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605B1 -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605B1
KR101141605B1 KR1020110116275A KR20110116275A KR101141605B1 KR 101141605 B1 KR101141605 B1 KR 101141605B1 KR 1020110116275 A KR1020110116275 A KR 1020110116275A KR 20110116275 A KR20110116275 A KR 20110116275A KR 101141605 B1 KR101141605 B1 KR 101141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data
information
voice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소성연
김동호
김도환
마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임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임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임메드
Priority to KR102011011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건강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인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음성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건강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건강데이터 및 누적된 건강데이터를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건강관리 수행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 수행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를 음성으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FOR HEALTH CARE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EXT TO SPEECH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본 발명은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하고 식습관이 서구화 됨에 따라 당뇨병, 고혈압, 비만, 암 등으로 대표되는 만성 질환이 급격히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의료비 지출이 날로 증가하여 사회적,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만성 질환의 특징은 일단 발병하면 완치가 어려워 평생 투약과 검사 등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질환이 악화되면 건강과 생명에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철저한 자가관리와 함께 질병의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질병의 악화를 막고 나아가 완치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가관리는 약을 제대로 복용하고 있는지 또는 운동,식이, 생활습관교정 등 의사의 권고사항을 잘 따르고 있는지의 여부가 매우 중요한데, 현실적으로 환자가 장기간 지속적으로 자가 관리해 나가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게 된다. 최근 정보 통신기술의 발달로 전화, PC, 스마트폰, 태블릿PC를 이용한 원격건강관리가 가능해지면서 언제, 어디서나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관리를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불필요한 외래 진료와 합병증이 줄게 됨으로써 의료비 지출 절감 효과와 더불어 환자의 삶의 질과 의료 만족도가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환자가 본인의 건강정보를 전화,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통해 입력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 또는 시각장애 환자에게는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작업이므로 이를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음성인식, 문자음성출력, 건강관리지식베이스를 이용한 건강데이터처리모듈, 전화망을 포함한 전화응용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일상 속에서 편리하게 건강데이터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하고, 그 상황에 맞는 최적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건강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인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음성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건강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건강데이터 및 누적된 건강데이터를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건강관리 수행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 수행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를 음성으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를 통해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송수신하는 ARS 모듈; 상기 수신한 건강데이터를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 상기 변환된 문자열 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인지 음성데이터로 재변환하여 단말기에 전송하는 문자음성출력 모듈; 상기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건강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건강데이터 및 누적된 건강데이터를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건강관리 수행리스트를 생성하는 건강데이터 분석모듈; 및
상기 건강관리 수행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를 음성으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하는 수행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첫째, 기존의 누적된 건강데이터와 단말기에 음성으로 입력된 건강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건강 관리 서비스 수행 계획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건강데이터 입력 참여율을 높일 수 있고, 신속하게 분석 처리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데이터의 처리방법 및 서비스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건강데이터의 입력을 유도하는 발신표시의 구성 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100),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 건강데이터 분석처리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e) 폰, GSM 폰, CDMA-2000 폰, WCDMA 폰과 같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MBS(Mobile Broadcast System) 폰 일 수 있다.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유선전화, 인터넷 전화 등과 같은 유선 형태의 단말기도 포함한다.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은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모듈(210), 음성인식 모듈(220), 문자음성출력(TTS: Text To Speech)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수단은 유선전화망, 바람직하게는 공중 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사용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에 포함된 ARS 모듈(210)은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정보를 분류하고, 고객에게 각 단계별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송되는 안내 메시지를 듣고서 원하는 정보를 번호키, 기타 기능키를 누르면서 각 단계별로 진행하거나, ARS 모듈(230)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면서 각 단계별로 진행 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은 사용자로부터 단말기(100)를 통해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수신하고, 음성으로 수신한 건강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
