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609B1 -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 Google Patents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609B1
KR101140609B1 KR1020100004029A KR20100004029A KR101140609B1 KR 101140609 B1 KR101140609 B1 KR 101140609B1 KR 1020100004029 A KR1020100004029 A KR 1020100004029A KR 20100004029 A KR20100004029 A KR 20100004029A KR 101140609 B1 KR101140609 B1 KR 10114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hexagonal water
hexagonal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011A (ko
Inventor
송기봉
Original Assignee
송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봉 filed Critical 송기봉
Priority to KR1020100004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6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60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각수 제조기를 통과하면서 자화되어 생성된 육각수와 압축공기를 노후 관로에 공급하여 스케일을 더욱 완벽하게 제거, 배출하는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히,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갱생공법에 육각수 제조기의 기술을 유기적으로 접목함으로써 육각수 제조기를 통과하면서 자화처리되어 생성되는 육각수를 고압의 압축공기와 함께 병행하여 노후 관로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로 활용하여 스케일의 제거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며, 상기 관로의 스케일 제거가 완료된 이후에는 육각수 제조기가 관로에 일체화 설치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관로에 흐르는 물을 자화시켜 육각수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면서 관로의 스케일 형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제거 및 갱생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Scale removal and repair revival method of pipe using Apparatus for making hexago water}
본 발명은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한 일측 관로의 절단부위에 연결설치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통과하면서 자화되어 생성된 육각수와 압축공기를 타측 관로에 교호로 단락되게 공급하여 스케일을 완벽하게 제거, 배출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관로의 갱생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중, 대형 직경의 송수관 및 소형 직경의 상수도 배관(이하, 통칭하여 '관로'라 한다) 등은 주로 주철관 또는 강관을 사용하고 있는데, 설치 후 장시간 동안 사용함에 따라 노후화되면서 관로 내면에는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퇴적되거나 내면이 산화되면서 생성되는 녹 등이 고형화되어 스케일(Scale)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관로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층은,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면서 고형화되기 때문에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수압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로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물에 녹아들게 되어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었음은 물론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키게 되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므로 관로를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 하였다.
따라서 관 내부의 부식생성물과 관 파손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후관에 대한 갱생공사를 실시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노후 관로에 대한 갱생은 통상 구간을 정하여 단수를 한 후에 내부 상태를 파악한 다음 내부의 스케일 등을 제거하고 제거된 폐기물은 관로의 외부로 배출시킨 후 관로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관작업을 수행하고, 건조작업을 거쳐 관로의 내벽에 도장을 입히는 라이닝 작업을 수행하여 노후 관로를 갱생하였다.
이와 같은 갱생공사 중에는 관로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공정이 가장 중요하며, 종래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대표적인 공법으로는 제트클리닝 공법, 폴리피그(Poly Pig) 공법, 스케일부스터 설치공법, 센드블라스트 공법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들은 다양한 형태의 관로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비용이 높아 비경제적이었으며, 무엇보다도 스케일의 제거효과가 저하되는 점을 공통으로 내포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단순히 물을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하는 차원을 넘어 기능성을 가진 물인 자화수(일명/ 자화 육각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자화수는 물의 클러스터 입자가 일반적인 물보다 작기 때문에 강력한 침투력, 용해력, 환원력을 갖게 되어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배관 내의 녹이나 스케일을 확실하게 제거함은 물론 이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자화수를 처리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특허등록된 다단 자석봉 내장형 자화 정화장치(특허등록 제735812호)가 있는데, 상기 선등록발명은 자기력선속밀도가 우수한 자석봉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상수와 자석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수에 포함된 스케일, 녹 등의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기술의 자화 정화장치(육각수 제조기)를 관로의 스케일제거 및 갱생공사에 유기적으로 접목하는 경우에는 더욱 효율적으로 노후 관로의 스케일을 제거함은 물론 갱생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됨으로써 이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후 관로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갱생공법과는 전혀 다른 기술분야에 속하는 새로운 육각수 제조기를 갱생공법에 유기적으로 접목함으로써 육각수 제조기를 통과하면서 자화처리되어 생성되는 육각수를 고압의 압축공기와 함께 병행하여 노후 관로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관로의 스케일 