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041B1 -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041B1
KR101139041B1 KR1020107004538A KR20107004538A KR101139041B1 KR 101139041 B1 KR101139041 B1 KR 101139041B1 KR 1020107004538 A KR1020107004538 A KR 1020107004538A KR 20107004538 A KR20107004538 A KR 20107004538A KR 101139041 B1 KR101139041 B1 KR 101139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lled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622A (ko
Inventor
치즈코 나가사와
구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2Speech codec negot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신 단말(UA100)은, 희망 네트워크 상에서의 통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의 송신시의 정보 표시부(360)의 화면 상태 및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를 기억하는 화면 상태 기억부(500)와, 발신 중단 후에 송신한 통화 가능 통지 요구에 응답하여,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 착신 단말(UA200)로부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면, 화면 상태 기억부(500)에 기억된 화면 상태를 표시하도록 정보 표시부(360)를 제어하고, 또한, 화면 상태에서 발신 표시를 검출하면, 발신하도록 발신 지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부(3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관련 출원에의 전후 참조
본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 2007-222816 호(2007년 8월 29일 출원)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의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근거한 인터넷 전화 등의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 요구 등의 호 제어를 실현하는 통화 제어 프로토콜의 하나로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라는 규격이 규정되어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 참조).
SIP는 당초에 인터넷 상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PC나 서버 등의 컴퓨터 사이에서의 VoIP 통신을 위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무선 통신 기기에 대한 디지털화 및 IP 기술의 채용이 진행됨에 따라, SIP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사업자(오퍼레이터)의 SIP 서버 및 무선 통신 단말(장치)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최근의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해,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이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비할 수 있게 되었다. 전형적인 애플리케이션은, PDA, PC, 또는 휴대 전화기가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WiFi 및 WiMAX 등의 무선 LAN 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의 스테이션과 접속하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이다.
비특허문헌 1 : http://www.ietf.org/rfc/rfc3261.txt(SIP를 규정하는 RFC 문서)
그러나, SIP 기술은, 원래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한 기술이며, 대역이나 통신 품질이 시시각각 변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SIP 기술은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인터넷 상의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SIP 기술은 개발되었지만, 다른 종류의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걸친 통신 환경을 전제로 한 SIP 기술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도 3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DNS 서버(10), SIP 서버(20), SIP 서버(30), 게이트웨이(GW)(40), SMS 서버(50), SIP 서버(또는 GW)(60), SIP 서버(또는 GW)(70)가 서버나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한다. 무선 통신 단말(UA1, UA2)과 통신 단말(소프트폰)(UA3)은 발신측 및 착신측의 통신 단말과 소프트폰으로서 각각 동작한다. 이들 단말은, 인터넷(NET1), 오퍼레이터 패킷 네트워크(NET2), 오퍼레이터 회선 교환 네트워크(NET3), 및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 RNET2)를 통해서 서버에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에서, 무선 통신 단말(UA1)에 의한 SIP 접속 요구(발호; INVITE)에 응답하여,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에 대응하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의 SMS 서버(50)로부터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에 의해서 무선 통신 단말(UA2)이 호출되는 (패킷 네트워크로의 접속과 등록 동작의 지시) 경우, 무선 통신 단말(UA2)은, 호출되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즉, 동일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패킷 교환 네트워크(이 경우는 RNET1)를 통해서 SIP 서버(30)에 대하여,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등록 동작(REGISTER)을 행하고, 이후 SIP의 절차에 의해 통화를 확립시킨다.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와 그것에 대응하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만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전제로 한 것이다. 한편,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UA2)이, 2개의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 RNET2)에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2개의 옵션을 가진 경우, 종래 기술의 SIP(즉, SIP를 가진 무선 통신 단말(UA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요구(패킷 네트워크로의 접속과 등록 동작의 지시)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통과한 경로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이 예에서는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를 경유하여 SIP의 등록을 행하고, 이 패킷 네트워크 경로를 사용하여 발호측/발신측(Calling Party)과의 세션을 확립한다. 이러한 세션 확립 방식은, 발호측 사용자(Calling Party)가 사용을 희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대역, 또는, 요금 등과 관련하여 발호측 사용자가 희망하는 바램이나 선호도(preference)가 반드시 반영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접속을 요구한 사용자(Calling Party)의 선호도가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
가령, 발신측이 SIP의 호 설정 메시지(INVITE)에 의해 발호할 때에, 발신측이 희망하는 선호도(조건)를 착신측에 통지하더라도, 착신측에서, 발신측의 조건에 가능한 한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발신측에서는, 착신측이 선택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세션을 개시할 때까지는 알 수 없다. 즉, 발신측 단말은, 착신측 단말이 어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얼마나 많은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지), 또는 실제로 어떤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선택한 것인지를, 세션의 확립 후에만 알게 된다. 그 때문에, 착신측 단말은 발신측이 통지하는 선호도에 적합한지 또는 적합하다면, 어느 정도 적합한지를, 세션 확립 전에는 발신측에서 알 수 없다. 예컨대, 착신측 단말이 소요 대역에 적합하지 않은 대역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만 접속할 수 있는 경우, 발신측 단말은 착신측 단말의 현재의 무선 통신 상황을 고려한 최적의 대역 및 최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통신을 개시할 수 없다.
예컨대, 발신측이 WiMAX(광대역) 및 EVDO(저대역)에 접속할 수 있고, 착신측은 EVDO(저대역)에 접속할 수 있을 때와, 발신측이 통신료보다 대역을 우선시하여, 광대역인 WiMAX를 선택하여 착신측에 발신했을 때에, 착신측은, 대역을 우선시하는 조건을 통지받았다고 해도 EVDO에만 접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발신측이 광대역인 WiMAX를 사용하더라도, 착신측이 선택한 저대역인 EVDO는 병목을 발생시켜, 결국, EVDO의 대역만큼 많이 상기 세션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발신측이 소비하고 점유하는 WiMAX의 대역은 쓸모 없게 된다. 대역 사용 효율의 측면과 소비 전력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특히, 무선 통신 장치는 종종 휴대되어 이동하므로 그 무선 접속 상황은 시시각각 변한다. 이와 같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무선 전파 환경에 있는 무선 통신 장치끼리의 접속에서, 양쪽의 무선 통신 상황에 따른 최적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선택함으로써, 착신측과 발신측의 양쪽에 효율적인 무선 통신 접속을 제공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발호측/발신측(Calling Party)의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경로,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34는 발신측 통신 단말과 착신측 통신 단말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발신측 통신 단말과 착신측 통신 단말 사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명, 희망하는 네트워크명, 희망하는 애플리케이션명, 소요 대역 등의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착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을 착신측이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전 발신은 중단된다. 따라서, 발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발신이 중단된 경우에는, 다음에 언제 발신하면 희망의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한지를 발신측이 알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디바이스/경로, 네트워크, 대역 등)을 옵션으로서 갖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가 발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발신측 통신 장치가 발신을 중단하는 경우에, 언제 발신하면 희망 네트워크로 발신측과 접속할 수 있는지를 사용자가 알게 하는 것과 아울러, 재발신시의 발신측 사용자의 시간을 경감할 수 있는 기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가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 발신측의 통신 장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여 재발신한 후에, 1번째 발신시에 기억해 둔 화면 상태로 되돌린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소정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호출 요구의 송신시의 표시부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송신부가 송신한 호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건에 적합하지 않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착신측이 이용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건에 적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상기 착신측이 접속할 수 있을 때, 상기 착신측이 상기 발신측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착신측에 요구하는 요구부와, 상기 요구부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상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화면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화면 상태에서 발신 지시를 검출하면, 발신하도록 상기 발신 지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가 상기 호출 요구의 송신시의 표시부의 화면 상태를 복수개 기억하고 있는 경우, 모든 화면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동시에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화면 상태를 선택하는 선택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선택 지시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 상태로, 발신하도록 상기 표시 화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가능 통지의 수신 전의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가 상기 기억부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을 행한 후에 화면 복귀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기억부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화면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은, 소정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과, 상기 호출 요구의 송신시의 표시부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를 기억하는 기억 공정과, 상기 송신 공정에서 송신한 호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건에 적합하지 않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착신측이 이용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건에 적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상기 착신측이 접속할 수 있을 때, 상기 착신측이 상기 발신측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착신측에 요구하는 요구 공정과, 상기 요구 공정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상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기억 공정에서 기억된 화면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화면 상태에서 발신 지시를 검출하면, 발신하도록 상기 발신 지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가 발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발신측 사용자가 발신을 중단한 경우에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가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발신측은 착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여 재발신한 후에, 1번째 발신시에 기억해 둔 화면 상태로 되돌린다. 