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618B1 -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618B1
KR101141618B1 KR1020050096305A KR20050096305A KR101141618B1 KR 101141618 B1 KR101141618 B1 KR 101141618B1 KR 1020050096305 A KR1020050096305 A KR 1020050096305A KR 20050096305 A KR20050096305 A KR 20050096305A KR 101141618 B1 KR101141618 B1 KR 101141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uide
terminal
terminal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698A (ko
Inventor
이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61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본체와, 단말기본체가 인입 및 토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와, 제1케이스에 끼워져 제1케이스를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단말기본체를 인입 및 토출시키는 제2케이스를 갖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구비하고, 이들의 상대회전에 의해 단말기본체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조작버튼이 필요없어 조작버튼의 오작동에 의해 단말기본체가 외부에 인출될 염려는 장점 및 제2케이스 및 제1케이스의 제2안내부의 형상을 원통형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따라서, 목걸이를 비롯한 액세서리와 결합 가능한 장점이 있기도 하다.
단말기, 케이스, 리드홈, 안내홈, 안내돌기

Description

단말기{MOBILE PHON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본체가 제1케이스에 인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본체가 제1케이스로부터 인출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4는 종래기술에 의한 단말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말기본체 110: 안내돌기
120: 안테나 200: 제1케이스
210: 제1안내부 212: 상부돌륜
214: 안내홈 220: 제2안내부
222: 안착턱 300: 제2케이스
310: 리드홈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본체가 단말기본체 케이스에 수납되도록한 구조를 갖추어, 단말기의 부피를 줄이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휴대와 제작이 용이하도록 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것으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된 "슬라이딩 수납식 이동통신 단말기"(출원번호:20-2000-0029616)가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LCD화면이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부재(410a)에 하부 케이스부재(410b)가 결합되어 이루어져서 그 중간에 수납홈(410c)이 형성되고, 이 수납홈(410c)의 내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412)이 형성된 케이스(410); 일면에 각종 기능버튼을 갖추어, 상기 케이스(410)의 수납홈(410c)에 수납되며,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홈(4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돌기(421)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421)의 측방으로 걸림돌기(422)가 형성된 기능부재(420); 상기 케이스(410)의 수납홈(410c)으로부터 상기 기능부재(420)가 인출될 시, 기능부재(420)의 걸림돌기(422)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납홈(410c)의 입구측에 형성되는 차단돌기(413); 및 상기 케이스(410)의 측방에 구비되어, 상기 기능부재(420)가 수납홈(410c)에 완전히 수납된 위치에서 기능부재(420)의 걸림돌기(422)를 잡거나 해제하는 조작버튼(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수납식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단말기를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휴대하는 경우 충격 등에 의해 뜻하지 않게 조작버튼(430)이 작용됨으로써 기능부재(420)가 수납홈(410c)에서 인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가이드돌기(421)와 가이드홈(412) 사이의 마찰력이 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만 작용하므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세워서 한 손으로 기능부재(420) 쪽을 잡고 사용하는 경우 케이스(410)가 기능부재(420) 쪽으로 흘러 내릴 염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구비하고, 이들의 상대회전에 의해 단말기본체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조작버튼이 필요없어 오작동에 의해 단말기본체가 외부에 인출될 염려가 없는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돌기와 접촉하는 리드홈을 나선형으로 함으로써, 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도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세워 한 손으로제2케이스 쪽을 파지하는 경우에도 단말기본체가 제2케이스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케이스 및 제1케이스의 제2안내부의 형상을 원통형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따라서, 목걸이를 비롯한 액세서리와 결합 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케이스 내부에 제1케이스의 제1안내부가 위치함으로써, 측면부로부터의 충격에 강한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본체와, 단말기본체가 인입 및 토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와, 제1케이스에 끼워져 제1케이스를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단말기본체를 인입 및 토출시키는 제2케이스를 갖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본체는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안내돌기를 갖고, 제1케이스는 안내돌기가 삽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홈이 절개?형성되는 원통형의 제1안내부와, 제2케이스의 하단부가 안착하는 안착턱이 형성되는 제2안내부를 갖고, 제2케이스는 안내돌기의 끝단이 삽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리드홈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1안내부의 상단부에는 제2케이스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제2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갖는 상부돌륜이 형성되는 단말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2안내부 및 제1케이스는 원통형인 단말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본체의 상부에는 안테나 및 리시버가 설치되고, 제1케이스의 하부에는 마이크가 설치되며, 제1안내부 및 제2케이스는 단말기본체가 제1케이스의 하부에 안착된 경우에도 안테나가 외부에 노출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단말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본체가 제1케이스에 인입된 경우를,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본체가 제1케이스로부터 인출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예는 단말기본체(100), 제1케이스(200), 제2케이스(300)를 갖는다.
