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172B1 -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172B1
KR101141172B1 KR1020110134088A KR20110134088A KR101141172B1 KR 101141172 B1 KR101141172 B1 KR 101141172B1 KR 1020110134088 A KR1020110134088 A KR 1020110134088A KR 20110134088 A KR20110134088 A KR 20110134088A KR 101141172 B1 KR101141172 B1 KR 10114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manufacturing
work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이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훈 filed Critical 이태훈
Priority to KR102011013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 개의 프레임 각각을 개별적으로 장식부에 결합함으로써 액자를 제조하는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상기 프레임의 고정홈이 구비된 면을 작업틀의 프레임 지지틀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서 놓는 단계(S11); 상기 프레임과 상기 작업틀을 들어서 장식부의 해당 위치에 놓고 프레임을 장식부에 부착하는 단계(S12); 상기 작업틀을 상기 프레임으로 분리하는 단계(S13);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난 장식부의 자투리를 절단하는 단계(S14); 다른 두 개의 상기 프레임을 S11 단계 내지 S13 단계로 실행하는 단계(S15); 상기 장식부의 일부를 상기 프레임의 제1 경사부에 부착하는 단계(S16); 상기 프레임을 내측을 향하여 한 번 접는 단계(S17); 및 인접한 상기 프레임들의 제1 경사부가 면접촉하면 상기 프레임들 서로를 철침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단계(S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icture frame using mold}
본 발명은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 개의 프레임 각각을 하나의 액자틀로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장식부에 결합함으로써 손쉽고 단시간에 액자를 제조하기 위한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유화, 소묘, 수채화 및 판화 따위의 회화작품을 끼워서 보존하고 전시 및 이동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틀이다.
최근에 액자는 사진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회화작품뿐만 아니라 현상된 사진을 위한 액자 등 다양한 방면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자는 단지, 회화작품 및 사진 등을 전시하기 위한 틀로서의 기능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목제, 경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액자의 프레임에 다양한 장식적인 형태의 장식부를 형성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액자에 끼워진 회화작품 및 사진 등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동시에, 액자가 전시된 주위의 인테리어와 더욱 잘 어울리도록 제작되고 있다.
종래의 액자는, 양쪽 끝단을 사선으로 절단한 절단부가 형성된 4개의 프레임을 각각 절단부가 서로 맞대도록 위치시키고, 각각의 절단부의 후면에‘ㄱ’자 형상의 못을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철심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액자 프레임을 제조한 후에 장식부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액자 프레임을 각각 결합하여 사각형 액자틀을 만든 다음에 회화가 그려진 종이나 천의 장식부를 그에 설치하거나 사진을 부착해서 설치해야 하는데, 이때는 사각형 액자틀을 만드는데 있어서 걸리는 시간과 결합장치가 필요하고, 그를 만든 후에 다시 장식부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하나의 액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4 개의 프레임 각각을 하나의 액자 프레임으로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프레임들 개별적으로 장식부에 곧 바로 결합함으로써 손쉽고 단시간에 액자를 제조할 수 있는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 개의 프레임 각각을 개별적으로 장식부에 결합함으로써 액자를 제조하는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은, 두 개의 상기 프레임의 고정홈이 구비된 면을 작업틀의 프레임 지지틀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서 놓는 단계(S11); 상기 프레임과 상기 작업틀을 들어서 장식부의 해당 위치에 놓고 프레임을 장식부에 부착하는 단계(S12); 상기 작업틀을 상기 프레임으로 분리하는 단계(S13);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난 장식부의 자투리를 절단하는 단계(S14); 다른 두 개의 상기 프레임을 S11 단계 내지 S13 단계로 실행하는 단계(S15); 상기 장식부의 일부를 상기 프레임의 제1 경사부에 부착하는 단계(S16); 상기 프레임을 내측을 향하여 한 번 접는 단계(S17); 및 인접한 상기 프레임들의 제1 경사부가 면접촉하면 상기 프레임들 서로를 철침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단계(S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을 