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127B1 -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0127B1 KR101140127B1 KR1020110131431A KR20110131431A KR101140127B1 KR 101140127 B1 KR101140127 B1 KR 101140127B1 KR 1020110131431 A KR1020110131431 A KR 1020110131431A KR 20110131431 A KR20110131431 A KR 20110131431A KR 101140127 B1 KR101140127 B1 KR 1011401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window
- vertical frame
- glass
- glass wind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풍에 의해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리창문(20)의 실내측(10) 좌측벽(12)과 우측벽(14)을 가로지르는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행거(40)(42)(44)(46)를 좌측벽(12)과 우측벽(14)에 설치하고,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링(41)(43)(45)(47)을 파이프행거(40)(42)(44)(46)의 외측에 결합하며, 유리창문(20)의 실내측(10)에서 좌우방향으로 펼치거나 접기 위한 복수의 수직프레임(50)을 신축이 자유로운 팬터그래프기구(60)에 의해 연결하고,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에 미끄럼결합되어 수직프레임(50)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시(52)(54)를 수직프레임(50)의 상하단에 설치하며, 수직프레임(50)과 유리창문(20) 사이에 위치되어 유리판(22)을 지지하는 지지패드(70)(72)를 수직프레임(50)에 탈부착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풍에 의해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펼쳐지거나 접히는 것이 자유롭게 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좌우측 벽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하여 강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시공되어 있는 유리창문은 창틀과의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강풍이 부는 경우 유리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면서 매우 큰 소음을 발생시켜 주거하는 사람에게 심한 불안을 주어 생활에 불편을 안길 뿐만 아니라 유리창문과 창틀의 내구성에도 영향을 미쳐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특히 해안가에 시공된 건출물의 경우 강한 태풍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유리창이 파손되어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부상을 입히거나 재산상의 피해를 끼치고 있으며, 건축물의 고층화로 인해 이러한 피해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에는 “건축물의 창문보호용 안전장치”(출원번호 제10-2005-0037261호,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1은 평철모양으로 된 4개의 링크 한쪽 단부를 각각 유리창문의 4군데 코너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시에는 회전시켜서 자유단이 유리창문의 정중앙에서 “X”자 모양으로 만나도록 한 다음 결합함으로써 “X”자 모양으로 유리창문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1은 링크가 회전지점에서만 외팔보 형태로 지지력을 얻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유리창의 중앙으로 향할수록 지지력이 급속하게 약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큰 보호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1은 유리창문에만 설치가 가능하여 강풍에 유리창문이 흔들리는 것을 여전히 해결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예로 “창문 유리 보호장치”(출원번호 제10-2004-0041269호, 이하 종래기술2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2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로운 신축성바의 상하단을 창틀의 상하부 홈에 끼워서 지지력을 얻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2는 통상 유리창문이 중앙의 큰창과 좌측 또는 우측의 작은 창 1개 내지 좌우양측의 작은 창 2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감안했을 때 신축성바를 끼울 수 있는 창틀의 홈이 큰창이 위치된 중앙부에만 노출되어 있을 뿐 좌우측 작은창이 위치된 곳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축성바를 중앙 유리창문이 위치된 창틀에만 제한적으로 끼울 수 있을 뿐 나머지 좌우측의 작은창이 위치된 창틀에는 끼울 수 없으므로 좌우측 작은창을 보호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2는 신축성바가 단순히 창틀에 끼워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풍에 유리창이 흔들리는 경우 신축성바가 좌우방향으로 넘어져 이탈되기 쉬우며, 충분한 지지력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개를 각기 개별적으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와 해체에 번거로움이 있었고, 신축성바가 창틀의 홈에서 지지력을 얻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신축성바의 휨강성을 높이더라도 창틀의 강성이 낮으면 더 이상 강성향상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기 때문에 강성 향상을 꾀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유리창문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동시에 유리창문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큰창과 작은창 모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탈의 염려를 덜 수 있으며,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고, 창틀보다 더 강한 지지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창문의 실내측 좌측벽과 우측벽을 가로지르는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행거를 좌측벽과 우측벽에 설치하고,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링을 파이프행거의 