제거가 완료된 이후에는 육각수 제조기가 관로에 일체화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흐르는 물을 자화시켜 육각수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관로의 스케일 형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후 관로의 절단부위 양단에 플랜지를 각각 일체로 접합하고, 상기 일측 관로의 플랜지에는 육각수 제조기를 일체로 연결설치하며, 상기 육각수 제조기와 타측 관로의 플랜지에는 에어 충격발생기에 연결된 입수라인과 출수라인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에어 충격발생기를 가동하여 육각수 제조기를 통과하면서 자화되어 생성된 육각수가 입수라인을 통해 출수라인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압축공기를 출수라인을 통해 교호로 단락되게 공급하여 타측 관로의 스케일을 제거하며, 상기 타측 관로의 스케일 제거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에어 충격발생기의 입수라인과 출수라인을 육각수 제조기와 관로로부터 떼어내고, 상기 육각수 제조기와 스케일 제거된 타측 관로의 사이에 레듀셔관을 연결하여 마감 설치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관로의 갱생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 관로의 물이 육각수 제조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화되어 녹이나 스케일의 제거 및 예방의 기능을 갖는 육각수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육각수를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타측 관로에 공급하여 세척수의 용도로 활용함에 따라 일반적인 물에 비하여 스케일의 제거능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됨은 물론 세척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갱생비용이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관로에도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관로의 세척 및 녹이나 스케일의 제거가 완료된 이후에도 육각수 제조기는 관로에 일체화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관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자화시켜 육각수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관로의 스케일 형성을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로가 절단된 상태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관로의 절단부위 양단에 플랜지가 접합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로에 육각수 제조기가 설치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육각수 제조기 및 관로의 사이에 에어 충격발생기가 장착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출수라인을 통해 관로의 내부에 육각수 및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육각수 제조기 및 관로의 사이에 레듀셔관이 마감 설치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육각수 제조기 및 레듀셔관이 관로에 연결 설치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메인 하우징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육각수 제조기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도 9의 A-A선 단면도로서, 메인 자화수기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도 9의 B-B선 단면도로서, 메인 자화수기 및 서브 자화수기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서브 자화수기의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메인 자석봉 및 서브 자석봉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의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육각수 제조기 및 에어 충격발생기가 상수관에 설치된 상태의 일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육각수 제조기가 상수관에 설치된 상태의 일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의 블럭도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관로의 갱생공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에 적용되는 육각수 제조기(M1)는, 양단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서브 하우징(12)이 일체로 형성된 이중 재킷형태의 메인 하우징(10)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 내장 설치되며 이격된 한 쌍의 자석봉 홀더판(21)의 사이에 다수의 메인 자석봉(25)이 방사상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 메인 자화수기(20)와, 상기 서브 하우징에 내장 설치되며 메인 하우징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봉 홀더링(31)의 사이에 상기 각각의 메인 자석봉과 대응하여 1조를 이루는 다수의 서브 자석봉(35)이 방사상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 서브 자화수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 육각수 제조기(M1)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 하우징(10)은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메인 자화수기(20)가 내장 설치되는 공간(11)이 마련되고, 외주연에는 서브 자화수기(30)가 내장 설치될 수 있는 공간(11a)이 마련된 별도의 서브 하우징(12)이 일체로 형성되는 이중 재킷형태의 구조로 된다.
메인 하우징(10)은, 내부 공간(11)이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일측에는 상수가 흐르는 관로(1)의 직경보다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레듀셔부(13)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 직경은 관로(1)의 직경보다 확장되면서 내부의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메인 자화수기(20)가 많은 점유면적을 차지하더라도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충분한 통수공간 및 유량을 확보하여 물이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흐르면서 자화수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레듀싱부(13)의 선단과 자화수기(M1)의 타단에는 각각 연결플랜지(14)(14a)를 부설하여 연결플랜지(14)는 도 7에서와 같이 상수가 흐르는 관로(1)에 일체로 연결설치토록 하고, 연결플랜지(14a)는 관로(1a)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레듀싱관(15)의 타단을 연결 설치함으로써 메인 하우징(10)을 통과한 물이 급격하게 관로(1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레듀싱관은 관로(1a)에 적체된 스케일이나 녹 등을 제거하는 갱생작업을 할 때에는 단독으로 분리한 후 고압의 에어 충격발생기(200) 등을 연결하여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공간과 작업통로로 활용한다.
