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143B1 - 두둑 성형기 - Google Patents

두둑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143B1
KR101142143B1 KR1020110110970A KR20110110970A KR101142143B1 KR 101142143 B1 KR101142143 B1 KR 101142143B1 KR 1020110110970 A KR1020110110970 A KR 1020110110970A KR 20110110970 A KR20110110970 A KR 20110110970A KR 101142143 B1 KR101142143 B1 KR 10114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inishing
molding
plates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원
Original Assignee
이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원 filed Critical 이세원
Priority to KR102011011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4Hand devices; Hand devices with mechanical accumulators, e.g. sp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둑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둑 성형기의 후방 영역에 장착되어 두둑을 성형하기 위한 두둑 성형장치를 파종 작물에 따라 두둑의 폭, 높이 및 개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켰으며, 또한, 두둑의 높이조절시 하나의 각도조절커버로서 일률적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두둑 성형기{Machine making ridge}
본 발명은 두둑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파종 작물에 따라 두둑의 폭, 개수 및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두둑 성형장치를 구성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작지에 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작물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모종을 위한 작업형태로서 두둑 성형작업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두둑 성형작업을 행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두둑 성형기가 사용되는 것인바, 이러한 두둑 성형기는 프레임상에 일방향 조합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보습을 결합한 구조를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두둑 형성기에 의한 작업은 다수개의 보습에 의해 형성되는 두둑의 폭이 한정됨에 따라 협소한 면적구성을 갖는 작업에 적합한 것이었다. 한편, 경작지로 재배되는 작물 중 넝쿨작물(만경(蔓莖)식물)은 지면을 기어 퍼지는 형상으로 줄기가 자라남에 따라 재배지의 두둑이 상당한 폭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넝쿨작물의 대표적인 일례로는 수박을 들 수 있는바, 이에 넝쿨작물인 수박 재배지의 이랑은 두둑이 240cm 정도의 폭을 갖도록 구성되되, 이는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아치형태로서 구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당한 폭을 갖는 두둑을 구성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의 보리 배토(培土)기 등이 사용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넝쿨작물인 수박 재배지의 두둑 성형작업은 보리 배토기 등의 경운날에 의한 두둑 작업길이(보통 50~70cm)가 한계를 갖게 됨에 따라 두둑이 아치형으로 구성되지 못하고, 중앙이 함몰되는 형상을 취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불완전한 형태를 취하는 두둑으로 휴립을 피복할 경우에는 지면과 휴립이 완전, 밀착되지 않아, 그만큼 휴립 설치작업이 난해해지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며, 이렇게 휴립을 피복하더라도 두둑의 형태가 중앙이 함몰된 형태를 취함에 따라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병충해가 발생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이 파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수박과 같은 넝쿨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일정한 면적구성(대개가 240cm의 폭으로 구성됨)을 갖는 두둑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이 함몰되는 형상으로 성형된 두둑을 재차 수작업을 통해 흙을 보충하여 써레에 의해 아치형태로 성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수박과 같은 넝쿨작물을 비롯하여 인삼밭, 딸기밭, 담배밭, 고추밭, 파밭, 양파밭, 콩밭, 묘목 작판 등에 적절한 두둑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장비로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등록 특허 10-0778653호(발명의 명칭: 두둑 성형기) 및 10-0778655호(발명의 명칭: 다기능 두둑 성형기)를 제공하였으나, 이러한 두둑 다기능 성형기는 2~3개의 로터리 날이 구비되어 양 내측으로 흙이 모여지면, 1~2개의 두둑을 성형하도록 구성되고, 두둑의 폭과 높이 및 형상(사다리꼴 형 및 아치형)으로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두둑 성형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두둑 성형장치는 하나의 장치로서 사다리꼴 및 아치형으로 선택적으로 변형 조절하여 동작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종 작물에 따라 두둑의 폭, 개수 및 높이를 간단하게 선택 조절할 수 있도록 두둑 성형장치를 구성하여, 작업성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두둑 성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몸체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트랙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주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주동력전달장치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몸체의 후방 영역으로 구비된 보조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보조동력전달장치 사이에 회전하도록 축설되고, 경지의 흙을 경운 하기 위한 경운장치로 구성된 두둑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좌,우측수직마감판 후방 영역에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두둑 성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두둑 성형장치는 몸체의 좌,우측수직마감판 후방 영역 양측에 