외측에 결합하며, 창틀의 실내측에서 좌우방향으로 펼치거나 접기 위한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신축이 자유로운 팬터그래프기구에 의해 연결하고,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에 미끄럼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시를 수직프레임의 상하단에 설치하며, 수직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위치되어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패드를 수직프레임에 탈부착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좌측벽과 우측벽에 설치된 파이프행거에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양단을 지지한 상태에서 바람에 의한 압력을 견디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창문을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를 파이프행거에 결합한 다음 이탈방지링을 파이프행거에 끼우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를 비롯하여 수직프레임 및 지지패드 그리고 유리판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패드가 탈/부착이 자유로운 분리형으로 되어 있으며, 유리창문을 구성하는 큰창과 작은창의 유리판과 수직프레임 간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지지패드를 수직프레임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큰창과 작은창 모두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유리창문을 지지하는 여러 개의 수직프레임이 팬터그래프기구에 모두 연결되어 있고, 수직프레임의 상하단이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옆으로 쓰러지거나 하는 이탈의 염려가 없이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시 수직프레임을 팬터그래프기구와 상부파이프 및 하부파이프에 의해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을 마친 후에는 접고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모든 수직프레임이 팬터그래프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프레임을 접거나 펼칠 때 좌우측에 위치된 수직프레임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좁히거나 벌리는 것에 의해 접고 펼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에 의해 좌측벽과 우측벽에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행거가 견디는 한도내에서 수직프레임의 강성을 얼마든지 크게 설정할 수 있어 설계를 자유도가 한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가 유리창문 앞에 펼쳐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실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가 유리창문 앞에 펼쳐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실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가 유리창문 앞에 펼쳐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가 파이프행거로부터 이탈된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과 지지패드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행거와 이탈방지링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가 유리창문 앞에 펼쳐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실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가 유리창문 앞에 펼쳐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가 파이프행거로부터 이탈된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과 지지패드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행거와 이탈방지링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문(20)의 실내측(10) 좌측벽(12)과 우측벽(14)을 가로지르는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행거(40)(42)(44)(46)를 좌측벽(12)과 우측벽(14)에 설치하고,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링(41)(43)(45)(47)을 파이프행거(40)(42)(44)(46)의 외측에 결합한다.
또, 파이프행거(40)(42)(44)(46)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12)과 우측벽(14)에 앵커볼트(도시생략)를 이용해서 고정하기 위한 앵커구멍(48h)을 갖는 플랜지(48)와, 이 플랜지(48)의 중앙에서 돌출형성되는 “C”자 형태의 단면모양을 갖는 파이프삽입부(49)로 이루어지며, 파이프삽입부(49)에 형성된 개방부(49g)는 상측에서 전방측으로 약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하여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를 삽입하기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행거(40)(42)(44)(46)에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삽입부(49)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내주면(43a)을 이탈방지링(41)(43)(45)(47)에 형성하며, 그 내주면(43a)의 일측에는 파이프삽입부(49)에 형성된 개방부(49g)로 진입되어 상부파이프(30) 또는 하부파이프(3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오목밀착면(43b)을 갖는 돌출부(43c)를 형성한다.
또한, 유리창문(20)의 실내측(10)에서 좌우방향으로 펼치거나 접기 위한 복수의 수직프레임(50)을 신축이 자유로운 팬터그래프기구(60)에 의해 연결하고,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에 미끄럼결합되어 수직프레임(50)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시(52)(54)를 수직프레임(50)의 상하단에 설치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50)과 유리창문(20) 사이에 위치되어 유리판(22)을 지지하는 지지패드(70)(72)를 수직프레임(50)에 탈부착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유리판(22)과 맞닿는 지지패드(70)(72)는 비교적 넓은 크기로 형성하고, 이 지지패드(70)(72)로부터 수직프레임(50)까지 이어지는 부분에는 평판형태의 허리부(75)를 형성한다.