메인 하우징(10)에 내장 설치되는 메인 자화수기(20)는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관로(1)를 흐르는 물이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자화처리되어 육각수로 전환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격된 한 쌍의 자석봉 홀더판(21)의 사이에 다수의 메인 자석봉(25)이 방사상으로 일체화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자석봉 홀더판(21)은, 메인 자석봉(25)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항상 일정한 정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여 충분한 통수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견고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구조로 된다.
이러한 자석봉 홀더판(21)은,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살(21-1)과, 상기 지지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메인 자석봉(25)의 선단이 밀착 상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21-2)와, 상기 고정부의 각 외측 선단에 돌출 형성되어 메인 하우징(10)의 내벽에 밀착 상태로 지지되는 지지돌기(21-3)와, 상기 고정부와 다수의 연결살(21-5)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살의 중앙에 설치되어 급격한 물 흐름을 차단하는 차수판(21-4) 및 상기 고정부와 지지돌기의 사이사이 및 연결살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통수로(21-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21-2)에 메인 자석봉(25)의 일측 선단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구(2)를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메인 자석봉의 선단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다수의 통수로(21-6)를 통해 물이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통수됨은 물론 상기 메인 자석봉은 중앙에 배치되지 않고 고정부에만 설치되어 메인 자석봉에 달라붙은 스케일이나 이물질의 세척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되며, 차수판(21-4)은 메인 자화수기(20)를 통과하는 물의 급격한 흐름을 일부 차단하므로 충분한 자화처리과정을 통해 완벽한 육각수로 전환되게 한다.
한편, 서브 하우징(12)에 내장 설치되는 서브 자화수기(30)는 메인 자석봉(25)과의 사이에 새로운 자기장을 형성하므로 메인 하우징(10)의 내벽에 인접하여 흐르는 물이 제대로 자화처리되지 못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서브 자화수기(30)는, 도 11에서와 같이 메인 하우징(10)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자석봉 홀더링(31)의 사이에 각각의 메인 자석봉(25)과 대응하여 1조를 이루면서 새로운 자기장을 발생하게 되는 다수의 서브 자석봉(35)이 방사상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다.
자석봉 홀더링(31)의 중앙에는 메인 하우징(10)의 외측에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경과 동일한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서브 자석봉(35)의 선단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구(2)가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3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므로 서브 하우징(12)의 내부에 고정상태로 내장 설치된다.
따라서, 메인 자석봉(25)과 서브 자석봉(35)은 도 11 및 도 13에서와 같이 메인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1조를 이루면서 상호 간에 새로운 자기장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벽에 인접하는 구역을 흐르는 물마저도 빠짐없이 자화처리함으로써 메인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자기장의 사각지대가 전혀 존재하지 않고 전체 영역에서 자기장이 발생함에 따라 더욱 원활하게 육각수를 제조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관로(1a) 내의 녹이나 스케일을 확실하게 제거함은 물론 이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메인 자석봉(25)과 서브 자석봉(35)은 실린더(25-1)의 양측 선단에 엔드블럭(25-2)이 막음 설치되므로 상기 엔드블럭에 체결구(2)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다수의 영구자석(25-3) 및 철 등의 자성을 갖는 금속편(25-4)이 상호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금속편이 영구자석에 부착되면서 자력을 더욱 증폭시켜 주게 된다.
더욱이 자력이 증폭되는 영구자석(25-3)들은, 금속편(25-4)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극성(NN, SS)으로 마주하도록 배치하므로 상기 영구자석들은 자력에 의해 금속편의 양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척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금속편(25-4)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극성으로 마주함으로써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메인 하우징(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자력이 미치는 영역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자력증폭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메인 자석봉(25)과 서브 자석봉(35)은 도 13에서와 같이 메인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상호 동일한 극성으로 마주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메인 자석봉과 서브 자석봉은 척력에 의해 상호 간에 매우 조밀한 새로운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자화 및 자력을 더욱 극대화한다.