각도조절수단 및 높이조절수단으로써 각도 및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수직고정편; 상기 수직고정편 사이에 양단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사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후방수평마감대; 및 상기 후방수평마감대 후방 영역에 구비되어 두둑의 폭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두둑 성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트랙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주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주동력전달장치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몸체의 후방 영역으로 구비된 보조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보조동력전달장치 사이에 회전하도록 축설되고, 경지의 흙을 경운 하기 위한 경운장치로 구성된 두둑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좌,우측수직마감판 사이의 후방 영역에 각도조절 가능하도록 두둑 성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두둑 성형장치는 상기 몸체의 좌,우측수직마감판 후방 영역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각도조절수단으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수직 돌출 브라켓; 상기 수직 돌출 브라켓 사이에 양단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사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후방수평마감대; 상기 후방수평마감대의 양단과 후방 영역으로 구비되어 두둑을 성형하기 위한 두둑 성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둑 성형기의 후방 영역에 장착되어 두둑을 성형하기 위한 두둑 성형장치를 파종 작물에 따라 두둑의 폭, 높이 및 개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켰으며, 또한, 두둑의 폭 및 개수 조절시 하나의 각도조절커버로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두둑 성형기의 후방 영역에 두둑의 폭이 정해지고, 높이를 조절할 수는 두둑 성형장롤러를 장착하여 폭이 넓은 두둑의 성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를 도시한 정면 및 배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에 대한 동력전달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를 도시한 좌측면 및 우측면 구성도.
도 8은 도 2의 A-A선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의 두둑 성형장치를 도시한 동작상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의 두둑 성형수단을 도시한 동작상태 저면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6의 "B"부분의 확대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동작상태 측면 구성도.
도 15는 도 13의 "C"부분의 확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를 도시한 정면 및 배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에 대한 동력전달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를 도시한 좌측면 및 우측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는 미도시된 트랙터에 제1조인트(1)로써 연결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몸체(10) 상부 영역에 구비된 주동력전달장치(20)와; 몸체(10) 상부 영역에 구비된 주동력전달장치(20)와; 주동력전달장치(20)의 타측에 제2조인트(2)로써 수평으로 연결되고, 몸체(10)의 후방 영역으로 구비되어 주동력전달장치(20)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보조동력전달장치(30)와; 보조동력전달장치(30) 사이에 회전하도록 축설되어 경지의 흙을 경운하기 위한 경운장치(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양측에 동일한 크기로 마주보게 구비된 좌,우측수직마감판(11)(12)과;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사이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전방 영역으로 아치형으로 마감되고, 선단에 전방수평마감대(13)가 구비된 전방마감판(14)과;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사이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후방 영역으로 개폐 가능하게 마감되는 아치형의 후방커버(16)로 이루어진다.
이때 좌,우측수직마감판(11)(12)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겹쳐지게 연장마감판(17)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전방마감판(14)의 상부 중앙 영역에는 주동력전달장치(20)가 장착되고, 전방영역으로는 트랙터에 두둑 성형기를 안정되게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18)가 돌출되게 장착되며, 아치형의 후방커버(16)는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영역에 개폐 가능하게 마감되어 잠금이 유지되도록 락장치(19)가 구비된다.
상기 주동력전달장치(20)는 제1조인트(1)에 연결되는 제1수평고정축(21)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방마감판(14) 상부에 장착된 케이스(22)와; 케이스(22) 내부의 제1수평고정축(21)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방베벨기어(23)와; 전방베벨기어(23)에 치합되고, 타단의 제2조인트(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수평고정축(24)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측면베벨기어(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동력전달장치(30)는 제2조인트(2)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 되고, 타측이 우측 수직마감판(12) 상부 영역을 수평으로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수평회전축(31)과; 수평회전축(32)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설된 상부기어(32)와; 상부기어(32)와 치합되고, 우측 수직마감판(12) 중앙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중앙기어(33)와; 중앙기어(33)와 치합되고, 우측 수직마감판(12) 하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기어(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우측 수직마감판(12) 외측면에는 상부기어(32), 중앙기어(33) 및 하부기어(34)를 은폐 보관하기 위한 경사케이스(35)가 구비된다.
