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313B1 -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 Google Patents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313B1
KR101140313B1 KR1020100027060A KR20100027060A KR101140313B1 KR 101140313 B1 KR101140313 B1 KR 101140313B1 KR 1020100027060 A KR1020100027060 A KR 1020100027060A KR 20100027060 A KR20100027060 A KR 20100027060A KR 101140313 B1 KR101140313 B1 KR 10114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cattering
air
vehicle
scatter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902A (ko
Inventor
조규백
김학준
김용진
한방우
박경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31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에 정박한 선박에서 곡물과 같이 다량의 비산먼지를 발생하는 하역물을 호퍼 또는 밀폐공간의 창고에 하역시 발생된 비산먼지에 의하여 주변환경의 오염으로 민원의 발생을 줄이고, 창고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비산된 먼지를 집진하는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본 발명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은, 선박에 선적된 다량의 비산먼지를 발생하는 하역물을 크레인에 설치되어 있는 버켓으로 사용하여 하역하는 항만용 호퍼와,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하역하는 창고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용 차량과; 상기 차량의 일측에 탑재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산먼지를 하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호퍼 또는 창고의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 중의 비산먼지를 다량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공급하여 하전시키는 탄소섬유를 이용한 하전부와; 상기 하전부에서 하전된 비산먼지를 집진하는 다수의 집진판으로 이루어진 집진부와; 상기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로 여과시키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배출구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FLY DUST COLLECTOR OF VEHICLE FOR PORT}
본 발명은 항만에 정박한 선박에서 곡물과 같이 다량의 비산먼지를 발생하는 하역물을 호퍼 또는 밀폐공간의 창고에 하역시 발생된 비산먼지에 의하여 주변환경의 오염으로 민원의 발생을 줄이고, 창고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비산된 먼지를 집진하는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사료, 비료 등은 선박을 이용하여 수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선박을 이용하여 수입되는 곡물, 사료, 비료 등(이하, '하역물'이라 칭함)은 보통 크레인에 설치되어 있는 버켓을 사용하여 항만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호퍼로 이동시키는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며, 상기 호퍼에 이동되어 적재된 곡물, 사료, 비료 등은 이송용 차량에 이송적재되어 수요처에 이송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만에 호퍼(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1)에는 선박(2)으로부터 수입되는 곡물과 같은 하역물을 적재 보관하여 이동수단인 하역물차량(5)을 이용하여 수요처에 이송된다. 상기 선박(2)으로 수입되는 하역물은 항만에 설치되어 있는 버켓(4)이 구비된 크레인(3)을 이용하여 호퍼(1)로 이송한다.
상기와 같은 버켓(4)을 사용하여 선박(2)에 실려있는 하역물을 호퍼(1)로 이동시키는 하역작업은 버켓(4)에 적재된 하역물을 호퍼(1)의 개구부에 쏟아부을 때 가장 많은 다량의 비산먼지(a) 및/또는 악취를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하는 다량의 비산먼지 및/또는 악취는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역작업시 발생하는 다량의 비산먼지 및/또는 악취에 의하여 항만 주위에 주거하는 주민들로부터 빈번하게 민원이 제기되며, 이러한 민원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환경오염 발생을 억제하며 하역작업을 하여야 함으로써 하역작업시 많은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역작업시 많은 먼지를 발생시키는 하역물인 경우에는 최근에 도 2와 같이 돔 시설이 이루어진 컨베이어(7)를 사용하여 밀폐된 창고(6)로 이송하여 하역하고, 상기 창고에 이송(하역)된 하역물차량(5)에 적재되어 수요처에 공급된다.
그러나, 밀폐된 창고(6)의 내부는 하역된 하역물에 의한 비산먼지(a)로 오염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동시에 건강을 해하게 된다.
만일, 밀폐된 창고(6) 내의 비산먼지(a)를 제거하기 위하여 환풍기를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어 항만의 주변공기를 오염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어, 환풍기를 사용하여 비산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많은 먼지를 발생시키는 하역물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항만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호퍼에 하역하지 못하고, 하역작업시 비산먼지를 줄이도록 함으로써 하역시간이 길어지고, 하역비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이동하면서 비산되는 다량의 먼지를 집진할 수 있도록 하여 항만에 정박한 선박에 적재된 하역물 중 하역시 다량의 먼지를 발생하는 하역물을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호퍼에 하역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밀폐된 창고에서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은, 선박에 선적된 다량의 비산먼지를 발생하는 하역물을 크레인에 설치되어 있는 버켓으로 사용하여 하역하는 항만용 호퍼와,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하역하는 창고에 사용할 수 있도록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이동용 차량과; 상기 차량의 일측에 탑재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산먼지를 하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호퍼 또는 창고의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 중의 비산먼지를 다량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공급하여 하전시키는 탄소섬유를 이용한 하전부와; 상기 하전부에서 하전된 비산먼지를 집진하는 다수의 집진판으로 이루어진 집진부와; 상기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집진부에 설치된 다수의 집진판은 집진된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몸체에서 탈부착되고, 하전된 비산먼지와 반대 극성을 가진다.