그리고, 메인 자석봉(25)과 서브 자석봉(35)은 동일한 극성으로 마주하게 배치되어도 각각 자석봉 홀더판(21)과 자석봉 홀더링(31)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 설치되므로 척력이 작용함에도 밀리지 않고 항상 일정한 정위치를 고수함에 따라 새로운 자기장의 발생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메인 하우징(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빠짐없이 자화처리를 통해 육각수로 전환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메인 자석봉(25)과 서브 자석봉(35)은 메인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상호 반대 극성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메인 자석봉과 서브 자석봉은 인력에 의해 상호 간에 매우 조밀한 새로운 자기장을 발생하여 자화 및 자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육각수 제조기(M1)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제거 및 갱생공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플랜지 접합공정( S100 )
본 공정은,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물인 노후 된 관로(1)의 일정구간을 절단하고 절단부위에 육각수 제조기(M1)를 연결설치하기 위해 플랜지(100)(100a)를 각각 부착하는 공정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노후 된 관로(1)의 일정구간을 절단한 다음, 도 2에서와 같이 절단부위의 마주하는 각 단에는 용접작업 등을 통해 플랜지(100)(100a)를 일체로 접합하고, 상기 플랜지들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공을 형성한다.
2) 육각수 제조기 설치공정( S200 )
본 공정은 플랜지(100)가 접합된 관로(1)에 육각수 제조기(M1)를 연결 설치하는 공정으로, 상기 플랜지에는 육각수 제조기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플랜지(14)를 일체로 연결한다.
이러한 육각수 제조기(M1)는, 양단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서브 하우징(12)이 일체로 형성된 이중 재킷형태의 메인 하우징(10)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 내장 설치되며 이격된 한 쌍의 자석봉 홀더판(21)의 사이에 다수의 메인 자석봉(25)이 방사상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 메인 자화수기(20)와, 상기 서브 하우징에 내장 설치되며 메인 하우징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봉 홀더링(31)의 사이에 각각의 상기 메인 자석봉과 대응하여 1조를 이루는 다수의 서브 자석봉(35)이 방사상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 서브 자화수기(30)로 구성된다.
따라서, 관로(1)를 따라 흐르는 물은 자연적으로 육각수 제조기(M1)의 내부로 유도된 후 상기 육각수 제조기의 내부에 발생하는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자화되어 육각수로 전환된다.
그리고, 관로(1)에 육각수 제조기(M1)의 설치가 완료되더라도 상기 육각수 제조기와 타측 관로(1a)의 사이에는 충분한 작업공간(110)이 확보되므로 이 작업공간을 통해 관로(1a)의 내부로 육각수와 압축공기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게 된다.
3) 에어 충격발생기 장착공정( S300 )
본 공정은, 관로(1)에 일체로 연결설치된 육각수 제조기(M1)의 타측 연결플랜지(14a)와 관로(1a)의 플랜지(100a)에 각각 에어 충격발생기(200)의 입수라인(203) 과 출수라인(204)을 일체로 연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 적용되는 에어 충격발생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연결되는 에어관(201)과, 상기 에어관의 선단에 연결설치되는 T형상의 분기 티(202)와, 상기 분기 티의 양단에 각각 통수가능하게 연결되는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의 선단에 각각 부설되는 장착플랜지(205)를 구비하여 된다.
따라서 입수라인(203)의 장착플랜지(205)는 육각수 제조기(M1)의 연결플랜지(14a)에 출수라인(204)의 장착플랜지(205)는 관로(1a)의 플랜지(100a)에 각각 연결하면, 상기 육각수 제조기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육각수는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을 경유하여 스케일을 제거하고자 하는 관로(1a)의 내부로 공급된다.
