보는 하기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하기 표에서 각 열은 각 디바이스 사용자정보를 나타낸다.
가입자A 제1 디바이스(11) 제2 디바이스(13) 제3 디바이스(15)
ID R541 Y541 C541
인증번호 4321 1234 6543
이름 AAA AAA AAA
주민번호 111111-2222222 111111-2222222 111111-2222222
해상도 3,840*2,400 1,280*1,0240 640*480
픽셀수 921만 6000픽셀 131만7200픽셀 30만 7200픽셀
프록시서버(40)는 디바이스(10)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로그인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된 특정 가입자의 가입자정보를 이용해 인증을 수행한다. 표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A의 제1 디바이스(11)가 ID와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요청을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한다. 프록시서버(40)는 ID(R541)와 인증번호(4321) 대조 후, 양자가 매칭될 경우 로그인 요청을 수락하며, 사용자A의 제1 디바이스(11)가 로그인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1 디바이스(11)의 컨텐츠 요청신호에 따라 프록시서버(40)는 요청한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1 디바이스(11)로 전송한다.
이후, 프록시서버(40)는 제1 디바이스(11)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를 수신하여, 컨텐츠 중단신호가 수신된 시각에 대한 정보인 타임스탬프(Time-Stamp)를 생성하여 프록시제어기(50)로 전송한다. 프록시서버(40)는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전송함과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저장하고 있던 가입자정보(특히, 제1 디바이스 가입자정보))를 프록시제어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록시서버(40)는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제2 디바이스(13) 또는 제3 디바이스(15))에 의한 중단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재개신호에 따라 프록시제어기(50)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13, 15)로 중단된 이후 부분에 대한 컨텐츠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록시제어기(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록시제어기(50)는 송수신모듈(51), 제어기모듈(53) 및 프록시제어기DB(5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듈(51)은 프록시서버(40)로부터 각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타임스탬프를 수신한다.
제어기모듈(53)은 프록시서버(40)로부터 각 디바이스 가입자정보 및 타임스탬프를 송수신모듈(51)을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모듈(51)을 제어한다.
즉, 하나의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가 프록시서버(40)로 수신될 경우, 제어기모듈(53)은 프록시서버(40)로부터 중단신호를 전송한 디바이스(10) 가입자정보를 송수신모듈(51)을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다른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 재개신호가 프록시서버(40)로 수신될 경우, 제어기모듈(53)은 프록시서버(40)로부터 재개신호를 전송한 디바이스(10) 가입자정보를 송수신모듈(51)을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기모듈(53)은 상기 예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수신한 하나의 디바이스(10)와 다른 디바이스(10)의 가입자가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동일할 경우 제어기모듈(53)은 재개신호를 전송한 디바이스(10) 가입자정보와 함께 타임스탬프를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모듈(51)을 제어한다.
프록시제어기DB(55)는 프록시서버(400)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 및 컨텐츠 재개신호를 전송한 디바이스(10) 가입자정보 및 타임스탬프를 송수신모듈(51)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하나의 디바이스(10)는 제1 디바이스(11), 다른 디바이스(10)는 제2 디바이스(13)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는 제1 디바이스(11)를 통해 프록시서버(40)로 멀티스크린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다(S10). 프록시서버(40)는 수신한 멀티스크린 서비스 요청을 컨텐츠서버(70)로 전송한다(S20).
S2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서버(70)는 프록시서버(40)로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에 대한 다수의 디바이스(10) 가입자정보를 전송하여(S30), 프록시서버(40)가 저장하도록 한다(S40).
제1 디바이스(11)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제1 디바이스(11)에 해당하는 ID와 인증번호를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한다(S50).
프록시서버(40)는 제1 디바이스(11)로부터 수신한 ID 및 인증번호가 미리 저장된 제1 디바이스(11) 가입자정보 중 ID와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제1디바이스(11)의 인증을 수행한다(S60).
프록시서버(40)는 제1 디바이스(11)로부터 수신한 ID 및 인증번호가 미리 저장된 제1 디바이스(11) 가입자정보 중 ID와 인증번호와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S70). 판단결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S30으로 돌아가 제1 디바이스(11)로부터 ID 및 인증번호를 재 수신한다.
반면에 판단결과 매칭된 경우 프록시서버(40)는 제1 디바이스(11)에 대한 인증승인신호를 제1 디바이스(11)로 송신한다(S80).