상기 경운장치(50)는 하부기어(34)와 좌측 수직마감판(11) 사이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경운 축(52)과; 경운 축(52)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땅을 경운 하기 위한 다수의 경운 칼날(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의 전방수평마감대(13)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전방 가이드장치(60)가 장착되어, 트랙터의 운행시 두둑 성형기의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상기 전방 가이드장치(60)는 전방수평마감대(13) 양측 외측면에 전방 체결부재(61)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경사고정바(62)와; 경사 고정바(62)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된 수직고정바(64)와; 수직고정바(64)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높이조절부재(70)로써 높이 조절 가능하고,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바퀴(65)가 축설된 수직이동바(66)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재(70)는 수직고정바(64) 상단 내측에 축설된 지지베어링(72)과; 수직이동바(66) 상부 내측에 고정된 조절나사부(73)와; 지지베어링(72)에 상부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하부가 조절나사부(73)에 나사 체결되어 수직이동바(66)를 상하부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볼트(74)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고정바(64)의 전면에는 높이조절 확인용 눈금(78)이 표기되고, 수직이동바(66)의 전면에는 가늠자(79)가 구비되어 수직이동바(66)의 상하이동 높이를 가늠하게 된다.
또한, 수직고정바(64)의 상부에는 고정클립(77)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고정클립(77)을 조절장볼트(74)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75)에 탄력적으로 결합시켜 트랙터의 운행시 조절장볼트(74)의 체결력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사이의 후방 영역에 각도 조절 및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두둑 성형장치(80)가 구비된다.
상기 두둑 성형장치(80)는 몸체(1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영역 양측에 각도조절수단(100) 및 높이조절수단(200)으로써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수직고정편(90)(91)과; 수직고정편(90)(91) 사이에 양단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사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후방수평마감대(94)와; 후방수평마감대(94) 후방 영역에 구비되어 두둑을 성형하기 위한 두둑 성형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수단(100)은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하부의 중앙 영역과 수직고정편(90)(91)의 하부에 일측과 타측이 하부회동핀(10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회동편(110)과; 하부가 하부회동편(110) 타측의 하부회동핀(101)에 고정되고, 상부가 수직고정편(90)(91) 상부 영역에 경사지게 상부회동핀(102)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축설된 각도조절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부재(120)는 하부회동편(110)의 타측과 수직고정편(90)(91) 상부 영역에 고정편(122)으로써 각각 고정된 상,하부조절나사(130)(131)와; 상,하부조절나사(130)(131) 양측에 나사 체결되어 상,하부조절나사(130)(131)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이동봉(140)과; 회전이동봉(140)의 중앙 영역에 관통 삽입되어, 회전이동봉(14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수단(200)은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하부에 나사 체결되고, 내부에 하부조절나사공(201)이 형성된 수직고정바(210)와; 수직고정바(210)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회동편(110)과 상부회동핀(102)에 하부와 상부 일측면이 고정되고, 상단 내측에 지지베어링(202)이 구비된 수직이동바(220)와; 하부조절나사공(201)에 체결되고, 지지베어링(202)에 삽입되어 수직이동바(220)를 상하부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볼트(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고정바(210)의 전면에는 높이조절 확인용 눈금(211)이 표기되고, 수직이동바(220)의 전면에는 가늠자(221)가 구비되어 수직이동바(210)의 상하이동 높이를 가늠하게 된다. 또한, 수직이동바(220)의 상부에는 고정클립(240)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고정클립(240)을 조절장볼트(230)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231)에 탄력적으로 결합시켜 트랙터 운행시 조절장볼트(230)의 체결력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두둑 성형수단(300)은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양단과 후방수평마감대(94)의 하부 양단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대응되게 형성된 제1,4성형판(310)(340)과; 제1,4성형판(310)(340) 사이에 두둑 성형홈(301)이 각각 형성되도록 후방수평마감대(94) 하부 중앙 영역에 이동부재(400)로써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3성형판(320)(330)과; 후방수평마감대(94), 제1,2성형판(310)(320) 및 제3,4성형판(330)(340) 상부에 각도유지부재(500)로써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각도조절커버(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부재(400)는 후방수평마감대(94) 하부 중앙 영역에 대응되게 구비된 수직브라켓(410)과; 수직브라켓(410)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제2,3성형판(320)(33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연결봉(4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3성형판(320)(330)의 후단에는 수평연결봉(42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연결구(440)가 각각 구비되고, 이러한 이동연결구(44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450)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다.