4) 스케일 제거공정( S400 )
본 공정은, 에어 충격발생기(200)를 가동하여 스케일을 제거하고자 하는 관로(1a)의 내부로 육각수와 함께 병행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수압에 의해 육각수 제조기(M1)를 통과하면서 자화되어 생성된 육각수가 입수라인(203)과 분기 티(202)와 출수라인(204)을 거쳐 관로(1a)로 공급되게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 충격발생기(200)를 간헐적으로 가동하여 상기 분기 티를 통과하는 육각수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육각수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고, 이러한 과정에서도 상기 분기 티를 통과하는 육각수는 계속 관로로 공급되게 흐르고 있기 때문에 압축공기가 육각수에 공급되어 공기층이 형성되어도 육각수는 공기층과 함께 관로(1a)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공기층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지속적인 충격으로 스케일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육각수에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교호로 형성되는 육각수층(210)과 압축공기층(220)이 도 5에서와 같이 관로(1a)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공기층에 의한 수축, 팽창으로 관로에 지속적인 충격을 가하면서 녹이나 스케일 등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배출시킨다.
더욱이, 육각수는 자체적으로 녹이나 스케일의 제거 및 예방의 기능을 보유함으로써 일반적인 물에 비하여 스케일의 제거능력이 더욱 탁월하면서도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게 된다.
5) 에어 충격발생기 탈거공정( S500 )
상기한 스케일 제거공정을 통해 관로(1a)의 스케일 제거와 갱생이 완료되면, 관로(1)(1a)를 통해 정상적인 물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육각수 제조기(M1) 와 관로(1a)로부터 에어 충격발생기(200)의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을 완전하게 탈거한다.
6) 레듀셔관 마감설치공정( S600 )
에어 충격발생기(200)를 탈거하면 관로(1)에는 육각수 제조기(M1)가 그대로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육각수 제조기와 관로(1a)의 사이에는 작업공간(110)이 그대로 남게 되므로 상기 작업공간을 누수를 방지하면서 정상적인 물공급이 가능하게 통수마감처리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육각수 제조기(M1)의 연결플랜지(14a)와 관로(1a)의 플랜지(100a)의 사이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레듀셔관(15)을 연결 설치함으로써 상기 관로들과 육각수 제조기의 원활한 통수가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육각수 제조기(M1)는, 관로(1)에 설치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관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자화시켜 육각수로 전환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여 관로(1a)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은, 도 15 내지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한 배경기술에 기재된 본 발명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특허등록 제735812호)에서 이미 공지된 육각수 제조기(M2)를 접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은, 수도미터기(5)의 출수구(5a)에 제1 커넥팅관(300)을 매개로 육각수 제조기(M2)의 일측을 일체로 연결하는 육각수 제조기 설치공정(S10)과, 상기 육각수 제조기의 타측과 상수관(6)에 각각 에어 충격발생기(200)의 에어관(201) 선단에 양측으로 연결된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을 연결하는 에어 충격발생기 장착공정(S20)과, 상기 에어 충격발생기를 가동하여 육각수 제조기를 통과하면서 자화되어 생성된 육각수와 압축공기를 출수라인을 통해 교호로 단락되게 상수관에 공급하여 스케일을 제거, 배출하는 스케일 제거공정(S30)과, 상기 상수관의 스케일 제거가 완료된 후 에어 충격발생기의 입수라인과 출수라인을 육각수 제조기와 상수관으로부터 탈거하는 에어 충격발생기 탈거공정(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에어 충격발생기 탈거공정(S40)이 완료된 후에는, 육각수 제조기(M2)의 타측과 상수관(6)의 사이에 제2 커넥팅관(310)을 마감으로 연결설치하는 커넥팅관 마감설치공정(S50)을 추가로 시행한다.
