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095B1 - 와이 델타 결선절환수단을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와이 델타 결선절환수단을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095B1
KR101141095B1 KR1020100138882A KR20100138882A KR101141095B1 KR 101141095 B1 KR101141095 B1 KR 101141095B1 KR 1020100138882 A KR1020100138882 A KR 1020100138882A KR 20100138882 A KR20100138882 A KR 20100138882A KR 101141095 B1 KR101141095 B1 KR 10114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terminals
power
magnetic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일렉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일렉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일렉텍
Priority to KR102010013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three-phase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2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 H02P1/3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by star/delta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2개의 마그네틱컨택터를 사용하고, 제1 마그네틱컨택터의 제1 코일단자와 제2 마그네틱컨택터의 제3 코일단자는 공통으로 제어릴레이의 일단에 연결하고, 제어릴레이의 타단은 입력전원에 연결한다. 또한 제1 마그네틱컨택터의 제2 코일단자와 제2 마그네틱컨택터의 제4 코일단자는 단자대의 각각 다른 단자에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마그네틱컨택터를 사용함으로써 누설변압기 1차측의 결선방식을 최소한의 조작으로 또는 자동으로 간편하게 절환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 델타 결선절환수단을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Electric car battery charger comprising Y-delta connection switching means}
본 발명은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전원에 따라 누설변압기의 1차측 결선구조를 편리하게 절환할 수 있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차, 골프카트, 청소차, 전동 지게차 등의 전기차는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사용자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에는 SCR 위상제어방식, 누설변압기(leakage transformer) 방식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SCR 방식의 충전기는 회로가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어렵고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값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누설변압기 방식의 충전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누설변압기를 이용한 준정전압, 준정전류방식의 충전기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입력전원을 변환하는 누설변압기(10)와 상기 누설전압기(10)의 출력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20)를 포함하며, 정류부(20)의 출력단에 충전할 배터리(C)가 연결된다.
입력전원(Ri,Si,Ti)은 통상 3상 교류전원이므로 누설변압기(10)는 각 상에 대응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각 입력단자에는 1차측 코일(Ra-Rn, Sa-Sn, Ta-Tn)이 각각 연결된다.
누설변압기(10)는 통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코일이 내장된 상부하우징(17)과 2차측 코일이 내장된 하부하우징(19)을 구비한다. 또한 상부하우징(17)에는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입력단자가 설치되고 하부하우징(19)에는 출력단자(R',S',T')가 설치된다. 출력단자(R',S',T')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20)에 연결된다.
도 2에는 누설변압기(10)의 입력단자가 각 상(R,S,T)마다 3개의 탭(R1,S1,T1,R2,S2,T2,R3,S3,T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용전압의 변동에 대응하여 1차측 및 2차측 코일의 권선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전압변동에 따른 권선비 조정을 위해 누설변압기(10)의 선단에는 입력단자의 각 탭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3개의 마그네틱컨택터(도면에는 보이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충전기는 대부분 AC220V 또는 AC380V 전용으로 제조되므로 380V 전용품을 220V에 사용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누설변압기(10)의 결선을 변경해주어야 한다.