건강데이터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되는 데이터로,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몸무게, 맥박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개인 신상데이터 및 혈압 수치, 혈당 수치와 같은 생체측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건강데이터는 건강설문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병원에서 처방받아 복용하는 약물이 있나요?" 또는 "지난 7일간 하루에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은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면서 보낸 시간이 보통 얼마나 됩니까?" 와 같은 건강설문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건강데이터는 혈압 수치, 혈당 수치와 같은 수치형태의 데이터, 혈액형과 같은 기호형 데이터 및 항체유무에 대한 응답과 같은 분류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집에서 간편하게 건강 상태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하여 건강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고, 건강데이터를 단말기(100)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건강데이터 분석 처리 모듈(300)은 상기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건강데이터 분석처리모듈(3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건강데이터를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 베이스(312)의 건강관리 지식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한다.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는 건강데이터의 입력이 필요한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건강 정보에 대한 수행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데이터 분석처리모듈(300)은 생성한 건강관리 수행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를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에 전송하고,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은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건강정보 및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멘트를 전송한다. 여기서, 건강정보는 건강설문정보 및 행동지침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는 새로운 건강데이터의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로 "금일 오전 7시 30분에 측정한 혈압 수치가 필요합니다"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건강설문정보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 예를 들면, "현재 병원에서 처방받아 복용하는 약물이 있나요?" "지난 7일간 하루에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은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면서 보낸시간이 보통 얼마나 됩니까?" "다음 증상 중(두통, 오심/구토, 어지러움 흉통/등쪽 통증, 호흡곤란, 의식저하) 한가지 이상 있으신가요?" "다음 중(흥분한 상태, 1시간 내 커피를 마신 경우, 30분 내 담배를 피운 경우, 음주 후, 30분 내 심한 운동을 한 경우, 팔의 위치가 심장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다리를 꼰 자세로 측정한 경우, 혈압약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 해당 사항이 있으신가요?"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행동지침정보 또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자에게 특정행위를 요구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늘 음성 입력하신 혈압 수치가 기준치를 많이 초과했습니다. 한번 더 측정하여 주십시오" "안정을 취하시고 10분 후 재측정 하세요" "현재 혈압이 높은 것인은 더 큰 질병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바로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혈압이 떨어졌습니다. 혈압 조절을 위해 복약, 식이요법, 운동 등 꾸준히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보편화되어 있는 유선 또는 무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음성으로 건강데이터를 입력하고 음성으로 서비스를 받는 형태로, 다양한 대상자가 시공간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으면서 가장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은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모듈(210), 음성인식 모듈(220), 문자음성출력 (TTS: Text To Speech) 모듈(230)를 포함할 수 있다.
ARS 모듈(210)은 음성인식 모듈(220) 및 문자음성출력 모듈(230)과 연동되며, 건강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사설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에 접속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음성인식 모듈(220)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를 통해 음성으로 수신한 건강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데이터가 혈압 수치인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00)에 음성으로 혈압 수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음성인식 모듈(220)은 혈압 수치를 문자열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음성 인식을 위해 적용되는 언어 모델을 사전에 구분해 놓은 분류 코드 또는 자연어 사전 분류 코드로 저장하고, 음성신호에 일치하는 분류 코드 또는 자연어 사전 분류 코드를 비교하여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혈압 수치에 대응하는 분류 코드 또는 자연어 사전 분류 코드가 없는 경우, ARS 모듈(210)은 정확한 입력을 유도하는 안내메시지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재입력을 하게 된다.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은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재변환하고,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요청멘트 신호를 음성으로 생성한다. 그 후, 상기 음성데이터와 요청멘트 신호를 ARS 모듈(210)에 전송한다.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은 건강관리 수행리스트가 생성된 후,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전송하기 위한 문자신호 및 새로운 건강데이터 입력유도를 하기 위한 문자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건강데이터 분석처리 모듈(300)은 데이터 베이스(310), 건강데이터 분석모듈(320), 수행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10)는 건강 데이터 DB(311) 및 건강관리 지식데이터 베이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 데이터 DB(311)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음성으로 입력된 건강데이터가 문자열로 변환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건강데이터 DB(311)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한 건강데이터 외에 기존에 사용자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가입시 입력한 이름, 성별, 나이, 생년월일, 몸무게, 키, 보유질병, 과거병력, 가족력, 흡연여부, 식습관, 음주량 등에 대한 문진정보 및 과거에 입력한 혈압 수치, 혈당 수치 등과 같은 건강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데에 기초가 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강데이터는 혈압 수치, 혈당 수치와 같은 수치형태의 데이터, 혈액형과 같은 기호형 데이터 및 항체유무에 대한 응답과 같은 분류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 지식데이터 베이스(312)는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건 및 조건에 따른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 생성 동작을 저장하고 있다.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건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와 임계수치 범위를 비교하는 비교식이 될 수 있으며, 비교식은 "같다", "크다", "크거나 같다", "작다", "작거나 같다" "다르다" 등의 비교 연산자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비교식이 소정의 방식에 따라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수치 범위는 관리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수치 범위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변경 가능한 수치 범위이다. 관리자는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건을 식으로 작성할 수 있는 의사 또는 의사로부터 상기 조건에 대한 설명을 들은 시스템 관리자일 수 있다.