따라서, 육각수 제조기(M2)는 제1 커넥팅관(300)과 상수관(6)의 사이에 일체화 설치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수도미터기(5)를 통과한 물을 자화시켜 육각수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수관(6)의 스케일 형성을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M1, M2: 육각수 제조기 1, 1a: 관로
5: 수도미터기 6: 상수관
10: 메인 하우징 12: 서브 하우징
13: 레듀셔부 20: 메인 자화수기
21: 자석봉 홀더판 21-2: 고정부
21-3: 지지돌기 21-4: 차수판
21-6: 통수로 25: 메인 자석봉
25-1: 실린더 25-3: 영구자석
25-4: 금속편 30: 서브 자화수기
31: 자석봉 홀더링 35: 서브 자석봉
100, 100a: 플랜지 200: 에어 충격발생기
203: 입수라인 204: 출수라인
300: 제1 커넥팅관 310: 제2 커넥팅관

Claims (8)

  1. 노후 된 관로(1)(a)의 절단부위 양단에 각각 플랜지(100)(100a)를 접합하는 플랜지 접합공정(S100)과;
    양단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서브 하우징(12)이 일체로 형성된 이중 재킷형태의 메인 하우징(10)과, 상기 메인 하우징(10)에 내장 설치되며 이격된 한 쌍의 자석봉 홀더판(21)의 사이에 다수의 메인 자석봉(25)이 방사상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 메인 자화수기(20)와, 상기 서브 하우징(12)에 내장 설치되며 메인 하우징(10)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봉 홀더링(31)의 사이에 각각의 메인 자석봉(25)과 대응하여 1조를 이루는 다수의 서브 자석봉(35)이 방사상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 서브 자화수기(30)로 구성되는 육각수 제조기(M1)의 일측 연결플랜지(14)를 상기 관로(1)의 플랜지(100)에 일체로 연결하는 육각수 제조기 설치공정(S200)과;
    상기 육각수 제조기(M1)의 타측 연결플랜지(14a)와 관로(1a)의 플랜지(100a)에 각각 에어 충격발생기(200)의 에어관(201) 선단에 양측으로 연결된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을 연결하는 에어 충격발생기 장착공정(S300)과;
    상기 육각수 제조기(M1)를 통과하면서 자화되어 생성된 육각수가 입수라인(203)과 에어관(201)의 선단을 거쳐 출수라인(204)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에어 충격발생기(200)를 간헐적으로 가동하여 압축공기를 육각수에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출수라인(204)을 통해 교호로 단락되게 관로(1a)에 공급하여 스케일을 제거, 배출하는 스케일 제거공정(S400)과;
    상기 관로(1a)의 스케일 제거가 완료된 후 에어 충격발생기(200)의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을 육각수 제조기(M1)와 관로(1a)로부터 탈거하는 에어 충격발생기 탈거공정(S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충격발생기(200)의 간헐적인 가동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육각수와 압축공기는 관로(1a)의 내부에서 육각수층(210)과 압축공기층(220)을 교호로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충격발생기 탈거공정(S500)이 완료된 후, 육각수 제조기(M1)의 연결플랜지(14a)와 관로(1a)의 플랜지(100a)의 사이에는 레듀셔관(15)을 마감으로 연결설치 하는 레듀셔관 마감설치공정(S6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수 제조기 설치공정(S200)에 적용되는 육각수 제조기(M1)의 자석봉 홀더판(21)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의 지지살(21-1)에 방사상으로 메인 자석봉(25)이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1-2)의 외측 선단에는 메인 하우징(10)의 내벽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돌기(2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살(21-1)의 중앙에는 고정부(21-2)와 다수의 연결살(21-5)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된 차수판(21-4)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돌기(21-3)의 사이사이와 연결살(21-5)의 사이사이에는 통수로(2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수 제조기 설치공정(S200)에 적용되는 육각수 제조기(M1)의 자석봉 홀더링(31)은, 메인 하우징(10)의 외측에 끼워지는 관통공(31-1)이 중앙에 형성되고, 서브 자석봉(35)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체결구(2)가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31-2)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충격발생기 장착공정(S300)에 적용되는 에어 충격발생기(200)는, 에어관(201)의 선단에 분기 티(202)가 설치되고, 상기 분기 티(202)의 양측에 각각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이 통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의 선단에는 장착플랜지(20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7. 수도미터기(5)의 출수구(5a)에 제1 커넥팅관(300)을 매개로 공지된 육각수 제조기(M2)의 일측을 일체로 연결하는 육각수 제조기 설치공정(S10)과;