즉, 일반적으로 누설변압기(10)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와이(Y) 결선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1차측 코일을 델타(Δ)결선방식으로 변경하면 예를 들어 380V용 충전기를 입력전원이 220V 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와이-델타 결선절환을 위하여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변압기(10)의 1차측에 220V용 제1단자대(30)와 380V용 제2단자대(40)를 설치하고, 입력전압이 380V인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코일이 와이(Y) 결선되도록 제2 단자대(40)의 단자를 연결선(51,52,53)으로 연결하고, 입력전압이 220V인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코일이 델타(Δ) 결선되도록 제1 단자대(30)와 제2 단자대(40)의 단자를 연결선(51',52',53')으로 연결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결선절환방식은 사용자가 다수의 연결선을 제1 단자대(30)와 제2 단자대(40)의 정확한 위치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선절환을 위하여 마그네틱컨택터를 사용하는 방식도 제안된 바 있으나 종래 방식에 따르면 1차측 코일의 결선절환을 위해서 제1 및 제2 단자대(30,40)뿐만 아니라 보조트랜스(60)의 결선도 수작업으로 변경해 주어야 하는 등 결선절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전원에 따라 누설변압기 1차측의 결선방식을 보다 간편하게 절환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상 입력전원(Ri, Si, Ti)의 각 상에 연결된 3개의 1차측 코일(Ra-Rn, Sa-Sn, Ta-Tn)과 상기 1차측 코일에 대응하는 2차측 코일을 구비하는 누설변압기; 상기 입력전원에 상기 1차측 코일의 각 입력단(Ra,Sa,Ta)과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와, 내장된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제4, 제5 및 제6 전원단자와, 내장된 상기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단자를 구비하는 제1 마그네틱컨택터; 상기 1차측 코일의 각 출력단(Tn, Rn, Sn)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7, 제8 및 제9 전원단자와,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7, 제8 및 제9 전원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공통선으로 연결된 3개의 공통전원단자와, 내장된 상기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단자를 구비하는 제2 마그네틱컨택터;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3 코일단자에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3상 입력전원(Ri, Si, Ti) 중 한 상에 연결된 제어릴레이를 구비하는 제어부; 상기 제2 코일단자에 연결되는 제1 단자와, 상기 3상 입력전원(Ri, Si, Ti) 중 상기 제어릴레이의 상기 타단에 연결된 것과 다른 상에 연결된 제2 단자와, 상기 제4 코일단자에 연결된 제3 단자와, 상기 제1, 제2 및 3 단자와 각각 일대일로 연결된 제4, 제5 및 제6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대; 상기 단자대의 상기 제5단자를 상기 제4단자와 상기 제6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연결선; 상기 누설변압기의 상기 2차측 코일에 연결된 정류부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마그네틱컨택터를 사용함으로써 누설변압기 1차측의 결선방식을 최소한의 조작으로 또는 자동으로 간편하게 절환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의 회로도
도 2는 종래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의 누설변압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누설변압기 1차측 코일의 와이결선과 델타결선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누설변압기에 결선절환용 마그네틱컨택터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절환용 마그네틱컨택터와 제어부의 결선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결선절환용 마그네틱컨택터와 제어부의 연결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의 내부모습을 나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8은 마그네틱컨택터에 써멀릴레이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선절환용 마그네틱컨택터와 제어부의 결선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자동절환을 위한 결선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는 누설변압기 1차측의 와이(Y)-델타(Δ) 결선절환을 위하여 2개의 마그네틱컨택터를 사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마그네틱컨택터는 내장된 코일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전원연결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코일의 양단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기력에 의해 기동한 스위칭수단이 전원단자들을 서로 연결하고, 코일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스위칭수단이 원위치로 복원하면서 전원단자의 연결을 끊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변압기 1차측의 결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3상 입력전원(Ri, Si, Ti)에 누설변압기(10)의 1차측 각 코일(Ra-Rn, Sa-Sn, Ta-Tn)의 입력단(Ra,Sa,Ta)과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의 제1, 제2, 제3 전원단자(111,112,113)가 각각 병렬로 연결된다.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는 제1, 제2, 제3 전원단자(111,112,113)에 각각 일대일로 대응하는 제4, 제5, 제6 전원단자(114,115,116)를 구비하며, 제4, 제5, 제6 전원단자(114,115,116)는 누설변압기(10)의 1차측 각 코일의 출력단 중 Tn, Rn, Sn 에 각각 순서대로 연결한다.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가 온(ON) 상태이면 제1, 제2, 제3 전원단자(111,112,113)가 각각 제4, 제5, 제6 전원단자(114,115,116)에 연결되므로 1차측의 각 코일(Ra-Rn, Sa-Sn, Ta-Tn)은 서로 델타(Δ) 결선된다.