또한, 지지패드(70)(72)에 형성되어 있는 허리부(75)에는 십자절개홈(73)을 갖는 탄성결합보스(74)를 형성하고, 수직프레임(50)에는 탄성결합보스(74)가 끼워지는 관통된 형태의 체결공(55)을 형성하며, 탄성결합보스(74)의 끝부분은 자연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공(55)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74h)를 형성한다.
한편, 수직프레임(50)의 테두리 윤곽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의 보강리브(56)를 형성하고, 수직프레임(50)에 좌우로 관통된 관통구멍(57)을 복수개 형성하여 경량화를 꾀한다.
또, 수직프레임(50)에는 팬터그래프기구(60)에 설치된 슬라이드핀(61)(62)이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수직장공(58a)(58b)을 상하부에 형성하며, 팬터그래프기구(60)는 교차핀(64)에 의해 교차링크(65)(66)를 “XXXX”자 모양으로 결합하여 좌우방향으로 접고 펴는 것이 자유롭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풍에 의해 유리창문(20)의 파손이나 흔들림이 예상되어 유리창문(20)을 보강하는 경우 먼저 유리판(22)에 밀착되는 지지패드(70)(72)를 수직프레임(50)에 부착하기 위해 지지패드(70)(72)의 허리부(75)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결합보스(74)를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55)을 향해 강제로 밀어넣게 되면, 탄성결합보스(74)에 형성되어 있는 십자절개홈(73)이 좁아지면서 탄성결합보스(74)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74h)가 체결공(55) 안으로 진입되며, 헤드부(74h)가 체결공(55)을 통과한 후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헤드부(74h)가 체결공(55)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지지패드(70)(72)의 자연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유리창문(20)이 도시예에서와 같이 중앙에 큰창과 좌우측에 2개의 작은창으로 이루어진 경우 키가 낮은 지지패드(70)는 좌우측 창에 위치시키기 위해 좌우측에 위치된 수직프레임(50)에 체결하고, 키가 큰 지지패드(72)는 중앙에 위치된 창에 위치시키기 위해 중앙에 위치된 3개의 수직프레임(50)에 체결한다.
이후 지지패드(70)(72)가 결합된 상태에서 밀착되게 접혀 있는 수직프레임(50)을 바닥에 눕힌 상태에서 수직프레임(50)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시(52)(54)로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를 삽입한 다음 가장 왼쪽에 위치된 수직프레임(50)를 손으로 잡고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가장 오른쪽에 위치된 수직프레임(50)를 손으로 잡고 우측으로 당기게 되면, 복수의 수직프레임(50)을 연결하고 있는 팬터그래프기구(60)가 펼쳐지면서 수직프레임(50)이 일정한 간격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수직프레임(50)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시(52)(54)가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를 따라 우측으로 직선운동되면서 수직프레임(50)을 우측방향으로 직선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팬터그래프기구(60)의 교차링크(65)(66) 상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핀(61)(62)은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장공(58a)(58b)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위와 같이 수직프레임(50)과 팬터그래프기구(60)를 좌우로 넓게 펼친 상태에서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단부에 이탈방지링(41)(43)(45)(47)을 끼운 다음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단부를 좌측벽(12)과 우측벽(14)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행거(40)(42)(44)(46)에 걸게 되면, 수직프레임(50)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패드(70)(72)가 유리창문(20)의 유리판(22)에 밀착된다.
이후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단부에 끼워져 있던 이탈방지링(41)(43)(45)(47)을 파이프행거(40)(42)(44)(46)를 향해 축방향으로 밀게 되면, 이탈방지링(41)(43)(45)(47)이 파이프행거(40)(42)(44)(46)에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삽입부(49)의 외측에 결합되어 이탈방지링(41)(43)(45)(47)의 파이프삽입부(49)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부(49g)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링(41)(43)(45)(47)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3c)가 개방부(49g)에 결합되고, 돌출부(43c) 끝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밀착면(43b)은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가 축의 직각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파이프행거(40)(42)(44)(46)에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삽입부(49)의 개방부(49g)가 전방측을 향해 약간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우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삽입이 훨씬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강풍이 지난 다음 유리창문(20)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을 해체하는 경우 이탈방지링(41)(43)(45)(47)을 축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이탈방지링(41)(43)(45)(47)이 파이프행거(40)(42)(44)(46)로부터 이탈되는데, 이때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를 상측으로 들게 되면,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 및 수직프레임(50), 팬터그래프기구(60)가 파이프행거(40)(42)(44)(46)로부터 분리된다.