그러므로, 언제 발신하면 희망 네트워크 상에서 착신측에 접속할 수 있는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어, 재발신시에 발신측 사용자의 절차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하는 SIP 서버(호 제어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회선 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으로의 발신을 중단한 후, 착신측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될 때 재발신하여,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을 개시한 후 상기 통신을 종료할 때 수행되는 통신 제어(통신 제어 1)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회선 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으로의 발신을 중단한 후 착신측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될 때 재발신하여,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을 개시한 후 상기 통신을 종료할 때 수행되는 통신 제어(통신 제어 1)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SIP 서버가 행하는 호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SIP 서버가 호 제어에 이용하는 등록 기억 테이블을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행하는 통신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a) ~ 도 9(h)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의 통신 제어 1에 의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화면 천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의 통신 제어 1에 의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의 기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무선 통신 단말이 송신하는 호출 요구(INVITE)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SIP 서버가 무선 통신 단말의 희망 발신을 기억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희망 발신 기억 테이블을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1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는 SMS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SIP 서버가 행하는 호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행하는 통신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은 각각,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표시하는 사용자 선택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송신하는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은 각각,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표시하는 사용자 선택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기억되는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송신 정보 이력을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2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기억되는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수신 정보 이력을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2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행하는 통화 가능 통지에 관한 통신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행하는 통화 가능 통지에 관한 통신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한 무선 상태의 판정에 이용하는 무선 상태 판정 테이블을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2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한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하는지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통지 판정 테이블을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각각,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표시되는 통화 가능 통지 수신시의 표시 화면 및 상태 악화 통지 수신시의 표시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회선 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으로의 발신을 중단한 후, 착신측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될 때 재발신하여,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을 개시한 후 상기 통신을 종료할 때 수행되는 통신 제어(통신 제어 2)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회선 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으로의 발신을 중단한 후, 착신측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될 때 재발신하여,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을 개시한 후 상기 통신을 종료할 때 수행되는 통신 제어(통신 제어 2)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각각,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의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 및 2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화면에 모든 통화 가능 통지를 표시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각각,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재발신시의 화면 전환에 이용하는 재발신 화면 1 및 재발신 화면 2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언제 어느 정도의 확률로 각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2는 도 31의 그래프의 작성에 이용하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접속 상황 기록을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3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과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 사이에서 통신을 개시할 때의 통신 제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원리 및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시퀀스를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 장치나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통신 제어 방법을 대상으로 하지만, 이하에서는 발신측이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통신 단말)를 이용하고, 착신측이 전형적인 무선 통신 장치인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디바이스)을 구비한 통신 단말(장치)이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디바이스)을 구비한 무선 통신 단말(장치)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발신을 행하는 경우, 발신측의 통신 단말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측이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명(무선 통신 네트워크명을 포함함)과 희망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을 통지한다. 착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은, 자신이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발신측이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함)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을 고려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발신측으로의 응답으로서, 그 선택한 착신측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착신측이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명을 발신측의 통신 단말에 통지한다. 그 후, 발신측의 통신 단말은, 착신측으로부터 통지된 내용과, 발신측이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에 근거하여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발신측과 착신측의 양쪽에 의해 선택된 통신 네트워크(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함) 상에서 필요한 SIP의 절차를 행하고, 통신 상태에 이른다.
(2) 상기 발신측 통신 단말과 착신측 통신 단말 사이에서, 발신측이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명 및 발신측이 희망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의 통지와 선택한 네트워크의 통지는, SIP 서버를 통해서 행한다. 또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은 사용할 네트워크를 선택한 후, 선택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SIP 서버에 등록한다. SIP 서버는 등록된 네트워크명을 발신측 통신 단말에 통지한다.
(3) (1)에 있어서, 발신측 통신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 및 소요 대역이 통지되면, 착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은, 발신측과 착신측에서 대역 조건을 만족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복수인 경우, 가장 통신료가 싼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4) (2)에 있어서, 발신측 통신 단말은, 발신측이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명 및 희망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과 함께, 착신측이 접속하기를 희망하는 희망 네트워크명의 통지를 송신한다.
(5) (4)에서 발신측 통신 단말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할 때, SIP 서버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발신측에 의해 통지된 희망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이미 접속 및 등록되었다면, 상기 통지를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하지 않고 필요한 SIP의 절차를 행하여, 통신 상태에 이른다.
(6) (4)에서 발신측 통신 단말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할 때, SIP 서버는, 통지된 희망 네트워크명, 발신측 통신 단말 및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조합을 기억한다. SIP 서버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접속 및 등록하면, 발신측 통신 단말이 통지한 희망 네트워크에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접속 및 등록하면, 필요한 SIP의 절차를 행하여, 통신 상태에 이른다.
(7) (1)에서 착신측이 선택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대역이, 발신측이 희망하는 필요 대역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SIP 서버는 그 취지를 발신측 통신 단말에 통지하고, 발신측 통신 단말은, 사용자에게 더 좁은 대역을 소요(필요)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할지, 또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으로의 발신을 중단할 지의 선택을 문의한다. 중단이 선택된 경우에, 발신측 통신 단말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중단하는 것을 통지하고, 통신을 종료한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이 선택된 경우에는, 발신측 통신 단말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통신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통지된 발신측과 착신측의 통신 네트워크의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 필요한 SIP의 절차(INVITE 등)를 행한다.
(8) (1)에서 선택된 착신측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도록 발신측의 통신 네트워크를 전환할 때 요금이 오른 경우에는, 발신측 단말은 사용자에게 요금을 보여주고, 통신 네트워크를 전환할지, 전환하지 않을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으로의 발신을 중단할지의 선택을 문의한다. 중단이 선택된 경우에, 발신측 통신 단말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중단하는 것을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전환이 선택된 경우에, 발신측 통신 단말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통신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필요한 SIP의 절차를 행한다. 전환하지 않음이 선택된 경우에, 발신측 통신 단말은 통신 네트워크를 전환하지 않고, 필요한 SIP의 절차를 행한다.
(9) (1)에서, 발신측의 통신 단말은, 발신측은 착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이 실현해 주기를 원하는 대역을 우선으로 할지, 싼 요금을 우선으로 할지의, 착신측에서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에 관한 폴리시(희망)를, 발신측이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명 및 희망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과 함께 통지한다. 착신측의 무선 통신 단말은 통지된 무선 네트워크의 선택에 관한 폴리시에 근거하여, 사용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10) (7) 및 (8)에서 중단이 선택된 경우에는, 발신측 단말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희망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을 때에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발신측 통신 단말에 통지를 송신할 것을 요구(통화 가능 통지 요구)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할 것을 문의한다. 사용자가 요구하지 않은 것을 선택한 경우, 발신측 통신 단말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중단하는 것을 통지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에는, 발신측 통신 단말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송신한다.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은,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승낙/거부의 선택을 문의하고, 선택 결과를 발신측 통신 단말에 송신한다. 승낙이 선택되고,,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발신측이 희망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되면,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은 발신측 통신 단말에 희망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통화 가능 통지(통신 가능 통지)를 송신한다.
(11) (10)에서, 발신측 통신 단말은, 각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에 희망 네트워크로 어느 정도의 확률로 접속에 성공했는지, 발신측이 통화 가능 통지를 언제 수신했는지를 기억하여, 특정 시기에 각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으로의 접속 상황의 통계를 수집하여, 그래프로 표시한다.