작업틀의 프레임 지지틀에 탈착가능하게 끼워놓은 후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11-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이 놓인 장식부의 일부인 모서리부를 절단하는 단계(S15-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을 통해서 액자를 제조하게 되면 4 개의 프레임 각각을 하나의 액자 프레임으로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프레임들 개별적으로 장식부에 곧 바로 결합함으로써 손쉽고 단시간에 액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상기 프레임을 작업틀의 프레임 지지틀에 끼워서 놓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프레임의 일 측면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상기 프레임과 작업틀을 장식부에 놓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난 절단될 장식부의 자투리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상기 장식부의 모서리부를 프레임의 제1 경사부에 부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상기 프레임을 내측을 향하여 접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두 개의 프레임이 철침을 통해서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액자의 뒷면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액자의 앞면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2는 상기 프레임을 작업틀의 프레임 지지틀에 끼워서 놓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프레임의 일 측면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프레임과 작업틀을 장식부에 놓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난 절단될 장식부의 자투리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장식부의 모서리부를 프레임의 제1 경사부에 부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프레임을 내측을 향하여 접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두 개의 프레임이 철침을 통해서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액자의 뒷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액자의 앞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 개의 프레임(10) 각각을 개별적으로 장식부(30)에 결합함으로써 액자를 제조하는 작업틀(20)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은 S11 ~ S18 단계들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액자를 제조하게 되면, 프레임(10)을 먼저 결합시켜 액자틀을 만든 후 장식부(30)에 결합해야 하는 불필요한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제조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액자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기 프레임(10) 일측 면의 고정홈(11)이 구비된 면을 작업틀(20)의 프레임 지지틀(21)로 향하게 하여 탈착가능하게 끼워서 놓는다(S11).
이때, 상기 프레임(10)은 프레임 지지틀(21)이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탄성적으로 끼워져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0)이 프레임 지지틀(21)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후에는 프레임(10) 타측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30)에 결합하게 될 양면테이프(15)를 부착한다(S11-1).
즉,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홈(11)이 구비된 반대측면, 즉 장식부(30)에 부착될 면에 양면테이프(15)를 부착한다.
그런 다음에, 상기 프레임(10)과 작업틀(20)을 들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30)의 해당 위치에 놓고 프레임(10)을 장식부(30)에 부착하고(S12), 그 다음에 상기 작업틀(20)을 프레임(10)으로 분리한다(S13).
상기 프레임(10)을 장식부(30)에 부착한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10)으로부터 벗어난 장식부(30)의 자투리(31)를 절단한다(S14).
그리고, 나머지 다른 두 개의 상기 프레임(10)을 S11 단계 내지 S14 단계로 실행하여 프레임(10)을 장식부(30)에 부착한다(S15).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이 놓인 장식부(30)의 일부인 모서리부(32)를 프레임(10)의 서로 대응되는 제1 경사부(1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절반으로 절단한다(S15-1)(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프레임(10) 네 개 모두가 장식부(30)에 설치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30)의 일부, 즉 프레임(10)에 부착되지 않은 모서리부(32)를 프레임(10)의 제1 경사부(12)에 부착한다(S16).
그 다음에, 상기 프레임(10)을 내측을 향하여,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한 번 접는다(S17).