그 다음 분리된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를 바닥에 놓고 좌우측의 수직프레임(50)을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밀게 되면, 수직프레임(50)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마름모꼴 형태인 팬터그래프기구(60)는 좌우폭은 좁아지고 상하높이는 높아지면서 수직프레임(50)이 일정한 간격으로 좁아지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후 수직프레임(50)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시(52)(54)로부터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를 인출하여 분리하게 되면,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수직프레임(50)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패드(70)(72)는 분리해도 되고 결합된 상태로 보관하여도 된다.
또, 좌측벽(12)과 우측벽(14)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행거(40)(42)(44)(46)는 비상시에 신속하게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된 상태로 둔다.
10 : 실내측 12 : 좌측벽
14 : 우측벽 20 : 유리창문
22 : 유리판 30 : 상부파이프
32 : 하부파이프 40,42,44,46 : 파이프행거
41,43,45,47 : 이탈방지링 43a : 내주면
43b : 오목밀착면 43c : 돌출부
48 : 플랜지 48h : 앵커구멍
49 : 파이프삽입부 49g : 개방부
50 : 수직프레임 52,54 : 슬라이드부시
55 : 체결공 56 : 보강리브
57 : 관통구멍 58a,58b : 수직장공
60 : 팬터그래프기구 61,62 : 슬라이드핀
64 : 교차핀 65,66 : 교차링크
70,72 : 지지패드 73 : 십자절개홈
74 : 탄성결합보스 74h : 헤드부
75 : 허리부
14 : 우측벽 20 : 유리창문
22 : 유리판 30 : 상부파이프
32 : 하부파이프 40,42,44,46 : 파이프행거
41,43,45,47 : 이탈방지링 43a : 내주면
43b : 오목밀착면 43c : 돌출부
48 : 플랜지 48h : 앵커구멍
49 : 파이프삽입부 49g : 개방부
50 : 수직프레임 52,54 : 슬라이드부시
55 : 체결공 56 : 보강리브
57 : 관통구멍 58a,58b : 수직장공
60 : 팬터그래프기구 61,62 : 슬라이드핀
64 : 교차핀 65,66 : 교차링크
70,72 : 지지패드 73 : 십자절개홈
74 : 탄성결합보스 74h : 헤드부
75 : 허리부
Claims (1)
- 유리창문(20)의 실내측(10) 좌측벽(12)과 우측벽(14)을 가로지르는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행거(40)(42)(44)(46)를 좌측벽(12)과 우측벽(14)에 설치하고,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링(41)(43)(45)(47)을 파이프행거(40)(42)(44)(46)의 외측에 결합하며, 유리창문(20)의 실내측(10)에서 좌우방향으로 펼치거나 접기 위한 복수의 수직프레임(50)을 신축이 자유로운 팬터그래프기구(60)에 의해 연결하고, 상부파이프(30)와 하부파이프(32)에 미끄럼결합되어 수직프레임(50)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시(52)(54)를 수직프레임(50)의 상하단에 설치하며, 수직프레임(50)과 유리창문(20) 사이에 위치되어 유리판(22)을 지지하는 지지패드(70)(72)를 수직프레임(50)에 탈부착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1431A KR101140127B1 (ko) | 2011-12-09 | 2011-12-09 |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1431A KR101140127B1 (ko) | 2011-12-09 | 2011-12-09 |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0127B1 true KR101140127B1 (ko) | 2012-05-02 |
Family
ID=4627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1431A KR101140127B1 (ko) | 2011-12-09 | 2011-12-09 |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0127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7542B1 (ko) | 2012-10-16 | 2013-01-02 | 주식회사 화신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창호시설 보호장치 |
KR101318398B1 (ko) * | 2012-11-26 | 2013-10-16 | 이재승 | 창문 보호장치 |
KR200472785Y1 (ko) | 2013-11-14 | 2014-05-27 | 김성훈 | 창문유리 보호장치 |
CN111877962A (zh) * | 2020-08-31 | 2020-11-03 | 台州学院 | 一种窗户防护装置 |