    상기 육각수 제조기(M2)의 타측과 상수관(6)에 각각 에어 충격발생기(200)의 에어관(201) 선단에 양측으로 연결된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을 연결하는 에어 충격발생기 장착공정(S20)과;
    상기 육각수 제조기(M2)를 통과하면서 자화되어 생성된 육각수가 입수라인(203)과 에어관(201)의 선단을 거쳐 출수라인(204)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에어 충격발생기(200)를 간헐적으로 가동하여 압축공기를 육각수에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출수라인(204)을 통해 교호로 단락되게 상수관(6)에 공급하여 스케일을 제거, 배출하는 스케일 제거공정(S30)과;
    상기 상수관(6)의 스케일 제거가 완료된 후, 에어 충격발생기(200)의 입수라인(203)과 출수라인(204)을 육각수 제조기(M2)와 상수관(6)으로부터 탈거하는 에어 충격발생기 탈거공정(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충격발생기 탈거공정(S40)이 완료된 후, 상기 육각수 제조기(M2)의 타측과 상수관(6)의 사이에는 제2 커넥팅관(310)을 마감으로 연결설치하는 커넥팅관 마감설치공정(S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KR1020100004029A 2010-01-15 2010-01-15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KR10114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029A KR101140609B1 (ko) 2010-01-15 2010-01-15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029A KR101140609B1 (ko) 2010-01-15 2010-01-15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011A KR20110084011A (ko) 2011-07-21
KR101140609B1 true KR101140609B1 (ko) 2012-05-02

Family

ID=4492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029A KR101140609B1 (ko) 2010-01-15 2010-01-15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14B1 (ko) * 2012-06-29 2013-02-15 신희종 자화수를 이용한 배관 내부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527369B1 (ko) * 2022-10-18 2023-04-28 주식회사 제이엠 상수도관 금속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27Y1 (ko) 2000-03-30 2000-08-16 주식회사유한 자기 유도식 수처리 장치
KR100519908B1 (ko) 2003-07-22 2005-10-12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KR20090076736A (ko) * 2008-01-09 2009-07-13 이주철 자화처리기
KR20090111089A (ko) * 2008-04-21 2009-10-26 김창곤 관로 세척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27Y1 (ko) 2000-03-30 2000-08-16 주식회사유한 자기 유도식 수처리 장치
KR100519908B1 (ko) 2003-07-22 2005-10-12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KR20090076736A (ko) * 2008-01-09 2009-07-13 이주철 자화처리기
KR20090111089A (ko) * 2008-04-21 2009-10-26 김창곤 관로 세척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011A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67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140609B1 (ko) 육각수 제조기를 이용한 관로의 스케일 제거 및 갱생공법
KR20100102969A (ko) 터빈 설비의 윤활계통 오일여과 장치
KR101232646B1 (ko) 이온 스케일 부스터
CN205236166U (zh) 免拆洗浆料高梯度磁选机
CN102078725B (zh) 一种矿井用水磁质过滤装置
KR20120046363A (ko) 플러싱밸브를 이용한 상수도관 청소방법
CN210701529U (zh) 一种管道清理装置
CN116442049B (zh) 一种镀锌锚杆紧固件毛刺清除设备
KR100468926B1 (ko) 자화활성수의 제조장치
CN207996843U (zh) 一种带涡轮结构的自清洗喷射装置
CN110918436A (zh) 一种混凝土清洗滚筒分离机的分离系统
JP2017013038A (ja) 空撃およびナノバブルによる洗浄装置
CN102218371A (zh) 高磁场强度自动清洁的管道除铁器
CN202028464U (zh) 高磁场强度自动清洁的管道除铁器
KR101123673B1 (ko) 이온 스케일 부스터
JP4585194B2 (ja) 配管洗浄方法
CN101890416A (zh) 钢管内壁清洗装置
CN114480761B (zh) 高炉软水闭路循环冷却系统及方法
KR100518811B1 (ko) 철분 및 철산화물 제거기능을 갖는 필터 프레스 탈수장치
CN110577296A (zh) 一种膜过滤法净水装置
CN210356201U (zh) 一种矿用反冲洗水质过滤器
CN110006061B (zh) 一种化工生产用蒸汽管道打靶装置
CN212999028U (zh) 一种喷水除尘装置
CN210849846U (zh) 用于钢筋除锈抛丸机的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