상기 몸체에는 이격되게 집진판이 설치되도록 다수의 가이드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받침대에서 분리된 집진판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덮개판이 설치된다.
상기 유입구에는 호퍼 또는 창고의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공급되도록 연결관이 설치되며, 상기 호퍼에는 비산먼지가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판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의 일측에 연결관이 설치된다.
상기 유입구 또는 배출구 중 어느 한곳에는 공기가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하전부에는 다량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공급하여 공기 중의 비산먼지를 하전시키는 전기를 공급받아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공급하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전하공급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전하공급장치는 차량의 일측에 설치된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은, 이동하는 차량에 비산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비산먼지를 하전시킨 후 하전된 비산먼지와 반대 극성을 가지는 집진판으로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가 탑재되어 항만에 설치되어 있는 호퍼와 창고에 각각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이동하여 호퍼 또는 창고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호퍼 또는 창고에 각각 설치되지 않고 하나의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으로 다수의 호퍼 또는 창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먼지 집진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하역작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산먼지를 하전한 후 하전된 비산먼지와 반대 극성을 띄는 집진판으로 집진함으로써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다시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시킴으로써 비산먼지에 의한 주변공기의 오염을 방지하여 민원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창고 내의 비산먼지에 의한 오염농도를 낮추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전부에서는 탄소섬유를 이용하여 다량의 전하(이온)를 공급함으로써 전하(이온)발생시 오존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공장의 내부에서도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집진판이 세척이 용이하도록 슬립형태로 형성되어 분리됨으로써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실시중에 있는 항만용 호퍼에 하역작업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에 실시중에 있는 항만용 창고에 하역작업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을 이용하여 항만용 호퍼에 하역작업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인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을 이용하여 항만용 창고에 하역작업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의 전기집진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의 하전부와 집진부의 작동상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의 집진부의 상세 개략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같이 항만에는 선박(2)으로부터 수입되는 곡물과 같은 하역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보통 버켓(4)이 구비된 크레인(3)을 이용하여 선박(2) 선적된 하역물을 항만에 설치되어 있는 호퍼(1)에 이송하고, 호퍼(1)로 이송되어 하역된 하역물은 이송수단인 하역물차량(5)으로 적재되어 수요처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크레인(3)에 구비된 버켓(4)을 이용하여 선박(2)에 선적된 하역물을 호퍼(1)에 하역작업을 할 경우 다량의 먼지가 비산하여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도 2와 같이 항만에는 선박(2)으로부터 수입되는 곡물과 같은 하역물을 도 1과 같이 하역작업을 할 경우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창고로 하역작업을 한다.
이와 같이 하역작업을 하게 되면, 창고 내에 비산된 많은 먼지가 창고 내에 존재함으로써 작업자에 많은 피해를 주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버켓(4)을 이용하여 호퍼(1)에 하역작업을 하거나, 또는 도 2와 같이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창고에 하역작업을 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인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은, 크게 엔진이 탑재되어 이동가능한 차량(10)과, 상기 차량(10)에 탑재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산된 먼지를 하전하여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10)은 이동이 용이하여 도 3과 같이 호퍼(1)나, 도 4와 같이 창고(6)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호퍼(1)에 사용하던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을 이동시켜 창고(6)에 사용할 경우 엔진이 탑재된 차량을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10)에는 전기집진장치(20)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다량의 전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원공급장치(270)가 설치된다.