한편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는 누설변압기(10)의 1차측 각 코일의 출력단 중 Tn, Rn, Sn 에 각각 연결되는 제7, 제8, 제9 전원단자(117,118,119)와, 제7, 제8, 제9 전원단자(117,118,119)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한편 서로 공통선(122)으로 연결된 3개의 전원단자를 구비한다.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가 온(ON) 상태이면 제7, 제8, 제9 전원단자(117,118,119)는 공통선(12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제7, 제8, 제9 전원단자(117,118,119)는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의 제4, 제5, 제6 전원단자(114,115,116)와 1차측 각 코일의 출력단(Tn,Rn,Sn)을 연결하는 각 연결선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1차측 각 코일의 출력단(Tn,Rn,Sn,)이나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의 제4, 제5, 제6 전원단자(114,115,116)에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의 제7, 제8, 제9 전원단자(117,118,119)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를 이와 같이 연결하면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가 오프(OFF) 상태이고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가 온(ON)상태일 때 1차측의 각 코일(Ra-Rn, Sa-Sn, Ta-Tn)은 와이(Y) 결선된다. 반대로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가 오프(OFF) 상태이고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가 온(ON)상태이면 1차측의 각 코일은 델타(Δ) 결선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제1 및 제2 마그네틱컨택터(110,120)를 온/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결선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에 따르면 제1 및 제2 마그네틱컨택터(110,120)는 단자대(140)와 제어부(150)에 구비된 제어릴레이(152)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제어릴레이(152)는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미도시된 제어IC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직접조작에 의해 온/오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는 내장된 코일에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단자(161,162)를 구비하며,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는 내장된 코일에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단자(163,164)를 구비한다.
제1 코일단자(161)와 제3 코일단자(163)는 공통단자로서 제어릴레이(152)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어릴레이(152)의 타단은 3상 입력전원(Ri, Si, Ti) 중 한 상의 입력전원(예, Ti)에 연결된다.
단자대(140)는 적어도 3쌍의 단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단자(a,b,c)와, 상기 제1 내지 제3 단자(a,b,c)와 내부에서 각각 일대일로 연결된 제4 내지 제6 단자(d,e,f)를 구비하는 단자대(140)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단자(a)는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의 제2 코일단자(162)에 연결하고, 제2 단자(b)는 3상 입력전원(Ri, Si, Ti) 중에서 제어릴레이(150)의 일단에 연결되는 입력전원과 다른 상의 입력전원(예, Si)에 연결한다. 또한 제3 단자(c)는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의 제4 코일단자(164)에 연결한다. 그리고 입력전원이 220V인 경우에는 연결선(142)으로 제4단자(d)와 제5단자(e)를 연결하고, 입력전원이 380V인 경우에는 연결선(142)으로 제5단자(e)와 제6단자(f)를 연결한다.
도 5에 따르면 제4단자(d)와 제5단자(e)가 연결선(142)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어릴레이(152)가 온(ON)되면 220V 전용품인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의 제1 및 제2코일단자(161,162)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가 온(ON)된다. 이 경우 누설변압기 1차측의 각 코일(Ra-Rn, Sa-Sn, Ta-Tn)은 서로 델타(Δ) 결선된 상태가 된다.
이와 달리 -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 제5단자(e)와 제6단자(f)를 연결선(142)으로 연결하면, 380V 전용품인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의 제3 및 제4 코일단자(163,164)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제2 마그네틱컨택터(110)가 온(ON)되고, 누설변압기 1차측의 각 코일(Ra-Rn, Sa-Sn, Ta-Tn)은 서로 와이(Y) 결선된 상태가 된다.
도 6은 도 5의 블록도를 보다 간단히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의 내부모습을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도 7의 부분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전원에 따라 (a) 또는 (b)의 방식으로 결선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를 예를 들어 220V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140)의 제4단자(d)와 제5단자(e)를 연결선(142)으로 연결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충전기의 충전단자에 배터리의 전극이 연결되면, 제어부(150)의 제어IC(미도시)에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릴레이(152)에 소정의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제어릴레이(152)가 온(ON)되면서 충전절차가 개시된다.