상기 각도유지부재(500)는 후방수평마감대(94)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수직고정편(510)과; 수직고정편(510)과 대응되게 각도조절커버(350)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회동수직편(520)과; 수직고정편(510)과 회동수직편(520)에 체결되어 각도조절커버(350)를 상하부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핀(530)과; 후방수평마감대(94) 상부와 각도조절커버(350) 상부에 대응되게 고정된 고정편(540) 및 회동편(541)과; 고정편(540)에 일단이 장착된 유압실린더(550)와; 유압실린더(550)에 신장 및 신축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단부가 회동편(541)에 장착된 유압피스톤(56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압실린더(550)는 운전석에서 유압라인을 형성하여 조절하게 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12의 두둑 성형장치(8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둑 성형장치(600)는 몸체(1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영역 양측에 회동볼트(601)로써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각도조절수단(700)으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수직 돌출 브라켓(610)(620)과; 수직 돌출 브라켓(610)(620) 사이에 양단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사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후방수평마감대(630)와; 후방수평마감대(630)의 양단과 후방 영역으로 구비되어 두둑을 성형하기 위한 두둑 성형수단(8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수단(700)은 좌,우측수직마감판(11)(12)의 양 외측면에 각각 대응되게 고정된 수직브라켓(710)과; 수직브라켓(710)에 일단이 장착된 유압실린더(720)와; 유압실린더(720)에 신장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단부가 수직 돌출 브라켓(610)(620)에 유압피스톤(7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압실린더(720)는 운전석에서 유압라인을 형성하여 조절하게 된다.
상기 두둑 성형수단(800)은 후방수평마감대(630)의 양단에 분리 가능하게 가로 결합된 가로연결대(810)와; 가로연결대(810) 양단에 전방이 분리 가능하게 각각 체결 고정되고, 후방이 세로 방향으로 위치된 세로연결대(820)와; 세로연결대(820)의 후방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두둑을 성형하기 위한 두둑 성형장롤러(830)로 이루어진다.
이때, 두둑 성형장롤러(830)는 일측에 유압모터(840)가 구비되어 롤러의 회전력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사이의 후방과 후방수평마감대(630) 전면 사이에는 경운되는 흙이 상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후방차단부재(900)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차단부재(900)는 후방수평마감대(630) 전면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후방브라켓(910)과; 후방브라켓(910)의 전면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된 수직고정바(920)와; 수직고정바(920)의 내주연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수직이동바(930)와; 수직이동바(930)의 하단에 고정되어 좌,우측수직마감판(11)(12)의 후방과 후방수평마감대(630) 전면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하부차단판(940)과; 수직이동바(930) 내부에 형성된 조절나사공(931)에 나사 체결되고, 수직고정바(920)의 상단 내측에 축설된 지지베어링(921)에 지지되어 하부차단판(94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장볼트(9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고정바(920)의 상부에는 고정클립(960)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고정클립(960)을 조절장볼트(950)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951)에 탄력적으로 결합시켜 트랙터 운행시 조절장볼트(950)의 체결력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두둑 성형기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미도시된 트랙터의 후방 영역에 두둑 성형기를 연결한 다음, 트랙터를 운행하면 두둑 성형기의 전방 영역에 장착된 전방 가이드장치(60)의 회전바퀴(65)가 지면에 닿아 가이드 하게 되고, 경운장치(50)를 구성하는 경운 축(52) 외주연의 경운 칼날(54)에 의해 흙을 경운 하면서 운행하게 된다.