상기 전기집진장치(20)는 곡물과 같은 하역물을 하역시킬 때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집진하여 비산먼지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전기집진장치(20)는 차량(10)에 탑재되며, 비산먼지가 포함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0)와, 상기 유입구(210)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산먼지를 하전시키는 다량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발생시키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전하공급장치가 설치된 하전부(220)와, 상기 하전부(220)를 통과하여 하전된 비선먼지를 집진하는 다수의 집진판(231)으로 이루어진 집진부(230)와, 상기 집진부(230)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여과부(240)와, 상기 여과부(240)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순환장치(260)가 설치된 배출구(250)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210)에는 도 3과 같이 호퍼(1)의 상부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의 유입구(210)에 설치되는 연결관(211)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211)은 호퍼(1)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차단판(212)에 설치된다. 상기 호퍼(1)의 상부에 설치된 차단판(212)은 비산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입구(210)에는 도 6과 같이 유입되는 공기가 하전부(220)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되는 공기가 분산되는 챔버부(210a)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211)으로 공급되는 다량의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유입구(210)로 유입되고, 챔버부(210a)에서 분산되어 하전부(220)에 골고루 유입된다.
상기 하전부(220)는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비산먼지를 하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하전부(220)에는 탄소섬유 이온발생기(221)로 이루어진 전하공급장치가 설치된다.
즉, 도 6과 같이 하전부(220)에는 다수의 구획판(222)이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222)으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전하(이온)를 발생시키는 탄소섬유 이온발생기(221)가 설치되고, 상기 탄소섬유 이온발생기(221)는 전원공급장치(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27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로 다량의 양(+)전하(이온) 또는 음(-)전하(이온)를 발생하는 전하공급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구획판(222)은 보통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하전부(220)는 도 7과 같이 전원공급장치(27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하여 탄소섬유 이온발생기(221)에서 다량의 양(+)전하를 공급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산먼지(a)를 하전된 비산먼지(b)로 만든다.
도 7은 탄소섬유 이온발생기(221)에서 다량의 양(+)전하를 공급하는 것을 예로 하였다.
상기 집진부(230)는 앞서 설치되어 있는 하전부(220)를 통과하여 하전된 비산먼지(b)를 집진하여 오염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만드는 것으로, 상기 집진부(230)에는 전기집진장치(20)의 몸체(21)에서 분리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집진판(23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진판(231)은 전원공급장치(270)에 하전부(220)의 탄소섬유 이온발생기(221)와 반대의 극에 연결된다. 즉, 하전된 비산먼지(b)와 반대의 극성을 띄도록 연결된다.
실시예인 도 7과 같이 상기 집진부(230)는 하전부(220)에서 발생된 양(+)전하로 하전된 하전된 비산먼지(b)와 반대의 극성인 음(-) 극을 띄어 하전된 비산먼지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집진판(231)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몸체(21)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가이드 받침대(232)의 설치홈에 슬라이드(슬립) 되도록 설치되어 몸체(21)에서 탈,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집진판(231)에 집진된 먼지의 제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집진판(231)에 집진된 먼지의 제거시 도 8과 같이 몸체(21)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판(233)을 열고, 집진판(231)은 가이드 받침대(232)에서 슬라이딩시켜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한 후 세척장치 등을 사용하여 집진판(231)에 집진된 비산먼지를 제거한다.
상기 여과부(240)는 집진부(230)를 통과하여 공기 중에 미세하게 남아 있는 비산먼지를 포집하여 공기를 여과시키는 것으로, 여과부(240)에는 필터(2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241)는 보통 백필터를 사용한다.
상기 공기순환장치(260)는 공기가 유입구(210)로 유입되어 배출구(250)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유입구(210) 또는 배출구(250) 쪽 어는 한 곳 또는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순환장치(260)는 보통 송풍기, 휀 등이 사용된다.