(12) (10)에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은, 희망 네트워크의 종류, 희망 네트워크의 무선 상태, 및 사용 예정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을 고려하여 희망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희망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통신 가능 통지를 발신측 통신 단말에 송신한다. 또한,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은, 통신 가능 통지를 송신한 후에 무선 상태가 악화되고, 사용 예정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에 적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게 된 경우에는 상태 악화 통지를 발신측 통신 단말에 송신한다. 통신 가능 통지나 상태 악화 통지를 수신할 때, 발신측 통신 단말은,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착신측의 무선 상태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발신측이 현재 발신 가능함을 통지한다.
(13) (10)에서, 발신측 통신 단말은,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송신한 통화 가능 통지 요구가 승낙된 경우에는, 통신 가능 통지 요구와 함께 화면 상태를 기억함). 또한, 발신측 통신 단말은, 재발신을 시도할 때, 화면 상태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나서,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로 되돌려, 재발신을 행한다. 또한, 발신측 통신 단말은 2번째 발신에 의한 통신이 종료되면, 2번째 발신전의 화면 상태로 되돌린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NS 서버(10), SIP 서버(20), SIP 서버(30), 게이트웨이(GW)(40), SMS 서버(50), SIP 서버(또는 GW)(60), 및 SIP 서버(또는 GW)(70)는 서버나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한다. SIP 서버(30)는 호 제어 서버로서 기능하고, SMS 서버(50)는 메시지 송신 서버로서 기능한다. 무선 통신 단말(UA; User Agent)(100, 200)은 발신측과 착신측의 통신 단말로서 동작하고, 통신 단말(소프트폰)(UA300)은 소프트폰으로서 동작한다. 이들 단말은, 인터넷(NET1), 오퍼레이터 패킷 네트워크(NET2), 오퍼레이터 회선 교환 네트워크(NET3) 및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 RNET2)를 통해서 서버에 접속되어 있다.
발신측 통신 장치인 무선 통신 단말(UA100)은,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이하, 무선 네트워크(RNET1)라 함)와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2)(이하, 무선 네트워크(RNET2)라 함)에 접속할 수 있는 다중 모드 단말이다. 한편, UA100은, 무선 통신 단말이 아닌 발신측 통신 장치이거나 SMS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할 수 없는 발신측 통신 장치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통신 단말(소프트폰)(UA300)이 발신측 통신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착신측 무선 통신 장치인 무선 통신 단말(UA200)은, 무선 네트워크(RNET1), 무선 네트워크(RNET2) 및 오퍼레이터 회선 교환 네트워크(NET3)(이하, 네트워크(NET3)라 함)에 접속할 수 있는 다중 모드 단말이다. 무선 네트워크(RNET2)는 무선 네트워크(RNET1)에 비해 광대역의 네트워크이다. 무선 통신 단말(UA100)은, 통상 수신 대기시에는, 어느 한쪽의 무선 네트워크로 SIP 서버(30)에 등록한다. 한편, 무선 통신 단말(UA200)은, 오퍼레이터 회선 교환 네트워크(NET3)에서 통상 수신 대기 상태이고, 무선 네트워크(RNET1) 및 무선 네트워크(RNET2)에는 접속되지 않고, 휴면(dormant) 상태이다. 통신 단말(소프트폰)(UA300)은 상시 접속의 환경을 갖고 있고, SIP 서버(20)에 이미 등록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UA100) 및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UA2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UA200)과 동일한 통신 단말(무선 통신 단말)이 발신측 통신 단말(UA100)로서 이용되지만, 무선 통신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유선의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UA100) 및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UA2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처리부(310), 제어부(CPU 프로세서)(320), 조작(선호도) 입력부(330), SIP(확장) 처리부(340), 무선 통신 네트워크 선택 처리부(350), 스피커(SP), 마이크폰(MIC), 정보 표시부(360), 음성 변조/복조부(370), 화상 변조/복조부(380), 무선 통신 #1 링크 제어부(I/F 처리부 및 L2 정보 취득부를 포함함)(390), 무선 통신 #2 링크 제어부(I/F 처리부 및 L2 정보 취득부를 포함함)(400), 무선 통신 #N 링크 제어부(I/F 처리부 및 L2 정보 취득부를 포함함)(410), 통화 가능 통지 요구 송신 기억부(420), 통화 가능 통지 요구 송신 처리부(430), 통화 가능 (상태 악화) 통지 송신 처리부(435), 통화 가능 통지 요구 수신 기억부(440), 통화 가능 통지 요구 수신 처리부(450), 통화 가능 (상태 악화) 통지 수신 처리부(455), 접속 통지 자동 응답 판정부(460), 접속 통지 자동 응답 설정부(470), 착신 대상 접속 상황 기억부(480), 착신 대상 접속 상황 그래프 작성부(490), 무선 상태 판정부(495), 화면 상태 기억부(500) 및 화면 전환 처리부(505)를 구비한다. 통신 처리부(31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선택 처리부(350) 및 무선 통신 #1, #2, #N 링크 제어부(390~410)의 어느 하나를 통해서 호 설정 메시지(INVITE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31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선택 처리부(350) 및 무선 통신 #1, #2, #N 링크 제어부(390~410)의 어느 하나를 통해서 패킷 교환 네트워크와 문의 메시지(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통화 가능 통지 요구 송신 처리부(430)는, 상기 송신부가 송신한 호출 요구(INVITE)에 응답하여,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건에 적합하지 않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착신측이 이용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하면,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할 것을 착신측에 요구하고,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건에 적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착신측이 접속할 수 있게 되면, 착신측이 발신측에 그 취지를 통지할 것을 요구하는 요구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통화 가능 (상태 악화) 통지 송신 처리부(435)는, 통화 가능 통지 및 상태 악화 통지의 송신 처리를 행하는 통지 송신 처리부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하는 조건을 기억하는 기억부로서도 기능한다. 화면 상태 기억부(500)는, 희망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INVITE)의 송신시의 정보 표시부(360)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를 기억하는 기억부로서 기능한다. 제어부(320)는, 상기 요구부의 요구에 응답하여, 착신측으로부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면, 화면 상태 기억부(500)에 기억된 화면 상태를 정보 표시부(360)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화면 상태에서 발신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발신 지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화면 상태 기억부(500)가 호출 요구(INVITE)의 송신시의 정보 표시부(360)의 화면 상태를 복수개 기억하고 있는 경우, 모든 화면 상태를 정보 표시부(360)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20)는 어느 하나의 화면 상태의 선택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선택 지시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만을 정보 표시부(3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표시 화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상기 통화 가능 통지의 수신 전의 정보 표시부(360)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가 화면 상태 기억부(500)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지시에 따라 상기 발신을 송신한 후에 화면 복귀 지시를 검출하면, 화면 상태 기억부(500)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화면 상태를 정보 표시부(3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하는 SIP 서버(호 제어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P 서버(30)는, 로그인(등록) 처리부(510), 호출 요구 수신부(520), 등록 통지 생성부(530), 등록 통지 송신부(540), 어드레스 해결 처리부(550), 호출 요구 생성부(560), 호출 요구 송신부(570), 희망 발신 기억부(580) 및 희망 발신 처리부(590)를 구비한다. 로그인(등록) 처리부(510)는, 단말로부터의 로그인(REGISTER) 요구를 수신하여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호출 요구 수신부(520)는, 발신측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한 호 설정 메시지(Invite 메시지)를 수신한다. 호출 요구 생성부(560)는, 호출 요구 수신부(520)에 의해 수신된 호 설정 메시지를 착신측에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되는 희망 조건(선호도 정보)을 포함하는 호출 요구 정보를 생성한다. 호출 요구 송신부(570)는, 생성된 호출 요구 정보를 SMS 서버(메시지 송신 서버)에 송신하거나, 또는, SI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생성된 호출 요구 정보를 착신측 단말에 송신한다. 희망 발신 기억부(580)는, 무선 통신 단말(발신 단말)(UA100)로부터의 발신의 희망 조건(발신측이 희망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이나 요금 등)을 기억한다. 희망 발신 처리부(590)는, 무선 통신 단말(발신 단말)(UA100)로부터 수신된 발신의 희망 조건에 근거하여,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도 4 및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발신 단말)(UA100)이 회선 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착신 단말)(UA200)에 발신하고자 하지만, 발신측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발신을 중단한 후, 착신측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나서 재발신하여,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을 개시하여 상기 통신을 종료할 때 수행되는 통신 제어(통신 제어 1)를 나타낸다.