상기 프레임(10)이 한번 접혀져서 서로 대응되는 프레임(10)의 제1 경사부(12)가 접촉하게 되면, 즉 인접한 프레임(10)들의 제1 경사부(12)가 면접촉하면 상기 프레임(10)들 서로를 철침(17)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S18).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를 간편하고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 액자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 (30) 상의 제1 거치부(34)에 프레임(10)의 측면, 즉 좁은 면을 놓고 부착한 후 후방으로 한번 회전시켜서 전면, 즉 넓은 면을 제2 거치부(36)에 놓고 부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장식부(30)의 모서리부(32)를 프레임(10)의 경사부에 부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0)을 장식부(30)에 부착함으로써 액자의 전방에서나 후방에서 프레임(10)이 노출되지 않고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프레임 11: 고정홈
12: 제1 경사부 15: 양면테이프
17: 철침 20: 작업틀
21: 프레임 지지틀 30: 장식부
31: 자투리 32: 모서리부
34: 제1 거치부 36: 제2 거치부

Claims (3)

  1. 4 개의 프레임 각각을 개별적으로 장식부에 결합함으로써 액자를 제조하는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홈(11)이 구비된 면을 작업틀(20)의 프레임 지지틀(21)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서 놓는 단계(S11);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작업틀(20)을 들어서 장식부(30)의 해당 위치에 놓고 프레임(10)을 장식부(30)에 부착하는 단계(S12);
    상기 작업틀(20)을 상기 프레임(10)으로 분리하는 단계(S13);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벗어난 장식부(30)의 자투리(31)를 절단하는 단계(S14);
    다른 두 개의 상기 프레임(10)을 S11 단계 내지 S14 단계로 실행하는 단계(S15)
    상기 장식부(30)의 일부를 상기 프레임(10)의 제1 경사부(12)에 부착하는 단계(S16);
    상기 프레임(10)을 내측을 향하여 한 번 접는 단계(S17); 및
    인접한 상기 프레임(10)들의 제1 경사부(12)가 면접촉하면 상기 프레임(10) 들 서로를 철침(17)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단계(S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을 작업틀(20)의 프레임 지지틀(21)에 탈착가능하게 끼워놓은 후 양면테이프(15)를 부착하는 단계(11-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이 놓인 장식부(30)의 일부인 모서리부(32)를 절반으로 절단하는 단계(S15-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KR1020110134088A 2011-12-14 2011-12-14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KR10114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088A KR101141172B1 (ko) 2011-12-14 2011-12-14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088A KR101141172B1 (ko) 2011-12-14 2011-12-14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172B1 true KR101141172B1 (ko) 2012-05-02

Family

ID=4627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088A KR101141172B1 (ko) 2011-12-14 2011-12-14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1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4291U (ko) * 1976-12-27 1978-08-01
JP2001507979A (ja) * 1997-01-16 2001-06-19 ドリス タウシグ 額縁用フレーム要素
KR200342874Y1 (ko) * 2003-10-24 2004-02-19 민은홍 후레임을 갖는 다보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4291U (ko) * 1976-12-27 1978-08-01
JP2001507979A (ja) * 1997-01-16 2001-06-19 ドリス タウシグ 額縁用フレーム要素
KR200342874Y1 (ko) * 2003-10-24 2004-02-19 민은홍 후레임을 갖는 다보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72350A1 (en) Picture fram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trim and base section
US20060174529A1 (en) Picture framing system
JP2016528978A (ja) 装飾フレーム
KR101141172B1 (ko) 작업틀을 이용한 액자 제조방법
CN209235562U (zh) 相框
KR200475280Y1 (ko) 슬라이딩 결합식 백보드를 갖는 장식용 액자
US9241569B2 (en) Furniture with interchangeable arrangement
KR20120013855A (ko) 자력착탈식 액자
CN209776018U (zh) 一种二维动画制作画稿台移动画架
JP2012254190A (ja) 色紙用装飾具
US6510638B1 (en) Picture frame
GB2500914A (en) A framing system comprising a front panel and a support panel mounted to form a sleeve
CN204115181U (zh) 空调器面板组件及空调器
KR102105908B1 (ko)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CN209421584U (zh) 一种插入式玻璃屏风
KR200377111Y1 (ko) 다방향으로 새워둠이 용이한 액자
CN209031711U (zh) 一种展示框
JP3167629U (ja) リバーシブルフォトスタンド
KR200274920Y1 (ko) 병풍식 사진 진열첩
KR101004383B1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5494A (ko) 윈도우리스형 사진 액자 및 이에 착탈되는 사진판
GB2461169A (en) Picture frame having a mount board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ips
KR20140030885A (ko) 경량액자의 제작방법 및 경량액자
KR100782099B1 (ko) 종이 액자
KR20220112501A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