도1을 참조하면, 단말기본체(100)의 상부에는 안테나(120) 및 리시버(122)가 설치되고, 단말기본체(100)의 외주면 하부에는 안내돌기(110)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안테나(120)와 안내돌기(110) 사이에는 보조액정(130)과 입력버튼(140)이 설치된다. 한편, 단말기본체(100)는 원기둥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200)는 제1안내부(210)와 제2안내부(220)를 갖는다.
제1안내부(210)는 외면이 원통형이되, 내부에 단말기본체(100)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이다. 내부공간은, 단말기본체(100)가 원기둥형인 경우,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안내부(21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안내홈(214)이 절개?형성된다. 안내홈(214)은 안내돌기(110)가 삽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데, 안내홈(214)은 일자형인 바람직하다.
제2안내부(220)는 제1안내부(210)의 하단부에 연접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제1안내부(210)를 통과한 단말기본체(100)가 인입 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이다. 내부공간은, 단말기본체(100)가 원기둥형인 경우,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안내부(220)의 외면은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제1케이스(200)의 하부인 제2안내부(220)의 하부에는 마이크(224)가 설치된다.
한편, 제1안내부(210)의 상단부에는 제2케이스(300)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제 2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12a)을 갖는 상부돌륜(212)이 형성되고, 제2안내부(220)의 상단부에는 제1안내부(210)에 제2케이스(300)가 끼워진 경우 그 하단부가 안착하여 지지되도록 안착턱(222)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도1을 참조하면, 제2케이스(300)는 제1케이스(200)에 끼워져 제1케이스(20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2케이스(300)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리드홈(310)이 하단부에서 상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리드홈(310)은 안내홈(214)을 관통한 안내돌기(110)의 끝단이 삽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2케이스(300)의 외주면은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케이스(300)의 외주면에는 메인액정(320)이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액정(320)과 단말기본체(100)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2케이스(300)의 하단부 및 안착턱(222), 또는 제2케이스(300)의 측면부 및 제1케이스(200)에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2를 참조하면, 제1케이스(200)는 단말기본체(100)가 제1케이스(200)의 하부에 안착된 경우에도 안테나(120)가 외부에 노출되는 높이를 갖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일시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단말기본체(100)가 제1케이스(200)의 하단부에 안착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안내돌기(110)는 리드홈(310)의 하단부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안테나(120)가 제1케이스(200)의 위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2의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수신신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2의 상태로부터 단말기본체(100)를 인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 자가 왼손으로 제2케이스(300)를 파지하고, 오른손으로 제2안내부(220)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제2안내부(220) 및 제2안내부(220)에 연결된 제1안내부(21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한다. 제1안내부(21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면, 안내홈(214)에 삽입된 안내돌기(110)도 이동한다. 이때, 안내돌기(110)의 끝단은 리드홈(31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안내돌기(110)는 리드홈(310)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데, 리드홈(310)은 제2케이스(300)의 하단부에서 상부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내돌기(11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며 제2케이스(300)의 상부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안내돌기(110)는 안내홈(214)에 대해서는 상부를 향해 직선운동 하게 된다. 따라서, 안내돌기(110)에 연결된 단말기본체(100)가 좌에서 우로 회전하며 제1케이스(200)의 외부로 인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리드홈(310)은 제2케이스의 상단부 아래 지점까지만 형성되므로, 안내돌기(110)가 리드홈(310)의 상단부에 이르면 안내돌기(110)가 리드홈(310)의 상단부에 걸려 제2안내부(220)는 더 이상 회전 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단말기본체(100)는 제1케이스(20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리드홈(310)이 나선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단말기본체(100)의 인출 도중 단말기를 세워 놓는 경우에도 수직방향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단말기본체(100)가 그 하중에 의해 다시 제1케이스(200)로 인입될 염려가 없게 된다.
도3을 참조하면, 단말기본체(100)가 제1케이스(200)로부터 최대한 인출된 경우 사용자는 리시버(120)와 마이크(224)를 통해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2를 참조하면, 단말기본체(100)가 제1케이스(200)의 하단부에 안착 된 경우 그 외관이 원기둥형으로서, 미관이 수려하므로 목걸이 등과 함께 액세서리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일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단말기본체(100)의 형상 및 제1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의 형상은 원기둥형 및 원통형이 아니 기타의 형상일 수 있으며, 안내홈(214)은 일자형이 아닌 사선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구비하고, 이들의 상대회전에 의해 단말기본체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조작버튼이 필요없어 조작버튼의 오작동에 의해 단말기본체가 외부에 인출될 염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돌기와 접촉하는 리드홈을 나선형으로 함으로써, 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도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세워 한 손으로제2케이스 쪽을 파지하는 경우에도 단말기본체가 제2케이스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케이스 및 제1케이스의 제2안내부의 형상을 원통형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따라서, 목걸이를 비롯한 액세서리와 결합 가능한 장점이 있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케이스 내부에 제1케이스의 제1안내부가 위치함으로써, 측면부로부터의 충격에 강한 장점이 있기도 하다.