우선, 발신 단말(UA100)은,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2)(무선 RNET2이라 함)에 접속하여(무선 RNET2을 이용하여), SIP 서버(30)에 등록한다. 이때, SIP 서버(30)는, 도 6의 단계(S01~S03)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한다. 즉, 도 6의 단계(S01)에서, SIP 서버(30)는 단말(이 경우, 발신 단말(UA100))로부터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다음 단계(S02)에서, 도 7에 예시하는 등록 기억 테이블에 상기 단말의 어드레스, 번호, 네트워크명을 등록한다. 그 후, 단계(S03)의 판정은, 이 시점에 통신하는 단말으로의 희망 발신이 없기 때문에, No로 되고, SIP 서버(30)는 자신의 동작을 종료하고,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에, 발신 단말(UA100)의 사용자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UA200)에 발신하는 것을 선택하면, 발신 단말(UA100)은, 그때(발신시)의 화면 상태(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열려 있는 윈도우 및 그 위치나 설정)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이 처리 동안에, 발신 단말(UA100)은 도 8의 단계(S101) - 단계(S102) - 단계(S150) - 단계(S103)의 시퀀스를 행한다. 상세하게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시에 기동되는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01)에서 착신 단말과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단계(S102)에서 발신하고, 단계(S150)에서 그 시점의 화면 상태(호출 요구의 송신시의 화면 상태, 이하,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라 함)를 기억하고, 단계(S103)에서 호출 요구(INVITE)를 송신한다. 한편, 이미 등록한 통신 네트워크가 발신시에 발신 단말(UA100)이 희망하는 네트워크와 다른 경우에는, 발신 단말(UA100)은 희망 네트워크 상에서 재등록한다.
상기 단계(S150)에서는, 발신 단말(UA100)의 화면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도 9(a)에 예시하는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를 기억한다. 이 도 9(a)의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는 착신 단말(UA200)에 발신하기 위해서 소프트폰(전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착신지를 선택하고, 소프트폰과 함께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상태(ON)로 한다. 또한,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는 "화상 처리 애플리케이션(picture)"을 이용하여 칙신측에 보내고 싶은 화상의 폴더를 열거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전달하고 싶은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오픈한다. 이 상태는 발신 단말(UA100)의 사용자가 착신 단말(UA200)에 발신하기 위해서 준비하고 있는 상태다. 이러한 발신 단말(UA100)의 기동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열려 있는 폴더의 상태, 즉, 1번째 발신시의 발신 단말(UA100)의 정보 표시부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는, 도 1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통지 요구 ID와 관련시켜 기억된다.
상기 단계(S103)에서 SIP 서버(30)에 송신하는 착신 단말(UA200)에 대한 호출 요구(INVITE)는, 도 11의 포맷에 근거하여 이하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리스트 : IEEE802.16e, EVDO
? 애플리케이션명 : 비디오폰(컬러)
?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 500 kbps
? 발신측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 : IEEE 802.16e
? "대역 우선"인지 "싼 요금 우선"인지의 정보 : "대역 우선".
SIP 서버(30)는 상기 호출 요구(INVITE)를 수신할 때, 착신 단말(UA200)이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면, 발신원 번호, 착신지 번호, 및 발신측(발신원)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이하, 희망 네트워크라 함)를, 희망 발신으로서 희망 발신 기억 테이블(그 구성을 도 12에 예시한다)에 기억한다. 그리고, SIP 서버(30)는 SMS 서버(50)(그 구성을 도 13에 예시한다)로부터 GW(40)를 경유하여 착신 단말(UA200)에 SMS의 기동 메시지를 송신한다. SMS 서버(50)에서는, 정보 수신부(610)가 SIP 서버(30)로부터 기동 메시지의 송신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것에 응답하여, 기동 메시지 송신부(620)가 착신 단말(UA200)에, 기동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또한, 이 기동 메시지는 상기 호출 요구(INVITE)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처리 동안에, SIP 서버(30)는, 도 14의 단계(S11 ~ S13, S16)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행한다. 상세하게, SIP 서버(30)는 도 14의 단계(S11)에서, 단말(이 경우, 발신 단말(UA100))로부터 호출 요구(INVITE)를 수신하면, 다음 단계(S12)에서, 발신 단말의 번호와 호출 요구(INVITE)가 의도하는 착신지의 번호의 조합과, 발신원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명을 희망 발신으로서 희망 발신 기억 테이블에 등록 또는 덮어쓰기한다. 다음 단계(S13)에서, 착신 단말은 발신원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SIP 서버(30)는 단계(S16)로 진행하고, SMS 서버(50)를 경유하여 착신 단말에 호출 요구 정보를 송신한 후, 자신의 동작을 종료하고 대기 상태로 된다.
상기 단계(S13)의 판정시에, 이미 SIP 서버(30)에 등록되어 있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UA200)의 무선 네트워크가 발신 단말(UA100)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인 경우에는, SIP 서버(30)는, 호출 요구(INVITE)를 그대로 착신 단말에 송신한다. 이때, SIP 서버(30)는, 도 14의 S13의 Yes - S14 - S15의 단계로 나타내는 시퀀스를 행한다. 상세하게, 도 14의 단계(S13)에서의 판정이 Yes일 때, SIP 서버(30)는 단계(S14)에서 희망 발신을 삭제하고, 다음 단계(S15)에서, 호출 요구(INVITE)를 착신 단말에 송신하고, 이후 통상의 SIP의 절차를 행한다.
또한, 착신 단말(UA200)이 오퍼레이터 회선 교환 네트워크(NET2)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또는 RNET2)의 페이징 정보에 호출 요구(INVITE)의 정보를 포함시켜, 착신 단말을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된 PC 등이고, 이미 SIP 서버(3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단말의 어드레스에 대해 호출 요구(INVITE)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착신 단말(UA200)은, SMS 서버(50)로부터 기동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동 메시지 내의 정보와 단말 자신이 현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고려하여, 착신 단말(UA200)이 접속하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를 선택한다. 그리고, 착신 단말(UA200)은, 선택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SIP 서버(30)에 등록한다. 이 등록시에, 착신 단말(UA200)이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발신 단말(UA100)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및 등록한 것을 확인하고, SIP 서버(30)는, 발신 단말(UA100)에, 착신 단말(UA200)이 오퍼레이터 무선 통신 패킷 네트워크(RNET1)에 등록했음을 통지한다. 이 경우, 착신 단말(UA200)은 발신 단말(UA100)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및 등록하고 있기 때문에, SIP 서버(30)는, 호출 요구(INVITE)를 착신 단말에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SIP 서버(30)는, 도 6의 S01 - S02 - S03 - S03의 Yes - S04 - S04의 No - S06의 단계로 나타내는 시퀀스를 행한다. 상세하게, SIP 서버(30)는, 도 6의 단계(S01)에서, 단말(이 경우, 착신 단말(UA200))로부터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다음 단계(S02)에서, 도 7에 예시하는 등록 기억 테이블에 상기 단말의 어드레스, 번호, 및 네트워크명을 등록한다. 그 후, 자신(착신 단말(UA200))의 단말으로의 희망 발신이 있기 때문에, 단계(S03)의 판정은 Yes로 되어, 단계(S04)로 진행한다. 단계(S04)에서, 착신 단말(UA200)은 발신 단말(UA100)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RNET2)에 등록했는지 여부를 판정하지만, 이 판정이 No로 되기 때문에, 처리는 단계(S06)로 진행한다. 단계(S06)에서, SIP 서버(30)는 발신원 통신 단말(UA100)에, 착신 단말(UA200)의 등록 정보(등록한 무선 네트워크명을 포함함)를 통지한다. 착신 단말(UA200)이 발신 단말(UA100)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및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04)의 판정이 Yes로 되어 처리는 단계(S05)로 진행하고, 단계(S05)에서, SIP 서버(30)는, 호출 요구(INVITE)를 착신 단말(UA200)에 송신하고, 이후 통상의 SIP의 절차를 행하여, 통신을 개시한다.