이러한 전방 가이드장치(60)의 회전바퀴(65)는 높이조절부재(70)의 동작으로써 그 높이가 조절된다. 즉, 지지베어링(72)에 상부가 삽입 지지되고, 하부가 조절나사부(73)에 나사 체결된 조절장볼트(74)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조절장볼트(74)가 수직이동바(66)의 조절나사부(73)를 따라 좌우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경사고정바(62)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된 수직고정바(64)를 따라 수직이동바(66)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바퀴(65)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수직고정바(64)의 전면에 높이조절 확인용 눈금(78)이 표기되고, 수직이동바(66)의 전면에 구비된 가늠자(79)로써 수직이동바(66)의 상하이동 높이를 가늠하여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전방 가이드장치(60)의 회전바퀴(65)에 대한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를 운행하면서 조작하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트랙터 동력이 제1조인트(1)를 통하여 몸체(10)의 전방마감판(14) 중앙 영역에 장착된 주동력전달장치(20)를 구성하는 케이스(22) 내부의 제1수평고정축(21)으로 전달되어 제1수평고정축(21)에 축설된 전방베벨기어(23)가 정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베벨기어(23)에 치합되고, 제2조인트(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수평고정축(24)에 축설된 측면베벨기어(25)가 역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조인트(2)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 되고, 타측이 우측 수직마감판(12) 상부 영역을 수평으로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수평회전축(31)이 역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회전축(3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설된 상부기어(32)가 역회전하게 되고, 이 상부기어(32)에 치합된 중앙기어(33)가 정회전하게 되며, 이 중앙기어(33)에 치합된 하부기어(34)가 역회전하게 됨에 따라 경운장치(50)를 역회전시키게 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즉, 하부기어(34)와 좌측 수직마감판(1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경운축(52)이 역회전하게 됨에 따라 외주연에 다수의 경운 칼날(54)이 깊게 땅을 경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역회전하는 경운 칼날(54)에 경운 된 흙이, 몸체(1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과 후방수평마감대(94) 후방 영역에 구비된 두둑 성형장치(80)에 의해 두둑이 성형 된다.
이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0 내지 12에서와 같이 두둑 성형장치(80)를 구성하는 두둑 성형수단(30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양단과 후방수평마감대(94) 하부 양단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제1,4성형판(310)(340)과, 이동부재(400)로써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3성형판(320)(330) 사이에 형성되는 두둑 성형홈(301) 및 후방수평마감대(94), 제1,2성형판(310)(320) 및 제3,4성형판(330)(340) 상부에 각도유지부재(500)로써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각도조절커버(350) 사이에 두둑이 성형 된다.
이때, 두둑 성형홈(301)은 후방수평마감대(94) 하부 중앙 영역의 수직브라켓(410)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연결봉(420)에 연결구(340)로써 제2,3성형판(320)(330)을 좌우로 이동하여 제1,4성형판(310)(340)과의 간격이 조절되어 폭이 조절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두둑 성형수단(300)을 구성하는 제2,3성형판(320)(330)을 수평연결봉(420)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제1,4성형판(310)(340) 사이의 간격만큼 두둑 성형홈(301)이 형성되어 그 폭이 넓은 두둑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도조절커버(350)는 각도유지부재(500)로써 각도를 조절하여 두둑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운전석에서 유압실린더(550)를 동작하여 유압피스톤(560)을 신장 및 신축시킴에 따라 각도조절커버(350)가, 후방수평마감대(94) 양측의 수직고정편(510), 각도조절커버(350) 상부 양측의 회동수직편(520)에 체결된 회동핀(53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각도가 정확하게 조절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두둑 성형장치(80)는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영역 양측에 각도조절수단(100) 및 높이조절수단(200)으로써 전체적인 각도와 높이가 조절되어 두둑을 성형하게 된다.