이때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의 제1 코일단자(161)와 제2 코일단자(162)가 각각 입력전원 Ti, Si 에 각각 연결되며, 이로 인해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에 내장된 코일에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111,112,113)가 제4 내지 제6 전원단자(114,115,116)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는 오프(OFF)상태이므로, 1차측 코일의 각 입력단(Ra, Sa, Ta)은 각 출력단(Tn, Rn, Sn)에 각각 연결되어 1차측의 각 코일(Ra-Rn, Sa-Sn, Ta-Tn)은 서로 델타(Δ) 결선 상태가 된다.
이러한 충전기를 380V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자대(140)의 연결선(142)의 결선을 제6단자(f)와 제5단자(e)를 연결하도록 변경하면 된다. 이렇게 변경하면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는 오프(OFF)되고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가 온(ON)되어 1차측의 각 코일(Ra-Rn, Sa-Sn, Ta-Tn)은 서로 와이(Y) 결선 상태가 된다.
한편 제1 또는 제2 마그네틱컨택터(110,12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써멀릴레이(Thermal Relay)(13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써멀릴레이(130)는 바이메탈원리를 이용하여 과전류를 차단하는 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의 제4, 제5, 제6 전원단자(1114,115,116)에 각각 연결할 수 있는 제1 전원단자군(도면에는 보이지 않음)과 외부연결을 위한 제2 전원단자군(131,132,133)을 구비하며, 제1 전원단자군(도면에는 보이지 않음)과 제2 전원단자군(131,132,133)은 내부에서 서로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마그네틱컨택터(110,120)에 이와 같이 써멀릴레이(130)를 모두 연결하면 1차측 각 코일(Ra-Rn, Sa-Sn, Ta-Tn)의 출력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써멀릴레이(130)의 제2 전원단자군(131,132,133)에 연결하면 된다.
또한 써멀릴레이(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단자(161)와 연결된 제1 연결단자(135)와 제어릴레이(152)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136)를 구비하며, 제1 연결단자(135)와 제2연결단자(136)는 노멀 컨택트(normal contact) 상태의 과전류차단용 릴레이(도면에는 보이지 않음)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써멀릴레이(130)는 과전류설정값을 조정하는 조정부(138)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와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가 각각 220V, 380V전용으로 사용되므로 설치과정에서 조정부(138)의 과전류설정값을 각각 하나의 값으로 고정시켜두면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마그네틱컨택터(110,120)에 써멀릴레이(130)를 각각 결합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써멀릴레이(130)의 제2 연결단자(136)를 제어릴레이(152)의 일단에 공통으로 연결하면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전원에 따라 사용자가 단자대(140)에서 연결선(142)의 결선을 변경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방식을 완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에 제어릴레이(153)와, 제어릴레이(153)에 스위칭신호를 인가하는 제어IC(151)를 설치하고, 제어IC(151)에 입력전원(Ri, Si, Ti)의 전압세기(예, 220V 또는 380V)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56)을 연결한다. 제어IC(151)는 감지된 전압세기에 따라 소정의 스위칭신호를 제어릴레이(153)에 인가한다.
제어릴레이(153)는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의 제2 코일단자(162)에 연결되는 제1 단자와,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의 제4 코일단자(164)에 연결되는 제2 단자와, 입력전원(Ri, Si, Ti) 중 하나의 상(예, Si)에 연결되는 제3 단자를 구비하며, 제어IC(151)에서 인가되는 스위칭신호에 따라 제3단자를 제1단자 또는 제2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한다.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의 제1 코일단자(161)와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의 제3 코일단자(163)는 입력전원(Ri, Si, Ti) 중 제어릴레이(151)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한 상(예, Ti)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 10과 같은 결선구조에서는 입력전원(Ri, Si, Ti)의 전압세기에 따라 제어IC(151)에 인가되는 소정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제어릴레이(153)가 해당 입력전원에 맞게 제1단자 또는 제2단자를 제3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와이(Y)-델타(Δ) 결선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경우에도 제1 및 제2 마그네틱컨택트(110,120)에 도 8과 같이 써멀릴레이(130)를 각각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누설변압기 20: 정류부
110: 제1 마그네틱컨택터 120: 제2 마그네틱컨택터
130: 써멀릴레이 138: 조정부
140: 단자대 142: 연결선
150: 제어부 151: 제어IC
152: 제어릴레이 156: 감지수단
161, 162, 163, 164: 제1, 제2, 제3, 제4 코일단자

Claims (4)