건강데이터 분석 모듈(32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건강데이터 및 기존의 누적된 건강데이터를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 베이스(312)에 있는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수행모듈(330)은 생성된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 및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를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에 전송한다. 여기서, 건강정보는 건강설문정보 및 행동지침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도 3는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수단은 유선전화망, 바람직하게는 공중 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사용할 수 있다.
ARS 모듈(210)은 사용자로부터 단말기(100)를 통해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수신한다(S101). 음성인식 모듈(220)은 음성으로 수신한 건강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
ARS 모듈(210)은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를 음성인식 모듈(220)로부터 수신하고, 문자음성출력 모듈(230)로 전송한다.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은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재변환하고,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요청멘트 신호를 음성으로 생성한다. 그 후, 상기 음성데이터와 요청 멘트 신호를 ARS 모듈(210)에 전송한다.
ARS 모듈(210)은 사용자에게 입력한 건강데이터가 맞는지 확인하는 멘트를 음성으로 전송한다(S103).
ARS 모듈(2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건강데이터가 맞다고 하는 동의멘트를 음성으로 수신한 경우(S105), 건강데이터를 건강 데이터 DB(311)에 저장한다(S107).
만약,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건강데이터가 맞지 않다고 하는 동의멘트를 음성으로 수신한 경우(S105), 사용자로부터 단말기(100)를 통해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수신하는 단계(S101)를 반복한다. 사용자의 동의 멘트는 "예" 또는 "아니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건강데이터 분석모듈(32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건강데이터를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 베이스(312)의 건강관리 지식데이터와 비교 분석(S109)하여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한다(S111).
건강데이터 분석모듈(320)은 건강데이터를 임계수치 범위와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임계수치 범위는 관리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수치 범위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변경 가능한 수치 범위이다. 관리자는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건을 식으로 작성할 수 있는 의사 또는 의사로부터 상기 조건에 대한 설명을 들은 시스템 관리자일 수 있다.
건강데이터 분석모듈(320)은 판단결과에 따라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는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될 수 있다.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는 건강데이터의 입력이 필요한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건강 정보에 대한 수행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수행모듈(330)은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접속하여 건강정보 및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에 전송할 수 있다.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은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ARS 모듈(210)을 통해 단말기(100)에 접속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RS 모듈(210)은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 및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113).
ARS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접속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역시, 유선전화망, 바람직하게는 공중 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데이터 입력 참여율을 높일 수 있고, 신속하게 분석 처리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특정번호를 입력하여 ARS 모듈(210)에 접속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에 포함된 ARS 모듈(210)은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정보를 분류하고, 고객에게 각 단계별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송되는 안내 메시지를 듣고서 원하는 정보를 번호키, 기타 기능키를 누르면서 각 단계별로 진행하거나, ARS 모듈(210)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면서 각 단계별로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받는 등록된 회원인 경우,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회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회원 인증 후, 사용자는 다양한 건강데이터 중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 항목을 선택한 후, 선택된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S201).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ARS 모듈(210)이 사용자로부터 단말기(100)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된 건강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 재입력을 요구하는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음성인식 모듈(220)은 음성으로 수신한 건강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S203).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은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재변환하고,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요청멘트 신호를 음성으로 생성한다(S205). 그 후, 상기 음성데이터와 요청멘트 신호를 ARS 모듈(210)에 전송한다.
ARS 모듈(210)은 사용자에게 입력한 건강데이터가 맞는지 확인하는 멘트를 음성으로 전송한다(S207).
ARS 모듈(2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건강데이터가 맞다고 하는 동의멘트를 음성으로 수신한 경우(S209), 건강데이터를 건강 데이터 DB(311)에 저장한다(S211).