먼저, 두둑 성형장치(80)의 각도조절수단(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각도조절부재(120)의 회전손잡이(15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회전이동봉(140)이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하부조절나사(130)(131)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하부의 중앙 영역과 수직고정편(90)(91)의 하부에 일측과 타측에 하부회동핀(101)으로써 축설된 하부회동편(110)이 양측의 하부회동핀(10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하부가 하부회동편(110) 타측에 하부회동핀(101)에 축설되고, 상부가 수직고정편(90)(91) 상부 영역에 경사지게 축설된 상부회동핀(102)을 중심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두둑 성형수단(300)에 대한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두둑 성형수단(300)에 대한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높이조절수단(200)을 동작하여 양측의 두둑 성형수단(300)의 각도 조절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즉, 수직고정바(210)의 하부조절나사공(201)에 체결되고, 수직이동바(220)의 지지베어링(202)에 삽입 지지된 조절장볼트(230)를 좌우로 회전하게 되면, 조절장볼트(230)가 수직고정바(210)의 하부조절나사공(201)을 따라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수직공정바(210)를 따라 수직이동바(220)가 상하부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두둑 성형수단(30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수직고정바(210)의 전면에는 높이조절 확인용 눈금(211)이 표기되고, 수직이동바(220)의 전면에 구비된 가늠자(221)로써 수직이동바(210)의 상하이동 높이를 가늠하여 양측에 각각 구비된 두둑 성형수단(300)의 높이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 내지 도 10의 두둑 성형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대한 동작상태, 즉, 몸체(1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영역 양측에 회동볼트(601)와 각도조절수단(700)으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수직 돌출 브라켓(610)(620) 사이의 후방수평마감대(630) 양단과 후방 영역으로 구비되는 두둑 성형수단(800)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두둑 성형수단(800)을 구성하는 후방수평마감대(6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가로연결대(810) 양단에, 전방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후방이 세로 방향으로 위치된 세로연결대(820) 후방 사이의 두둑 성형장롤러(830)의 회전력에 의해 경운장치(50)에서 경운되는 흙에 대한 두둑이 형성된다.
이때, 두둑 성형장롤러(830)는 각도조절수단(700)으로써 각도를 조절하여 두둑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석에서 유압실린더(720)를 동작하여 유압피스톤(730)을 신장 및 신축시킴에 따라 후방 영역에 구비된 두둑 성형장롤러(830)의 각도가 조절되어 두둑의 높이가 자연스럽게 조절된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사이의 후방과 후방수평마감대(630) 전면 사이에 경운되는 흙이 상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후방차단부재(900)가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직이동바(930) 내부의 조절나사공(931)에 나사 체결되고, 수직고정바(920) 상단 내측의 지지베어링(9210)에 삽입 지지된 조절장볼트(95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조절장볼트(950)가 조절나사공(931)을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후방브라켓(910)의 전면에 고정된 수직고정바(920)를 따라 수직이동바(930)가 상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수직이동바(930)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차단판(940)이 상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좌,우측수직마감판(11)(12)의 후방과 후방수평마감대(620) 전면 사이를 차단하게 됨에 따라 경운시 발생 되는 흙이 상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1,12 : 좌,우수직마감판
80,600 : 두둑 성형장치 90,91 : 수직고정편
94 : 후방수평마감대 100,700 : 각도조절수단
101 : 하부회동핀 102 : 상부회동핀
110 : 하부회동편 120 : 각도조절부재
130,131 : 상,하부조절나사 140 : 회전이동봉
200 : 높이조절수단 210 : 수직고정바
220 : 수직이동바 230 : 조절장볼트
300,800 : 두둑성형수단 310,320,330,340 : 제1,2,3,4성형판
350 : 각도조절커버 400 : 이동부재
410 : 수직브라켓 420 : 수직연결봉
440 : 이동연결구 500 : 각도유지부재
550 : 유압실린더 560 : 유압피스톤
610,620 : 수직 돌출 브라켓 630 : 후방수평마감대
710 : 수직브라켓 720,721 : 조절나사
730 : 회전조절봉 810,820 : 가로 및 세로연결대
830 : 두둑 성형장롤러 900 : 후방차단부재
910 : 후방브라켓 920 : 수직고정바
930 : 수직이동바 940 : 하부차단판
950 : 조절장볼트

Claims (9)

  1. 몸체(10)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트랙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주동력전달장치(20)와; 상기 주동력전달장치(20)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몸체(10)의 후방 영역으로 구비된 보조동력전달장치(30)와; 상기 보조동력전달장치(30) 사이에 회전하도록 축설되고, 경지의 흙을 경운 하기 위한 경운장치(50)로 구성된 두둑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영역에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두둑 성형장치(80)를 구비하되,
    상기 두둑 성형장치(80)는
    몸체(1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영역 양측에 각도조절수단(100) 및 높이조절수단(200)으로써 각도 및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수직고정편(90)(91);
    상기 수직고정편(90)(91) 사이에 양단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사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후방수평마감대(94); 및
    상기 후방수평마감대(94) 후방 영역에 구비되어 두둑의 폭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두둑 성형수단(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100)은
    상기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하부의 중앙 영역과 수직고정편(90)(91)의 하부에 일측과 타측이 하부회동핀(10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회동편(110); 및