  1. 3상 입력전원(Ri, Si, Ti)의 각 상에 연결된 3개의 1차측 코일(Ra-Rn, Sa-Sn, Ta-Tn)과 상기 1차측 코일에 대응하는 2차측 코일을 구비하는 누설변압기(10);
    상기 입력전원에 상기 1차측 코일의 각 입력단(Ra,Sa,Ta)과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111,112,113)와, 내장된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111,112,113)에 각각 연결되는 제4, 제5 및 제6 전원단자(114,115,116)와, 내장된 상기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단자(161, 162)를 구비하는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
    상기 1차측 코일의 각 출력단(Tn, Rn, Sn)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7, 제8 및 제9 전원단자(117,118,119)와,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7, 제8 및 제9 전원단자(117,118,119)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공통선(122)으로 연결된 3개의 공통전원단자와, 내장된 상기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단자(163, 164)를 구비하는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3 코일단자(161,163)에 전기적으로 공통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3상 입력전원(Ri, Si, Ti) 중 한 상에 연결된 제어릴레이를 구비하는 제어부(150);
    상기 제2 코일단자에 연결되는 제1 단자와, 상기 3상 입력전원(Ri, Si, Ti) 중 상기 제어릴레이의 상기 타단에 연결된 것과 다른 상에 연결된 제2 단자와, 상기 제4 코일단자에 연결된 제3 단자와, 상기 제1, 제2 및 3 단자와 각각 일대일로 연결된 제4, 제5 및 제6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대(140);
    상기 단자대(140)의 상기 제5단자를 상기 제4단자와 상기 제6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연결선(142);
    상기 누설변압기의 상기 2차측 코일에 연결된 정류부(20);
    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4 내지 제6 전원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고 상기 1차측 코일의 각 출력단(Tn, Rn, Sn)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원단자군과, 상기 제1 코일단자에 연결된 제1 연결단자와, 상기 제어릴레이의 상기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결단자와, 과전류차단을 위하여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상기 제2 연결단자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제1 써멀릴레이;
    상기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7 내지 제9 전원단자와 일대일로 연결되고 상기 1차측 코일의 각 출력단(Tn, Rn, Sn)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원단자군과, 상기 제3 코일단자와 연결된 제3 연결단자와, 상기 제1 써멀릴레이의 상기 제2 연결단자와 공통으로 상기 제어릴레이의 상기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연결단자와, 과전류차단을 위하여 상기 제3 연결단자와 상기 제4 연결단자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제2 써멀릴레이;
    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충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써멀릴레이와 상기 제2 써멀릴레이는 각각 상기 제1 스위칭수단과 상기 제2 스위칭수단의 과전류설정값을 설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충전기
  4. 3상 입력전원(Ri, Si, Ti)의 각 상에 연결되는 3개의 1차측 코일(Ra-Rn, Sa-Sn, Ta-Tn)과 상기 1차측 코일에 대응하는 2차측 코일을 구비하는 누설변압기;
    상기 입력전원에 상기 1차측 코일의 각 입력단(Ra,Sa,Ta)과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111,112,113)와, 내장된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111,112,113)에 각각 연결되는 제4, 제5 및 제6 전원단자(114,115,116)와, 내장된 상기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단자(161, 162)를 구비하는 제1 마그네틱컨택터(110);
    상기 1차측 코일의 각 출력단(Tn, Rn, Sn)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7, 제8 및 제9 전원단자(117,118,119)와, 내장된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7, 제8 및 제9 전원단자(117,118,119)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공통선으로 연결된 3개의 공통전원단자와, 내장된 상기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단자(163, 164)를 구비하는 제2 마그네틱컨택터(120);
    상기 제2 코일단자에 연결된 제1 단자와, 상기 제4 코일단자에 연결된 제2 단자와, 상기 입력전원(Ri, Si, Ti) 중 한 상에 연결된 제3 단자와, 상기 제3단자를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제어릴레이;
    상기 입력전원(Ri, Si, Ti)의 전압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릴레이로 소정의 스위칭신호를 인가하는 제어IC;
    상기 누설변압기의 상기 2차측 코일에 연결된 정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단자와 상기 제3 코일단자는 상기 입력전원 중 상기 제어릴레이에 연결된 상과 다른 상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충전기