만약,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건강데이터가 맞지 않다고 하는 동의멘트를 음성으로 수신한 경우(S209), 다시 사용자로부터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단계(S201)를 반복한다. 사용자의 동의 멘트는 "예" 또는 "아니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데이터의 처리방법 및 서비스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건강데이터 분석 모듈(32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건강데이터 및 기존의 누적된 건강데이터를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 베이스(312)에 있는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301). 건강데이터는 혈압 수치, 혈당 수치와 같은 수치형태의 데이터, 혈액형과 같은 기호형 데이터 및 항체유무에 대한 응답과 같은 분류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 베이스(312)는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건 및 조건에 따른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 생성 동작을 저장하고 있다.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건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와 임계수치 범위를 비교하는 비교식이 될 수 있으며, 비교식은 "같다", "크다", "크거나 같다", "작다", "작거나 같다" "다르다" 등의 비교 연산자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비교식이 소정의 방식에 따라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수치 범위는 관리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수치 범위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변경 가능한 수치 범위이다. 관리자는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건을 식으로 작성할 수 있는 의사 또는 의사로부터 상기 조건에 대한 설명을 들은 시스템 관리자일 수 있다.
그 후, 비교분석결과에 따라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한다(S303).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는 건강데이터의 입력이 필요한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건강 정보에 대한 수행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 데이터 DB(311)는 생성된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저장한다(S305).
수행모듈(330)은 생성된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에 따른 건강 정보 및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를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에 전송한다.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은 건강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한다(S307).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은 ARS 모듈(210)을 통해 단말기(100)에 접속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09).
ARS 모듈(210)은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송한다(S311).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은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한다(S313).
문자음성출력 모듈(230)은 ARS 모듈(210)을 통해 단말기(100)에 접속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15).
ARS 모듈(210)은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에 따라 건강데이터의 입력 유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송한다(S317).
건강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일예 과정을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된 건강데이터가 혈압 수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된 혈압 수치가 임계수치 범위 보다 현저하게 높은 경우, 사용자의 혈압 수치가 임계수치 범위 내에 들어오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에 따른 중간 임계수치 범위를 생성한다. 즉,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을 통해 연속하여 2주 이상 원래의 임계수치 범위를 초과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한 단계 높은 임계수치 범위(중간 임계수치 범위)를 적용하여 고객으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후, 연속하여 2주간 사용자의 혈압 수치가 중간 임계수치 범위 내에 들어온 경우, 본 임계수치로 목표 범위를 재설정한다. 그러나 최대 4주 이상 연속 입력된 혈압 수치가 임계수치 범위를 초과한다면,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건강설문정보를 생성하거나, 병원에 즉시 가보라는 행동지침정보를 ARS 모듈(21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도 6은 건강데이터의 입력을 유도하는 발신표시의 구성 예이다.
도 6의 실시 예는 건강데이터의 측정시기를 오전과 오후로 나눈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의 (a), 및(b) 및 (c)를 참조하면, 정해진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에 따라 새로운 건강데이터의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모듈(200)에 의거 정해진 날짜와 시간에 단말기(100)에 접속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특정 날짜 및 특정 시간에 사용자가 측정한 생체측정데이터 또는 건강설문정보에 대한 응답을 유도하는 정보,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업체, 업체 전화번호 등이 표시된 접속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단말기, 음성인식 모듈, ARS 모듈, 문자음성출력 모듈, 건강데이터 분석모듈 및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ARS 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인식 모듈이 상기 음성으로 수신된 건강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ARS 모듈이 상기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건강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인 것으로 음성을 통해 확인된 경우, 상기 건강데이터 분석모듈이 상기 건강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건강데이터 분석모듈이 상기 저장된 건강데이터 및 누적된 건강데이터를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건강관리 수행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ARS 모듈이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수행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를 정해진 날짜와 시간에 상기 단말기에 음성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수행리스트는,
    건강정보 및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 정보는 건강설문정보 또는 행동지침정보이며,
    상기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는 특정 날짜 및 시간에 사용자에 의한 새로운 건강데이터의 측정 또는 상기 측정된 건강데이터의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로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가 아닌 것으로 음성을 통해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기를 통해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음성출력 모듈이 상기 건강정보를 음성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 수행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를 음성으로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ARS 모듈이 상기 음성정보로 변환된 건강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에 대한 데이터, 생체측정데이터, 건강설문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수행리스트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건강 정보에 대한 수행 리스트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9. 단말기로부터 건강데이터를 음성으로 송수신하는 ARS 모듈;