KR20220049353A (ko) * | 2020-10-14 | 2022-04-21 | 조웅현 |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을 실외풍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보강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0131A (ja) | 1997-01-31 | 1998-08-18 | Tsuneo Odajima | 窓の雪囲い用部材 |
KR100468530B1 (ko) | 2004-06-03 | 2005-01-31 | 강성구 | 창문 유리 보호장치 |
KR100514382B1 (ko) | 2005-05-03 | 2005-09-13 |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창문보호용 안전장치 |
KR100994430B1 (ko) | 2010-07-30 | 2010-11-15 | (주)명인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용 단열 방범창호 및 그 시공방법 |
-
2011
- 2011-12-09 KR KR1020110131431A patent/KR1011401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0131A (ja) | 1997-01-31 | 1998-08-18 | Tsuneo Odajima | 窓の雪囲い用部材 |
KR100468530B1 (ko) | 2004-06-03 | 2005-01-31 | 강성구 | 창문 유리 보호장치 |
KR100514382B1 (ko) | 2005-05-03 | 2005-09-13 |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창문보호용 안전장치 |
KR100994430B1 (ko) | 2010-07-30 | 2010-11-15 | (주)명인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용 단열 방범창호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7542B1 (ko) | 2012-10-16 | 2013-01-02 | 주식회사 화신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창호시설 보호장치 |
KR101318398B1 (ko) * | 2012-11-26 | 2013-10-16 | 이재승 | 창문 보호장치 |
KR200472785Y1 (ko) | 2013-11-14 | 2014-05-27 | 김성훈 | 창문유리 보호장치 |
CN111877962A (zh) * | 2020-08-31 | 2020-11-03 | 台州学院 | 一种窗户防护装置 |
CN111877962B (zh) * | 2020-08-31 | 2024-09-20 | 台州学院 | 一种窗户防护装置 |
KR20220049353A (ko) * | 2020-10-14 | 2022-04-21 | 조웅현 |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을 실외풍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보강장치 |
KR102417953B1 (ko) | 2020-10-14 | 2022-07-06 | 조웅현 |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을 실외풍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보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0127B1 (ko) |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 |
CN102224310B (zh) | 遮篷 | |
JPH06158847A (ja) | 建造物に付けられる足場フレーム | |
US20180142494A1 (en) | Tent connector and tent including the same | |
JP4762606B2 (ja) | 免震ダクト | |
KR101833822B1 (ko) | 천장틀 및 이를 위한 내진부재 | |
KR200494358Y1 (ko) | 차량용 접이식 어닝 프레임 | |
KR101017635B1 (ko) | 현수막 걸이대 | |
US8567424B2 (en) | Tent and tent frame | |
TW201641794A (zh) | 改良式帳篷結構 | |
JP5538847B2 (ja) | 付加テントセット | |
JP2022190628A (ja) | 構造体 | |
KR102164813B1 (ko) |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 |
KR200461476Y1 (ko) | 추락방지용 네트장치 | |
EP3194689B1 (en) | Tent with pocket elements | |
KR100905700B1 (ko) | 걸이대 | |
KR20150126760A (ko) | 고정용 인디언 텐트 | |
US20170226769A1 (en) | Adjustable Telescopic Structure for Dome Tents and Canopies | |
AU2011204883A1 (en) | Portable ventilation curtain frame | |
WO2010003775A1 (en) | A mosquito net and a support for a mosquito net | |
JP5779035B2 (ja) | テント | |
KR20170057730A (ko) | 천막 고정장치 | |
KR20090014836A (ko) | 접이식 세탁물 걸이대 | |
KR200363450Y1 (ko) | 방충망의 양측단 지지구조 | |
CN212428020U (zh) | 一种高稳定高楼建筑施工用保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