KR1020100138882A 2010-12-30 2010-12-30 와이 델타 결선절환수단을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 KR10114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82A KR101141095B1 (ko) 2010-12-30 2010-12-30 와이 델타 결선절환수단을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82A KR101141095B1 (ko) 2010-12-30 2010-12-30 와이 델타 결선절환수단을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095B1 true KR101141095B1 (ko) 2012-05-03

Family

ID=4627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882A KR101141095B1 (ko) 2010-12-30 2010-12-30 와이 델타 결선절환수단을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3644B1 (en) 2016-11-15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 power devices with automatically established input voltage connection configuration
KR102298641B1 (ko) * 2020-09-04 2021-09-06 주식회사 타이드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한 3상 트랜스포머 결선 변환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695A (ja) * 1994-01-06 1995-08-04 Amada Co Ltd 主電動機のスター・デルタ始動装置
KR100383072B1 (ko) 2000-11-03 2003-05-09 삼화이오씨알 주식회사 스타-델타 접촉기
KR20050013289A (ko) * 2003-07-28 2005-02-04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타-델타 결선 절환장치
KR20050120455A (ko) * 2004-06-19 2005-12-22 주식회사 비엠테크 누설변압기를 이용한 준정전압방식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695A (ja) * 1994-01-06 1995-08-04 Amada Co Ltd 主電動機のスター・デルタ始動装置
KR100383072B1 (ko) 2000-11-03 2003-05-09 삼화이오씨알 주식회사 스타-델타 접촉기
KR20050013289A (ko) * 2003-07-28 2005-02-04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타-델타 결선 절환장치
KR20050120455A (ko) * 2004-06-19 2005-12-22 주식회사 비엠테크 누설변압기를 이용한 준정전압방식 충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3644B1 (en) 2016-11-15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 power devices with automatically established input voltage connection configuration
US10277142B2 (en) 2016-11-15 2019-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 power devices with automatically established input voltage connection configuration
US10587204B2 (en) 2016-11-15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 power devices with automatically established input voltage connection configuration
US10615710B2 (en) 2016-11-15 2020-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 power devices with automatically established input voltage connection configuration
KR102298641B1 (ko) * 2020-09-04 2021-09-06 주식회사 타이드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한 3상 트랜스포머 결선 변환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3737B1 (en) Operation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for a vehicle assembly
JP5223932B2 (ja) 直流電力供給装置
US10147562B2 (en) On-load voltage regulation tap switch for transformer and switch control method
KR101972778B1 (ko) Ess 모듈이 구비된 충전 장치
US20150256112A1 (en) Dc pre-charge circuit
KR20130092350A (ko)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056175A (ko) 전기 차량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방법
US6369548B1 (en) Voltage switch-over device
KR101141095B1 (ko) 와이 델타 결선절환수단을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용 충전기
CN102842967B (zh) 输电线路自取电装置
CN104703836A (zh) 蓄电系统
CN202931210U (zh) 电力机车的试验测试用电源装置
WO2014125737A1 (ja) 電池制御装置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
US11283366B2 (en) Rectifier arrangement
CN110582920B (zh) 不间断电源
JP5707184B2 (ja) 配電システム
JPH0654460A (ja) 充電装置
CN221150952U (zh) 电机控制电路以及电机控制系统
JP5682529B2 (ja) 電源システム
CN204681091U (zh) 新型电压并列切换把手
US11296553B2 (en) Non-contact power feeding system and power reception device
KR100342183B1 (ko) 충전기 회로 및 이의 충전 제어회로
TW202306287A (zh) 單相與三相兼容的交流直流轉換電路及其輸入電流檢測方法
JP2001069670A (ja) バッテリ式車両の制御装置
JP2558207B2 (ja) 電圧降下防止付き節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