1 : 호퍼 2 : 선박
3 : 크레인 4 : 버켓
5 : 하역물차량 6 : 창고
7 : 컨베이어
A : 전기집진차량 a, b : 비산먼지
10 : 차량 20 : 전기집진장치
210 : 유입구 220 : 하전부
230 : 집진부 240 : 여과부
250 : 배출구 260 : 공기순환장치

Claims (10)

  1. 선박에 선적된 다량의 비산먼지를 발생하는 하역물을 크레인에 설치되어 있는 버켓으로 사용하여 하역하는 항만용 호퍼와,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하역하는 창고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용 차량(10)과;
    상기 차량(10)의 일측에 탑재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산먼지를 하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20)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집진장치(20)는,
    비산먼지가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판(212)과 상기 차단판(212)의 일측에 설치되어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연결관(211)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관(211)으로 안내되는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되는 공기가 분산되는 챔버부(210a)가 형성된 유입구(210)와;
    상기 유입구(210)로 유입된 공기 중의 비산먼지를 탄소섬유를 이용하여 다량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공급하여 하전시키는 다수의 구획판(222)이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222)으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는 탄소섬유 이온발생기(221)로 이루어진 하전부(220)와;
    상기 하전부(220)에서 하전된 비산먼지를 집진하는 다수의 집진판(231)으로 이루어진 집진부(230)와;
    상기 집진부(230)의 후단에 설치된 필터를 이용한 여과부(240)와;
    상기 여과부(240)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50)와;
    상기 유입구(210) 또는 배출구(250) 중 어느 한 곳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26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집진판(231)가 설치되는 몸체(21)에는 이격되게 집진판(231)이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받침대(232)와, 상기 가이드 받침대(232)의 설치홈에서 슬라이드되어 분리되는 집진판(231)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덮개판(23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231)은 하전된 비산먼지와 반대 극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220)에는 다량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공급하여 공기 중의 비산먼지를 하전시키는 전기를 공급받아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공급하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전하공급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공급장치는 차량(10)의 일측에 설치된 전원공급장치(27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27060A 2010-03-26 2010-03-26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KR10114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060A KR101140313B1 (ko) 2010-03-26 2010-03-26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060A KR101140313B1 (ko) 2010-03-26 2010-03-26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902A KR20110107902A (ko) 2011-10-05
KR101140313B1 true KR101140313B1 (ko) 2012-05-02

Family

ID=4502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060A KR101140313B1 (ko) 2010-03-26 2010-03-26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632B1 (ko) 2019-05-21 2019-10-28 박재준 차량 탑재용 미세먼지 집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2615A (zh) * 2017-10-30 2019-01-04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水泥装车作业通风除尘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74Y1 (ko) 2005-04-12 2005-08-24 (주)동해기계 비산먼지방지용 모바일 벌크 호퍼
KR100511159B1 (ko) * 1999-09-17 2005-08-31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터널굴착공사용 전기 집진기, 이를 재치한 차량 및 터널굴착공사에 있어서의 분진포집방법
KR100614837B1 (ko) 2003-10-17 2006-08-25 고경원 백 필터가 구비된 집진기를 이용한 미분말 벌크화물해상운송 방법
KR100859840B1 (ko) * 2007-05-14 2008-09-23 한국기계연구원 토출구측에 이온발생기가 장착된 전기집진방식의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159B1 (ko) * 1999-09-17 2005-08-31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터널굴착공사용 전기 집진기, 이를 재치한 차량 및 터널굴착공사에 있어서의 분진포집방법
KR100614837B1 (ko) 2003-10-17 2006-08-25 고경원 백 필터가 구비된 집진기를 이용한 미분말 벌크화물해상운송 방법
KR200393574Y1 (ko) 2005-04-12 2005-08-24 (주)동해기계 비산먼지방지용 모바일 벌크 호퍼
KR100859840B1 (ko) * 2007-05-14 2008-09-23 한국기계연구원 토출구측에 이온발생기가 장착된 전기집진방식의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632B1 (ko) 2019-05-21 2019-10-28 박재준 차량 탑재용 미세먼지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902A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21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er bed unloading and loading
KR101029475B1 (ko) 항만용 비산먼지 발생 억제장치
EP2208539A4 (en) AIR TREATMENT DEVICE
KR101140313B1 (ko) 항만용 비산먼지 전기집진차량
CN103657274A (zh) 一种烟气输灰与过滤相结合的除尘系统
CN205526316U (zh) 一种除尘式螺旋输送机
CN103754654B (zh) 一种导料装置及斗轮机
CN206358806U (zh) 清洁高效的污泥提升输送与回料装置
CN103394465A (zh) 一种除尘器
CN109761072B (zh) 受料仓装置
CN206454768U (zh) 一种低噪音无尘型一体化破碎装置
CN205633864U (zh) 一种皮带运输机静电抑尘装置
CN210994675U (zh) 一种具有烘干作用的建筑废料处理装置
CN103086167B (zh) 一种卸货系统
CN203356175U (zh) 一体化生物干化装置
CN206434958U (zh) 一种重力除尘器及具有其的粉罐集中除尘系统
CN214763970U (zh) 一种散货自循环免维护除尘漏斗
CN219008702U (zh) 一种散料装卸用无尘料斗
CN210480274U (zh) 一种粉末上料装置
CN220244902U (zh) 一种水泥物料卸车系统
KR20170083676A (ko) 실시간 비산먼지 발생 억제장치
CN203343083U (zh) 一种除尘器
CN203737032U (zh) 一种新型高效电袋复合式除尘器
CN203095197U (zh) 一种卸货系统
RU2794309C1 (ru) Аспирационная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баз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