인증승인신호를 수신한 제1 디바이스(11)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요청신호를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한다(S90).
프록시서버(40)는 컨텐츠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매칭되는 컨텐츠를 제1 디바이스(11)로 전송한다(S100).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디바이스(11)가 요청한 컨텐츠 요청신호에 매칭되는 컨텐츠가 없는 경우, 프록시서버(40)는 컨텐츠서버(70)에 요청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 뒤 제1 디바이스(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디바이스(11)는 컨텐츠 중단신호를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한다(S110). 컨텐츠 중단신호를 수신한 프록시서버(40)는 중단신호를 요청한 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생성한다(S120).
프록시서버(40)는 타임스탬프 생성이 완료되면, 타임스탬프 및 S40에서 저장된 가입자정보 중 제1 디바이스(11) 가입자정보 및 타임스탬프를 프록시제어기(50)로 전송한다(S130).
프록시서버(40)는 S130의 전송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자신의 DB에 저장된 가입자정보를 삭제하여 동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정보는 가입자가 소지한 디바이스들의 해상도와 픽셀수 정보가 될 수 있다.
프록시제어기(50)는 S130에서 수신한 타임스탬프와 제1 디바이스(11) 가입자정보를 프록시제어기DB(55)에 저장한다(S140). 제1 디바이스(11) 가입자정보는 가입자가 소지한 제1 디바이스(11)의 해상도와 픽셀수가 포함되어 있다.
이후, 제2 디바이스(13)는 가입자인증을 위해 제2 디바이스(13)의 ID와 인증번호를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한다(S150).
프록시서버(40)는 기저장된 제2 디바이스(13)의 가입자정보 중 ID와 인증번호를 이용해 제2 디바이스(13)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160).
프록시서버(40)는 제2 디바이스(13)로부터 수신한 ID 및 인증번호가 미리 저장된 가입자정보 중 제2 디바이스(13)의 ID와 인증번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통해 인증통과 여부를 판단한다(S170).
판단결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S150으로 돌아가 제2 디바이스(13)로부터 ID 및 인증번호를 재 수신한다.
한편, 판단결과 매칭되는 경우 제2 디바이스(13)에 대한 인증이 승인되며, 프록시서버(40)는 제2 디바이스(13)에 대한 인증승인신호를 제2 디바이스(13)로 전송한다(S180).
인증승인 신호를 수신한 제2 디바이스(13)는 중단된 컨텐츠에 대한 요청신호인 컨텐츠 재개신호를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한다(S190).
프록시서버(40)는 S190의 컨텐츠 재개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2 디바이스(13) 가입자정보를 프록시제어기(50)로 전송한다(S200).
프록시서버(40)는 S130에서 수신한 제1 디바이스(11) 가입자정보와 S200에서 수신한 제2 디바이스(13) 가입자정보의 가입자가 동일한지 판단한다(S210).
S210의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S150로 돌아가 프록시서버(400)가 제2 디바이스(13)의 ID 및 인증번호를 다시 수신한다.
한편, S210의 판단결과 동일 한 경우 프록제어기(50)는 컨텐츠 재개신호를 전송한 제2 디바이스(13) 가입자정보 및 S140에서 저장한 타임스탬프를 프록시서버(40)로 전송한다(S220).
이에 따라 프록시서버(40)는 수신한 타임스탬프, 제2 디바이스(13)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S110에서 수신한 컨텐츠 중단신호가 수신된 이후의 컨텐츠 부분에 대해 제2 디바이스(13)의 해상도와 픽셀수에 맞도록 파일변환을 수행한다(S230).
프록시서버(40)는 S230의 변환이 끝나거나 변환과 동시에 변환된 중단신호가 수신된 이후의 컨텐츠 부분을 제2 디바이스(13)로 송신한다(S24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해상도 등에 무관하게 최적화된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끊임없이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컨텐츠를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전달받을 수 있고, 컨텐츠 제공업체는 고품질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관련사업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록시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바이스 30: 네트워크
40: 프록시서버 50: 제어서버
70: 컨텐츠서버

Claims (15)

  1. 프록시서버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 수신에 따라 중단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와 함께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는 제1 전송단계;
    상기 프록시서버가 제2 디바이스의 컨텐츠 재개신호에 따라 상기 프록시제어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전송하는 제2 전송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비교결과 가입자가 동일하다고 상기 프록시제어기가 판단할 경우,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프록시제어기로부터 상기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타임스탬프를 이용해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3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프록시제어기로부터 상기 타임스탬프와 함께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송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중 디바이스정보를 이용해 상기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맞는 해상도 및 픽셀수에 매칭되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단계와 상기 제2 전송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방법.