발신 단말(UA100)은, 상기 등록 정보가 통지되면, 무선 네트워크(RNET1)는 충분한 대역을 갖고 있지 않는다는 것과, 무선 네트워크(RNET1)의 요금은 무선 네트워크(RNET2)의 요금보다 낮다는 것을 확인할 때, 사용자에게 더 좁은 대역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흑백 비디오폰 또는 전화)으로 전환하여 통신을 행할지, 또는, 중단할지를 문의하기 위해서, 도 9(b)에 나타내는 전환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 전환 선택 화면을 보고 중단을 선택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UA100)은,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을 때에 그 취지를 발신측에 통지하도록 요구하는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송신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기 위해서, 도 9(c)에 나타내는 통화 가능 통지 요구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 통화 가능 통지 요구 선택 화면을 보고 "No(송신하지 않음)"를 선택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UA100)은 SIP 서버(30)에 중단한다는 것을 보고한다. SIP 서버(30)는, 그 보고를 착신 단말(UA200)에 전송하여, 착신 단말(UA200)은, 필요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RNET1)를 절단(disconnect)한다.
이 처리 동안에, 발신 단말(UA100)은 도 8의 단계(S104) ~ 단계(S112)의 처리를 행한다. 상세하게, 발신 단말(UA100)은 도 8의 단계(S104)에서 "100 Trying"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발신 단말(UA100)이 "100 Trying"를 수신한 경우에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05)로 진행하고,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06)로 진행하고, 이후, 필요한 SIP의 순서를 거쳐 통신을 행한다.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05)에서 착신 단말의 등록의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No이면 단계(S104)로 되돌아가 단계(S104) 이후를 반복하고, Yes이면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07)로 진행하고,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를 전환하여 발신을 계속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이 Yes(발신)이면,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08)에서 현재의 호출 요구(INVITE)를 중단함과 아울러, 전환한 네트워크에 등록한 후에, 단계(S109)에서 이전 호출 요구(INVITE)에 근거하여 새로운 호출 요구(INVITE)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그 다음,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10)로 진행하고, 필요한 SIP의 절차를 행한다(그때, 기억된 화면 상태를 파기한다). 한편, 단계(S107)에서 판정이 No(중단)이면,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11)에서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송신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Yes(송신한다)이면, 발신 단말(UA100)은 도 15의 단계(S113)로 진행하여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송신하고, No(송신하지 않는다)이면,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12)로 진행하여 SIP 서버(30)를 통해서 착신 단말에 중단한다는 것을 통지한다(그때, 기억된 화면 상태를 파기한다).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송신할지 여부의 문의에서, 사용자가 Yes(송신한다)를 선택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UA100)은,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착신지, 희망 네트워크 및 사용 애플리케이션의 확인과, 사용자에게 유효 시간 및 메시지의 입력을 묻기 위해서, 도 16(a) 및 도 16(b)에 예시하는 사용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 사용자 선택 화면을 본 후 확인 및 원하는 입력을 행하면, 발신 단말(UA100)은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에 ID(통지 요구 ID)를 할당하고, 착신 단말(UA200)에 대한 통화 가능 통지 요구(도 1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SIP에 의해 규정된 메시지와, 통화 가능 통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메시지로 이루어진다)를 SIP 서버(30)에 송신하고, 그 통화 가능 통지 요구는, SIP 서버(30)로부터 착신 단말(UA200)에 전송된다. 이 처리 동안에, 발신 단말(UA100)은 상술한 단계(S107)의 No - 단계(S111)의 Yes - 단계(S113)의 시퀀스를 행한다.
착신 단말(UA200)은,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UA200)에서는, 이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승낙할지 여부를 선택한다. 착신 단말(UA200)은 승낙 여부를 단말이 자동으로 선택하는 자동 모드와, 승낙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수동 모드가 준비되어 있다. 착신 단말(UA200)이 승낙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수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 단말(UA200)은, 통화 가능 통지 요구가 수신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승낙/거부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묻는다. 한편, 착신 단말(UA200)이 승낙/거부를 단말이 자동 선택하는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컨대 사전에, 매너 모드가 ON/OFF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모두 거부할지 모두 승낙할지, 각 통지 상태에 대해 선택할지 등의 설정을 사용자가 행한다(그 경우에 표시하는 사용자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 18(a)에 나타낸다). 또한, "각 통지 상태에 대해 선택한다"고 선택되는 경우에, 각 통지 상태에 대해 거부 또는 승낙으로 사전에 설정한다(도 18b는 그 경우에 표시하는 사용자 선택 화면을 나타낸다).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송신하는 발신 단말(UA100)의 식별에 근거하여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승낙할지 거부할지를 판정하고,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수신시에 착신 단말(UA200)에서의 매너 모드가 ON/OFF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승낙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응답으로서 승낙(OK)이 SIP 서버(30)를 통해서 착신 단말(UA200)로부터 발신 단말(UA100)에 통지되고, 착신 단말(UA200)과 발신 단말(UA100)의 양쪽에 있어서,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송신 정보와 수신 정보가 이력으로서 기억된다(도 19(발신 단말)와 도 20(착신 단말)은 정보 이력을 나타낸다). 또한,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송신시의 화면 상태는 통지 요구 ID와 관련시켜 기억된다. 그때, 다른 통화 가능 통지 요구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상기 송신시의 화면 상태를 통지 요구 ID와 관련시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a)의 "1번째 발신의 화면 상태"가 도 10에 예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기억된다. 그 후, 상기 응답(OK)을 수신한 발신 단말(UA100)로부터 송신되는 ACK가 SIP 서버(30)를 통해 착신 단말(UA200)에서 수신되면, 착신 단말(UA200)은, SIP 서버(30)로 등록 해제하고, 발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의 감시를 개시한다.
이 처리 동안에, 착신 단말(UA200)은, 도 21의 단계(S201) ~ 단계(S210)의 시퀀스를 행하고, 발신 단말(UA100)은, 도 15의 단계(S114) ~ 단계(S151)의 시퀀스를 행한다.
착신 단말(UA200)은,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수신시에 기동되는 도 21의 흐름도의 단계(S201)에서, 통지할지 여부를 확인한다. Yes이면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02)로 진행하고, No이면 단계(S206)로 진행한다.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02)에서 응답(승낙; OK)을 송신하고, 단계(S203)에서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수신 정보를 이력에 기억하고, 단계(S204)에서 무선 상태를 "서비스 외"로서 기억하고, 단계(S205)에서 SIP 서버(30)로부터 등록 해제한다. 한편,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06)에서 응답(거부; NG)을 송신(통지)하고, 다음 단계(S207)에서 SIP 서버(30)로부터 등록 해제한 후에, 그 동작을 종료한다. 단계(S205)의 다음 단계(S208)에서는, 유효 시간내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NO(유효 시간외)이면,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09)로 진행하여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수신 정보를 이력으로부터 소거한 후에 그 동작을 종료하고, Yes(유효 시간내)이면 단계(S210) 이후로 진행한다.
발신 단말(UA100)은, 도 15의 단계(S114)에서, 수신한 응답이 승낙(OK)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Yes(사용자가 승낙함)이면,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15)로 진행하여 통화 가능 통지 요구에 ID를 할당하여,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송신 정보를 이력에 기억한 후에, 단계(S151)에서 통지 요구 ID와 일시 기억된 화면 상태를 함께 기억하고, No(사용자가 거부함)이면, 단계(S116)로 진행하여 SIP 서버(30)를 통해서 착신 단말(UA200)에게 중단을 통지하고, 그 동작을 종료한다(그때, 기억된 화면 상태를 파기한다).