    상기 하부회동편(110) 타측의 하부회동핀(101)과 수직고정편(90)(91) 상부 영역의 상부회동핀(102)에 하부와 상부 양단의 고정편(122)으로써 고정된 상,하부조절나사(130)(131)와; 상기 상,하부조절나사(130)(131) 양측에 나사 체결되어 상,하부조절나사(130)(131)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이동봉(140)으로 이루어진 각도조절부재(1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성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200)은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하부에 나사 체결되고, 내부에 하부조절나사공(201)이 형성된 수직고정바(210)와;
    상기 수직고정바(210)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회동편(110)과 상부회동핀(102)에 하부와 상부 일측면이 고정되고, 상단 내측에 지지베어링(202)이 구비된 수직이동바(220)와;
    상기 하부조절나사공(201)에 나사 체결되고, 지지베어링(202)에 삽입되어 수직동바(202)를 상하부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볼트(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성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둑 성형수단(300)은
    상기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양단과 후방수평마감대(94)의 하부 양단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대응되게 형성된 제1,4성형판(310)(340);
    상기 제1,4성형판(310)(340) 사이에 두둑 성형홈(301)의 폭이 조절되도록 후방수평마감대(94) 하부 중앙 영역에 이동부재(400)로써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3성형판(320)(330); 및
    상기 후방수평마감대(94), 제1,2성형판(310)(320) 및 제3,4성형판(330)(340) 상부에 각도유지부재(500)로써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각도조절커버(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성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400)는
    상기 후방수평마감대(94) 하부 중앙 영역에 대응되게 구비된 수직브라켓(410)과;
    상기 수직브라켓(410)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연결봉(420)과;
    상기 제2,3성형판(320)(3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수평연결봉(42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부재(350)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연결구(4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성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재(500)는
    상기 후방수평마감대(94)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수직고정편(510)과;
    상기 수직고정편(510)과 대응되게 각도조절커버(350)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회동수직편(520)과;
    상기 수직고정편(510)과 회동수직편(520)에 체결되어 각도조절커버(350)를 상하부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핀(530)과;
    상기 후방수평마감대(94) 상부와 각도조절커버(350) 상부에 대응되게 고정된 고정편(540) 및 회동편(541)과;
    상기 고정편(540)에 일단이 장착된 유압실린더(550)와;
    상기 유압실린더(550)에 신장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단부가 회동편(541)에 장착된 유압피스톤(5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성형기.
  7. 몸체(10)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트랙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주동력전달장치(20)와; 상기 주동력전달장치(20)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몸체(10)의 후방 영역으로 구비된 보조동력전달장치(30)와; 상기 보조동력전달장치(30) 사이에 회전하도록 축설되고, 경지의 흙을 경운 하기 위한 경운장치(50)로 구성된 두둑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사이의 후방 영역에 각도조절 가능하도록 두둑 성형장치(600)를 구비하되,
    상기 두둑 성형장치(600)는
    상기 몸체(10)의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후방 영역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각도조절수단(700)으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수직 돌출 브라켓(610)(620);
    상기 수직 돌출 브라켓(610)(620) 사이에 양단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사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후방수평마감대(630);
    상기 후방수평마감대(630)의 양단과 후방 영역으로 구비되어 두둑을 성형하기 위한 두둑 성형수단(8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성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둑 성형수단(800)은
    상기 후방수평마감대(630)의 양단에 분리 가능하게 가로 결합된 가로연결대(810)와;
    상기 가로연결대(810) 양단에 전방이 분리 가능하게 각각 체결 고정되고, 후방이 세로 방향으로 위치된 세로연결대(820)와;
    상기 세로연결대(820)의 후방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두둑을 성형하기 위한 두둑 성형장롤러(8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성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수직마감판(11)(12) 사이의 후방과 후방수평마감대(620) 전면 사이에 경운시 흙이 상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후방차단부재(900)를 구비하되,
    상기 후방차단부재(900)는 후방수평마감대(630) 전면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후방브라켓(910)과;
    상기 후방브라켓(910)의 전면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된 수직고정바(920)와;
    상기 수직고정바(920)의 내주연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수직이동바(930)와;
    상기 수직이동바(930)의 하단에 고정되어 좌,우측수직마감판(11)(12)의 후방과 후방수평마감대(630) 전면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하부차단판(940)과;
    상기 수직이동바(930) 내부에 형성된 조절나사공(931)에 나사 체결되고, 수직고정바(920)의 상단 내측에 축설된 지지베어링(921)에 지지되어 하부차단판(94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장볼트(950)와;
    상기 수직고정바(9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조절장볼트(950)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951)에 결합되어 조절장볼트(95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클립(9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성형기.