    상기 음성으로 수신된 건강데이터를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인식 모듈;
    상기 변환된 문자열 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인지 음성데이터로 재변환하여 단말기에 전송하는 문자음성출력 모듈;
    상기 변환된 건강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건강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건강데이터 및 누적된 건강데이터를 건강관리 지식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건강관리 수행리스트를 생성하는 건강데이터 분석모듈; 및
    상기 건강관리 수행리스트에 따른 건강정보를 정해진 날짜와 시간에 상기 단말기에 음성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수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수행리스트는,
    건강정보 및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 정보는 건강설문정보 또는 행동지침정보이며,
    상기 건강데이터 입력유도정보는 특정 날짜 및 시간에 사용자에 의한 새로운 건강데이터의 측정 또는 상기 측정된 건강데이터의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인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건강데이터 및 상기 누적된 건강데이터를 저장하는 건강데이터 DB 및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건 및 조건에 따른 건강관리 수행 리스트 생성 동작을 저장하고 있는 건강관리 지식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에 대한 데이터, 생체측정데이터, 건강설문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수행리스트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건강 정보에 대한 수행 리스트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116275A 2011-11-09 2011-11-09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4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275A KR101141605B1 (ko) 2011-11-09 2011-11-09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275A KR101141605B1 (ko) 2011-11-09 2011-11-09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605B1 true KR101141605B1 (ko) 2012-05-17

Family

ID=4627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275A KR101141605B1 (ko) 2011-11-09 2011-11-09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172A (ko) *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헬스 케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762A (ko) * 1999-08-03 2001-03-05 이계철 음성 인식시스템에서의 다단계 입력 처리를 위한 인식결과 확인 방법
KR20020018792A (ko) * 2000-09-04 2002-03-09 최승훈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화상진료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0821A (ko) * 2005-12-29 2007-07-04 이승선 음성인식 문자변환기기
KR20080040803A (ko) * 2006-11-03 2008-05-09 이민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장치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762A (ko) * 1999-08-03 2001-03-05 이계철 음성 인식시스템에서의 다단계 입력 처리를 위한 인식결과 확인 방법
KR20020018792A (ko) * 2000-09-04 2002-03-09 최승훈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화상진료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0821A (ko) * 2005-12-29 2007-07-04 이승선 음성인식 문자변환기기
KR20080040803A (ko) * 2006-11-03 2008-05-09 이민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장치 및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172A (ko) *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헬스 케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23211B1 (ko) * 2014-11-04 2021-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헬스 케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later et al. End user and implementer experiences of mHealth technologies for noncommunicable chronic disease management in young adults: systematic review
US100140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care determination
US11844626B2 (en) Fitness systems and methods
US10276260B2 (en) Method for providing therapy to an individual
US10790048B2 (en) Pati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based on medical records and exogenous information
US10685089B2 (en) Modifying patient communications based on simulation of vendor communications
US10395330B2 (en) Evaluating vendor communications for accuracy and quality
US10565309B2 (e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clinical values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US11625466B2 (en) Verification system
US10937526B2 (en) Cognitive evaluation of assessment questions and answers to determine patient characteristics
CN110442732A (zh) 一种智能导医方法、系统及存储介质
Yuan et al. Blood donation mobile applications: are donors ready?
US202001523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Voice-Based Journaling And Therapies
Heminger et al. Smoking cessation support for pregnant women: role of mobile technology
US202103275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health of users through engagement, monitoring, analytics, and care management
WO202102154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diagnosis via a digital health application
Perry et al. Supporting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using continuous subcutaneous insulin infusion therapy: difficulties, disconnections, and disarray
US20160321415A1 (en) System for understanding health-related communications between patients and providers
Umaefulam et al. Perceptions on mobile health use for health education in an Indigenous population
KR101141605B1 (ko) 음성인식 및 문자음성출력 기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Laing et al. Provider perceptions of mHealth engagement for low‐resourced, safety‐net communities
US11837341B1 (en) Secured messaging service with customized near real-time data integration
US201302266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health care outcomes
AU2018100730A4 (en) A computer system and a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generating patient medical summary and initiating a medical consultation
KR10256043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