그 후, 발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있는 착신 단말(UA200)이, 발신측이 희망하는 무선 네트워크인 무선 네트워크(RNET2)에 접속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동하여, 무선 네트워크(RNET2)에서 통신할 수 있으면, 착신 단말(UA200)은 무선 네트워크(RNET2)에 접속하여 SIP 서버(30)에 등록하고, 착신 단말(UA200)이 SIP 서버(30)를 통해서 무선 네트워크(RNET2)로 통신 가능하게 된 것을 발신 단말(UA100)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한다. 통화 가능 통지는 통지 요구 ID를 포함한다. 이 처리 동안에, 착신 단말(UA200)은, 도 21의 단계(S210) ~ 단계(S212)의 시퀀스를 행한다. 상세하게, 착신 단말(UA200)은 발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10)에서 응답이 No인 경우에, 단계(S210)의 No - 단계(S208)의 Yes - 단계(S210)의 루프를 반복한다. 단계(S210)에서 Yes로 판정되면,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11)로 진행하여 발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인 무선 네트워크(RNET2)로 SIP 서버(30)에 등록한 후에, 단계(S212)에서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한다. 이 통화 가능 통지는, SIP 서버(30)를 통해 발신 단말(UA100)에 송신된다.
발신 단말(UA100)은, 상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면, 발신 단말(UA100)에서는, 발신 단말(UA100) 자신이 상기 희망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발신 단말(UA100)이 상기 희망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9(d)에 예시하는 "통화 가능 통지 수신 전의 화면" 대신에 도 9(e)에 예시하는 "통화 가능 통지 수신시의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착신 단말(UA200)은 희망 네트워크 상에서 착신 단말(UA200)과 통신할 수 있는 것(즉, 발신 단말(UA100)은 착신 단말(UA200)에 재발신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사용자가 이 표시 화면을 보고 확인하면, 발신 단말(UA100)은 도 5의 순서도로 진행하여, 이전의 희망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으로 착신 단말(UA200)에 발신(재발신)할지 여부를 선택할 것을 사용자에게 묻는다. 사용자가 발신하는 것을 선택하면, 발신 단말(UA100)은 현재의 화면 상태인 도 9(d)의 "통화 가능 통지 수신 전의 화면 상태"를 일시적으로 기억한 후, 도 9(f)에 예시하는 "재발신시의 화면"을 표시한다(도 9(a)의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로 되돌린다). 그리고, 발신 단말(UA100)은 상기 단계(S101) 이후와 마찬가지의 처리로 SIP 서버(30)에 등록하고, 착신 단말(UA200)에 발신하여 통신을 행한다. 단계(S103) 이후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처리 동안에, 발신 단말(UA100)은, 도 15의 단계(S117) ~ 단계(S124)의 시퀀스를 행한다. 상세하게,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7)에서 Yes로 판정되면, 단계(S118)에서, 발신 단말(UA100)은 자신이 상기 희망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접속할 수 있는 경우에 단계(S119)로 진행하고,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Yes(소정 기간 내)로 판정된 경우에,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20)에서, 발신 단말(UA100)이 착신 단말(UA200)에 재발신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다음 단계(S121)에서, 발신 단말(UA100)은 사용자가 확인했는지 여부를 체크한 후, 확인 안함(No)의 경우에는 단계(S118)로 되돌아가고, 확인 함(Yes)의 경우에,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52)로 진행하여, 화면 상태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단계(S123)에서, 호출 요구(INVITE)를 송신하고, 단계(S124)에서, 이후, 필요한 SIP의 절차를 행하여 통신을 행한다(그때, 기억된 화면 상태를 파기한다). 이 통신의 종료후에, 발신 단말(UA100)은 2번재 발신전의 화면으로 되돌릴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해서 도 9(g)에 예시하는 "화면 전환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되돌리는 것이 선택되면, 도 9(h)에 예시하는 2번째 발신전의 화면을 표시한다(도 9(d)의 "통화 가능 통지 수신 전의 화면 상태"로 되돌린다). 한편, 이 통신 종료후의 처리는, 도 15의 흐름도에서 생략하고 있다.
상기 단계(S118)에서 발신 단말(UA100) 자신이 상기 희망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효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발신 단말(UA100) 자신이 상기 희망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계속 체크한다. 그 체크 동안에 발신 단말(UA100) 자신이 상기 희망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된 경우와,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 내이면, "착신 단말(UA200)은 희망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할 수 있는 것(발신 단말(UA100)은 착신 단말(UA200)에 재발신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처리 동안에, 발신 단말(UA100)은, 도 15의 단계(S118)에서 No로 판정되면 진행하는 단계(S125)에서, 유효 시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유효 시간 내이고, 이 단계(S125)에서 Yes로 판정될 때 단계(118)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18)의 Yes로부터 단계(S119)로 진행하여,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지 않고 유효 시간을 경과해 버린 경우에는, 발신 단말(UA100)은 사용자에게 유효 시간을 연장할지 여부를 묻고, 사용자가 연장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에는,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착신 단말(UA200)에 다시 송신한다.
이 처리 동안에, 발신 단말(UA100)은, 도 15의 단계(S117)의 No - 단계(S126) - 단계(S127) - 단계(S128)의 시퀀스를 행한다. 상세하게, 발신 단말(UA100)은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단계(S117)의 No를 따라 진행하는 단계(S126)에서, 유효 시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Yes(유효 시간 내)이면 단계(S117)로 되돌아가고, No(유효 시간 외)이면 단계(S127)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유효 시간을 연장할지 여부를 묻는다. 여기서, 사용자가 Yes(연장한다)를 선택하면,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13)로 되돌아가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착신 단말(UA200)에 다시 송신하고, 사용자가 No(연장하지 않는다)를 선택하면, 단계(S128)로 진행하여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송신 정보를 이력으로부터 소거하고, 그 동작을 종료한다(그때, 기억된 화면 상태를 파기한다). 상기 단계(S125)에서 유효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도, 발신 단말(UA100)은 상기 단계(S127) - 단계(S128)의 처리를 행한다.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한 후 발신 단말(UA100)의 사용자가 그 통지를 확인하기 전에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UA100)은,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재확인하는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송신한다.
이 처리 동안에, 발신 단말(UA100)은, 도 15의 단계(S119)의 No - 단계(S129) - 단계(S130) ‥ 의 시퀀스를 행한다. 상세하게,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한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발신 단말(UA100)은 단계(119)의 No를 따라 단계(S129)로 진행하여,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의 재확인을 요구한다. 다음 단계(S130)에서, 발신 단말(UA100)은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재확인하고, 이 재확인에 응답하여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Yes)라는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S120)로부터 단계(S121)로 진행하여 발신 단말(UA100)의 사용자가 통화 가능 통지를 확인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상기 단계(S130)의 재확인에 응답하여,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No)라는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17)로 되돌아가서, 착신 단말(UA200)로부터 송신되는 통화 가능 통지를 기다린다. 상기 단계(S122)에서, 발신 단말(UA100)의 사용자가 No(재발신하지 않는다)를 선택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31)로 진행하여 종료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No(종료하지 않는다)이면,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18)로 되돌아간다. Yes(종료한다)이면, 발신 단말(UA100)은 단계(S132)로 진행하여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송신 정보를 이력으로부터 소거하고, 그대로 종료한다(그때, 기억된 화면 상태를 파기한다).
상기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한 후, 착신 단말(UA200)은 발신 단말(UA100)과 마찬가지의 이력 처리를 행한다.
상세하게, 착신 단말(UA200)이 도 21의 단계(S212)의 통화 가능 통지의 송신후에 진행하는 단계(S213)에서, 착신 단말(UA200)은 무선 상태를 기억하고, 단계(S214)에서, 통신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Yes(통신을 개시함)이면,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15)로 진행하여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수신 정보를 이력으로부터 소거한 후에 처리를 종료하고(통신은 그대로 계속된다), No(통신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이면, 도 22의 단계(S216)로 진행한다.