KR1020110110970A 2011-10-28 2011-10-28 두둑 성형기 KR10114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970A KR101142143B1 (ko) 2011-10-28 2011-10-28 두둑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970A KR101142143B1 (ko) 2011-10-28 2011-10-28 두둑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143B1 true KR101142143B1 (ko) 2012-05-10

Family

ID=4627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970A KR101142143B1 (ko) 2011-10-28 2011-10-28 두둑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1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047A (ko) 2014-08-07 2016-02-17 정길동 로타리형 일괄 배토기
KR20160025931A (ko) 2014-08-28 2016-03-09 정길동 로타리 배토기
KR20190118861A (ko) 2018-04-11 2019-10-21 정길동 고구마용 이랑 성형기
KR20220095574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모듈식 두둑 성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37Y1 (ko) * 1992-11-04 1995-08-04 박정희 트랙터용 비닐피복기가 부설된 두둑성형기
JP2009077690A (ja) 2007-09-27 2009-04-16 Kubota Corp 畝成形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37Y1 (ko) * 1992-11-04 1995-08-04 박정희 트랙터용 비닐피복기가 부설된 두둑성형기
JP2009077690A (ja) 2007-09-27 2009-04-16 Kubota Corp 畝成形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047A (ko) 2014-08-07 2016-02-17 정길동 로타리형 일괄 배토기
KR20160025931A (ko) 2014-08-28 2016-03-09 정길동 로타리 배토기
KR20190118861A (ko) 2018-04-11 2019-10-21 정길동 고구마용 이랑 성형기
KR20220095574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모듈식 두둑 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858B1 (ko) 이중 축 두둑 성형기
KR101142143B1 (ko) 두둑 성형기
KR100778655B1 (ko) 다기능 두둑 성형기
KR101053758B1 (ko) 보습부가 구비된 해로우 배토기
CN210986914U (zh) 一种用于农业生产的平墒犁
KR101136593B1 (ko) 고랑 성형기
CN203040153U (zh) 一种多功能马铃薯种植机
JP3878031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102299200B1 (ko) 농기계용 파종기 연결장치
CN214852652U (zh) 农耕用旋耕机
KR101054606B1 (ko) 두둑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토기
KR102257364B1 (ko) 비료살포기와 배토기 및 로터베이터가 결합된 3공정 농작업기
CN208523161U (zh) 一种带有整平装置的旋耕机
RU2653370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учно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культиватор
JP2009077636A (ja) 苗移植機
CN203457511U (zh) 旋耕整畦一体机
CN208191148U (zh) 一种用于旋耕机的升降犁
KR200350394Y1 (ko) 트랙터 부착형 작판 정지기의 로터리 높낮이 조절장치
CN211152634U (zh) 一种履带自走式旋耕机
CN218977256U (zh) 一种小麦深施肥播种开沟器
CN113841488B (zh) 一种节能环保农作物播种设备
KR20140013511A (ko) 잔고랑을 형성하는 이랑 성형기
CN216600716U (zh) 一种可与水稻旋耕机配合使用的自动平田装置
CN219803013U (zh) 一种适用于丘陵山区耕种的一体式深泥旋耕机
CN218735869U (zh) 农耕播种双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