Claims (5)

  1. 단말기본체와,
    상기 단말기본체가 인입 및 토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끼워져 상기 제1케이스를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본체를 인입 및 토출시키는 제2케이스와,
    단말기본체와 제2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본체는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안내돌기를 갖고,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안내돌기가 삽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홈이 절개?형성되는 원통형의 제1안내부와, 상기 제2케이스의 하단부가 안착하는 안착턱이 형성되는 제2안내부를 갖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안내돌기의 끝단이 삽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리드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갖는 상부돌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부 및 제1케이스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본체의 상부에는 안테나 및 리시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하부에는 마이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안내부 및 제2케이스는 상기 단말기본체가 제1케이스의 하부에 안착된 경우에도 상기 안테나가 외부에 노출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50096305A 2005-10-12 2005-10-12 단말기 KR101141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305A KR101141618B1 (ko) 2005-10-12 2005-10-12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305A KR101141618B1 (ko) 2005-10-12 2005-10-12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698A KR20070040698A (ko) 2007-04-17
KR101141618B1 true KR101141618B1 (ko) 2012-05-17

Family

ID=3817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305A KR101141618B1 (ko) 2005-10-12 2005-10-12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18B1 (ko) * 2008-09-01 2010-08-16 (주)엘티엠에이피 삼각대형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036A (ko) * 2003-12-24 2005-06-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반자동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97691A (ko) * 2004-04-0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자동 인입/인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036A (ko) * 2003-12-24 2005-06-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반자동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97691A (ko) * 2004-04-0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자동 인입/인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698A (ko)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606B2 (en) Belt clip for detachably fixing cellular phone
JP2004235897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JPH097566A (ja) 電子機器カバーのロック構造
US20200138174A1 (en) Mobile Phone Buckling Structure and Mobile Phone Fixing Device
KR101141618B1 (ko) 단말기
US20060172786A1 (en) Compact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upper and lower members slidable and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KR100474292B1 (ko) 이동 단말기의 폴더
US20030015617A1 (en) Tube receiver assembled and detached rapidly
JP4829200B2 (ja) 携帯機器
KR101940671B1 (ko) 타이머 잠금 기능이 장착된 모바일 케이스
KR200478054Y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KR20070060436A (ko) 팝업식 핸드폰 거치대
CN217470026U (zh) 内折式电子设备的保护壳组件和内折式电子设备
CN211321372U (zh) 螺纹孔结构及手机壳及手机
KR200218503Y1 (ko) 슬라이딩 수납식 이동통신 단말기
KR19990063547A (ko) 안정된 이동 전화기 핸드세트
KR19990034071U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설치구조
CN220817315U (zh) 支撑脚架及支撑装置
KR19990021432U (ko)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인출장치
KR200417626Y1 (ko)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의 반자동 힌지 모듈
KR200303642Y1 (ko) 휴대폰 조작패드
CN201141970Y (zh) 电子装置及其固定脚架的锁附装置
KR200224143Y1 (ko)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KR200337365Y1 (ko) 무선 전자펜
KR200228938Y1 (ko) 휴대폰의 안테나 및 덮개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