단계(S216)에서, 유효 시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Yes(유효 시간 내)이면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17)로 진행하고, No(유효 시간 외)이면 단계(S218)로 진행하여 SIP 서버(30)로부터 등록 해제하고, 단계(S219)에서 상기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수신 정보를 이력으로부터 소거한 후에, 그 동작을 종료한다. 단계(S217)에서, 착신 단말(UA200)은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하기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Yes(송신하기 적합한 상태)이면 단계(S220)로 진행하여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한 후에, 단계(S221)에서 무선 상태를 기억한다. 단계(S217)에서 No(송신하기 좋지 않은 상태)이면,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22)로 진행하여 상태 악화 통지(통화 가능 통지의 한 종류)를 송신하기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Yes(송신하기 적합한 상태)이면,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23)로 진행하여 상태 악화 통지를 송신한 후에 상기 단계(S221)로 진행하여 무선 상태를 기억한다. 단계(S222)에서 No(송신하기 적합하지 않은 상태)이면, 착신 단말(UA200)은 단계(S224)로 진행한다. 단계(S224)에서, 재확인의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No(수신하지 않음)이면, 착신 단말(UA200)은 도 21의 단계(S214)로 되돌아가고, Yes(수신함)이면 단계(S225)로 진행한다. 단계(S225)에서, 착신 단말(UA200)은 발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No(접속할 수 없음)이면 도 21의 단계(S208)로 되돌아간다. Yes(접속할 수 있음)이면, 착신 단말(UA200)은 도 21의 단계(S214)로 되돌아가 통신(통화)의 개시를 기다린다.
상기 단계(S225)에서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에 접속(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의 판정(도 21의 단계(S210)의 판정과 동일)에서, 착신 단말(UA200)은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수신하면, 발신 단말(UA100)이 희망하는 네트워크의 무선 상태를 감시하고, 무선 상태가 변하면, 그 무선 상태를 기억한다. 이 기억 동작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UA200)의 처리는, 도 21의 단계(S204), 단계(S213) 및 도 22의 단계(S221)이다. 무선 상태는, 도 23에 예시하는 무선 상태 판정 테이블의 각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복수의 레벨(도시 예에서는 3 레벨) 중 어느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한다. 무선 상태 1은 무선 상태가 가장 나쁜 상태이고, 3이 가장 좋은 상태이다. 예컨대, RSSI가 -70dB 이상이고, 또한, SINR가 5 이상일 때, EVDO의 무선 상태는 3이다. 또한, 착신 단말(UA200)은,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할지 여부를 도 24에 예시하는 통지 판정 테이블의 조건에 근거하여 판정하고,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하기 적합한 상태이면,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한다. 예컨대, 소요 대역이 5 Mbps이고, 희망 네트워크가 IEEE 802.16e인 경우는, 무선 상태가 서비스 외 1 또는 2의 상태로부터 3으로 변했을 때에,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한다. 도 24의 통지 판정 테이블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에 근거하여 통화 가능 통지 조건(통화 가능 통지의 송신 조건) 및 상태 악화 통지 조건(상태 악화 통지의 송신 조건)을 변경하고, 소요 대역이 높을 수록 조건은 엄격해진다. 이 처리 동안에, 착신 단말(UA200)은 도 21의 단계(S210) - 단계(S211) - 단계(S212)의 시퀀스를 행한다.
또한, 일단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한 후에 무선 상태가 악화된 경우에는, 도 24의 통지 판정 테이블의 조건에 근거하여 상태 악화 통지를 송신해야 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송신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착신 단말(UA200)은 상태 악화 통지를 송신한다. 이 처리 동안에, 착신 단말(UA200)은, 도 22의 단계(S222)의 Yes - 단계(S223)의 처리를 행한다. 상태 악화 통지를 송신한 후, 마찬가지로 도 24의 통지 판정 테이블의 조건에 근거하여 통신 가능 통지를 송신해야 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착신 단말(UA200)은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한다. 이 처리 동안에, 착신 단말(UA200)은 도 22의 단계(S217)의 Yes - 단계(S220)의 시퀀스를 행한다.
한편, 발신 단말(UA100)은,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도 25(a)에 예시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하여, "착신지의 무선 상태가 양호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태 악화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발신 단말(UA100)은 도 25(b)에 예시하는 상태 악화 통지 수신시의 표시 화면을 표시하여, "희망 네트워크로 접속한 경우에는 소요 대역을 얻을 수 없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도 26 및 도 2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고, 각각은 착신측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발신 단말)(UA100)이 회선 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는 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착신 단말)(UA200)로의 발신을 중단하고, 이후에 착신측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나서 재발신하고,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을 개시하고 상기 통신을 종료할 때 수행되는 통신 제어(통신 제어 2)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통신 제어 2와 상기 통신 제어 1(도 4, 도 5 참조)의 다른 점은, 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발신 단말)(UA100)이 동일한 착신지(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착신 단말)(UA200))에 동일한 희망 네트워크(무선 RNET2)로 통화 가능 통지 요구를 2회 송신하여, 동시에 2개의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할 때, 발신 단말(UA100)은 선택한 통화 가능 통지를 사용하여 재발신한 후에, 상기 재발신에 사용한 통화 가능 통지에 대응하여 기억해 둔 화면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점이다.
상세하게, 도 26의 순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 단말(UA100)은 애플리케이션 1(예컨대 도 28(a)에 나타내는 소프트폰)을 이용하여 발신(1번째 발신)을 행한 후,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무선 RNET2)를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발신을 중단하고, 통화 가능 통지 요구(통화 가능 통지 요구 1)를 착신 단말(UA200)에 송신한다. 그러나, 착신 단말(UA200)로부터 송신되는 통화 가능 통지는 없기 때문에, 발신 단말(UA100)은 애플리케이션 2(예컨대 도 28(b)에 나타내는 화이트보드)를 이용하여 재발신(2번째 발신)을 행한다. 착신 단말(UA200)은 희망 네트워크(무선 RNET2)를 여전히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발신 단말(UA100)은 2번째 발신을 중단하고, 통화 가능 통지 요구(통화 가능 통지 요구 2)를 착신 단말(UA200)에 송신한다. 1번째 발신시의 발신 단말(UA100)의 화면 상태에서,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프트폰은 기동하게 되고, 2번째 발신시의 발신 단말(UA100)의 화면 상태에서,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이트보드가 기동하게 된다.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무선 RNET2)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도 26의 순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회 송신된 통화 가능 통지 요구에 응답하여, 동시에 복수개(이 경우, 2개)의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도 2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발신 단말(UA100)이 모든 통화 가능 통지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할 수 있게 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용자에게 재발신에 사용하는 통화 가능 통지를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 1번째 발신에 대응하는 통화 가능 통지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27의 순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 단말(UA100)은 기억해 둔 1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로 되돌리고, 착신 단말(UA200)로의 발신을 개시하여 통화를 행하고, 2번째 발신에 대응하는 통화 가능 통지가 선택된 경우에는, 기억해 둔 2번째 발신시의 화면 상태로 되돌려, 착신 단말(UA200)로의 발신을 개시하여 통화를 행한다.
상기 2개의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착신지와 희망 네트워크가 같은 경우에는, 선택된 화면 상태로 되돌린 후에, 선택되지 않은 화면 상태로 전환하도록, 이하의 화면 표시를 행한다. 상세하게, 도 26, 도 27의 순서도의 경우에는, 기억해 둔 도 25(a), 도 25(b)의 화면 상태 중 선택되지 않은 화면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 발신 단말(UA100)은 도 30(a), 도 30(b)의 화면 상태 중 하나로 전환하여 화면 표시를 행한다. 또한, 상기 2개의 통화 가능 통지 요구의 송신에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선택되지 않은 화면 상태로 표시를 전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발신을 행하고, 그 결과, 발신 단말(UA100)은 양쪽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동시에 통신한다. 그리고, 화면의 전환에 의해서, 화면상에서 조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전환한다.