  7.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 수신에 따라 중단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와 함께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며, 제2 디바이스의 컨텐츠 재개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상기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타임스탬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중 디바이스정보를 이용해 중단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맞는 해상도 및 픽셀수에 매칭되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프록시서버; 및
    상기 수신한 제1 및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비교결과 가입자가 동일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프록시서버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를 전송하는 프록시제어기; 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8.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입출력모듈; 및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중단신호가 수신될 경우 중단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생성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재개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프록시제어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중 가입자가 동일한지를 질의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수신한 다수의 컨텐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프록시서버DB;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다수의 컨텐츠 중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서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입자가 동일함에 따라 상기 프록시제어기가 전송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를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타임스탬프를 이용해 상기 중단시각 이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중 디바이스정보를 이용해 상기 중단시각 이후의 컨텐츠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맞는 해상도 및 픽셀수에 매칭되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서버.
  14.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며 컨텐츠 중단 요청에 따라 타임스탬프를 생성하며, 컨텐츠 중단신호를 전송한 제1 디바이스와 컨텐츠 재개신호를 전송한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프록시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타임스탬프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의 가입자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동일할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수신한 타임스탬프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프록시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기모듈; 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제어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제1 및 제2 디바이스의 가입자정보 및 상기 타임스탬프를 저장하는 프록시제어기DB;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을 위한 프록시제어기.
KR1020080123620A 2008-12-05 2008-12-05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620A KR101142147B1 (ko) 2008-12-05 2008-12-05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620A KR101142147B1 (ko) 2008-12-05 2008-12-05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954A KR20100064954A (ko) 2010-06-15
KR101142147B1 true KR101142147B1 (ko) 2012-05-10

Family

ID=4236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620A KR101142147B1 (ko) 2008-12-05 2008-12-05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0385A (ja) * 2010-09-08 2012-03-22 Fujitsu Ltd 継承通信管理装置及び継承通信管理方法
KR101706630B1 (ko) * 2010-09-09 2017-02-28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단말기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6664432B (zh) 2016-10-31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多媒体信息播放方法及系统、采集设备、标准化服务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125B1 (ko) 2005-12-29 2007-01-09 전자부품연구원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단말을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상에서의 ip 스트리밍 관리 시스템
KR20070061620A (ko) * 2005-12-10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재생 중에 컨텐트 재생 장치를 변경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장치
KR100765368B1 (ko)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620A (ko) * 2005-12-10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재생 중에 컨텐트 재생 장치를 변경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장치
KR100666125B1 (ko) 2005-12-29 2007-01-09 전자부품연구원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단말을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상에서의 ip 스트리밍 관리 시스템
KR100765368B1 (ko)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954A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353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suring delivery of geographically relevant content
US1145537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distribution to packet-enabled devices via a network bridge
US88197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plans
US8910220B2 (en) Multi-format distribution of content
KR20140038492A (ko)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85046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US11956159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US20130191858A1 (en) Broadcast Encoding, Recording an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1952700B1 (ko)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EP2157747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nstant message
JPWO2018079295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40125686A (ko)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42147B1 (ko) 컨텐츠의 멀티 스크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0208A (ko) 셋탑박스를 이용한 방송컨텐츠의 상세정보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5870B1 (ko) 셋탑박스를 이용한 방송컨텐츠의 정보제공을 위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0635B1 (ko) 무선단말 및 프록시서버를 이용한 컨텐츠의 url 정보제공을 위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4740B1 (ko) 프록시서버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방송컨텐츠의 정보제공을 위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4204B1 (ko) 멀티 스크린 및 프록시서버를 이용한 컨텐츠의 url정보제공을 위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36651A (ko) 실시간 개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US20060041829A1 (en) Selective composition of a media event
KR102667167B1 (ko) Drm 관련 정보의 전송 및 취득
US202102888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distribution
KR101146754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에서 서비스 신호 수신 장치
KR20100060713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방송컨텐츠의 정보제공을 위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79462A (ko) Dmb 데이터채널을 이용한 아이들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제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