한편, 사용자가 통화나 음악 등의 화면 조작 없이 동작을 계속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면의 전환과 무관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계속해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0(a)의 1번째 발신의 화면에서는 소프트폰을 사용하고 있고, 도 30(b)의 2번째 발신의 화면에서는 화상 편집을 통신 상대와 함께 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인 화이트보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1인 소프트폰을 이용하여 재발신을 선택하면, 도 30(a)의 재발신 화면 1의 화면이 표시되고, 소프트폰에 의한 발신이 개시된다. 그리고, 그 화면에서 "02:15"의 탭(tab)을 선택하면, 도 30(b)의 재발신 화면 2의 화면으로 전환되어, 소프트폰에 의한 통신이 유지된 상태로 화이트보드를 이용하여 발신이 개시된다.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통신 상대에게 발신하기 위해서, 발신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및 설정하여 발신을 준비한다. 예컨대, 발신 단말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통신 상대를 선택하고, 통신 방법을 설정하고, 또한, 통신 상대에게 보내고 싶은 파일을 준비하거나,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전하고 싶은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오픈한다. 따라서, 발신 단말은, 사용자가 통신중에 상대에게 전하고 싶은 아이템과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이나 윈도우를 종종 작동시키므로, 상기 화면의 전환에 의해, 1번째 발신시에 사용자가 통신 상대에게 전하고자 하는 모든 아이템을 실패없이 전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의 통신 제어 방법 1과 도 26 및 도 27의 통신 제어 방법 2는, 착신 단말이 언제 어느 정도의 확률로 각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를 도 31에 예시하는 그래프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상세하게, 발신 단말(UA100)은, 통신 가능 통지 요구를 송신한 착신 단말이 언제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지/할 수 없는지를 도 32에 예시하는 "착신측 단말의 접속 상황 기록"에 기록하고, 각 착신 단말에 대해 도 31의 통계 그래프를 작성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도 4 및 도 5의 통신 제어 방법 1과 도 26 및 도 27의 통신 제어 방법 2)에 의하면,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RNET1, RNET2)을 이용할 수 있는 착신 단말(착신측 무선 통신 단말)(UA200)이 발신측이 희망하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발신 단말(발신측 무선 통신 단말)(UA100)의 사용자가 발신을 중단한 후, 착신 단말(UA200)이 희망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 발신 단말(UA100)은, 착신 단말(UA200)로부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고 재발신한 후에, 1번째 발신시에 기억해 둔 화면 상태로 되돌린다. 그러므로, 언제 발신하면 희망 네트워크 상에서 착신측에 접속할 수 있는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다. 또한, 재발신시의 발신측 사용자의 절차를 경감할 수 있다.
UA100 : 발신 단말 UA200 : 착신 단말
310 : 통신 처리부 320 : 제어부
330 : 조작 입력부 340 : SIP(확장) 처리부
350 : 무선 통신 네트워크 선택 처리부
360 : 정보 표시부 370 : 음성 변조/복조부
380 : 화상 변조/복조부

Claims (4)

  1. 소정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호출 요구의 송신시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부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송신부가 송신한 호출 요구에 대해, 상기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조건에 적합하지 않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착신측이 이용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조건에 적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상기 착신측이 접속 가능하게 된 경우에, 상기 착신측이 상기 발신측에 대해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착신측에 요구하는 요구부와,
    상기 요구부의 요구에 대해,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상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화면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화면 상태에서 발신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발신 지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가 상기 호출 요구의 송신시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부의 화면 상태를 복수개 기억하고 있는 경우, 모든 화면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동시에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화면 상태를 선택하는 선택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선택 지시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발신하도록 상기 표시 화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가능 통지의 수신 전의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가 상기 기억부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지시에 응답하여 발신한 후에 화면 복귀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기억부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화면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소정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과,
    상기 호출 요구의 송신시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부의 화면 상태 및 상기 화면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를 기억하는 기억 공정과,
    상기 송신 공정에서 송신한 호출 요구에 대해, 상기 발신측이 희망하는 상기 착신측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조건에 적합하지 않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착신측이 이용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측이 희망하는 착신측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조건에 적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상기 착신측이 접속 가능하게 된 경우, 상기 착신측이 상기 발신측에 대해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화 가능 통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착신측에 요구하는 요구 공정과,
    상기 요구 공정의 요구에 대해,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상기 통화 가능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기억 공정에서 기억된 상기 화면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화면 상태에서 발신 지시를 검출하면, 상기 발신 지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공정
    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KR1020107004538A 2007-08-29 2008-08-27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KR101139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22816 2007-08-29
JP2007222816A JP5000432B2 (ja) 2007-08-29 2007-08-29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PCT/JP2008/065292 WO2009028546A1 (ja) 2007-08-29 2008-08-27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622A KR20100049622A (ko) 2010-05-12
KR101139041B1 true KR101139041B1 (ko) 2012-04-30

Family

ID=4038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538A KR101139041B1 (ko) 2007-08-29 2008-08-27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96046B2 (ko)
EP (1) EP2187609B1 (ko)
JP (1) JP5000432B2 (ko)
KR (1) KR101139041B1 (ko)
CN (1) CN101836485B (ko)
WO (1) WO2009028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9909B2 (ja) * 2007-06-22 2015-08-2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US8831191B1 (en) * 2013-06-28 2014-09-09 Ringcentral, Inc. Call preview system
JP2015039163A (ja) * 2013-07-16 2015-02-26 株式会社Nttドコモ 交換機、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4867453A (zh) 2020-01-21 2022-08-05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各向同性浓缩物和洗涤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3957B2 (en) * 2007-03-14 2011-12-06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160A9 (en) 2001-01-10 2003-09-11 Widegren Ina B.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end-to-end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media flows in a multimedia session
GB0111290D0 (en) * 2001-05-09 2001-06-27 Nokia Corp Regist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74452A1 (en) 2001-10-11 2003-04-17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QoS establishment mode
US7184415B2 (en) * 2001-12-07 2007-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rvice access system and method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3309664A (ja) 2002-04-17 2003-10-31 Sony Corp 端末装置、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送受信開始方法
US20030227939A1 (en) * 2002-06-05 2003-12-11 Satoru Yukie Establishing a connection using a hybrid receiver
JP4252771B2 (ja) * 2002-06-25 2009-04-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端末、無線端末管理装置及び位置登録補助装置
CA2491515A1 (en) 2002-07-02 2004-01-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exchanging higher layer system information on a wireless system and automatic system selection of a wireless lans
US6941134B2 (en) * 2002-12-19 2005-09-06 Cingular Wireless Ii, Llc Automated device behavior management based on preset preferences
TWI333353B (en) 2003-01-21 2010-11-11 Panasonic Corp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with reservation of network resources, and terminal therefore
JP2004348647A (ja) 2003-05-26 2004-12-09 Hitachi Ltd ヒューマ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5136553A (ja) 2003-10-29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端末及び通信管理装置
EP1698196B1 (en) 2003-12-22 2010-06-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chnology-independent access selection based on application requirements and network status
US7796554B2 (en) 2004-03-29 2010-09-14 Utstarcom Telecom Co., Lt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and method for traffic guidance in the multimode radio network
WO2006082861A1 (ja) * 2005-02-02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通信端末および通信サービス決定方法
CN100411478C (zh) * 2005-02-08 2008-08-1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基于用户请求实现通信服务等级业务的方法
JP4519012B2 (ja) * 2005-06-23 2010-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JP4868781B2 (ja) * 2005-07-06 2012-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07043180A1 (ja) 2005-10-14 2007-04-19 Fujitsu Limited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
US20080009325A1 (en) * 2006-07-10 2008-01-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nu interfac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204502B2 (en) * 2006-09-22 2012-06-19 Kineto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regist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3957B2 (en) * 2007-03-14 2011-12-06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7609B1 (en) 2015-07-29
JP5000432B2 (ja) 2012-08-15
WO2009028546A1 (ja) 2009-03-05
US8396046B2 (en) 2013-03-12
KR20100049622A (ko) 2010-05-12
JP2009055557A (ja) 2009-03-12
EP2187609A4 (en) 2014-06-11
CN101836485A (zh) 2010-09-15
US20100296442A1 (en) 2010-11-25
CN101836485B (zh) 2013-03-27
EP2187609A1 (en)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204B1 (ko)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KR101128157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US7769017B2 (en) Using reachability information to facilitate peer-to-peer communications
KR101122482B1 (ko)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기반 구조를 지원할수 있는 무선 장치에 서비스를 독립적이고 효율적으로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67505B1 (ko) 무선통신 시스템
KR100711957B1 (ko) 무선 터미널 세션 제어 및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KR101596955B1 (ko)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징 시스템에서 세션 트랜스퍼 방법
WO2007043180A1 (ja)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
US878079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157938A1 (en)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o identification for handover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537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erminals
KR101139041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US20070273749A1 (en) Cellular phone system, video-phone call control device, cellular phone and video-phone call control method
JP5769909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